KR101140759B1 -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59B1
KR101140759B1 KR1020090062375A KR20090062375A KR101140759B1 KR 101140759 B1 KR101140759 B1 KR 101140759B1 KR 1020090062375 A KR1020090062375 A KR 1020090062375A KR 20090062375 A KR20090062375 A KR 20090062375A KR 101140759 B1 KR101140759 B1 KR 101140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terminal
audio signal
main system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938A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글로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Abstract

외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가라오케 장치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가라오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저장 매체에 저장된 가라오케 정보를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와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포트를 구비하는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메인 시스템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직접 연결되는 제2 포트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포트와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서브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 시스템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믹싱하고 이를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Karaoke system capable of reducing noise and being used by a multiple users}
본 발명은 가라오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라오케(karaoke)로 지칭되는 영상 가요 반주기는, 다수의 반주 정보, 영상 정보 및 인덱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가라오케 정보가 저장된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DVD 와 같은 고 용량의 광 디스크에 상기 가라오케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수천 또는 수만 곡의 노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광 디스크의 용량 증가는 가라오케 사용자의 각 디스크에 수록되는 노래의 수적인 측면에서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가라오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발생하면 이를 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가라오케 정보에서 추출된 반주 신호에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결합함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라오케 시스 템은 스피커와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는 마이크를 상기 마이크 단자에 연결하여 노래를 함으로써 음성신호를 가라오케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가라오케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반주신호에 결합하고, 상기 결합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에는 스피커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지 않고 헤드폰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헤드폰을 스피커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가라오케 시스템에 단지 마이크 단자 및 스피커 단자만을 구비하므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가라오케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라오케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피커 단자와 두 개의 마이크 단자만을 구비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지 두 명의 사용자만이 각자의 마이크를 사용하여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할 뿐이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므로, 두 명의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청취할 수 밖에 없었고, 또한 두 명의 사용자가 가라오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피커 단자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아파트 등과 같은 가정에서 가라오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 매우 강한 크기의 소음이 발생할 수 밖에 없게 되므로, 가라오케 시스템을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데는 큰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공통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할 수 있어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라오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 시스템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가라오케 정보를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와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포트를 구비하는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메인 시스템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직접 연결되는 제2 포트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포트와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서브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 시스템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믹싱하고 이를 상기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외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 의 제3 포트 각각은, 상기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단자와, 상기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4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함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3 포트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량을 조절하는 오디오 앰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시스템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제공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오디오 분배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를 통해 제공된 외부의 음성신호들을 서로 믹싱하기 위한 음성신호 믹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는 상기 오디오 분배부 및 음성신호 믹싱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는 서로 다른 전기적 경로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분배부 및 음성신호 믹싱부에 연결되고, 상기 오디오 분배부/음성신호 믹싱부와 상기 제2 포트 사이의 전기적 경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에 의해 공통하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브 시스템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스피커 장치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라오케 시스템을 공동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정용에 적합한 가라오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10)은 메인 시스템(100)과 서브 시스템(200)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100)은 제1 포트(130)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시스템(200)은 제2 포트(210)와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들(221, 222, 223, 224)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시스템(100)은 가라오케 시스템(10)의 본체로서, 저장 매체(일예로서 DVD)가 삽입되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가라오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도 1에는 메인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로서 상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광 디스크 삽입부(110), 메인 시스템(1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1 포트(130)가 일예로 도시된다.
상기 제1 포트(130)는 메인 시스템(100)에서 발생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 력하는 오디오 출력단자(131)와 외부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음성신호 수신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131)은 일반적인 음성 출력장치(일예로서 이어폰, 또는 헤드폰)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음성신호 수신단자(132)는 일반적인 마이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 시스템(10)의 경우, 상기 메인 시스템(100)의 제1 포트(130)는 서브 시스템(200)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시스템(200)은 상기 메인 시스템(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 포트(2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 시스템(200)은 하나의 제2 포트(210)만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포트(210) 또한 두 개의 단자를 포함하며, 하나의 단자는 상기 제1 포트(130)의 오디오 출력단자(13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단자는 상기 제1 포트(130)의 음성신호 수신단자(132)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서브 시스템(200)은, 가라오케 시스템(10) 외부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일예로서, 4 개의 제3 포트, 221, 222, 223 및 224)를 구비한다.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10) 외부의 장치는 마이크/스피커 장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은 헤드셋 각각에 연결된다. 