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430B1 -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430B1
KR101140430B1 KR1020100085673A KR20100085673A KR101140430B1 KR 101140430 B1 KR101140430 B1 KR 101140430B1 KR 1020100085673 A KR1020100085673 A KR 1020100085673A KR 20100085673 A KR20100085673 A KR 20100085673A KR 101140430 B1 KR101140430 B1 KR 10114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game
broadcast program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262A (ko
Inventor
양진홍
박효진
송석현
임영미
오현택
정용민
최준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8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4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부;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게임 관련 컨텐츠 중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NTERTAINMENT PROGRAMS SERVICE USING TELEVISION INPU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대화형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는 VOD(Video On Demand), T-커머스, 오락, 뱅킹, 정보, TV 포털 및 다채널방송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TV 단말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TV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IPTV 서비스는 기존에 PC 기반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기능과 다채널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기능이 통합된 서비스 개념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VOD, EPG(Electronic Program Guide), T-커머스, 방송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양방향 컨텐츠를 제공하는 통신과 방송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융합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TV가 양방향성으로 진화하면서 대화형(interactive)의 기술적 환경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화형의 컨텐츠나 서비스가 실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화형의 서비스는 물론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한 오락성(entertainment)을 가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송을 시청하면서 티브이 단말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오락성을 가진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체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율동을 유도하는 게임을 제공하거나, 음악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DDR, 음악 연주 등 리듬 액션 게임을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티브이의 경우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로 인터넷 기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방송국으로부터 직접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티브이로부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정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부;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게임 관련 컨텐츠 중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국에서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컨텐츠 종류 및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부; 및, 게임 관련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의 채널인 인터넷 통신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을 통해 티브이 단말과 통신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게임 관련 컨텐츠는 티브이 단말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실행될 수 있으며, 리듬 또는 율동에 맞춰 인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게임인 리듬 액션 게임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게임 관련 컨텐츠는 방송 프로그램이 음악 관련 방송 또는 율동 관련 방송인 경우, 음악 관련 방송에 포함된 음악 정보 또는 율동 관련 방송에 포함된 율동 정보에 따라 노트(note)와 관련된 기호의 패턴과 순서를 만들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티브이 단말로 사용자와 대응되는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게임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대화형 서비스는 물론 오락성(entertainment)을 가진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 할 수 있다.
티브이 단말에 연결 가능한 DDR 패드, 리모컨, 키보드, 카메라 등의 입력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로 인터넷 기반 통신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방송과 연계된 형태의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체조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율동을 유도하는 게임을 제공하거나, 음악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DDR, 음악 연주 등 리듬 액션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방송 시청 중 또 다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과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에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의 세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과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실행하는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DDR과 같은 리듬 액션 게임을 실행하는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악을 직접 연주하도록 하는 리듬 액션 게임을 실행하는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에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의 세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과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과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티브이 단말(120)과 연계되어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을 도시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은 방송국(140)으로부터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 및 서비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예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은 티브이 단말(120)로부터 티브이 단말(120)에 수신되는 방송의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 및 서비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티브이 단말(120)에 연결된 주변 장치 중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장치(130)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장치(130)는 리모컨, 키보드, 카메라, DDR(dance dance revolution) 패드 등 게임을 실행 및 조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게임 관련 컨텐츠는 리듬, 율동 등에 맞춰 인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게임 형태인 리듬 액션 게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은 음악 프로그램, 체조 프로그램 등 오락 방송에 맞는 리듬 액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은 인터넷 기반으로 한 리턴 채널을 활용하여 티브이 단말(12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110)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로 인터넷 기반의 통신 채널을 통해 티브이 단말(1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티브이 단말(120)은 LAN 포트 등을 구비하여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티브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에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을 도시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210), 컨텐츠 생성부(2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 컨텐츠 선정부(240), 단말 수신부(250), 컨텐츠 전송부(260), 결과 수신부(27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80), 결과 제공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소비될 수 있는 DDR, 리듬 연주 게임 등 게임 관련 컨텐츠를 유지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와의 싱크를 맞춘다. 