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438B1 -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438B1
KR101137438B1 KR1020100104463A KR20100104463A KR101137438B1 KR 101137438 B1 KR101137438 B1 KR 101137438B1 KR 1020100104463 A KR1020100104463 A KR 1020100104463A KR 20100104463 A KR20100104463 A KR 20100104463A KR 101137438 B1 KR101137438 B1 KR 10113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late
rotating shaft
tunable filter
housing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희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10010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36Comb or interdigit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너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캐비티 및 공진기가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공진기 상부에서 공진기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도체판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는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동(cavity)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외부로부터 내부로 각각 끼워지는 입력측 커넥터 및 출력측 커넥터; 다수의 공동 각각에 형성되며 입력측 및 출력측 커넥터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공진기; 공진기의 상부에서 하우징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공진기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함으로써 공진기와의 거리를 가변시켜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도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튜너블 필터의 다수의 공진기 상부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도체판을 하나의 회전축을 회전하는 것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튜닝에 적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는 결국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Tunable filter comprising conductive plates capable rotating}
본 발명은 튜너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캐비티 및 공진기가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공진기 상부에서 공진기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도체판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는 고주파 신호에 대한 필터링을 위해 일반적으로 캐비티(Cavity) 필터가 구비되며, 캐비티 필터는 다수의 캐비티 내에 공진기가 구비되는 구조의 필터이다.
이러한, 캐비티 필터에 이용되는 공진기는 유전체 공진기 또는 금속봉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공진기의 품질을 가름하는 변수는 Q(품질계수), εr(비유전율), τi(공진 주파수 온도계수)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캐비터 필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공진기, 커버 및 튜닝볼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각 부품들은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항이 적은 물질로 도금되어 있다.
일반적인 코일과 콘덴서에 의한 공진회로는 복사손실이 커서 초고주파를 형성하는데 적합지 않다. 이에 RF 필터는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cavity)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DR(Dielectric Resonator)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기를 구비시켜,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초고주파의 공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DR 또는 금속 공진봉을 이용한 RF 필터는 삽입손실이 적고 고출력에 유리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방송용 중계기, 위성통신 시스템 등 거의 모든 송수신 통신장비에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블 필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튜닝 볼트에 의한 튜너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튜너블 필터의 하나의 캐비티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튜닝 볼트에 의한 튜너블 필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 입력 커넥터(12), 출력 커넥터(14), 격막(16), 캐비티(18), 공진기(20), 커버(22) 및 튜닝 볼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 내부에는 다수의 격막(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격막(16)에 의해 각각의 공진기(20)가 수용되는 캐비티(18)가 정의된다. 그리고, 커버(22)에는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홈(26)과 커버(22)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 홀(28)이 형성되어 커버(22)와 하우징(10)의 결합 홀(28)이 결합 나사(3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커버(22)에는 필터의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기 위한 튜닝 볼트(24)가 체결 홀을 통해 공진기(20)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튜닝 볼트(24)는 커버(22)에 결합되어 체결 홀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관통한다.
RF 신호는 입력 커넥터(12)로 입력되어 출력 커넥터(14)로 출력되며, RF 신호는 각 캐비티(18)에 형성되어 있는 커플링 윈도우를 통해 진행한다. 각 캐비티(18) 및 공진기(20)에 의해 RF 신호의 공진 현상이 발생하며, 공진 현상에 의해 RF 신호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종래의 튜너블 필터에서 주파수 및 대역폭에 대한 튜닝은 튜닝 볼트(2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튜닝 볼트(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2)로부터 관통되어 공진기(20) 상부에 위치된다. 튜닝 볼트(2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22)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튜닝 볼트(24)는 회전에 의해 공진기(2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공진기(20)와 튜닝 볼트(24)와의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튜닝이 이루어진다. 튜닝 볼트(24)는 수작업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며, 튜닝 볼트(24)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튜닝 머신(도시되지 않음)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튜너블 필터에서 튜닝 볼트(24)와 공진기(20) 사이에는 커패시턴스(C)가 형성된다. 여기서, 캐패시턴스는 두 개의 금속 사이의 유전율, 단면적 및 거리에 의해 가변되는 물리량으로서, 거리는 튜닝 볼트(24)와 공진기(20) 사이의 거리에 해당된다.
