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78B1 -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78B1
KR101140378B1 KR1020080071617A KR20080071617A KR101140378B1 KR 101140378 B1 KR101140378 B1 KR 101140378B1 KR 1020080071617 A KR1020080071617 A KR 1020080071617A KR 20080071617 A KR20080071617 A KR 20080071617A KR 101140378 B1 KR101140378 B1 KR 10114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base plate
shear stres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8641A (en
Inventor
유홍남
허갑수
이충렬
석원균
장동진
엄기형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극동건설주식회사
이원호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성구조 기술사그룹
(주)대우건설
디엠이엔씨(주)
한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건설주식회사, 이원호,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보성구조 기술사그룹, (주)대우건설, 디엠이엔씨(주), 한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건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6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r supporting an upper end of a column under load such that a building or steel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or an apartment, a steel structure, or a bridge having a large load is supported on the ground floor. Specifically, instead of forming a deep foundation and thick bottom concrete layer to form a foundation structure, or instead of forming thick slabs and beams supported between the top of the slab and the column, the volume is simple and si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that can support a high loa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labs or beams.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arrangement between re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foundation floor layer or slab beam evenly, and has an effect of having a strong strength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 a small volum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to reduce the trench area, depth, or to support the high load while forming a thin beam thickness, easy constructio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Not only is this reduction, there is an effect to enable easy construction even in a narrow place.

Description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Reinforcement}Composite structure for batch strength reinforcement between rebars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나 철골 구조물, 타워크레인 하부, 교량과 같이 큰 하중을 갖는 물체를 지층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지지하거나, 하중을 받는 기둥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으로 깊이 굴토하고 바닥 콘트리트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기초 구조를 형성하거나, 슬라브와 기둥의 상단 사이에서 지지되는 슬라브, 보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 대신에, 부피가 작고, 간단하여, 굴토 깊이를 작게 하거나 또는 슬라브,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a lower portion or a structure supporting a top of a column, such as a building, an apartment building or steel structure, a tower crane bottom, a bridge with a large load such as a bridge to be supported by the ground floor More specifically, instead of forming a foundation structure by deeply digging deep into the bottom and thickening the bottom concrete layer, or instead of forming thick slabs and beams supported between the top of the slab and the colum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between batches of reinforcing bars that can support high loads while reducing the depth of pit or thinning slabs and beams.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등의 자중에 의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시공시 건물의 하부에는 건물 하중이 지반에 골고루 전달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기초 구조가 시공되는데, 종래의 기초 구조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주로 사용하였다.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기초 구조 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기초 구조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 기초 구조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the ground from sinking due to the weight of the building, bridges, etc.,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so that the building load is evenly transmitt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The concrete structure was mainly used. As the building heightened and the size increased, the load applied to the foundation structure per unit area also increased. For the foundation structure used, the strength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따라서 기초 구조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굴토 깊이, 즉 터파기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는 기초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반의 터파기 작업과 기초 구조 설치 공정이 복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터파기를 위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특히 건물 하부에 암반형 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터파기를 깊게 하는데 더욱 더 긴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s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foundation structure increases, the depth of burrow to form the foundation structure, that is, the depth of the trench is deepened. This caused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excessive cost of construction for the excav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ground excavation work and the foundation structure installation process to form the foundation structure. In particular, if there is a rock-type gr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er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to deepen the trench.

또한 터파기를 깊게 하는 경우 굴토된 지하층 벽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여야 하므로, 인접 건물에 피해를 주게 되거나 밀집장소에서의 공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측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굴토하게 되면 그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f the trench is deepene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llapsed basement wall from collapsing and to incline the slope to widen the upper side in order to secure a working space, thereby causing damage to adjacent buildings or making construction difficult in crowded places. have. In addition, if the upper side is inclined to be inclined to be wider, the space to be poured is increased,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wastes concrete.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그 저면에 보를 형성하고, 저층 바닥과 보 사이에 기둥 및 내력벽을 설치하게 되는데, 철근콘크리트조의 보 하단과 기둥 또는 내력벽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자중이 집중되게 되는데, 건물이 점점 높아지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단위면적당 보에 인가되는 하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보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로 제작된 보의 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력을 증가시켰다.In general, a beam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lab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slab of the building, and a column and a bearing wall ar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loor and the beam. The weight of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at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or bearing wall is connected. As the buildings are getting higher and larger, the load applied to the beams per unit area is also increasing. For the beams being used, the strength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beam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따라서 보의 크기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이를 형성하기 위한 설치 공정이 복 잡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와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s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beam increases, the installation process for forming it becomes complica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required.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1B, and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hear loads of general foundation floors, columns, beams, and the like.

