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255B1 -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255B1
KR101140255B1 KR1020100042076A KR20100042076A KR101140255B1 KR 101140255 B1 KR101140255 B1 KR 101140255B1 KR 1020100042076 A KR1020100042076 A KR 1020100042076A KR 20100042076 A KR20100042076 A KR 20100042076A KR 101140255 B1 KR101140255 B1 KR 10114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nformation
user
music
modu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520A (ko
Inventor
조성일
Original Assignee
조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일 filed Critical 조성일
Priority to KR102010004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25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사용자가 악기로 연주한 연주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에 송신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메인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용 자료가 저장된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주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모듈,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의 교육용 자료와 대비 후 가공하는 매칭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주 정보,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 및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가공된 연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Music Edutain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메인서버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상호 연동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 발전하고 풍부해짐에 따라, 음악, 특히 악기를 배우려는 사람들의 수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을 통해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으로 인해 전문 연주인들과 아마추어 연주인 사이의 벽이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단순한 취미활동으로 음악을 즐기는 사람도 동호회 활동 등을 통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음악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음악학원 등을 많이 찾고 있으나, 현재 존재하는 음악학원들은 클래식 피아노 학원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근 실용음악에 대한 장르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따라서 클래식 외 장르의 음악을 배우려는 사람들이 교육받을 수 있는 곳이 대단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통계에 따르면 전국 5만 개의 음악학원 중 1천 개만이 실용음악학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장르, 다양한 악기의 교육에 대한 수요자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으나, 교육을 제공하는 공급자가 이 수요를 따라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학원 이외에 개인적으로 레슨강사를 구하여 일대일 교육을 받는 방법도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이는 교습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며, 비용이 비싸고, 마찬가지로 강사의 수가 부족하여 수요자가 제대로 교습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육 방식에 있어서도, 학원이나 개인교습과 같은 방법에는 대부분 혼자 연습하는 시간이 많아 합주의 비중이 높은 실용음악과 같은 경우에는 실연 시 교육받은 내용을 바로 적용하기가 힘들었으며, 후에 합주에 대한 적응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대도시 외 지역의 경우에 특히 심하며, 따라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이 가족과 떨어져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기거나, 또는 가족 전체가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도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소 및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음악교육을 받을 수 있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서버 및 사용자가 악기로 연주한 연주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에 송신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메인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용 자료가 저장된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주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모듈,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의 교육용 자료와 대비 후 가공하는 매칭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연주 정보,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 및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가공된 연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이며, 상기 입출력부에 입력되는 연주 정보는 원음 형태 또는 미디신호 형태 중 한 가지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모듈은, 실시간으로 상기 원음의 각 음의 음정 및 박자를 인식하여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원음변환부 및 실시간으로 상기 미디신호를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미디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포맷은 미디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교육용 자료는 악보, 레슨동영상, 레슨교재, 연주샘플 및 반주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주샘플은 소정 포맷으로 저장된 형태이며, 상기 매칭모듈은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연주샘플과 대비하여, 상호 대응되는 개별 음의 시간차 및 음정차를 산출하고, 소정 기준에 따라 연주된 각 음의 단계별 랭크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판독모듈은 송신된 연주 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악보는 상기 소정 포맷이 가시화되어 표현된 형태이며, 상기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연주 정보의 진행 상황에 연동되어 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판독모듈은 송신된 연주 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연주 정보는 상기 악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상기 레슨동영상은 상기 연주 정보의 진행 상황에 연동되어 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교육용 자료는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세분화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거나, 소정의 커리큘럼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반주자료는 미디신호로서 다채널로 이루어지고, 각 채널에는 소정 악기의 연주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반주자료는 원음이 녹음된 형태로서 다채널로 이루어지고, 각 채널에는 소정 악기의 연주가 입력되며, 상기 반주자료는 각 채널의 음량, 연주속도 및 채널활성화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통계화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연주 정보,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분석된 연주 정보 및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가공된 연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상호 음성 및 영상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 및 원하는 