즉, 튜닝 볼트(24)의 회전에 의해 튜닝 볼트(24)와 공진기(2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됨으로써 캐패시턴스 역시 변경된다. 캐패시턴스는 필터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캐패시턴스의 변화에 의해 필터의 중심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필터의 주파수나 대역폭의 조절이 튜닝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튜닝 볼트가 다수 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튜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작업에 의한 튜닝 시 튜닝 볼트를 일일이 회전시켜야 하며 이러한 회전 작업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캐비티 및 공진기가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공진기 상부에서 공진기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도체판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는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동(cavity)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외부로부터 내부로 각각 끼워지는 입력측 커넥터 및 출력측 커넥터; 다수의 공동 각각에 형성되며 입력측 및 출력측 커넥터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공진기; 공진기의 상부에서 하우징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공진기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함으로써 공진기와의 거리를 가변시켜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도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하우징은, 회전축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홈과,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회전축의 다른 일측 끝단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통과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의 다른 일측 끝단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회전축 통과홀 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진기의 상단부는 도체판의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자 홈 형상의 슬라이스 홈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체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체판과 회전축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도체판 편심에는 회전축이 통과하는 도체판 홀이 형성되며, 도체판 양측에는 회전축에서 도체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임부재는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홀이 형성된 결합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축에 형성된 수나사는 도체판이 위치하는 부분에 단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체판에는 도체판 홀이 형성되고, 도체판 홀에 수직한 방향에는 도체판 키 홀이 형성되며, 회전축에는 도체판 키 홀에 수직한 위치에 단속적으로 다수의 회전축 홈이 형성되어, 도체판 키 홀과 회전축 홈에 키(Key)가 삽입됨으로써 도체판이 회전축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체판과 회전축은 접착부재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너블 필터의 다수의 공진기 상부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도체판을 하나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일률적으로 회전시켜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고, 이로인한 생산성 향상 및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튜닝 볼트에 의한 튜너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튜너블 필터의 하나의 캐비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튜너블 필터의 하나의 공진기, 도체판 및 회전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회전축 회전에 의한 도체판의 가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회전축 회전에 의한 도체판의 가변 위치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는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튜너블 필터의 하나의 공진기, 도체판 및 회전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0), 입력 커넥터(120), 출력 커넥터(140), 격막(160), 캐비티(180), 공진기(200), 커버(220), 도체판(240) 및 회전축(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에는 그 양측 끝단에 입력 커넥터(120)와 출력 커넥터(140)이 각각 구비되고, 입력 커넥터(120)와 출력 커넥터(140) 사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격막(160)이 구성되어 다수의 캐비티(180)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0) 상부에는 커버(220)와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결합 홈(280)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캐비티(180) 각각에는 공진기(200)가 구성된다.
또한, 공진기(200)는 공진기(200)의 상측면에서 공진기(200)의 수직한 하부방향으로 소정깊이의 일자 홈 형상의 슬라이스 홈(3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220)에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하우징 결합 홈(280)과 커버(220)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커버 결합 홀(320)이 형성되고, 결합나사(340)에 의해 결합된다.