도 1a, 1b,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또는 슬라브, 보의 단면에 집중되는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수직의 기둥(A)과 수평의 기초 바닥(B) 사이에는 45도 정도의 비스듬한 방향(C)으로 전단력이 형성되어 가해진다. 기초 바닥(B) 내에 이러한 전단력을 지지할만한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력에 의해 건축 구조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 이는 앙카(a)를 사용하여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의 도 1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앙카(a)는 건물을 하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전단력이 방향이 C'와 같이 하방을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거나 앙카(a) 부분만 구멍이 뚫리는 펀칭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건물의 자중과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둥과 보를 나타내는 도 1c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1A, 1B and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hear load concentrated on a cross section of a general foundation floor or slab, beam. Referring to FIG. 1A, a shear force is formed and applied in an oblique direction C of about 45 degrees between a vertical column A and a horizontal base bottom B. FIG. If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support such shear force in the foundation floor B, the shear force causes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building structure. This also applies to FIG. 1B of the method of using anchors (a) to prevent injuries of buildings. However, since the anchor (a) serves to pull the building downward, the shearing force may appear in a direction that opens downward, such as the direction C 'or a punching phenomenon may occur where only the anchor (a) is drilled. The same applies to FIG. 1C, which shows columns and beams for securing the weight and structural strength of a building.

도 1d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의 (a)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바닥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기초 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 및 그 하측으로 깊은 깊이(H)의 터파기는 물론, 그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부 철근(I)들과 연결되는 많은 양과 복잡한 구조의 보조철근(I')을 설치하여 기초 바닥 내에 다중의 철근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 방식은 여러 층 복잡하게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자체의 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초 바닥의 두께(H)도 두꺼워져야 해서 콘크리트의 소모량이 상당히 늘어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철근의 선 방식으로 전단력을 해결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지지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Figure 1d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general foundation floor, slabs, beams. Referring to (a) of FIG. 1D, in a concrete structure for forming a floor layer of a building,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I) disposed in parallel in a floor concrete layer to install a foundation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distributing loads (I) And deep trenches (H) deep below them, as well as disposed inside, and install a large amount and complex structure of secondary reinforcement (I ')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I) in the foundation floor. To form a multiple reinforcing structure, this reinforcing method has to be provided with several layers of complexity,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in the installation process itself. In addition, the thickness (H) of the foundation floor must also be thick, so that the consumption of concrete considerably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 shear force must be solve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of steel, so it has a relatively low load bearing capacity.

도 1d의 (b)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하중을 지지, 분산시키기 위한 슬라브, 보 및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철근(I)가 배치되는 보의 두께(H')를 두껍게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했다. Referring to (b) of FIG. 1D, in a concrete structure for forming a slab of a building,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parallel to install slabs, beams, and columns for supporting and distributing loads (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d to be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H 'of the beam where I) was placed.

이에 본 발명은 도 2의 (a)와 같이, 바닥콘크리트층 하측으로 터파기 깊이를 줄이거나, 터파기 과정 없이, 바닥콘크리층 내부에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상기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과 Thus,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 to reduce the depth of the trench to the bottom of the bottom concrete layer, or without the process of destruction,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R) in the bottom concrete layer inside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 I) between

도 2의 (b)와 같이, 슬라브의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보의 내부에 단순한 형태의 구조체(R)를 상기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shown in (b) of FIG. 2, the thickness h 'of the slab is relatively thin, and a simple structure R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I inside the be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nthetic structure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도 2의 (a)를 참조하면, 건물, 교량의 기둥 기초, 타워크레인의 하부 기초 및 내력벽의 기초 등과 같이 지반에 기초를 형성할 때, 전체 하중이 기둥의 하방으로 가중되고, 바닥 슬라브에는 지반 반력이 상방으로 작용되어, 기둥 기초에 발생하는 전단파괴를 방지하도록 구조체(R)를 설치하고, 도 2의 (b)를 참조하면,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 및 지하층 슬라브를 시공할 때, 슬라브 또는 보에 구조체(R)를 내설하여, 슬라브 또는 보의 두께(h')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면서도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 분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a)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 foundation on the ground such as a foundation of a building, a pillar of a bridge, a lower foundation of a tower crane, and a foundation of a bearing wall, the total load is weighted downward of the pillar. , The ground slab acts upward to the floor slab, and installs the structure (R) to prevent shear failure occurring at the base of the column, and referring to Figure 2 (b), constructs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nd basement slabs In this ca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R is embedded in the slab or the beam so that the thickness h 'of the slab or the beam can be relatively thin, while supporting and distributing the applied lo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파기를 깊고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하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기초 구조 및 슬라브, 보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thout deepening the trench, without forming a thick thickness of the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slabs, beams to support and distribute high down load more eff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placement typ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beam to support and distribute the load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콘크리트층 내에 내입되어 합성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 between the reinforcing bar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by inserting into the concrete layer in a modular form.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ructure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shear stress is applied in a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a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shear stress is applied, wherein the base plate structure i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In the state located between the reinforcement, the concre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hardening.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to cross or join each other.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 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to form a mutual angle.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include the form of + or 井 or □ ruler.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include any one of radial, rhombus, circular or polygonal form.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late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is fixedly coupl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 및/또는 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ny one or more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is combined in a state located at the top and / or the bottom of the other one or mor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ross structure.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에는, 다수의 돌출결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Each plate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a plurality of protruding coup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more firmly supported in the concrete layer.

상기 돌출결합부재는: 상기 판재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스터드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coup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deformed reinforcement or stud bolt is protruded to the outside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has a support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the lower end.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the plate.