장소에서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동시에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으며,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가 따로 시간을 내어 자료를 찾을 필요가 없이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내에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시간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통신하며 컨텐츠를 동시에 이용하면서, 서로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경쟁을 통해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컨텐츠가 다양하며 흥미를 유발하도록 제작되므로,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복수의 사용자는 서로 합주를 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후에 실연할 기회를 가질 경우에도 연습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교육뿐 아니라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음악용 툴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교육할 수 있는 악기에 제한이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본 발명의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교육의 목적 이외에도, 사이버대학의 강의, 입학시험, 자격증시험, 게임, 사용자의 연주실황 방송, 대회개최, 뮤직 컨퍼런스 개최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통신모듈을 이용하며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종래보다 개선된 음악 교육방법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원활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란, 교육(Education)과 오락(Entertainment)이 합쳐진 합성어로서, 게임을 하듯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형태이다. 사용자는 교육을 원하는 악기를 준비하여 본 발명을 통해 편리하게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단말기(10) 및 메인서버(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0)는 입출력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를 포함하며, 메인서버(100)는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 판독모듈(120), 매칭모듈(130) 및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는 메인서버(100)에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보통신망은 인터넷망 등과 같은 원거리통신망을 비롯하여 랜(LAN) 등의 근거리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0)는 악기(5)로 연주한 연주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100)에 송신하는 입출력부(11) 및 상기 메인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를 포함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2)에서는 메인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화면을 통해 표시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악기(5)는 모든 종류의 악기를 말하며, 건반악기,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및 보컬 등 그 형태에 구애되지 않는다. 또한, 어쿠스틱악기 및 전자악기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악기(5)는 입출력부(11)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악기(5)를 연주하면 그 연주 정보는 입출력부(11)에 입력되어 메인서버(100)에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연주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입출력부(11)에 입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쿠스틱악기의 경우, 연주된 원음을 그대로 입력받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입력수단으로는 마이크 등의 기기가 사용된다. 즉, 악기(5)가 사용자단말기(10)와 별도의 연결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없거나, 보컬과 같은 형태일 경우에 이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전자악기의 경우에는 연주되는 정보를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입력수단으로는 미디인터페이스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반대로 전자악기의 경우에도 발현되는 소리를 그대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어쿠스틱악기의 경우에도 연주된 원음의 음정을 파악하거나 악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미디신호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악기(5)가 드럼과 같은 타악기일 경우에도 각 부속드럼의 고유 소리를 구별하여 미디신호로 변환하거나, 각 부속드럼에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연주를 미디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부(11)에 입력되는 연주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입력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출력부(11)에 입력된 원음 또는 미디신호 형태의 연주 정보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메인서버(100)로 송신되며, 구체적으로는 판독모듈(120) 및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의 저장부(141)로 송신된다.
지금까지 사용자단말기(10)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이후에는 메인서버(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은 사용자의 학습을 위한 교육용 자료 일체가 저장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연습하고자 하는 연습곡 또는 연주곡의 악보, 악기 사용방법 또는 상기 악보의 연주방법에 관한 레슨동영상, 상기 레슨동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레슨교재,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 의 상기 악보에 대한 모범적인 연주를 제공하는 연주샘플 및 상기 악보에 대해 다양한 악기로 합주한 형태의 반주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나아가서는, 강사정보, 공연 및 대회정보, 참고용 영상, 음반 및 악기 정보 등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자료가 더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 저장된 다양한 교육용 자료를 사용자단말기(10)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판독모듈(120)은 사용자가 악기(5)로 연주하여 입출력부(11)를 통해 송신한 연주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주 정보는 원음 그대로일 수도 있으며, 미디신호로 변환된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판독모듈(120)에는 각각의 연주 정보 형태를 처리할 수 있는 원음변환부(121) 및 미디변환부(122)가 포함된다.
원음변환부(121)는 상기 연주 정보가 원음 그대로의 형태일 경우, 각 음의 음정을 분석하고, 각 음의 길이를 통해 박자를 인식하여 이를 디지털 구조를 가지는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미디변환부(122)는 상기 연주 정보가 미디신호로 변환된 형태일 경우, 상기 소정 포맷과 통일될 수 있도록 같은 형태로 변환한다.
이때, 미디신호는 디지털구조를 가지며,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소정 포맷은 미디신호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원음변환부(121)에서는 원음을 미디신호로 변환하며, 미디변환부(122)에서는 상기 연주 정보가 이미 미디신호의 형태를 가지므로, 변환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기 소정 포맷은 미디신호인 것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한편, 판독모듈(120)은 사용자단말기(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주 정보를 메인서버(100)의 판독모듈(120)로 송신하여 미디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단말기(10) 내에서 상기 연주 정보를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통일 후 메인서버(100)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결국, 상기 연주 정보는 판독모듈(120)을 통해 통일된 포맷을 가지게 된다.