도체판(240)은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플레이트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튜너블 필터에서 도체판(240)과 공진기(200) 사이에 커패시턴스(C)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커패시턴스는 두 개의 금속 사이의 유전율, 단면적 및 거리에 의해 가변되는 물리량이기 때문에 현장경험이나 실험에 따라 유리한 효율을 갖는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260)은 도체판(240)의 편심 양측에 형성되어 도체판(240)이 공진기(200)에 수직하게 형성된 슬라이스 홈(300)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축(260)의 일측 끝단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홈(102)에 끼워지고, 다른 일측 끝단은 하우징(1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 통과홀(104)에 끼워져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회전축 통과홀(104)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회전축 통과홀(104) 부분의 회전축(260)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경우 회전축(260)과 하우징(1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60)의 다른 일측의 끝단에는 회전축(260)을 수작업이나 튜닝 머신(도시하지 않음)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홈(26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 홈(262)을 이용해 회전축(260)을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회전축(260)에 연결된 도체판(240)이 슬라이스 홈(300)을 따라 공진기(200)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공진기(200)와 도체판(240)간의 유전율, 단면적 및 거리가 가변되고 그러한 가변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1실시예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의 도체판(240)과 봉형상의 회전축(26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도체판과 회전축으로 이용할 부재를 준비하고, 해당 부재에 대해 절삭가공을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체판(240)의 편심에 회전축(26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260)을 회전시키는 경우 도체판(240)이 편심회전되도록 하고 그러한 경우 공진기(200)와 도체판(240)간의 유전율, 단면적 및 거리가 가변되고 그러한 가변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한편, 절삭가공 이외의 방법으로는 금형을 이용한 주물제작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도체판(240)과 회전축(260)은 알루미늄(Al), 철(Fe), 구리(Cu) 및 은(Ag)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거나, 황동에 은(Ag) 도금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240) 및 회전축(260)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판(240), 회전축(260) 및 제1, 제2조임부재(291)(292)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체판(240)은 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도체판(240)의 편심에 공진기(200) 배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도체판 홀(242)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26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260) 표면에 수나사(264)가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제2조임부재(291)(292)는 도체판(240)이 회전축(260)에 체결된 후, 회전축(264)에 형성된 수나사(264)와 결합되어 회전축(260)에서 도체판(24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260) 회전 시 도체판(240)이 미끄러지지 않고 회전축(26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체판(240)과 회전축(260) 역시 알루미늄(Al), 철(Fe), 구리(Cu) 및 은(Ag) 중 하나 이상의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거나, 황동에 은(Ag) 도금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240) 및 회전축(260)의 제3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판(240), 회전축(260) 및 키(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체판(240)의 편심에는 도체판 홀(242)이 형성되고, 도체판 홀(242)에 수직한 방향 일측으로 도체판 키 홀(244)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260)에는 도체판 키 홀(244)과 동일한 위치에 단속적으로 다수의 회전축 키 홈(266)이 형성되며, 키(310)에 의해 도체판 홀(242)에 회전축(260)을 끼우고, 도체판 키 홀(244)과 회전축 키 홈(266)에 키(Key)(310)를 삽입하여 압입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체판 키 홀(244)과 회전축 키 홈(266)을 키(31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도체판(240)과 회전축(260)의 결합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 및 회전축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튜너블 필터의 도체판(240) 및 회전축(260)의 제4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에 도체판 홀이 형성된 도체판(240)에 회전축(260)을 끼우고, 접착부재(270)로 도체판(240)을 회전축(260)에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착부재로(270)로는 솔더링재나 본딩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제3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도체판과 회전축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접착부재의 종류나 형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낸 회전축(260)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축(260)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축(260)에 도체판(240)을 끼우기 위한 도체판 홀(242) 역시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260)과 도체판 홀(242)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도체판(240)의 편심에 회전축(260)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도체판(240)이 보다 안정적으로 도체판(2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3에 나타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회전축 회전에 의한 도체판의 가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3에 나타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회전축 회전에 의한 도체판의 가변 위치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의 회전축 회전에 의한 도체판의 가변 위치의 예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6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회전축(260)의 회전에 따라 도체판(240)이 회전되고, 도체판(240)이 회전되는 것에 따라 슬라이스 홈(300)내에서 도체판(24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체판(24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계수 [S1.1]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체판(240)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공진기(200)와 도체판(240)간의 유전율, 단면적 및 거리가 가변되고 그러한 가변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의 주파수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5개의 공진기가 있는 필터를 예로 들었으나 공진기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체판 역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플레이트 중 하나의의 형상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형상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하우징 102 : 회전축 삽입홈
