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417B1 - 루프구조 - Google Patents

루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417B1
KR101137417B1 KR1020090060580A KR20090060580A KR101137417B1 KR 101137417 B1 KR101137417 B1 KR 101137417B1 KR 1020090060580 A KR1020090060580 A KR 1020090060580A KR 20090060580 A KR20090060580 A KR 20090060580A KR 101137417 B1 KR101137417 B1 KR 10113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panel
roof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006A (ko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102009006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4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4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folding of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2003/3617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locking or snapping edges locat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상부를 덮는 루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지지강성을 유지함과 더불어 그 시공성이 양호한 루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루프구조는,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는 상기 내측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양 측면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결합부를 가진 복수의 루프패널;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유닛; 및 상기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루프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밀폐하는 방수캡을 가진다.
루프, 외측플레이트, 내측플레이트, 접착층, 패널, 결합유닛

Description

루프구조{ROOF STRUCTURE}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상부를 덮는 루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지지강성을 유지함과 더불어 그 시공성이 양호한 루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루프(roof)라 함은 비?눈?이슬 등을 피하기 위해서 건물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덮개 또는 구조로서, 외부에 면해 있으므로 의장적(意匠的)으로 중요한 요소이며, 그 형상이나 마감재료는 건축물 외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루프는 벽체나 바닥과 더불어 건축공간을 구성하고, 외부로부터의 비?눈?이슬 등을 비롯해 온도?습도?음향?일광?바람?시선?외적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벽체와 같이 외부에 면해 있으므로 의장적(意匠的)으로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그 형상이나 마감재료는 건축물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루프구조는 복수의 루프패널들을 현장에서 결합시켜 시공하는 현장시공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특히 루프패널들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가장자리에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곡면형 루프구조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곡면형 루프구조는 곡률진 루프패널들을 연결함으로써 그 미려 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형 루프구조는 루프패널들 사이의 결합부에 밀봉성이 확보되어야 루프구조 내로 빗물, 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지지강성이 견고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곡면형 루프구조는 루프패널 자체의 강성이 낮을 경우 루프구조 전체의 지지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고, 또한 루프패널 사이의 결합부들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루프패널의 낮은 강성으로 인해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저항성 내지 방수성이 저하됨으로써 잦은 수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루프패널 자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루프패널 자체의 두께를 증대시키거나 루프패널 자체의 재질을 강성이 높은 고가의 재질을 적용하여야 하지만, 이 경우 그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시공 시에 그 가공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특히 루프패널의 곡면성형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곡면성형도를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루프패널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고, 루프패널 자체의 곡면성형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루프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패널의 가공성, 현장시공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루프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루프구조는,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는 상기 내측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양 측면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결합부를 가진 복수의 루프패널;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유닛; 및
상기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루프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밀폐하는 방수캡을 가진다.
상기 루프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부 각각은 루프패널의 측면가장자리에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된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부는 그 단부에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부에 평평한 폐쇄상면을 가지고, 상기 폐쇄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레그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레그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절곡부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상기 수직부의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라인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며,
상기 방수캡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방수캡의 상면이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방수캡의 측벽들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수직부를 감 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캡의 각 측벽은 그 단부들이 접혀져 중첩된 중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방수캡의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수직부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패널은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상면을 마감하는 상부 마감필름, 상기 단열층의 저면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패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마감패널은 복수의 산 및 골이 연속된 파형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마감패널의 산 및 골 중에서 어느 일영역에는 복수의 흡음재가 내장되며, 상기 흡음재와 인접한 하부 마감패널에는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마감패널은 하측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하측플레이트는 상기 상측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루프패널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고, 루프패널 자체의 곡면성형도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곡면형 루프구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패널의 가공성, 현장시공성 및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루프구조는 복수의 루프패널(10), 복수의 루프패널(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결합유닛(20, joint unit), 복수의 루프패널(10)들을 지지하는 지지패널(30)을 포함한다.