매칭모듈(130)은 판독모듈(120)에 의해 분석되어 변환된 상기 연주 정보를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의 교육용 자료와 대비하여 가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 저장된 연주 샘플은 단순히 숙련된 연주자에 의한 연주의 녹음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미디신호에 의해 컴퓨터로 연주되는 형태로 저장된 연주 샘플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연주 샘플과 같은 곡의 악보를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서 선택하여 연주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연주 정보가 사용자단말기(10)에서 판독모듈(120)로 송신되고, 상기 연주 정보는 미디신호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연주 샘플 및 상기 연주 정보는 미디신호로 통일된 포맷을 가지게 되므로, 매칭모듈(130)은 두 미디신호를 대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기준이 되는 연주샘플의 각 음과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 정보의 각 음의 시간차 및 음정차를 산출하여 연주 정보에 차이 값을 입력하여 가공하며, 그 차이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은 저장부(141) 및 연산부(142)를 포함한다.
저장부(141)에는 입출력부(11)에 의해 송신된 원음 또는 미디신호 형태의 상기 연주 정보, 판독모듈(120)에 의해 변환된 미디신호 및 매칭모듈(130)에 의해 대비되어 가공된 연주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연산부(142)에서는 저장부(141)에 기록된 정보들을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형태로 통계화가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에 저장된 개인 연주 자료 및 그에 대한 통계 자료를 사용자단말기(10)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교육에 필요한 교육용 자료는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서 얻을 수 있으며, 자신의 연주 정보 및 연주 정보에 대한 피드백 및 평가 등 개인 관련 자료는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메인서버(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악기(5)를 연주하여 사용자단말기(10)의 입출력부(11)로 연주 정보를 송신하며, 이는 판독모듈(120) 및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의 저장부(141)로 전송된다. 판독모듈(120)에 의해 변환된 연주 정보는 매칭모듈(130)에 의해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의 연주 샘플과 대비되어 가공되고, 이는 역시 저장부(141)로 전송된다. 저장부(141)에 저장된 정보는 연산부(142)에 의해 통계화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 및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의 자료들을 열람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 명의 사용자가 통신모듈(150)을 이용하며 사용할 경우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기존의 사용자 외에 제2사용자가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제2사용자 역시 마찬가지로, 제2사용자단말기(20)는 제2입출력부(21) 및 제2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입출력부(21)는 판독모듈(120) 및 저장부(141)로 연주 정보를 송신하며, 제2디스플레이부(22)는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 및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에서 수신한 정보가 화면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도1의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모듈을 거치며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140)에는 제1사용자 및 제2사용자의 연주 정보가 누적되며, 각 사용자는 저장부(141) 및 연산부(142)에 접속하여 타 사용자의 정보를 열람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사용자가 두 명인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다음은, 도3을 참조하면, 기존의 사용자단말기 및 제2사용자단말기는 통신모듈(150)을 통해 연결된다.
