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526B1 -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 Google Patents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526B1
KR101140526B1 KR1020110103773A KR20110103773A KR101140526B1 KR 101140526 B1 KR101140526 B1 KR 101140526B1 KR 1020110103773 A KR1020110103773 A KR 1020110103773A KR 20110103773 A KR20110103773 A KR 20110103773A KR 101140526 B1 KR101140526 B1 KR 10114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wheel
tire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민
한서은
Original Assignee
한서은
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은, 한창민 filed Critical 한서은
Priority to KR102011010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526B1/ko
Priority to PCT/KR2012/008276 priority patent/WO20130551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60C23/0405Mechanically generated visible signals, e.g. by using a gauge nee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2Connection to 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8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with lubricating passages, channel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3Production or maintenanc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21Resisting forces
    • B60B2900/1214Resisting forces due to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2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02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sc
    • B60B3/004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sc in the hub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02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with a single disc body integral with r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의 림에 에어 밸브를 구비하되, 에어 밸브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타이어의 내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휠의 스포크 내부에 공기 유로관을 설치한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에어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휠은 허브, 림 및 스포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휠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내설되며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압축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에어 밸브 및;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밸브에서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림에 장착된 타이어에 제공하도록 상기 에어 밸브와 상기 타이어 내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관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어 밸브는 허브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자동차 휠의 미려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고,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휠 밸런스를 조절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휠의 세척이 수월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WHEEL FOR VEHICLE WITH AIR VALVE}
본 발명은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휠의 허브에 에어 밸브를 구비하되, 에어 밸브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타이어의 내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휠의 스포크 내부에 공기 유로관을 설치한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휠은 일반적으로 휠의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차축과 체결되는 허브(hub)와, 이 허브의 외측에 위치하여 타이어가 장착되고 공기압을 유지시켜주는 림(rim) 및 허브와 림을 연결하는 다수의 스포크(spoke)로 구성되며, 이 휠의 림에는 타이어가 장착되되, 이 타이어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 림에는 홈이 구비되고 이 홈에 공기주입 밸브가 설치되어 공기주입 밸브를 통해 림에 장착된 타이어에 압축공기가 주입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휠과 이 휠에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휠(1)의 림(4)에는 홀이 구비되며, 이 홀에는 공기주입 밸브(2)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림(4)에 구비되는 홀은 휠의 허브(3)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이에 공기주입 밸브(2)도 허브(3)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공기주입 밸브(2)가 휠(1)에서 돌출되는 범위를 줄이고 압축 공기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주입 밸브(2)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밸브하우징 내부에 밸브조립체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밸브하우징의 내부지지턱에 대응하는 밸브몸체의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얇은 밀봉부재를 삽입하여 밸브하우징의 내부 지지턱에 밀착되어 타이어(6, 도 2 참조)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밸브스템을 눌러 고무재의 개폐링이 밸브몸체의 하부에 구성된 공기유입구를 열어줌으로써 타이어(6)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거나 타이어(6)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무재의 개폐링이 밸브몸체의 하부에 구성된 공기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주입 밸브는 밸브 하우징 및 밀봉부재 등이 내설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며, 그 구성이 복잡하다.
여기서 자동차 휠은 그 회전 중심축에서 그 외주연 측으로는 무게 균형 즉, 휠 밸런스(wheel balance)가 평형을 이루어야 스티어링 휠이 떨리지 않고 타이어의 편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자동차 휠이 제조되는 과정과 타이어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밸런스의 오차는 발생하게 되고 이에 더하여 공기주입 밸브(2)가 림(4)에 설치되기 때문에 조립된 자동차용 휠에서의 밸런스 오차는 더욱 증가된다.
이때 밸런스의 오차에 따른 관성 모멘트에 대해서 설명하면,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점질량에 대한 스칼라 관성 모멘트는 다음의 식-1로 나타내어 진다.
식-1
Figure 112011079457930-pat00001
여기서, I는 관성 모멘트, m은 질량 및 r은 회전축으로부터 점질량까지의 거리이다.