복수의 루프패널(10)들은 양 측면가장자리들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건물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각 루프패널(10)들은 도 1과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곡률로 곡률지게 형성된다. 각 루프패널(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탄부(11) 및 복수의 평탄부(11)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12)를 가지고, 각 리브(1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각 루프패널(10)의 양 측면가장자리(lateral edge)들에는 결합유닛(2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15, 16)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루프패널(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플레이트(101) 및 내측플레이트(102)의 2중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음과 더불어 고가의 재질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루프패널(10)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도 1과 같이 각 루프패널(10)은 그 길이방향으로의 곡면 성형시에 그 곡면 성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곡면형 루프구조를 보다 미려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측플레이트(101)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그 재질은 가공성(표면처리 및 표면가공성), 내식성, 외관성 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동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내측플레이트(10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 전체 성형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외측플레이트(101)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내측플레이트(10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저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외측플레이트(101) 및 내측플레이트(102) 사이에는 접착층(103)이 개재되고, 이 접착층(103)에 의해 외측플레이트(101)와 내측플레이트(102)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다.
접착층(103)은 에틸아세테이트, 아클리 코폴리머, 이소프로필 알코올,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세트 알데히드 등을 함유한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착층(103)은 외측플레이트(101)와 내측플레이트(102)의 접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다.
한편, 접착층(103)은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그 두께가 0.01~0.1mm 정도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측플레이트(101) 및 내측플레이트(102)의 접착 뿐만 아니라 루프패널(10)의 제진성, 흡음성, 단열성을 향상시킴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플레이트(101)는 내측플레이트(102) 보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가 재질인 외측플레이트(101)의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외측플레이트(101)의 두께는 0.1~0.4mm 정도이고, 내측플레이트(102)의 두께는 0.4~1.2mm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루프패널(10)은 외측플레이트(101) 및 내측플레이트(102)가 접착층(10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2중 복합플레이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루프패널(10)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으며서도 전체 지지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그 가공성 및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루프패널(10) 자체의 곡면 성형 시에 그 곡면성형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결합부(15)는 루프패널(10)의 일측 측면가장자리에 경사지게 연결된 제1경사부(151), 제1경사부(151)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1수직부(152), 제1수직부(152)에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된 제1절곡부(153)를 가진다.
제2결합부(16)는 루프패널(10)의 타측 측면가장리에 경사지게 연결된 제2경사부(161), 제2경사부(161)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수직부(162), 제2수직부(162)에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된 제2절곡부(163)를 가진다.
결합유닛(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루프패널(10a, 10b)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15, 16)들이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재(21), 결합부재(21)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2, base plate), 결합부재(21)의 상부에 체결구(28)를 통해 결합되는 방수캡(23)을 포함한다.
결합부재(21)는 베이스플레이트(22)를 따라 안내가능한 수직부(211) 및 수직부(211)의 상부에 연결된 결합부(212)를 가진다.
수직부(211)는 그 하부에 가이드부(211a)가 형성되며, 가이드부(211a)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결합부(212)는 오각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각형 단면구조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중공부(212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12)는 그 상부에 평평한 폐쇄상면(212b)이 형성되고, 이 폐쇄상면(212b)의 일측에는 체결구(28)가 체결되는 체결공(212c)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결합부(212)는 그 상부에 평평한 폐쇄상면(212b)을 가짐으로써 체결공(212c)의 형성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체결구(28)의 체결위치를 루프구조의 설치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212)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레그(215, 216)가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각 결합레그(215, 216)에는 루프패널(10)의 제1결합부(15) 및 제2결합부(16)의 제1 및 제2 절곡부(153, 163)가 끼움결합된다. 한편, 결합레그(215, 216)는 제1 및 제2 절곡부(153, 163)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절곡부(153, 163)는 결합레그(215, 216)에 보다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2)는 그 상면에 수직부(211)의 가이드부(211a)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21)을 가지고, 이 가이드홈(221)은 가이드부(211a)에 대응하는 곡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2)는 체결구(225)에 의해 지지패널(30)의 상면에 고정되고, 가이드홈(221)은 베이스플레이트(22)의 중심라인에서 편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221)의 편심 구조에 의해 체결구(225)는 그 체결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베이스플레이트(22)는 지지패널(30)의 상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방수캡(23)은 결합부재(21)의 결합부(212)에 체결되는 상면(231) 및 상면(231)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232, 233)을 가진다.