통신모듈(150)은 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음성통신 및 영상통신 등과 같은 양방향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통신모듈(150)에 접속하여 서로 의사소통 또는 정보 및 자료의 공유와 같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2 및 도3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는 메인서버(100)를 통해 자신의 연주 정보 및 타 사용자의 연주 정보를 함께 얻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의 구성 및 상호작용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나열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는 개인용PC이며,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는, 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패키지 형태로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로 시각화된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개인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트레이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교육받고자 하는 악기 및 곡을 선택하고,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 저장된 레슨동영상을 시청하며 악보를 따라 연주 트레이닝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연주샘플을 이용해 모범 연주를 들어보거나, 자신의 연주를 저장부(141)에 녹음하여 모니터링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교육용 자료, 특히 악보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준에 맞추어 난이도 별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주하고 싶어하는 곡이 자신의 수준에 비하여 난이도가 높아 연주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곡의 난이도를 단계별로 조절하고, 이에 맞는 악보 및 레슨동영상 등 제반 교육용 자료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흥미를 잃지 않고 서서히 실력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중요도가 떨어지는 음표의 삭제, 사용자가 연주하기 익숙한 조성으로의 변환, 코드의 단순화 또는 연주템포의 하향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동일 곡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난이도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곡이 단계별로 제공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난이도 별로 제공되는 교육용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선택하여 학습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구상된 커리큘럼에 의해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상기 커리큘럼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난이도를 선택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난이도를 수동적으로 제공받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위 난이도로 진행하기 위해서 현재 난이도의 일정 기준을 통과하여야 하는 등 제공자가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작성한 다양한 커리큘럼에 따라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악보는 오선악보 또는 타브(Tab)악보 등이 그림파일 또는 문서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미디신호가 악보 형태로 변환되어 가시화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디신호가 악보 형태로 변환된 경우에는, 여러 가지 유리한 효과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현재 플레이되는 지점을 악보 상에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악보가 여러 장일 경우에도 사용자의 연주 진행에 연동되어 페이지를 넘기거나 자동 스크롤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미디신호로부터 연주샘플 또는 반주자료를 쉽게 제작할 수도 있으며, 악보의 난이도 조절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연주하는 음이 악보 상에 기보되도록 하여 원래 악보와의 차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판독모듈(120)에 의해 미디신호로 변환된 사용자의 연주 정보와 악보에 의해 생성된 연주샘플을 용이하게 대비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변환된 연주 정보 및 연주샘플은 모두 미디신호로 통일된 포맷을 가지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매칭모듈(130)을 통해 현재 연주한 음과 대응되는 연주샘플의 음을 대비하여 시간차 및 음정차를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차이를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에 랭크를 지정해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 가지 단계로 랭크를 지정해 연주한 음이 연주샘플의 음과 0.1초 차이 이하라면 최상랭크인 'A', 0.1초 초과 0.5초 이하라면 중간랭크인 'B', 0.5초 초과라면 최하랭크인 'C'를 부여하여 악보 상에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연주 정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상기 랭크는 더욱 직관적인 형태인 'Perpect', 'Great', 'Bad'와 같은 단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등 제작되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항을 응용하여 사용자가 각 음을 연주할 때마다 받는 랭크에 점수를 부여하여 총점을 기록하는 방식 등 게임과 같은 형태로 연주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연주샘플은 사용자에게 모범 연주를 제시하거나 감상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디신호에 음원을 입혀 정확한 연주샘플을 만들 수도 있지만, 실제 연주인들의 다양한 연주를 녹음한 MR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는 연주샘플을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뮤지션들의 연주 동영상 등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레슨동영상은 기초적인 악기의 사용 방법, 강사의 녹화된 강의 등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레슨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레슨강사를 따로 구하는 수고를 덜고, 원하는 강의만을 골라 학습할 수 있는 등 편리한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레슨동영상은 상기 악보 별로 해당 곡의 강의가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난이도 별로 다른 강의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더욱 발전된 형태로서, 사용자의 연주 정보 진행 상황에 연동되어 구간별로 동영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악보의 특정 마디를 연습하게 되면, 연주 정보의 미디신호를 인식하여 현재 진행되는 마디 부분의 강의동영상을 자동재생하는 등 사용자의 연주 정보 진행과 연동되어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반주자료는 사용자가 합주를 목적으로 연습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이다. 