상기 지지부는: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 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o couple the separate plate-shaped member to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plate, or to combine the separate plate-shaped member to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plate with a coupler.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the cross-section is formed to include any one of the form of "│", "-", "┐", "┬", "c", "□",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lt or welding do.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보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nd an outer reinforcement frame integrally coupled to an outer end of each of the plate members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to surround the base plate structure.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과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Plates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and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coupling by bolt or welding.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inlet hole penetrating laterally in the plate member of the base plate structure is formed, and the base plate structure is embedded so that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when concrete is hardened, so that the base pla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are fixed. It is characterized by one thing.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se plate structure is embedded to allow concrete to flow into the inlet hole when concrete is hardened, so that the concrete smoothly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structure. It is done.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의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 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te member of the base plate structure, the other side except the one side is cut in a predetermined form, the opening portion protrudes on the surface of the plate by folding around the one side; formed at least one, the base plate structure is When the concrete is buried, the opening is embedded between the concret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la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is made to be fixe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n opening part is formed in a part of the support part.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ll or a portion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coupling groove; is formed, the coupl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of the other plate material or the plate overlapping up and down.

상기 판재의 개방부가 형성된 위치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plate is formed.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entire height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plate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not formed in the other plate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lat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s disposed spaced apart.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lat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 members spaced apart, the conn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between the plate member.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coupled to the plat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late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bolts, nuts, washers, screws, pins.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wo or more connecting portion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grooves.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groove.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urther provided in a bent shape is formed.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urther provided in a bent shape is formed.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기초 바닥층 또는 슬라브 보에 인가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인장력이나 압축력에도 강한 내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arrangement between re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foundation floor layer or slab beam evenly, and has an effect of having a strong strength against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부피를 작게 시공할 수 있어 터파기 면적, 깊이를 감소시키거나, 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도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시 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 a small volum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to reduce the trench area, depth, or to support the high load while forming a thin beam thickness, easy construction, short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Not only is this reduction, there is an effect to enable easy construction even in a narrow pla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돌출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to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arrangeme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protruding coupling member in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는 건물의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2 이상의 판재(100)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의 상부 및 하부에 2열로 배치되는 기존의 상,하부 철근(I) 사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배치되는 상태로 이루어진다.The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disposed between reinforcing ba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structure 10 in which two or more plates 100 are arranged in a floor concrete layer or slab beam of a building, and an upper portion in the floor concrete layer or slab beam. And plate 100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I existing in two rows.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교차 또는 접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된다.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are arranged upright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each other in a cross or bonded stat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 나에 결합홈(140)이 절개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를 상기 결합홈(140)에 끼워넣어, 각각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교차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3, the coupling groove 140 is formed to be cut in any one of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nd the other plate member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40. Embedded in each other, the cross-coupled states are formed so as to form a " + "

그리고,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각각에 상기 결합홈(140)이 형성되어, 퍼즐과 같이 상기 결합홈(140)이 상호 맞물리게 끼워넣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s 140 are formed in each of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nd the coupling grooves 14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such as a puzzle. have.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횡 방향으로 직립으로 다수가 병렬배치되고, 종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다수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late material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may be a plurality of parallel arrangements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100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y cross or bond with each other. Do.

이때, 상기 결합홈(140)은 상기 판재(100) 두께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호 끼워진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140 is preferably formed in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100,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in the fitted state.

상기 판재(100)들이 결합홈(140)에 맞물려 상,하방으로 끼워짐으로써,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10)가 배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하방으로 밀리는 것을 상호 지지하여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late 10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140 to be inserted up and down, so that the base plate structure 10 is disposed in the floor concrete layer or slab beam, an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t is pushed upwards and downward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utual support.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에 수직으로 판재(100)들이 사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판재(100)는 판 형태이므로, 전단력에 대해 선 형태의 철근들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Plate 100 is provided in al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portion of the shear force. In this case, since the plate 100 is in the form of a plate, it is possible to strongly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the linear form with respect to the shear force.

전단력이 미치는 부분을 수직으로 세워진 판재(100)가 지지하게 됨에 따라, 전단력을 선이 아닌 면으로 흡수하여 지지하므로, 콘크리트의 두께가 많이 줄어들게 된다.As the plate 100, which is vertically erected by the shear force, is supported, the shear force is absorbed and supported by the surface rather than the line,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much.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는 십자로 배치되거나, (b)와 같이 샵(# 내지는 우물 정(井)) 형태로 배치되거나, (c)와 같이 그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as shown in (a) the plate 100 is arranged crosswise, (b) as shown in the shop (# or well well) form, or (c) to be arranged in a net form Can be.

이러한 판재(100)간의 결합, 접합은 용접에 의하거나, 별도의 결합구(미도시)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어느 한 판재(100)의 측방에 다른 판재(100)를 용접 결합하거나, 각각의 판재(100)들을 상호 단부에서 용접 결합하거나, 어느 한 판재(100)의 양 측방에 다른 판재(100)들을 용접 결합할 수 있다.Coupling and bonding between such plate 100 may be possible by welding, or by using a separate coupler (not shown), or welding the other plate 100 to the side of one plate 100 or Each of the plate members 10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at end portions thereof, or the other plate members 100 may be welded to both sides of one plate member 100.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는 스터드 볼트와 같은 스터드볼트(106)가 다수 구비된다.5 and 6,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includes a plurality of stud bolts 106 such as stud bolts.