또한, 방송 수신부(210)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장르,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방송인 경우 방송되는 음악의 곡목 등의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선정부(24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에 구축된 컨텐츠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한다. 컨텐츠 선정부(240)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중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20)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관련 방송 또는 율동 관련 방송(예를 들어, 체조 프로그램 등)인 경우 프로그램 정보에서 음악 정보 또는 율동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음악이나 율동의 템포나 분위기 등을 분석해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DDR 게임으로 가정하면 게임 관련 컨텐츠는 노트 또는 노트와 관련된 각종 기호의 패턴과 순서를 음악의 리듬에 따라 생성한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는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하여 소비할 수 있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생성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수신부(250)는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 후, 로그인 한 사용자를 확인하고 티브이 단말을 인증한다. 이때, 티브이 단말에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 중에 있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하여 소비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브이 단말에 DDR 패드가 연결된 경우 컨텐츠 타입으로 DDR 게임을 선택하거나, 리듬 연주 게임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리모컨, 키보드 등이 연결된 경우 컨텐츠 타입으로 리듬 연주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와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함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이 특정 채널에 대한 오버레이 컨텐츠만 제공하는 경우 티브이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략하고 컨텐츠 종류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수신부(250)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260)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선정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로 전송한다. 컨텐츠 선정부(240)는 방송의 진행에 따라 방송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선정하고 컨텐츠 전송부(260)는 선정된 컨텐츠를 방송의 진행에 따라 동기화 된 상태로 티브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게임 관련 컨텐츠를 동기하여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할 수 있다. 즉,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위에 DDR 게임, 리듬 연주 게임 등을 띄워 실행한다. 사용자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실행 및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게임 관련 컨텐츠의 플레이 결과인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결과 수신부(270)는 티브이 단말로부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한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80)는 티브이 단말의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80)는 게임 관련 컨텐츠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사용자 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결과 제공부(29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티브이 단말로 제공한다. 결과 제공부(290)는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기존의 플레이 결과를 제공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부가 메뉴를 통해 자신이 소비한 컨텐츠의 이력을 요청할 경우 티브이 단말로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피드백 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제공부(290)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소비한 모든 사용자의 플레이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자 간 점수 비교, 순위 공개 등을 서비스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한 후, 선정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티브이 단말로 서비스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의 세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과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을 도시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수신부(310), 방송 수신부(320), 컨텐츠 선정부(330), 목록 제공부(340), 컨텐츠 전송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소비될 수 있는 DDR, 리듬 연주 게임 등 게임 관련 컨텐츠를 유지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과 마찬가지로 게임 관련 컨텐츠의 플레이 결과를 사용자에게 피드백 할 수 있도록 결과 수신부(27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80), 결과 제공부(290)과 대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수신부(310)는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 후, 로그인 한 사용자를 확인하고 티브이 단말을 인증한다. 이때, 티브이 단말에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 중에 있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하여 소비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의 종류(예를 들어, DDR 게임, 리듬 연주 게임 등)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즉,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 수신부(310)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부(320)는 방송국에서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즉,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방송의 프로그램 정보를 티브이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장르,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방송인 경우 방송되는 음악의 곡목 등의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선정부(33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구축된 컨텐츠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한다. 컨텐츠 선정부(330)는 티브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중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과 맞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도 2를 통해 설명한 컨텐츠 생성부(2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30)와 대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목록 제공부(340)는 선정된 게임 관련 컨텐츠의 목록을 티브이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컨텐츠 전송부(350)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선정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게임 관련 컨텐츠를 동기하여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할 수 있다. 즉, 티브이 단말은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위에 DDR 게임, 리듬 연주 게임 등을 띄워 실행한다. 사용자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실행 및 조작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여 해당 방송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고, 선정된 게임 관련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로 서비스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을 수신해서 내부에 존재하는 컨텐츠 중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되는 세부 컨텐츠를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세부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의 경우 방송에서 그룹 2PM의 노래가 방송되면 플레이 되는 DDR 게임의 노트가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선정되므로 방송에 오버레이 되는 컨텐츠가 2PM 노래에 대한 패턴과 순서를 가진다. 