특히 실용음악 등에 있어서는 합주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솔로 플레이의 경우에 비해 비중이 더 높은 편이며, 따라서 합주에 대한 연습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반주자료를 통해 혼자서도 합주에 대한 모의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반주자료 역시 미디신호에 음원을 입힌 형태 또는 연주된 원음을 그대로 녹음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주자료는 다채널로 이루어져 각 악기가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도록 입력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채널은 타 채널과 별개로 조절이 가능하다. 즉, 각 채널별로 음량을 조절하거나, 연주속도를 바꿀 수 있으며, 채널의 온, 오프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악기와 동일한 악기를 비활성화시켜 소리가 충돌되는 것을 막거나, 원하는 악기만으로 구성된 합주 연습을 할 수 있고, 곡의 전체적인 템포를 조절하여 원하는 속도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주된 음을 원음 그대로 녹음했을 경우에는, 각 채널을 선택적으로 동시 재생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음은 실제 연주자들이 연주하였기 때문에 더 충실한 현장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미디신호와 함께 반주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11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슨교재, 강사정보, 공연정보, 대회정보, 참고용 영상, 음반 및 악기 정보 등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자료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한 음악을 저장부(141)에 녹음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연주를 원음 그대로 혹은 판독모듈(120)에 의해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쓰일 수도 있으며, 정보 보관 용도 또는 작곡의 용도로 쓰이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작곡 용도의 경우, 다수의 레코딩 작업을 통해 기존에 저장된 음악 위에 새로 연주된 음악을 레이어(layer)를 형성하여 덮어 씌우며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여러 악기로 편성된 곡을 작곡하는 경우에도 본 컨텐츠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확장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서버(100)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사용자는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는 각 사용자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할당하고, 상기 컨텐츠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컨텐츠들은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개인이 사용할 경우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한 레슨동영상을 보며 순차적으로 연주를 수행할수도 있고, 한 사용자가 연주하는 것을 다른 사용자가 모니터링하며 대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한 곡을 연주하고, 상기한 음의 정확도에 대한 랭크 방식에 의해 총점을 계산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배틀모드(Battle Mode) 형태의 게임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합주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개인 사용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연주하는 악기 이외의 악기는 반주자료에 의해 연주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교육을 받는 사용자 이외에도 교육을 제공하는 강사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강사와 학생 간의 개인 레슨 또는 그룹 레슨을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학생의 연주를 보며 강사가 구체적인 지도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개인 사용자 및 복수의 사용자 간의 이용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통계를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로그인을 통한 인증과정을 거쳐 메인서버(100)에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사용자별로 각 컨텐츠를 이용한 정보에 대한 통계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부(142)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어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의 실력 향상 추이를 체크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간 점수 및 순위를 매겨 경쟁하는 형식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는 등 그 쓰임새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항이 구현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4를 참조하면, 화면에는 사용자가 연주하려는 악보(200)가 표시되며, 악보(200)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악기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악기표시창(210)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악기(210)는 드럼이며, 악보(200)는 연주하려는 곡의 드럼용 악보가 표시된다. 도면에서는 현재 진행되는 부분의 음표(201)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색을 다르게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는 부분의 음표(201) 밑에는 사용자가 연주한 연주 정보를 토대로 산출한 랭크(202)가 표시된다.
그리고, 악기표시창(210)에는, 현재 사용자가 연주하는 악기의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연주한 부속드럼이 일시적으로 점멸되거나, 색이 바뀌는 연출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연주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면에는 레슨동영상(220)이 함께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플레이 버튼을 눌러 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악보의 진행 상황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슨동영상(220) 위에는 각 채널의 악기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악기조절버튼(234)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악기의 볼륨조절 및 온, 오프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악기조절버튼(234) 위에는 곡의 템포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조절버튼(233), 시작, 정지 및 녹음설정이 가능한 진행버튼(232), 곡의 난이도가 표시되는 난이도표시창(23) 및 사용자의 점수가 표시되는 점수표시창(231)이 위치된다.