상기 스터드볼트(106)를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표면상에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판재(10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스터드볼트(106)를 그 안으로 끼워넣은 후 반대 측으로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tud bolt 106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by welding, or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late 100 and the stud bolt 106 is inserted thereinto and then reversed. It is possible to fix with a nut to the side.

그리고, 상기 스터드볼트(106)는 필요에 따라 상기 판재(100)에 끼워넣어 너트로 고정시킨고 용접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와 함께 경화될 때, 스터드볼트(106)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n, the stud bolt 106 is inserted into the plate 100, if necessary, fixed with a nut and weld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hardened together with the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the batch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stud bolt ( 106) has the effect of being more firmly integrated and can be fixed.

또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에 다수 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 이형철근(104)을 관통되게 각각 끼워넣고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켜, 상기 스터드볼트(106)와 동일한 역활을 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in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each of the bar-shaped deformed reinforcement 10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serted through and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method And, the same role as the stud bolt 106 can be mad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나태내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for showing the various coupling forms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ross or bond with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upright in various forms.

이러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방사형,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직립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Plate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may be arranged upright to form any one of a radial, circular, cross-shaped, rhombus, circular or polygonal.

(a)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에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각각 상호 간에 교차되게 끼워넣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In (a), the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nd each of the plate members is inserted into and intersected with each other.

(b)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들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In (b),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are combined to form a lattice form.

(c)에서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간에 "+"자 형태를 이루도록 직립으로 형성되고, 다른 판재(100)들은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게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In (c),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re formed in an upright form to form a "+" shape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plate materials 100 are formed to form a "ㅁ" shape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form is shown to be arranged.

(d)에서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다수개의 판재(100)들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다른 판재(100)들은 "ㅁ"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호 접합되게 배치되된 형태를 나타낸다.In (d),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are combined to form a lattice shape, and the other plate members 100 are formed to form a "ㅁ" shape and are arrang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Indicates.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철판과 같이 금속제 판넬을 사용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는 구조를 이루어, 측방, 상, 하방 등 다양한 방향의 여러 하중을 복합적으로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uses a metal panel like an iron plate, and forms a structure that crosses or joins each other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and has various loads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side, top, and bottom. It is possible to fully support the composite.

도 8, 9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pl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은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일측으로 꺾이거나, 양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수평한 지지부(11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may be horizontally supported at a top or bottom of each of the plate members 100 in one side or horizontally in a shape bent in both sides.

이때, 상기 판재(100)의 상단 및 양단에 지지부(110)가 형성되어, 판재(100)의 단면이 "l", "⊥", "I", "ㄴ", "ㄷ"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110 is formed on the top and both ends of the plate 100, the cross section of the plate 100 is any one of the shape "l", "⊥", "I", "b", "c" It is formed in the form of.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단면이 "l" 구조로 형성되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는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지지부(1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op or bottom portions of each of the plate members 100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having a cross section “l” structure may have cross sections “│”, “─”, and “┐”. , "┬", "c", "□" having a support 11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 각각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더 높은 지지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 11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each of the plate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by bolting or welding. Accordingly,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can have a higher support strength.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and 11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shapes of a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부(110)는 판재(100)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절곡하거나, 각 단부에 용접 또는 결합시켜 형성하는데 제조상 절곡을 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다.The support 110 is most easily bent in manufacturing to be formed by bending the top or bottom of the plate 100, or by welding or bonding to each end.

도 10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판재(100)의 측방으로 유입공(120)을 형성하거나, 지지부(110)에 유입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공(120)을 통해 원활한 콘크리트의 유입을 도모함은 물론,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서로 견고하게 얼기설기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하단 지지부(110)의 경우 유입공(120)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되기 힘든 지지부(110)의 하방으로 콘크리트가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0, as shown in (a), the inflow hole 120 may be formed in the side of the plate 100, or the inflow hole 120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110. This facilitates the smooth inflow of concrete through the inlet hole 120 during the concrete pouring, as well as having the effect of being firmly fixed to each other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lower support part 110, the concrete penetrates well in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0 through which the concrete is hard to flow through the inlet hole 120.

(b)와 같이, 상기 판재(100)의 측방 및/또는 지지부(110)에 열림부(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각각의 판재(100)에는 한 개 이상의 열림부(130)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림부(130)는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 소정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열림부(130)는 절개되는 소정 형태에서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만이 절개되고, 일측은 절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b),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and / or the support 110 of the plate 100. Each plate 100 may be formed by cutting one or more openings 130 in various shapes. Opening portion 130 is formed by cutting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urface of each plate 100,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130 is cut in the other form except one side in a predetermined form to be cut, so that one side is not cut Is formed.

상기 열림부(130)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면을 밀어내면, 상기 열림부(130)에서 절개되지 않은 일측이 접히면서, 상기 열림부(130)가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The opening portion 130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except the one side is cut out, when pushing out the cut inner side, the one side that is not cut in the opening portion 130 is folded, the opening portion 130 is the plate ( On the surface of 100).