상면(231)은 체결구(28)를 통해 결합부재(21)의 결합부(212)에 체결되고, 이 체결구(28)의 단부는 결합부(212)의 체결공(212c)을 관통한 후에 결합부(212)의 중공부(212a) 내에 위치하게 된다.
방수캡(23)이 결합부재(21)측에 체결됨에 따라 측벽(232, 233)은 인접하는 루프패널(10a, 10b)들의 제1 및 제2 수직부(152, 162)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방수캡(23)은 결합부재(21)와 이 결합부재(21)에 결합된 제1 및 제2 결합부(15, 16)를 밀폐함으로써 그 밀봉성 내지 방수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방수캡(23)의 각 측벽(232, 233)은 그 단부들이 접혀져 중첩된 중첩가장자리(232a, 233a)를 가지고, 이 중첩가장자리(232a, 233a)는 제1 및 제2 수직부(152, 162)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측벽(232, 233)과 수직부(152, 162) 사이의 밀봉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측벽(232, 233)과 수직부(152, 162) 사이에는 실런트 등과 같은 실링재(252)가 개재됨으로써 그 밀봉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지지패널(30)은 루프패널(10) 및 결합유닛(20)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건물 의 대들보(37, purlin)측에 고정된다.
지지패널(30)은 단열재로 구성된 단열층(31), 단열층(31)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 마감필름(32), 단열층(31)의 저면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패널(33)을 포함한다.
단열층(31)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폼, 미네랄 울, 글래스 울 등과 같은 단열재로 구성된다.
상부 마감필름은 아스팔트 시트(asphalt sheet) 등과 같이 방수성, 찢김에 대한 저항성, 열적 안정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단열층(31)의 상면을 보다 견고하게 커버링할 수 있다.
하부 마감패널(33)은 단열층(31)의 저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일정 강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하부 마감패널(33)은 복수의 산(33a) 및 복수의 골(33b)이 연속된 파형구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산(33a) 및 복수의 골(33b) 중에서 어느 일부영역에는 복수의 흡음재(33c)가 내장되며, 흡음재(33c)에 인접한 부분에는 복수의 흡음공(33d)을 가진다. 이에 하부 마감패널(33)은 건물 내의 각종 소음에 대한 흡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마감패널(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플레이트(331) 및 상측플레이트(332)의 2중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음과 더불어 고가의 재질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하부 마감패널(33)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하측플레이트(331)는 건물의 실내 공간을 향해 노출되는 부분으로, 그 재질은 가공성(표면처리 및 표면가공성), 내식성, 외관성 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알 루미늄, 동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측플레이트(332)는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 전체 성형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하측플레이트(331)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상측플레이트(10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저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하측플레이트(331) 및 상측플레이트(332) 사이에는 접착층(333)이 개재되고, 이 접착층(333)에 의해 하측플레이트(331)와 상측플레이트(332)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다.
접착층(333)은 에틸아세테이트, 아클리 코폴리머, 이소프로필 알코올,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세트 알데히드 등을 함유한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착층(333)은 하측플레이트(331)와 상측플레이트(332)의 접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다.
한편, 접착층(333)은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그 두께가 0.01~0.1mm 정도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측플레이트(331) 및 상측플레이트(332)의 접착 뿐만 아니라 하부 마감패널(33)의 제진성, 흡음성, 단열성을 향상시킴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플레이트(331)는 상측플레이트(332) 보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가 재질인 하측플레이트(331)의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하측플레이트(331)의 두께 는 0.1~0.4mm 정도이고, 상측플레이트(332)의 두께는 0.4~1.2mm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부 마감패널(33)은 하측플레이트(331) 및 상측플레이트(332)가 접착층(33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2중 복합플레이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하부 마감패널(33)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으며서도 전체 지지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그 가공성 및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하부 마감패널(10) 자체의 곡면 성형 시에 그 곡면성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지패널(30)의 상부에는 복수의 결합유닛(2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각 결합유닛(20)에 의해 인접하는 루프패널(10a, 10b)들의 측면가장자리들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루프패널(10a, 10b)들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가장자리의 제1결합부(15) 및 제2결합부(16)가 결합유닛(2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지지패널(30)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결합유닛(20)의 결합부재(21) 측에 일측 루프패널(10a)의 제1결합부(15)와 타측 루프패널(10b)의 제2결합부(16)를 위치시킨 후에, 제1결합부(15)의 제1절곡부(153)와 제2결합부(16)의 제2절곡부(163)각각을 결합부재(21)의 각 결합레그(215, 216)에 끼움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결합부재(21)의 결합부(222)측에 방수캡(23)을 안착시킨 후에 체결구(28)를 통해 방수캡(23)의 상면(231)을 결합부(222)의 폐쇄상면(222b)에 체결한다.
이 때, 방수캡(23)의 측벽(232, 233)은 결합부재(21)의 각 결합레그(215, 216)에 끼움결합된 제1 및 제2 결합부(15, 16)의 제1수직부(152, 162)를 감싸고, 각 측벽(232, 233)의 중첩가장자리(232a, 233a)는 제1 및 제2 수직부(152, 162)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측벽(232, 233)과 수직부(152, 162) 사이의 밀봉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측벽(232, 233)과 수직부(152, 162) 사이에는 실런트 등과 같은 실링재(252)가 개재됨으로써 그 밀봉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부재(21)의 수직부(211)는 그 가이드부(211a)가 베이스플레이트(22)의 가이드홈(2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외부 온도조건의 변화에 따라 클립부재(21)가 루프패널(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온도변화에 따른 루프패널(10)의 수축 및 팽창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 외부 온도변화에 대해 매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취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루프패널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루프패널 20: 결합유닛
30: 지지패널