위 식-1에 따르면 관성 모멘트는 질량과 회전 중심축까지의 거리 제곱에 비례하게 되는데, 종래 자동차용 휠의 림에 공기주입 밸브(2)가 설치되는 구성은 이 공기주입 밸브가 회전중심축에서 상당히 이격되어 있으므로 관성 모멘트의 값은 공기주입 밸브(2)의 질량에 회전축과의 공기주입 밸브(2)와의 거리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휠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림(4)에는 이에 상당하는 질량의 납을 붙이게 된다.
또한, 림(4)에 돌출되는 이러한 공기주입 밸브(2)는 자동차의 주행 중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 휠의 내측에는 휠의 구동을 단속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분진이 이 자동차 휠에 부착되기도 하며 타이어가 노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노면에 있던 다양한 오염물질이 자동차 휠에 달라붙게 된다. 이에 림(4)에 돌출된 공기주입 밸브(2)는 자동차 휠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 방해요소가 되는 것은 물론이며, 더욱이 세척시 손 등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휠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에어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휠 밸런스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자동차용 휠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휠은 허브, 림 및 스포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휠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내설되며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압축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에어 밸브 및;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밸브에서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림에 장착된 타이어에 제공하도록 상기 에어 밸브와 상기 타이어 내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관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 압력계를 더 포함하되, 이 공기 압력계는 상기 공기 유로관과 연통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스포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어 밸브는 허브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자동차 휠의 미려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고,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휠 밸런스를 조절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휠의 세척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압력계에 의해서 타이어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어어의 공기압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휠에 타이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밸브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에어 밸브의 폐쇄시의 동작 단면도(a)와 개방시의 동작 단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력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의 허브에 에어 밸브를 구비하되, 에어 밸브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타이어의 내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휠의 스포크 내부에 공기 유로관을 설치한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1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의 구성은 크게, 에어 밸브(100) 및 공기 유로관(200)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공기 압력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밸브(100)는 압축 공기를 유입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공기 유로관(200)으로 제공하며, 공기 유로관(20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 공기의 유입으로는 유로가 개방되고, 압축 공기의 배출 방향 즉 역방향에 대해서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이 에어 밸브(100)는 자동차 휠(10)의 회전축에 근접하여 설치되도록 자동차 휠(1)의 허브(11)에 설치되되,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허브(13)에 홈(도면 부호 미표시)을 설치하고 이 홈에 내설된다.
이 에어 밸브(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밸브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 따른 에어 밸브(100)의 구성은 하우징(101), 격벽(120), 차단 밸브(130), 제1스프링(140) 및 연통홀(15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1)은 에어 밸브(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별도의 도면 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으나 허브(1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하우징(101)의 내부 상부는 공기 주입홀(110)이 마련되고, 그 하부는 격실(122)이 구비되는데,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은 격벽(120)에 의해서 구획되되,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 아니라 격벽(120)에 구비되는 통공(121)에 의해서 연통된다.
또한, 하우징(101)의 상부는 하우징(101)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캡(170)에 의해서 마감될 수 있으며, 자동차가 주행하는 중에 이 캡(170)이 이탈되어 분실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캡(170)은 나사 결합에 의해 하우징(1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 캡(170)과 하우징(101)의 나사 결합을 위해 하우징(101)의 내주연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며, 캡(170)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홀(110)의 내주연에는 내측 나사부(111)가 설치되며 캡(170)은 이 내측 나사부(111)에 치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101)이 허브(11)에 삽입되어 설치됨에 따라 이 하우징(101)도 자동차의 주행 중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1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구성을 위해서 하우징(101)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부(112)가 구비되며, 하우징(101)은 허브(11)의 홈에 나사 체결된다.
이 하우징(101)은 허브(11)의 홈에서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타이어(20)를 교체하는 등 타이어(20)에 주입된 압축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킬 경우에 이 하우징(101)을 허브(11)의 홈에서 제거함으로써 압축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하우징(101)을 홈에 설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 하우징(101)을 회전시켜서 나사 결합하기 위한 공구가 요구되며, 이 공구와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101)의 상면에는 회전시키는 공구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요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격실(122)에는 압축된 공기를 유입하되 유입된 압축 공기는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가 구비되는 데, 이 구성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2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공(121)을 승강동작으로 개폐하고 그 하부에는 로드(131)를 구비하는 차단밸브(130)가 설치된다.