그에 따라,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또는 슬라브 보 내에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될 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상기 열림부(130)의 펼쳐진 부분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이사이에 매입되고, 상기 열림부(130)가 펼쳐질때 관통형성되는 유입공(120)으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되어, 스터드볼트 등의 별도의 추가 돌출 부재 및 추가 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100)들과 콘크리트가 단단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base plate structure is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layer or slab beam, when the concrete is filled out of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the expanded portion of the opening 130 is poured It is embedded between the concrete, the inlet hole 120 formed when the opening 130 is unfolded into the inlet 120 is cu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crete flows, without additional additional projecting members such as stud bolts and additional work, Simply have the effect that the plate material 100 and the concre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is tightly fixed tightly.

이때, 상기 열림부(130)는 "━", "ㄱ", "T", "∧", "ㄷ", "□", "▷",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양측부는 절개되지 않는 "

Figure 112008052894202-pat00001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된 내측을 양방으로 각각 밀어내어, 절개되지 않은 양측이 각각 접히면서,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재(100)의 표면상에서 "┼"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의 내측을 각각 밀어내어, 상기 판재(100)의 표면상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opening portion 130 is form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ny one of "━", "ㄱ", "T", "∧", "c", "□", "▷", "∩". It is possible to be. On the surface of each plate 100 both sides are not incised.
Figure 112008052894202-pat00001
In a state of being cut in the form, it is also possible to push the cut inside in both directions, so that both sides that are not cut are folded so as to unfol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100. Further, the plate 100 In a state of being cut in the form of "형태" on the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each so as to push out the inner side in the diagonal direction to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100.

도 11를 참조하면, 판재(100)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이형철근(104), 스터드볼트(106), 열림부(130) 등과 같은 돌출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와 판재(1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1, it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coupling member such as a rebar 104, a stud bolt 106, an opening 130, and the like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plate 100.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ncrete and the plate 100 to be more firmly fixed in the concrete layer.

도 12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판재(1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두 같은 방 향으로 결합홈(140)이 형성되거나(a), 양쪽 방향으로 골고루 결합홈(140)이 형성(b, c)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40)의 방향은 현장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1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2, as showing the various forms of the plate 100, the coupling grooves 140 are all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 or the coupling grooves 140 are formed evenly in both directions (b, c Can be done.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1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mbinations to suit the site.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갖는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board | plate material which has a support part of this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기본 판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지지부(110)는 (a)와 같이 상, 하단부에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b)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를 사용함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두께는 더욱 얇아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콘크리트층 내에 기본 판재(100)를 수직 배치하면, 철근(I)의 수도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두께도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ase plate 100 may include the support 11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110 may fa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same direction as in (a), or (b) and You can point them in different directions. By using the support 110,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layer can be made thinner. When the base plate 100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concrete layer,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I can be relatively reduced, and the thickness is also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thin.

도 14, 15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showing an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디귿 형으로 지지부(110)가 형성된 기본 판재(100)에 지지부(110)의 중간 중간이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12)를 형성한다. 이 개방부(112)에는 결합홈(14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4, an intermediate part of the support part 110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base plate 100 on which the support part 110 is formed in a dish type to form an opening part 112. The opening 112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40.

개방부(112)는 지지부(110)를 일부 따낸 형태이다. 상기 콘크리트층 내에 지지부(110)를 갖는 기본 판재(100)를 설치하는 것이 콘크리트나 철근의 소비를 줄이는데 가장 바람직하나, 문제는 기둥 부분에는 다수의 수직 방향 철근(E)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지부(110)와 철근(E)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112)를 형 성하게 된다. The opening part 112 is a part which pulled out the support part 110. Installing the base plate 100 having the support 110 in the concrete layer is most prefera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concrete or rebar, but the problem is because the pillar portion has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 (E), the support ( The opening 112 is formed so that the location of 110 and the reinforcing bars E do not overlap.

수직 방향 철근(E)이 위치되는 간격에 맞게 개방부(112)를 사전에 형성하면, 수직 철근(E)이 개방부(112)에 위치하면서, 지지부(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므로, 지지부(110)와 수직 철근(E)의 위치가 중첩되거나 경로를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0)가 수직 철근(E)을 피해 회전되거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아울러 (b)와 같이 기본 판재(100)를 종횡으로 반복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결합홈(140)을 통해 서로 다른 기본 판재(100)와 만나는 부분이 상호 개방부(112)가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110)가 겹쳐지거나 중첩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f the opening 112 is form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at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E are positione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E ar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s 110 while being positioned at the opening 112, The location of the 110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E does not overlap or block the path. Therefore,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the support 110 must be rotated or moved to avoid the vertical reinforcement (E). In addition, even when repeatedly installing the base plate 10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shown in (b), the portion that meets the different base plate 100 through the coupling groove 140 is the portion where the mutual opening 112 is located. Since the support 110 does not overlap or overla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도 20을 참조하면, 개방부(112)를 보다 크게 형성하여, 양단의 지지부(110)만 남겨놓고, 하나의 큰 개방부(112) 안에 다수의 결합홈(140)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디귿형 동향의 지지부(110)를 탈피하여, 乙형으로 서로 다른 방향 지지부(110, 점선표시)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opening 112 may be formed larger, leaving only the supporting parts 110 at both ends, and allowing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40 to be positioned in one large opening 112.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10 of the dimming trend may be removed, and 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direction supports 110 (dashed line) in a Z-shape.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110)가 있는 기본 판재(100)에, 수직 부분 전체에 걸쳐 결합홈(140)을 형성하고, 이에 끼워지는 다른 기본 판재(100)에는 결합홈(140)을 전혀 형성하지 않고,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16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in the base plate 100 having the support 110, the coupling groove 140 is formed over the entire vertical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140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base plate 100 fitted thereto. It can also combine without forming. In this case, manufacturing is easy.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결합된 상기 판재(100) 각각의 상,하단에 지지부(110)가 형성되되, 도 17에 되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판재(100) 상측 모서리부가 꺾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지지부(1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of various forms is provided in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1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each of the combined plate 100, as shown in FIG. 17, the upper edge portion of each plate 100 is bent, the support 110 is also formed to be inclined. It is possible.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to 21 is a view showing a variety of coupling forms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에 관통홀(150)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재(100)가 상기 관통홀(150)로 삽입되어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8, a through hole 150 is formed in any one of the plate material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nd the other plate material 10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150. It is inserted into and indicates to be joined in a state where they cross each other.