그리고. 도5를 참조하면, 두 명의 사용자가 배틀모드의 형식으로 연주할 경우의 화면이 표시되며, 제1사용자창(300) 및 제2사용자창(310)이 양쪽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자는 피아노를 연주하며, 제2사용자는 드럼을 연주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화면의 하단에는 제1사용자영상(301) 및 제2사용자영상(311)이 표시되어, 서로 영상통신을 하며 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더욱 개선된 음악 교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 악기 10: 사용자단말기
11: 입출력부 12: 디스플레이부
100: 메인서버 110: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
120: 판독모듈 121: 원음변환부
122: 미디변환부 130: 매칭모듈
140: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 141: 저장부
142: 연산부 150: 통신모듈

Claims (18)

  1.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서버;
    사용자가 악기로 연주한 연주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메인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화면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에 송신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메인서버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연주 정보가 원음 또는 미디신호 중 어느 형태인지 판별하고, 상기 연주 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판독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음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용 자료가 저장된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연주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의 교육용 자료와 대비 후 가공하는 매칭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연주 정보,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연주 정보 및 상기 매칭모듈에 의해 가공된 연주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모듈;
    을 포함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모듈은,
    상기 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연주 정보가 원음 형태일 경우, 상기 원음의 음정 및 박자를 인식하여 상기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원음변환부; 및
    상기 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연주 정보가 미디신호 형태일 경우, 상기 미디신호를 상기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는 미디변환부;
    를 포함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모듈은 사용자단말기 측에 구비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포맷은 미디신호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교육용 자료는 레슨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레슨동영상은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연주 정보의 진행과 연동되어 이에 대응되는 부분을 사용자에게 자동재생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교육용 자료는 반주자료를 포함하며,
    상기 반주자료는 원음 및 미디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다채널로 이루어지고, 각 채널에는 소정 악기의 연주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각 채널의 채널활성화 여부, 오프, 음량 및 연주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된 교육용 자료는 악보를 포함하며,
    상기 악보는 미디신호가 변환되어 가시화된 형태로, 상기 판독모듈에 의해 소정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연주 정보의 진행과 연동되어 제공되는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연주 정보는 어쿠스틱악기에 의해 연주된 원음인 뮤직에듀테인먼트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042076A 2010-05-04 2010-05-04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KR10114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76A KR101140255B1 (ko) 2010-05-04 2010-05-04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76A KR101140255B1 (ko) 2010-05-04 2010-05-04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20A KR20110122520A (ko) 2011-11-10
KR101140255B1 true KR101140255B1 (ko) 2012-04-26

Family

ID=4539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076A KR101140255B1 (ko) 2010-05-04 2010-05-04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660A (ko) * 2013-12-16 2015-06-24 이성호 연주 연습 성과 관리 방법
KR101508927B1 (ko) * 2014-01-08 2015-04-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용 악기연주 연습시스템
WO2019117355A1 (ko) * 2017-12-14 2019-06-20 주식회사 해라 드럼 연주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트니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462B1 (ko) * 2023-08-30 2024-01-10 케이팝팩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보컬 평가 정보 기반 보컬 학원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103A (ko) * 2007-01-02 2009-01-07 김부전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과 음파장을 이용한 평가시스템
KR20100006135A (ko) * 2008-07-08 2010-01-18 (주)피아니아월드 게임 기능을 갖는 음악교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103A (ko) * 2007-01-02 2009-01-07 김부전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과 음파장을 이용한 평가시스템
KR20100006135A (ko) * 2008-07-08 2010-01-18 (주)피아니아월드 게임 기능을 갖는 음악교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20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8339B2 (en) Real-time synchronization of musical performance data streams across a network
US10964298B2 (en) Network musical instrument
JP4934180B2 (ja) 撥弦楽器演奏評価装置
CN109345905A (zh) 一种互动数字音乐教学系统
De Man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mix engineering
KR101140255B1 (ko)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KR20200058191A (ko) 학습자 수준별 일대일 온라인 악기 교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19350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live jam session with song recommendation engine to recommend a song to be played
KR100894866B1 (ko)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피아노 교습과 음파장을 이용한 평가시스템
KR20120034486A (ko)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KR20130089826A (ko) 서비스 제공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뮤직 에듀테인먼트 시스템
KR20140142794A (ko) 음악교습에 사용되는 건반장치
KR100341307B1 (ko) 웹 피아노 시스템의 이용 방법
US2023036875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ystematically generating skill adapted musical arrangements on a per-user basis of a common musical piece for the collective performance by the users as an ad-hoc band
Hsu In their hands: Extra-curricular use of technology by high school music students
Liu Application of Music Software in College Professional Music Using
Secoy et al. Rockstar teaching: Blended informal music learning in an elementary ukulele club
TW202318362A (zh) 促進以歌曲推薦引擎推薦待演奏歌曲之實況即興演奏會的系統及方法
Marasco The Music Technology Ensemble: An Approach to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Newcomers in Audio Education
Hasty The impact of informal music learning practices on students' musical meanings and experiences
Murango The influence of popular music styles on music training in Pentecostal churches of Kenya: The case of house of grace church ministries in Nairobi
Veit Developing a curriculum for the study of jazz vibraphone available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the vibesworkshop. com
KR20060025302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다중 피아노 교육시스템
JP2024054615A (ja) 練習システム、練習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指導者端末装置
Files III Hairy drums, live sampling: Ethos Percussion Group commissions of 2004 and their “extra-conservatory”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