차단 밸브(130)는 상부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는 원뿔 형상의 하면보다 지름이 작은 로드(131)가 구비되어 상부와 하부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되며, 이 로드(131)의 외주연에는 제1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차단 밸브(130)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격실(122)에는 이 격실(122)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하기에서 설명될 공기 유입관(200)으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홀(150)이 구비되는데, 하우징(101)이 허브(11)에 회전 결합는 경우, 연통홀(150)은 일 방향으로 설치된 공기 유로관(200)과 정확하게 연통되도록 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연통홀(150)은 하우징(10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마련하여 적어도 연통홀(150)의 일부가 공기 유로관(200)과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통홀(150)의 간격이 공기 유로관(200)의 지름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과 같이 본 발명에서의 에어 밸브(100)는 허브(11)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휠(1)의 외부로 도출되지 않아 자동차용 휠(10)이 가지는 본래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설치되는 에어 밸브(100)는 회전축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관성 모멘트가 현저히 감소되어 휠 밸런스의 조절이 용이하다.
공기 유로관(200)은 에어 밸브(100)에서 유입된 압축 공기를 림(12)에 장착된 타이어(20, 도 4 참조)의 내부로 이송하는 관로로 일측은 에어 밸브(100)와 연결되어 허브(11) 및 스포크(13)의 내부에서 연통되며 타측은 림(12)까지 연결되는 유로이다. 이 공기 유로관(200)은 휠(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되거나 제작된 휠(10)의 림(12)측에서 허브(11) 측으로 천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어 밸브(100)를 허브(11)에 구비하고 이 에어 밸브(100)로 유입된 압축 공기를 타이어 내부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관(20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관성 모멘트는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에어 밸브(100)가 휠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에어 밸브(100)와 공기 유로관(200)에 의해서도 휠 밸런스는 소정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밸브(100)는 각각의 스포크(1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허브(11)에 내설되고 각각의 에어 밸브(100) 마다 각각의 공기 유로관(200)을 구비하는 것으로 휠 밸런스가 균형을 가지도록 구성되면 휠 밸런스의 오차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에어 밸브 폐쇄시의 동작 단면도(a)와 개방시의 동작 단면도(b)를 나타낸 것이다.
에어 밸브(100)의 내부는 격벽(120)의 의해서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로 구획되되, 이 격벽(120)에는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을 연통하는 통공(121)이 마련되며 이 통공(121)은 그 하부에서 제1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 밸브(130)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타이어(20)의 내부와 연통되어 타이어(20)의 내부 공기압과 동일한 공기압을 유지하는 공기 유로관(200)과 이 공기 유로관(200)과 연결되는 격실(122)은 타이어(20)의 내부 압축 공기와 동일한 공기압을 유지하게 되고, 더욱이 제1스프링(140)에 의해서 지지되는 차단 밸브(130)는 통공(121)의 하단부를 폐쇄하여 압축 공기가 공기 주입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공기 주입홀(110)은 자동차의 주행에 따라 이 공기 주입홀(110)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 공기 주입홀(110)은 캡(170)을 결합하여 마감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축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캡(170)을 제거하고 공기 주입홀(110)에 치합되는 압축공기 노즐(도면에 미표시)을 결합하고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공기 주입홀(110)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은 공기 유로관(200)의 압력과 제1스프링(140)의 압력의 합을 초과하여야 하며, 주입되는 공기압이 이들의 합을 초과하면 제1스프링(140)은 수축되어 차단 밸브(130)가 하향작동되고 통공(121)이 개방되며, 공기 주입홀(110)에 유입된 압축 공기는 격실(122)을 통과하여 공기 유로관(200)으로 이동되고, 공기 유로관(200)으로 유입된 압축 공기는 타이어(20, 도 4 참조) 내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압축 공기 주입시에는 차단 밸브(130)가 하향 작동되어 통공(121)을 개방하며, 공기 주입홀(110)에 압축 공기가 제거되면 주입된 압축 공기는 차단 밸브(130)가 상향 작동되어 통공(121)을 폐쇄하여 타이어 공기압이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휠에는 타이어 내부의 압축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압력계(300)를 더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력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공기 압력계(300)는 공기 유로관(200)과 연통되는 연결관(310), 연결관(310)과 연통되며 스포크(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20), 실린더(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330), 피스톤(330)을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340) 및 피스톤(3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3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실린더(320)는 스포크(13)의 내부에 구비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자동차용 휠 자체가 가지는 본래의 미려한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허브(11) 또는 림(12)의 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실린더(320)의 일측은 연결관(310)에 의해서 공기 유로관(200)과 연통되어 압축 공기압을 전달받으며, 그 타측은 폐쇄된다. 