한편, 도 3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컨텐츠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것으로, 음악 방송에 출연하는 모든 노래에 대한 DDR 게임이 선정되고 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과 순서를 가진 DDR 게임이 제공된다. 따라서, 방송에서 그룹 2PM의 노래가 방송되더라도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에 따라 그룹 2AM의 노래에 대한 패턴과 순서로 DDR 게임이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410) 상에 컨텐츠 종류를 선택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연결된 입력장치를 검색하여 컨텐츠 종류를 선택받는 메뉴화면(4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DR 패드, 리모컨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DDR 패드로 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종류, 리모컨으로 플레이 가능한 컨텐츠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메뉴화면(4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컨텐츠 종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난이도를 선택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DDR 게임에 대한 난이도(예를 들어, 초급, 중급, 고급)를 구분하고 DDR 노트의 패턴과 순서를 난이도 별로 만들어 해당 컨텐츠를 구축할 수 있으며, DDR 게임을 선택한 사용자로부터 난이도에 대한 선택을 추가 입력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사용자가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고려하여 컨텐츠 종류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DDR 플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510) 상에 DDR 게임 화면(520)이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되어 DDR 게임 화면(520)에 방송에 맞는 DDR 노트가 발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리듬 연주 플레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610) 상에 리듬 연주 게임 화면(620)이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되어 리듬 연주 게임 화면(620)에 방송에 맞는 리듬 연주 노트가 발생된다. 그리고, 체조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상에 '체조 따라하기'의 버튼이 생성되고, 생성된 버튼을 통해 해당 컨텐츠가 실행되어 사용자의 체조 동작에 따라 효과(음향 효과, 영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에서 제공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통해 실행 및 조작하여 플레이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티브이 단말에 별도의 입력 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리모컨을 이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게임 화면 상에 리모컨의 숫자나 방향 버튼을 이용한 게임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티브이 단말에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티브이 단말에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플레이 장면을 녹화하여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300)은 사용자와 관련된 웹 페이지(예를 들어, 블로그, 카페 등의 게시판)에 사용자의 플레이 장면을 자동 기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사용자의 플레이 장면을 수집하여 베스트 퍼포먼스의 사용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용자의 플레이 장면을 방송이 끝나는 시점에 티브이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품을 증정하는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방송국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여 방송에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와의 싱크를 맞춘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제목, 장르, 채널 정보 등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담은 프로그램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미리 구축된 컨텐츠에서 방송 프로그램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한다. 다시 말해,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중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악 관련 방송 또는 율동 관련 방송(예를 들어, 체조 프로그램 등)인 경우 프로그램 정보에서 음악 정보 또는 율동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음악이나 율동의 템포나 분위기 등을 분석해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티브이 단말로부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기에 앞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티브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한 후, 로그인 한 사용자를 확인하고 티브이 단말을 인증한다. 그리고, 티브이 단말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 중에 있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하여 소비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선정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로 전송한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방송의 진행에 따라 방송에 적합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컨텐츠를 동기화 된 상태로 티브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게임 관련 컨텐츠를 동기하여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실행 및 조작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게임 관련 컨텐츠의 플레이 결과인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76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티브이 단말의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그리고 게임 관련 컨텐츠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사용자 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77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티브이 단말로 제공한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기존의 플레이 결과를 제공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부가 메뉴를 통해 자신이 소비한 컨텐츠의 이력을 요청할 경우 티브이 단말로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피드백 할 수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200)은 게임 관련 컨텐츠를 소비한 모든 사용자의 플레이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자 간 점수 비교, 순위 공개 등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의 세부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방송과 연계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티브이 단말에는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되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입력장치가 연결된다.
단계(81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티브이 단말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티브이 단말로부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방송국에서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즉,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방송의 프로그램 정보를 티브이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미리 구축된 컨텐츠 중 티브이 단말에서 수신된 컨텐츠 종류 및 프로그램 정보에 맞는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한다.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중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과 맞는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선정된 게임 관련 컨텐츠의 목록을 티브이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단계(84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관련 컨텐츠의 ID를 수신한다.
단계(85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컨텐츠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맞게 선정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티브이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게임 관련 컨텐츠를 동기하여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게임 관련 컨텐츠를 실행 및 조작할 수 있다.