상기 관통홀(150)은 끼워지는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ough hole 15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100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to be fitted, and is preferably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in a coupled state.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의 일단부가 상호 일정 각을 이루도록 접합 배열될 때, 상기 판재(100)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200)을 구비하여, 볼팅 또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9, when one end of the plate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are arrang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 bracket 200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plates 100.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ly coupled by a method such as bolting or welding.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하측에 병렬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100)들이 그 상단에 올려져 결합되어, 하측의 판재(100)들과 그 상측의 판재(100)들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0, at least one of the plate materials 100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10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plate material 100 at the top thereof. Raised and coupled, the lower plate member 100 and the upper plate member 100 is a cross-intersecting structure.

이때, 하측에 위치되는 판재(100)들이 횡 방향으로 직립되게 병렬배치되고, 그 상측에 다른 판재(100)들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교차 또는 접합결합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ower plate 100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upr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other plate 100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it is made to cross or bonded to each other.

도 2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외측부에는 외측 보강프레임(300)이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에 어떠한 방향으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21,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0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base plate structure 10, so that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in any direction to the base plate structure 10. .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판재(100)들이 교차 또는 접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형태에서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판재(100)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00 of each of the plate members 10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base plate structure 10 in a form that the plate material 100 is crossed or bonded,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uter end.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기본판재 구조(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판재(100)들이 측방으로 이탈되어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본판재 구조(10)를 이루는 판재(100)들이 상호 간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outer reinforcing frame 300 is prevented from deforming the structure by the plate material 100 is laterally separat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base plate structure 10, the plate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10) 100) serve to make each other more firmly supported.

이때,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300)은 상기 판재(100)들의 외측단에 상호 겹쳐지도록 체결부재(미도시)를 덧대어 볼트 및 너트로 조이는 방식이나, 또는 용접 방식으로 고정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300 is preferably fastened by a method of tightening the bolts and nuts by applying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o as to overlap each other on the outer ends of the plate 100, or by welding.

도 22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hape combination of the plate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서로 떨어져 있는 판재(100)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접합시킬 수도 있다. (a)는 판재(100)가 일체로 연결부(1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이며, (b)는 2개의 판재(100)를 연결부재(170)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실시예이다. 연결부재(170)는 판재(100)와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볼트, 너트, 나사, 핀, 와셔, 못, 쐐기 등의 연결구(172)를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plate member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nnected or bonded to each other. (a)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late member 100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on unit 160, and (b)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two plate member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70. The connection member 170 may be coupled to the plate 100 by welding, or may be coupled using a connector 172 such as bolts, nuts, screws, pins, washers, nails, and wedges.

(c)는 위아래로 2개의 연결부재(170)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킨 예이며, (d)는 판재(100)의 측방 단부를 절곡시키고, 절곡된 접합부(180)를 서로 마주보며 접합되도록 하여, 볼트, 너트 등의 연결구(182)로 결합시키는 예이다.(c) is an example of firmly coupled with two connecting members 170 up and down, (d) is to bend the lateral end of the plate 100, so that the bent joint 180 is joined to face each other This is an example of coupling to a connector 182, such as bolts, nuts.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3 to 2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r the connection member, coupled.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연결부(160) 또는 연결부재(170)에도 각각 결합홈(161)(171)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161)(171)은 상방을 향한 것과 하방을 향한 것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들이 상호 마주보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을 통해 판재는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60)나 연결부재(17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양도 마름모꼴, 사다리꼴, 원형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23 and 24, coupling grooves 161 and 17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60 or the connection member 170, respectively. Coupling grooves (161, 171) can be formed to face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y can be fitted facing each other. Through this connection, the plate can be configured more firmly. The shap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60 or the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freely selected, and the shape of the plate may be freely selected and applied in a lozenge, trapezoid, circle, or the like.

또한 도 25와 같이, 연결부(160) 또는 연결부재(170)에 절곡된 지지부(110)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연결 작용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5, the support part 110 bent in the connection part 160 or the connection member 170 may be provided so as to more firmly connec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uch,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ordinary technical ideas and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도 1a 내지 1c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기둥, 보 등의 전단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to 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hear loads of general foundation floors, columns, beams, and the like.