즉, 실린더(320)의 폐쇄 측에는 제2스프링(340)이 구비되고 이 제2스프링(3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피스톤(330)이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330)을 중심으로 연결관(310) 측을 전실부로 하며 제2스프링(340) 측을 후실부로 한다면 전실부와 후실부는 구획되어 분리된다. 즉, 피스톤(330)을 중심으로 전실부와 후실부가 서로 연통되면 전실부와 후실부의 공기압이 동일해지므로 타이어(20)의 공기압에 따라서 피스톤(30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스톤(330)에 의해 전실부와 후실부를 구획하기 위해 피스톤(330)의 외주연과 실린더의 내주연 사이에는 오링(33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실린더(320)의 상부 즉, 자동차용 휠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에 보이는 면의 스포크(13)에는 이 피스톤(3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350)이 구비되며 이 표시창(350)에는 타이어(20)의 공기압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부(351)가 더 구비된다.
이때, 타이어(20)의 공기압이 증가되면 이와 연통되는 피스톤(330)의 전실부도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도시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피스톤(330)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피스톤(330)의 작동에 따라 이 피스톤(330)을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340)의 탄성이 증가되면서 이 피스톤(330)의 후실부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공기압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압력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압력 값은 제2스프링(340)과 공기압에 의해 이루어지는 실제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실제 압력을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력 표시부(351)에 표시되는 압력은 타이어의 사용압력에 따라 트럭 및 버스에 사용되는 고압타이어의 공기압은 4.2 ~ 6.3 kgf/㎠(60 ~ 90 psi)정도이며, 승용차 또는 소형트럭에 사용되는 저압타이어의 공기압은 2.1 ~ 2.5 kgf/㎠(30 ~ 36 psi)정도이므로 적용되는 타이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적절한 압력값과 단위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공기 압력계(300)를 구비함에 따라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별도 공기 압력계를 구비하지 않아도 타이어(20)에 주입되어야 하는 적절한 공기압을 주입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마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적절한 압축 공기를 주입토록 하여 타이어(20)의 공기압을 그 타이어가 요구하는 적절한 공기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에어 밸브는 허브에 내설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자동차 휠의 미려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고,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휠 밸런스를 조절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휠의 세척이 수월하다. 또한, 스포크에 설치되는 공기 압력계에 의해서 타이어에 주입되는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어어의 공기압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 : 휠 11 : 허브
12 : 림 13 : 스포크
100 : 에어 밸브 101 : 하우징
110 : 공기 주입홀 111 : 내측 나사부
112 : 외측 나사부 113 : 요홈
120 : 격벽 121 : 통공
122 : 격실 130 : 차단 밸브
131 ; 로드 140 : 제1스프링
150 : 연통홀 170 : 캡
200 : 공기 유로관 300 : 공기 압력계
310 : 연결관 320 : 실린더
330 : 피스톤 331 : 오링
340 : 제2스프링 350 : 표시창
351 : 압력 표시부

Claims (6)

  1. 허브(11), 림(12) 및 스포크(13)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휠(10)에 있어서,
    상기 허브(11)에 내설되며 압축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압축공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에어 밸브(100) 및
    상기 스포크(1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밸브(100)에서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림(12)에 장착된 타이어(20)에 제공하도록 상기 에어 밸브(100)와 상기 타이어(20) 내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관(200)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밸브(100)는
    공기 주입홀(110)을 가지며, 그 상면에 요홈(113)이 구비되고, 상기 허브(11)에 나사 체결되는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을 구획하되 상기 공기 주입홀(110)과 격실(122)을 서로 연통하는 통공(121)을 구비하는 격벽(120);
    상기 격실(122)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121)을 개폐하며, 그 하부에 로드(131)를 구비하는 차단 밸브(130);
    상기 차단 밸브(130)를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140) 및