헤드셋에 구비되는 스피커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제3 포트의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헤드셋에 구비되는 마이크 연결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3 포트의 다른 하나의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서브 시스템(200)의 제2 포트(210)는 상기 메인 시스템(100)의 제1 포 트(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유선라인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무선 경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경로를 통해 메인 시스템(100)과 서브 시스템(200)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인 시스템(100) 및 서브 시스템(200) 각각의 내부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수단과 상기 변조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의 유무선 전송과 관련된 구성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 시스템(200)의 제2 포트(210)에 포함되는 제1 단자(211)는 메인 시스템(100)의 제1 포트(130)의 오디오 출력단자(131)와 연결됨에 따라, 메인 시스템(100)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서브 시스템(200)은 그 내부에 신호 분배수단(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자(211)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로 각각 제공한다. 상기 분배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을 통하여 외부로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3 포트는 제3 단자와 제4 단자를 구비한다. 일예로서, 어느 하나의 제3 포트(221)는, 제2 포트(210)의 제1 단자(211)와 연결되는 제3 단자(221_1)와, 제2 포트(210)의 제2 단자(212)와 연결되는 제4 단자(221_2)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된 오디오 신호는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제3 단자를 통하여 외부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은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는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을 통하여 상기 서브 시스템(200) 내부로 제공된다. 상기 서브 시스템(200)은 그 내부에 신호 믹싱수단(미도시)를 구비하며, 서브 시스템(200) 내부로 제공된 복수 개의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로부터의 음성신호들은 상기 신호 믹싱수단에 의해 서로 믹싱되며, 그 믹싱된 음성신호들이 제2 포트(210)의 제2 단자(212)로 제공된다. 믹싱된 음성신호들은 제2 단자(212)를 통하여 메인 시스템(100)의 제1 포트(130)의 음성신호 수신단자(132)로 제공되며, 메인 시스템(100)은 반주 신호와 상기 수신된 믹싱된 음성신호들을 서로 결합하여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제1 포트(130)의 오디오 출력단자(131)를 통하여 서브 시스템(2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의 제3 단자는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며, 각각의 제4 단자는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 및 224) 각각은 서로 구분되게 배치되는 전기적 경로를 통하여 상기 신호 분배수단 및 신호 믹싱수단에 연결되며, 또한 제2 포트(210)는 공통된 전기적 경로를 통하여 상기 신호 분배수단 및 신호 믹싱수단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라오케 시스템(10)의 자세한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가라오케 시스템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10)은 메인 시스템(100)과 서브 시스템(200)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시스템(100)은 마이크로 프로 세서(141), 메모리부(142), 오디오 프로세서(143), 비디오 프로세서(144), 오디오 인코딩부(145), 오디오 디코딩부(146) 및 오디오 앰프부(14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시스템(200)은 그 내부에 음성신호 믹싱부(231) 및 오디오 분배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시스템(100)은 제1 포트(130)를 구비하며, 서브 시스템(200)은 제2 포트(210)와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들(221, 222, 2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포트들(221, 222, 223)의 개수는 임의적으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따라 본원에 포함된 각각의 도면에서 상기 제3 포트들의 개수는 달리 표현되어도 무방하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41)는 가라오케 시스템(10)의 전체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2), 오디오 프로세서(143), 비디오 프로세서(144), 오디오 인코딩부(145) 및 오디오 디코딩부(146) 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42)는 가라오케 시스템(10)의 동작을 위한 운영체제 등의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하며, 오디오 프로세서(143) 및 비디오 프로세서(144)는 각각 시스템 내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처리를 담당한다. 오디오 인코딩부(145)는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부터 서브 시스템(200)을 경유하여 제공되는 음성신호들에 대해 인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오디오 디코딩부(146)는 상기 인코딩된 음성 신호 및 가라오케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미도시)로부터의 반주 신호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오디오 앰프부(147)로 제공한다.
오디오 앰프부(147)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대해 증폭 동작을 수행한다. 특 히, 상기 오디오 앰프부(147)가 증폭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서브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제3 포트들(221, 222, 223)의 개수에 따라 그 증폭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서브 시스템(200) 내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분배할 때, 그 분배동작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제3 포트들(221, 222, 223)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그 신호의 레벨이 감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오디오 앰프부(147)의 신호 증폭량이 제3 포트들(221, 222, 223)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신호 레벨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음성신호 믹싱부(231)는 제2 포트(210)의 제1 단자(211)와 공통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다수의 제3 포트들(221, 222, 223)과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분배부(232) 또한 제2 포트(210)의 제2 단자(212)와 공통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다수의 제3 포트들(221, 222, 223)과는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제3 포트들(221, 222, 223) 각각에 연결되는 다수의 외부 마이크/스피커 장치들로부터 제공된 음성신호들은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음성신호 믹싱부(231)로 제공되며, 음성신호 믹싱부(231)는 수신된 다수의 음성신호들을 서로 믹싱한다. 상기 믹싱된 음성신호는 제2 포트(210)의 제1 단자(211)를 통하여 메인 시스템(100)으로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메인 시스템(100)은 상기 믹싱된 음성신호와 반주신호를 서로 결합하고 이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제2 포트(210)의 제2 단자(212)로 제공한다. 상기 제2 단자(212)로 제공된 오디오 신호는 공통 경로를 통 하여 오디오 분배부(232)로 제공된다. 오디오 분배부(232)는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고 각각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제3 포트들(221, 222, 223)로 제공한다. 다수의 사용자는 각자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며, 이에 맞추어 마이크를 통해 음성정보를 서브 시스템(200)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가라오케 시스템(10)을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서브 시스템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시스템(200)은 하나의 제2 포트(210)와 두 개 이상의 제3 포트들(221, 222, 223)을 구비한다. 제2 포트(210)는 메인 시스템(미도시)과 직접 연결되는 제1 단자(211) 및 제2 단자(212)를 구비한다. 또한 제3 포트들(221, 222, 223) 각각은, 외부의 마이크 장치와 음성신호 믹싱부(23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3 단자(221_1, 222_1, 223_1)를 구비한다. 또한 제3 포트들(221, 222, 223) 각각은, 외부의 스피커 장치와 오디오 분배부(23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4 단자(221_2, 222_2, 223_2)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는 제3 포트들(221, 222, 223), 음성신호 믹싱부/오디오 분배부(231, 232) 및 제2 포트(210)를 거쳐 가라오케 시스템(10)의 메인 시스템(100)과 연결된다. 다수의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서브 시스템(200)을 통하여 믹싱되어 메인 시스템(100)으로 제공되고, 반주신호와 상기 음성신호가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스피커 장치를 통해 청취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가라오케 시스템의 외부 단자로서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를 통하여 각자 음성신호를 제공하고,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하기 위해서는 가 라오케 시스템에 별도로 구비되는 스피커 장치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을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메인 시스템에 접속하고, 또한 서브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트들을 이용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가 헤드셋인 경우에는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 혹은 제거시키면서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가라오케 시스템을 가정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종 매체를 이용하는 영상 가요 반주기의 일반적인 선곡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가라오케 시스템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브 시스템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라오케 시스템
100: 메인 시스템
130: 제1 포트
131: 오디오 출력단자
132: 음성신호 수신단자
200: 서브 시스템
210: 제2 포트
221, 222, 223, 224: 제3 포트