도 1d는 일반적인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d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general foundation floor, slabs, beam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사용한 기초 바닥 및 슬라브, 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foundation floor, slabs, beams using the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the placement type between the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to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ing arrangement between the b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돌출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protruding coupling member on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형태를 나태내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for showing the various coupling forms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9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forms of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pl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의 다른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and 11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combination of shapes of a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판재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갖는 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board | plate material which has a support part of this invention.

도 14, 15는 본 발명의 지지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and 15 are views showing an opening formed i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판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16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에 다양한 형태의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ith which the support part of various forms was provided in the board | plate material by this invention.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to 21 is a view showing a variety of coupling forms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형상 조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hape combination of the plate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 내지 25는 연결부 또는 연결부재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3 to 2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r the connection member, coupl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기본판재 구조 100: 판재10: base plate structure 100: plate

110: 지지부 112: 개방부110: support portion 112: opening portion

120: 유입공 130: 열림부120: inlet hole 130: opening part

140: 결합홈 150: 관통홀140: coupling groove 150: through hole

160: 연결부 170: 연결부재160: connecting portion 170: connecting member

172: 연결구 180: 접합부172: connector 180: junction

182: 연결구 200: 브라켓182: connector 200: bracket

300: 외측 보강프레임300: outer reinforcement frame

Claims (33)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batch strength between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or join each other. 삭제delet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batch strength between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to form a mutual angl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When viewed from above, the plate is arranged to include the form of + ruler or 井 or □ ruler between the reinforcement typ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ement.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When viewed from above, the plate is arranged to include any one of a radial, rhombus, circular or polygonal form of the reinforced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d strength structur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 항 또는 제 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5,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Between each of the plate constituting the base plate structure; bracket; is provided between the reinforcement type reinforced structure of the composite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ement is provided.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재가, 다른 하나 이상의 판재 상단 및/또는 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Any one or more of the plates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is combined in a state located at the top and / or the bottom of the other one or more plate, forming a cross-strength reinforced reinforcement composite between the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Structur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판재에는, 다수의 돌출결합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판재가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Each plate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a plurality of protruding coup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plate is more firmly supported in the concret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돌출결합부재는:The protruding coupling member is: 상기 판재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되는 이형철근 또는 스터드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Protruding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is a composite reinforcing structure reinforced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ement or stud bol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ombination. 삭제delet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The support portion is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batch strength reinforcement between the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the plat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is: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판형 부재를 상기 판재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결합구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A composite structure for placing strength reinforcing bars between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plate-like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plate, or a separate plate-like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plate by a coupler.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is: 단면이 "│", "─", "┐", "┬", "ㄷ", "□"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ross-sectional arrangement typ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ny one of "│", "-", "┐", "┬", "c", "□", are joined by a bolt or welding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 각각의 외측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보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mbined to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plate forming the base plate structure integrally, the outer reinforcement frame formed to surround the base plat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atch type reinforced reinforcement between the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Structure.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들과 상기 외측 보강프레임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Plates constitut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and the outer reinforcing frame is a composite structure for the reinforced strength of the batch typ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coupled by bolts or welding.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The plate member of the basic plate structure, one or more inlet holes penetra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When the base plate structure is embedded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composite structure for the batch-type strength reinforcement between the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la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is settled.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되는 한 개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고,At least one inlet hole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is formed,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하측으로도 콘크리트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When the base plate structure is buried,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so that the concrete smoothly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structur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between reinforcing bars.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의 판재에는, 일측을 제외한 타측들이 소정의 형태로 절개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접혀서 상기 판재의 표면상에서 돌출되는 열림부;가 한 개 이상 형성되고, The plate member of the basic plate structure, the other side except the one side is cut in a predetermined form, the opening portion which is folded around the one side and protrudes on the surface of the plate; 상기 기본판재 구조가 매설되어 콘크리트 경화 시 상기 열림부가 콘크리트 사이사이에 매입되는 동시에,When the base plate structure is embedded and the concrete is hardened, the opening part is embedded between the concrete, 상기 열림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공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상기 기본판재 구조와 콘크리트가 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opening portion, the structural arrangement for reinforcing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late structure and the concrete is settled. 삭제delet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기본판재 구조를 이루는 판재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all or part of the plate forming the basic plate structure, 상기 결합홈에는 상하로 겹쳐지는 다른 판재 또는 그 판재의 결합홈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Placement strength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itted with another plate or the coupling groove of the plate overlapping up and down. 삭제delet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의 수직 부분 전체 높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an entire height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plate member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다른 판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Placement strength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not formed in the other plate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상기 판재가 상측 단부 및/또는 하측 단부에 수평 방향의 지지부;를 구비하며,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uppo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and / or lower end,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판재에는 상기 판재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The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상기 관통홀에 다른 판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Placement strength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5,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s arranged spaced apart is connected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3 to 5,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A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s and supports between the plate members.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The connecting member is a composite structure for strength reinforcement arrangeme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member and the plate.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판재와 볼트, 너트, 와셔, 나사, 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a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ype strength reinforcement between the reinforc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late using any one or more of the bolts, nuts, washers, screws, pins.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며,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거나,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formed by arranging two or more plates so as to intersect or bond to each other, or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hen viewed from above, the shape of + or 井 or □ ruler. Is disposed to include, or when viewed from above, the plate is disposed to include any one of radial, rhombic, circular, or polygonal shapes,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며,A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s disposed spaced apart,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mbined groov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inforcement type composite structure reinforced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체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ere the shear stress is appl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전단 응력이 미치는 위치에 판재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기본판재 구조;를 포함하고,And a base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plate is vertically arrang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shear stress is appli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콘크리트구조물 내에 상,하로 배치되는 철근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이 이루어지며,The base plat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bars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made while the concrete is hardened,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교차 또는 접합되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거나, 2 이상의 판재가 상호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 자 또는 井 자 또는 □ 자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판재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마름모형,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The base plate structure is formed by arranging two or more plates so as to intersect or bond to each other, or two or more plates are arranged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hen viewed from above, the shape of + or 井 or □ ruler. Is disposed to include, or when viewed from above, the plate is disposed to include any one of radial, rhombic, circular, or polygonal shapes, 상기 기본판재 구조는:The base plate structure is: 이격 배치된 상기 2 이상의 판재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판재의 사이를 연결, 지지하며,A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plat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s and supports the plate members.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Combined grooves are arranged between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type reinforc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0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28 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At least two connecting portion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s, th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ype reinforced strength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grooves.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9 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2 이상의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호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formed with the coupling groove, the structure between the reinforced structure arranged strength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groove.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2 is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28 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연결부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type reinforc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bent shape is further formed.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9 항에 있어서,30. 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연결부재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Th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ement type reinforc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bent shape is further formed.
KR1020080071617A 2008-03-14 2008-07-23 Reinforcement KR1011403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3662 2008-03-14
KR1020080023662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41A KR20090098641A (en) 2009-09-17
KR101140378B1 true KR101140378B1 (en) 2012-05-03

