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46B1 - 선박용 공조기 - Google Patents

선박용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46B1
KR101138346B1 KR1020100005633A KR20100005633A KR101138346B1 KR 101138346 B1 KR101138346 B1 KR 101138346B1 KR 1020100005633 A KR1020100005633 A KR 1020100005633A KR 20100005633 A KR20100005633 A KR 20100005633A KR 101138346 B1 KR101138346 B1 KR 10113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n
air
member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709A (ko
Inventor
이호기
최재웅
구근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선박용 공조기가 개시된다. 팬;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히팅부;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히팅부에 대해상류 또는 하류에 설치되는 쿨링부; 및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부 또는 상기 쿨링부의 작동과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동작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부재와, 상기 각 물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도시키는 물유도부재와, 상기 각 물유도부재로 이동되는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도록 열을 가하며 상기 각 물유도부재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공조기는, 가습부를 통해 증발되는 증기를 미세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에 습기가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어 습도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공조기 {AIR CONDITIONE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선실 내에는 사용자의 건강 또는 선실 내 기기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공조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기는 선실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선실 내를 히팅시키거나, 선실 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쿨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습도 조절은 물을 증발시켜 이루는데, 이는 물의 입자가 미세화 될수록 공기 중에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근래에는 물을 미세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발 중이다.
본 발명은 습도조절을 위해 증발되는 물이 미세화될 수 있는 선박용 공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히팅부;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히팅부에 대해상류 또는 하류에 설치되는 쿨링부; 및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부 또는 상기 쿨링부의 작동과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동작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부재와, 상기 각 물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도시키는 물유도부재와, 상기 각 물유도부재로 이동되는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도록 열을 가하며 상기 각 물유도부재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공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각 물유도부재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물공급부재는 상기 각 물유도부재에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각 물유도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물이 상기 팬에 의해 비산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커버부재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는 각각이 서로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물유도부재에 내장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부를 통해 증발되는 증기를 미세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에 습기가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어 습도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기의 가습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조기(100)는 팬(120)과, 히팅부(130)와, 쿨링부(140) 및 가습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조기(100)는 케이싱(110)이 구비될 수 있다.
내부에 공조실(111)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10)이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조실(111) 내에는 팬(120)과 히팅부(130)와, 쿨링부(140) 및 가습부(150)가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조실(111)을 형성하는 케이싱(110)의 일측단부에는 공조실(111)에서 히팅부(130)나 쿨링부(14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거나 낮아진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 측을 기준으로 공조실(111) 내의 가장 안 쪽에는 팬(120)이 설치될 수 있다. 팬(120)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히팅부(130)와 쿨링부(140) 및 가습부(150)가 설치되는데, 쿨링부(140)는 히팅부(130)에 대해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쿨링부(140)가 히팅부(130)에 대해 하류에 설치된 것을 일 예로 하였다. 그러나, 쿨링부(140)와 히팅부(130)는 팬(12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이 지나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쿨링부(140)는 히팅부(130)의 상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팬(120)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인 송풍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가습부(150)는 히팅부(130) 및 쿨링부(140)에 대해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습은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로 변화되어 대기의 습기를 보충하는 것이므로, 히팅부(13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따라 케이싱(11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히팅부(130)의 작동과 연동하여 동작된다. 이와 같이, 실내가 더운 하기에는 냉방운전을 위하여 쿨링부(140)를 작동시키고, 실내가 추운 동기에는 히팅부(130)의 작동에 의한 난방운전과 더불어 습도를 조정하기 위해 가습부(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팅부(130)의 작동과 연동하여 동작되는 가습부(150)를 예로 하였으나, 가습부(150)는 대기의 습기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쿨링부(140)의 작동과 연동하여 동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가습부(150)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기의 가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습부(150)는 물공급부재(151)와, 물유도부재(153)와, 가열부재(155)를 포함한다.
물공급부재(151)는 물을 공급하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물공급부재(151)는 각 물유도부재(153)에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이 결합되는 공지의 매니폴드(미도시)가 케이싱(110)에 설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는 공조기(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수도관을 통해 물을 직접 공급받을 수 있고, 이와 달리, 물탱크(미도시)와 같은 물저장고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어, 노즐로 공급되는 물이 공급되는 다기관으로서 매니폴드의 장착은 노즐과 함께 케이싱(110)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부재(151)의 노즐은 물유도부재(153)로 공급되는 물을 분사시켜 물유도부재(153)로 흐르는 물을 미세화 시켜 물유도부재(153)에서 증발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유도부재(153)는 각 물공급부재(1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도시키는 판형상이다. 다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물유도부재(153)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유도부재(153)의 앞면 및 뒷면에서 물이 흐르기 때문에 가열부재에 의해 증발되는 동일 시간당 증발되는 물의 양이 일면에서만 증발되는 것에 대비하여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물유도부재(153)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라믹 재질에는 내열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규소(Si)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재질은 물의 증발을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153)는 팬(12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각각의 물유도부재(153)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와 팬(120)에 의해 이동되는 바람이 원활히 접촉될 수 있어, 후술되는 배출홀(158)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이동이 원활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153)는 각각이 서로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물유도부재(153)의 개수는 도 1을 참조하면 8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케이싱(110)의 크기에 따라 물유도부재(153)의 크기 및 개수가 줄어들거나 커질 수 있고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물유도부재(153)에 설치되는 가열부재(155)는 각 물유도부재(153)로 이동되는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도록 열을 가한다. 가열부재(155)는 물유도부재(153)에 내장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항가열기(resistance heater)의 원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각 물유도부재(153)의 외측에는 물이 팬(120)에 의해 비산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157)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커버부재(157)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홀(158)이 형성될 수 있다. 물유도부재(153)를 따라 이동되는 물이 증발되면 배출홀(158)을 통해 커버부재(157)의 외부로 증기가 빠져나올 수 있다. 배출홀(158)을 통해 빠져나오는 증기는 팬(12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공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물유도부재(153)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159)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59)의 일단은 커버부재(157)에 고정되고 고정부재(159)의 타단은 물유도부재(153)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59)의 고정은 일반적인 나사 및 볼트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100)는 물공급부재(151)로부터 분사된 물이 물유도부재(153)를 따라 흐르면서 가열부재(155)에 의해 증발이 되어 물의 입자가 용이하게 미세화 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에 습기가 빠르게 흡수된 후 팬(120)에 의해 습도가 높아진 공기가 즉각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선박 내의 습도 조절을 빠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공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공조기 110: 케이싱
111: 공조실 120: 팬
130: 히팅부 140: 쿨링부
150: 가습부 151: 물공급부재
153: 물유도부재 155: 가열부재
157: 커버부재 158: 배출홀