Claims (5)

  1. 저장 매체에 저장된 가라오케 정보를 수신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와 외부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1 포트를 구비하는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메인 시스템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포트와 직접 연결되는 제2 포트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 포트와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서브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함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3 포트의 개수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량을 조절하는 오디오 앰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시스템은, 상기 제2 포트 및 공통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분배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로 각각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믹싱하고 이를 상기 공통 경로 및 제2 포트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단자와, 상기 제3 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상기 외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 각각은, 상기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단자와, 상기 외부의 마이크/스피커 장치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4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스템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제공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오디오 분배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3 포트를 통해 제공된 외부의 음성신호들을 서로 믹싱하기 위한 음성신호 믹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시스템에 연결되는 상기 마이크/스피커 장치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KR1020090062375A 2009-07-09 2009-07-09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KR10114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75A KR101140759B1 (ko) 2009-07-09 2009-07-09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375A KR101140759B1 (ko) 2009-07-09 2009-07-09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38A KR20110004938A (ko) 2011-01-17
KR101140759B1 true KR101140759B1 (ko) 2012-05-03

Family

ID=4361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375A KR101140759B1 (ko) 2009-07-09 2009-07-09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072A (ja) * 1996-10-21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オケ装置
KR19990057646A (ko) * 1997-12-30 1999-07-15 유영재 노래 반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4072A (ja) * 1996-10-21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オケ装置
KR19990057646A (ko) * 1997-12-30 1999-07-15 유영재 노래 반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38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091B2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volume and functionality control between an audio player and wireless earphones
JP4487316B2 (ja) 映像信号並びにマルチチャネル音声信号の伝送信号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KR100694158B1 (ko) 포터블 멀티미디어 기기에 사용되는 포터블 스피커 장치
US7433479B2 (en) Headphone apparatus
EP2410762B1 (en) Headphone
JP2011176581A (ja) スピーカ装置、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音響システム
US8577052B2 (en) Headphone accessory
KR102077156B1 (ko)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이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
CN113411703B (zh) 音频播放方法以及耳机盒、无线耳机和耳机套件
JP2005252597A (ja) 複数音声再生装置
CN108650592B (zh) 一种实现颈带式环绕立体声的方法及立体声控制系统
KR101140759B1 (ko)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킨 가라오케 시스템
KR100425906B1 (ko) 휴대용 다채널 앰프
JP5281695B2 (ja) 音響変換装置
KR101163928B1 (ko) 멀티 채널 사운드 바 스피커
KR200247762Y1 (ko) 다채널 멀티미디어 스피커 시스템
JP20020275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WO2018228111A1 (zh) 耳机、终端以及系统
JP2011082717A (ja) 増幅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148837A (ja) 音響・映像再生システム
US20090022342A1 (en) Digital decoder box with multi-channel audio source format indentification function
KR20010008044A (ko) 휴대용 다채널 앰프
CN212163692U (zh) 一种免调试数字音响装置
KR2006009356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시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KR200233581Y1 (ko) 휴대용 다채널 앰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