Family

ID=4135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617A KR101140378B1 (en) 2008-03-14 2008-07-23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7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73B1 (en) * 2014-01-20 2014-09-26 알루텍 (주)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759397B1 (en) * 2015-10-27 2017-07-19 박광호 Reinforcement of foundation
KR101875846B1 (en) * 2016-12-08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nching shear stiffening member with inter confine connecting member and punching shear trotection method therewith
KR20190026506A (en)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포스코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sla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603B1 (en) * 2012-05-16 2014-08-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truncated spar type floating wind turbine platform
KR102109813B1 (en) * 2018-10-25 2020-05-12 정인자 Prevent bottom condensation heat for Frozen Warehouse
EP4372170A1 (en) * 2022-11-15 2024-05-22 FIR Group AG Reinforcing member
KR102619654B1 (en) * 2023-01-30 2023-12-29 에이에이아키그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Reinforcing structure of slab-column junction using punching shear reinforcement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392A (en) * 1991-03-15 1994-03-29 Mitsui Constr Co Ltd Joining construction of steel pipe column and slab in flat slab structure
JPH09264058A (en) * 1996-03-29 1997-10-07 Nkk Corp Light weight beam for preventing falling down and pannel assembly
KR200438488Y1 (en) * 2007-02-23 2008-02-20 (주)건양구조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of flat slab
KR20090102596A (en) * 2008-03-26 2009-09-30 엄기형 Reinfor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392A (en) * 1991-03-15 1994-03-29 Mitsui Constr Co Ltd Joining construction of steel pipe column and slab in flat slab structure
JPH09264058A (en) * 1996-03-29 1997-10-07 Nkk Corp Light weight beam for preventing falling down and pannel assembly
KR200438488Y1 (en) * 2007-02-23 2008-02-20 (주)건양구조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of flat slab
KR20090102596A (en) * 2008-03-26 2009-09-30 엄기형 Reinforc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73B1 (en) * 2014-01-20 2014-09-26 알루텍 (주)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759397B1 (en) * 2015-10-27 2017-07-19 박광호 Reinforcement of foundation
KR101875846B1 (en) * 2016-12-08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nching shear stiffening member with inter confine connecting member and punching shear trotection method therewith
KR20190026506A (en) *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포스코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slab
KR102045624B1 (en) * 2017-09-05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sl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641A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378B1 (en) Reinforcement
JP4812324B2 (en)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937680B1 (en) Prefabricated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70023B1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cft column and rc slab using shear head
KR102234513B1 (en)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30006420A (en)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KR101289155B1 (en)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JP3690437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KR102595835B1 (en) Seismic retrofit system using foundation integrated PC panel
JP5228862B2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KR10103617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KR20090102596A (en) Reinforcement
KR100628537B1 (en) Pc structure wall system with high earthquake resistance capacity
KR100808977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1037502B1 (en) Reinforcement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101576215B1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100097533A (en) Base plate and rc(reinforce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KR102354647B1 (en) Prefabricated Column using Precast Pannel
KR20090083268A (en) Reinforcement
JP3680150B1 (en) Building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23155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dl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64380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s
JPH05156654A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KR100935305B1 (en)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joining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