단계(86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로부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티브이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게임 관련 컨텐츠의 플레이 결과인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87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티브이 단말의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그리고 게임 관련 컨텐츠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사용자 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880)에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티브이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300)은 게임 관련 컨텐츠를 소비한 모든 사용자의 플레이 결과를 수집하여 사용자 간 점수 비교, 순위 공개 등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게임 관련 컨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게임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대화형 서비스는 물론 오락성을 가진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 할 수 있다. 또한, 티브이 단말에 연결 가능한 DDR 패드, 리모컨, 키보드, 카메라 등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시청 중인 방송과 관련된 컨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로 인터넷 기반 통신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방송과 연계된 형태의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방송 수신부
220: 컨텐츠 생성부
23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40: 컨텐츠 선정부
250: 단말 수신부
260: 컨텐츠 전송부

Claims (15)

  1.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부;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상기 티브이 단말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채널과 별도의 채널인 인터넷 통신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티브이 단말과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한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리듬 또는 율동에 맞춰 인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게임인 리듬 액션 게임의 형태로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음악 관련 방송 또는 율동 관련 방송인 경우,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음악 관련 방송에 포함된 음악 정보 또는 상기 율동 관련 방송에 포함된 율동 정보에 따라 노트(note)와 관련된 기호의 패턴과 순서를 만들어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브이 단말로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7.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부;
    상기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국에서 상기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컨텐츠 종류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부;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상기 티브이 단말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 통신을 기반으로 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티브이 단말과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의 목록을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제공하는 목록 제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하는 결과 수신부;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브이 단말로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11.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단계;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단계;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상기 티브이 단말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단계;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리듬 또는 율동에 맞춰 인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게임인 리듬 액션 게임의 형태로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은,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실행 결과 및 실행 내역을 수신하는 결과 수신단계;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저장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티브이 단말로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상기 실행 결과 및 상기 실행 내역을 제공하는 결과 제공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14.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단계;
    상기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국에서 상기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 종류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단계; 및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상기 티브이 단말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15.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의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티브이 단말과 연계되어 상기 티브이 단말에 연결된 입력장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종류를 수신하는 단말 수신단계;
    상기 티브이 단말로부터 방송국에서 상기 티브이 단말로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 종류 및 상기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게임 관련 컨텐츠를 선정하는 컨텐츠 선정단계;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의 목록을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제공하는 목록 제공단계; 및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관련 컨텐츠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상기 티브이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관련 컨텐츠는,
    상기 티브이 단말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동기되어 오버레이 형태로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방법.
KR1020100085673A 2010-09-01 2010-09-01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73A KR101140430B1 (ko) 2010-09-01 2010-09-01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73A KR101140430B1 (ko) 2010-09-01 2010-09-01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62A KR20120022262A (ko) 2012-03-12
KR101140430B1 true KR101140430B1 (ko) 2012-04-30

Family

ID=4613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73A KR101140430B1 (ko) 2010-09-01 2010-09-01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145B2 (en) 2017-02-14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dvertisement ser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022A (ko) * 2001-01-19 2002-07-25 백은옥 쌍방향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및그 방송시스템
KR20050014945A (ko) * 2003-08-01 2005-02-21 (주)바이웍스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데이터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80024832A (ko) * 2006-09-15 2008-03-19 주식회사 베스트투데이 디지털방송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를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022A (ko) * 2001-01-19 2002-07-25 백은옥 쌍방향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및그 방송시스템
KR20050014945A (ko) * 2003-08-01 2005-02-21 (주)바이웍스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데이터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080024832A (ko) * 2006-09-15 2008-03-19 주식회사 베스트투데이 디지털방송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를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145B2 (en) 2017-02-14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dvertisement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62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interactive content during a broadcast event
US90947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listings based on real-time data
US101056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streaming music video game
US20160234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stant storyline feed for live sporting event
US20100208082A1 (en) Medi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ed multiple streaming camera signals of an event
US20100319043A1 (en) Interactive television architecture
US20120233646A1 (en) Synchronous multi-platform content consumption
CN111510736A (zh) 一种云游戏互动直播系统及互动直播方法
WO2010100832A1 (ja) 視聴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参加型番組共有システム
KR20130025167A (ko) 게임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게임 스트리밍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KR20110116782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타 유저 게임 플레이 화면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52937A (ja) 以前に視聴されたコンテンツの視聴ステータスを更新するための進捗バー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090557B2 (ja) 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方法
JP2007036523A (ja) テレビ番組同期連携システム
US10537797B2 (en) Simulated video game channel
KR101140430B1 (ko) 티브이 입력장치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08092A1 (en) Interactive broadcast channel
KR20130103931A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CA2695436C (en) Video broadcasts with interactive viewer content
JP4869456B1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
CN102291619A (zh) 音频、视频调用方法
KR20130057175A (ko) 가상 방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2073925A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rnet-based events
CN102316075A (zh) 音频、视频调用系统
KR101298571B1 (ko)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