Claims (8)

  1. 팬;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히팅부;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히팅부에 대해상류 또는 하류에 설치되는 쿨링부; 및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히팅부 또는 상기 쿨링부의 작동과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동작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부재와,
    상기 각 물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증발이 유도되도록 양측 표면을 따라 흐르게 물을 유도시키는 물유도부재와,
    상기 각 물유도부재로 이동되는 물을 증기로 변화시키도록 열을 가하며 상기 각 물유도부재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물유도부재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각 물유도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물이 상기 팬에 의해 비산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버부재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는 상기 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유도부재는 각각이 서로 이격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물유도부재에 내장되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기.
KR1020100005633A 2010-01-21 2010-01-21 선박용 공조기 KR10113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33A KR101138346B1 (ko) 2010-01-21 2010-01-21 선박용 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33A KR101138346B1 (ko) 2010-01-21 2010-01-21 선박용 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09A KR20110085709A (ko) 2011-07-27
KR101138346B1 true KR101138346B1 (ko) 2012-04-26

Family

ID=4492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33A KR101138346B1 (ko) 2010-01-21 2010-01-21 선박용 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029A (ko) 2014-09-26 2016-04-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선박용 전외기 공조시스템 및 선박용 전외기 공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11B1 (ko) * 2011-06-14 2013-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가습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78Y1 (ko) * 1985-05-21 1988-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팬히터의 가습장치
JPH09273782A (ja) * 1996-04-04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9980023781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냉난방기 가습장치
KR20090008238U (ko) * 2009-07-28 2009-08-17 임지훈 습기와 냉기를 분리시킨 열교환관을 장착한 냉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578Y1 (ko) * 1985-05-21 1988-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팬히터의 가습장치
JPH09273782A (ja) * 1996-04-04 1997-10-21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9980023781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냉난방기 가습장치
KR20090008238U (ko) * 2009-07-28 2009-08-17 임지훈 습기와 냉기를 분리시킨 열교환관을 장착한 냉기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029A (ko) 2014-09-26 2016-04-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선박용 전외기 공조시스템 및 선박용 전외기 공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0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0442B2 (ja) サウナ装置
JP4857835B2 (ja) 浴室サウナ装置
JP2008545113A (ja) 空気の流れを加湿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5894955B2 (ja) 加湿装置、並びに、環境試験装置
KR101138346B1 (ko) 선박용 공조기
RU201212387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лажнения воздуха в комнате
JP2007089752A (ja) 浴室サウナ装置
JP4150027B2 (ja) 浴室暖房機
US7896319B2 (en) Sauna apparatus
JP2009530579A (ja) 空気負荷される凝縮機
JP2008082570A (ja) 加熱加湿装置
JP3942820B2 (ja) 空調用加湿方法
KR20120011913A (ko) 미세분사노즐을 이용한 클린룸의 공조 시스템
TWI656304B (zh) 空氣調和裝置
JP4654624B2 (ja) 浴室サウナ装置
JP4257593B2 (ja) ミスト発生機能付き暖房装置
US8006962B2 (en) Humidifier with louvered air intake
US20100207286A1 (en) Humidifier with adjustable air flow
CN102155756A (zh) 高焓浴室加热器
JP2010127499A (ja) 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機
JP5295739B2 (ja) 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機
JP2007209438A (ja) サウナ装置
JP6225331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5034413B2 (ja) サウナ装置
JP5034417B2 (ja) 浴室サウ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