104 : 회전축 통과홀 120 : 입력 커넥터
140 : 출력 커넥터 160 : 격막
180 : 캐비티 200 : 공진기
220 : 커버 240 : 도체판
242 : 도체판 홀 244 : 도체판 키 홀
260 : 회전축 262 : 회전축 홈
264 : 수나사 266 : 회전축 키 홈
270 : 접착부재 280 : 하우징 결합 홈
291, 292 : 결합너트 300 : 슬라이스 홈
310 : 키 320 : 커버 결합 홀
340 : 결합나사

Claims (11)

  1.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동(cavity)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로부터 내부로 각각 끼워지는 입력측 커넥터 및 출력측 커넥터;
    상기 다수의 공동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측 및 출력측 커넥터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공진기;
    상기 공진기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공진기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함으로써 상기 공진기와의 거리를 가변시켜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홈과,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다른 일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기 다른 일측 끝단에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회전축 통과홀 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4.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공동(cavity)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로부터 내부로 각각 끼워지는 입력측 커넥터 및 출력측 커넥터;
    상기 다수의 공동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입력측 및 출력측 커넥터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공진기;
    상기 공진기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공진기 각각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함으로써 상기 공진기와의 거리를 가변시켜 주파수 및 대역폭을 조절하는 도체판;을 포함하되,
    상기 공진기의 상단부는 상기 도체판의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자 홈 형상의 슬라이스 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과 상기 회전축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체판 편심에는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도체판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도체판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도체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 홀이 형성된 결합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수나사는 상기 도체판이 위치하는 부분에 단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에는 도체판 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체판 홀에 수직한 방향에는 도체판 키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도체판 키 홀에 수직한 위치에 단속적으로 다수의 회전축 키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판 키 홀과 상기 회전축 키 홈에 키(Key)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도체판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과 상기 회전축은 접착부재에 의해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KR1020100104463A 2010-10-26 2010-10-26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KR10113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3A KR101137438B1 (ko) 2010-10-26 2010-10-26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3A KR101137438B1 (ko) 2010-10-26 2010-10-26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438B1 true KR101137438B1 (ko) 2012-04-20

Family

ID=4614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463A KR101137438B1 (ko) 2010-10-26 2010-10-26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4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959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KR2019001595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5309A (ja) * 1991-11-19 1993-06-11 Nec Corp 誘電体共振器
JPH0661706A (ja) * 1992-08-12 1994-03-04 Kokusai Electric Co Ltd 周波数可変フィルタ
JPH088647A (ja) * 1994-06-20 1996-01-12 Fujitsu General Ltd 発振周波数調整装置
KR20000026761A (ko) * 1998-10-23 2000-05-15 구관영 가변형 외장 노치 케이블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5309A (ja) * 1991-11-19 1993-06-11 Nec Corp 誘電体共振器
JPH0661706A (ja) * 1992-08-12 1994-03-04 Kokusai Electric Co Ltd 周波数可変フィルタ
JPH088647A (ja) * 1994-06-20 1996-01-12 Fujitsu General Ltd 発振周波数調整装置
KR20000026761A (ko) * 1998-10-23 2000-05-15 구관영 가변형 외장 노치 케이블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959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KR20190015958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KR101956222B1 (ko) 2017-08-07 2019-03-08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KR101956220B1 (ko) 2017-08-07 2019-03-08 주식회사 이너트론 통신 컴포넌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6027B1 (en) Cavity type wireless frequency filter having cross-coupling notch structure
US9887442B2 (en) RF filter for adjusting coupling amount or transmission zero
EP1732158A1 (en) Microwave filter including an end-wall coupled coaxial resonator
US20050212623A1 (en) Resonator filter
KR20130140724A (ko) 튜닝 가능한 고주파 필터
US20040041661A1 (en) Dielectric fil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US20030231086A1 (en) Dielectric resonator and high frequency circuit element using the same
US9812751B2 (en) Plurality of resonator cavities coupled by inductive apertures which are adjusted by capacitive parts
KR101137438B1 (ko) 회전가능한 도체판이 구비된 튜너블 필터
KR20170019876A (ko)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공진기
FI127061B (en) Radio frequency resonator tuning elements
JP6720742B2 (ja) 誘電体導波管型共振部品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KR101187644B1 (ko) 커플링 튜닝 플레이트를 구비한 대역저지필터
EP1315228A1 (en) Dielectric filter
KR20150021138A (ko) 3중 모드 필터
KR20100122231A (ko) 이중 공진기 구조의 rf 필터
KR20220122949A (ko) 유전체 세라믹 필터
KR102437331B1 (ko) 유전체 세라믹 필터
RU2602695C1 (ru) Полосно-заграждающий фильтр
KR101033506B1 (ko) 커플링 소자를 구비한 광대역 공진 필터
EP3796464A1 (en) Waveguide polarizer
JP2013009092A (ja) Tmモード共振器,tmモード共振器の特性調整方法
KR101137609B1 (ko) 간소한 튜닝 구조를 가지는 다중 모드 필터
KR20030013605A (ko) 공동형 대역저지 여파기
JP2004072730A (ja) 誘電体フィルタ、通信機器、共振周波数を制御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