    상기 격실(122)과 상기 공기 유로관(200)을 연통하는 연통홀(1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주입홀(110)의 내주연에 내측 나사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나사부(111)에 나사 체결되는 캡(17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관(200)과 연통되는 연결관(310)과;
    상기 연결관(310)과 연통되며 상기 스포크(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20)와;
    상기 실린더(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330)과;
    상기 피스톤(330)을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340) 및;
    상기 피스톤(3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350)으로 구성되는 공기 압력계(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350)에는 상기 피스톤(3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압력표시부(3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03773A 2011-10-11 2011-10-11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KR10114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73A KR101140526B1 (ko) 2011-10-11 2011-10-11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PCT/KR2012/008276 WO2013055130A1 (ko) 2011-10-11 2012-10-11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773A KR101140526B1 (ko) 2011-10-11 2011-10-11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526B1 true KR101140526B1 (ko) 2012-05-02

Family

ID=4627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773A KR101140526B1 (ko) 2011-10-11 2011-10-11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0526B1 (ko)
WO (1) WO20130551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575B1 (ko) * 2015-03-02 2017-07-04 장근진 휠 밸브
KR20200065463A (ko) * 2018-11-30 2020-06-09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KR20200101882A (ko) * 2020-08-13 2020-08-28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901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압력계가 부착된 휘일
JP2005082056A (ja) * 2003-09-10 2005-03-3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KR200406408Y1 (ko) * 2005-10-31 2006-01-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 누설을 저감시키는 타이어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537A (ja) * 2003-11-20 2005-06-16 Honda Motor Co Ltd タイヤバルブホルダ及び車両用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901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압력계가 부착된 휘일
JP2005082056A (ja) * 2003-09-10 2005-03-3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KR200406408Y1 (ko) * 2005-10-31 2006-01-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 누설을 저감시키는 타이어 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575B1 (ko) * 2015-03-02 2017-07-04 장근진 휠 밸브
KR20200065463A (ko) * 2018-11-30 2020-06-09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KR102153933B1 (ko) 2018-11-30 2020-09-10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KR20200101882A (ko) * 2020-08-13 2020-08-28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KR102202872B1 (ko) 2020-08-13 2021-01-15 엠에이치기술개발 주식회사 휠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5130A1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8135B (zh) 车轮组件
CN103003074B (zh) 恒定压力气动平衡轮胎充气系统
US7686051B2 (en) Central tire inflation wheel assembly and valve
CN100431858C (zh) 用于自动轮胎充气系统中的旋转接头
US8435012B2 (en) Wheel-mounted air compressor and methods of use
US6394159B1 (en) Hub cap filter for tire inflation system
US10500905B2 (en) Vehicle wheel assembly
US20080308206A1 (en) Wheel unit
KR101140526B1 (ko) 에어 밸브가 구비된 자동차용 휠
CN103596780A (zh) 使用减压阀的系统和方法
CN108349337A (zh) 用于调节机动车辆的轮胎的压力的车载集中式系统
US20120305101A1 (en) Multi-port tire valve
JP2006501415A (ja) 空気流制御装置
JP2012149738A (ja) バルブアダプタおよびこのバルブアダプタを備えた自転車
US20210107322A1 (en) Tire pressure indicating device
US3422836A (en) Valve for dual chambered tires
CN104019261A (zh) 车辆胎压控制阀
KR101753575B1 (ko) 휠 밸브
KR101568790B1 (ko) 매니폴드 및 이를 이용하는 타이어 압력 조절장치
JP3173508U (ja) チューブレスタイヤ用エアバルブ
US20180170124A1 (en) Control valve assembly
US20220266639A1 (en) A pump
CN2666759Y (zh) 快速轮胎加气枪
KR101568778B1 (ko) 공기 경로 형성장치, 이를 구비하는 차량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KR200209830Y1 (ko)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