Claims (6)

  1. 삭제
  2.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는 상기 내측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양 측면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결합부를 가진 복수의 루프패널;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유닛; 및
    상기 루프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인접하는 루프패널들의 제1 및 제2 결합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루프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부를 밀폐하는 방수캡을 가지며,
    상기 루프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부 각각은 루프패널의 측면가장자리에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결된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연결된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부는 그 단부에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부에 평평한 폐쇄상면을 가지고, 상기 폐쇄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레그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레그에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절곡부가 끼움결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상기 수직부의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라인에서 편심되어 위치하며,
    상기 방수캡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벽을 가지며, 상기 방수캡의 상면이 상기 결합부재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방수캡의 측벽들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수직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캡의 각 측벽은 그 단부들이 접혀져 중첩된 중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방수캡의 측벽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각 수직부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상면을 마감하는 상부 마감필름, 상 기 단열층의 저면을 마감하는 하부 마감패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패널은 복수의 산 및 골이 연속된 파형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마감패널의 산 및 골 중에서 어느 일영역에는 복수의 흡음재가 내장되며, 상기 흡음재와 인접한 하부 마감패널에는 복수의 흡음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패널은 하측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하측플레이트는 상기 상측플레이트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구조.
KR1020090060580A 2009-07-03 2009-07-03 루프구조 KR10113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80A KR101137417B1 (ko) 2009-07-03 2009-07-03 루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580A KR101137417B1 (ko) 2009-07-03 2009-07-03 루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06A KR20110003006A (ko) 2011-01-11
KR101137417B1 true KR101137417B1 (ko) 2012-04-20

Family

ID=4361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580A KR101137417B1 (ko) 2009-07-03 2009-07-03 루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4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282A (en) * 1978-02-06 1980-07-22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al panel roofing structure
KR200342359Y1 (ko) * 2003-11-20 2004-02-18 한림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단열지붕 슬라이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3282A (en) * 1978-02-06 1980-07-22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al panel roofing structure
KR200342359Y1 (ko) * 2003-11-20 2004-02-18 한림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단열지붕 슬라이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06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6588B2 (ja) 遮熱建築物の構築方法および遮熱建築物
US9181692B1 (en) Covering system for a building substrate
KR101142111B1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20030008723A (ko) 철골구조 건축물용 석재 외벽 판넬 및 그 제조방법
US11230845B2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1137417B1 (ko) 루프구조
KR101137416B1 (ko) 스탠딩 심 루프구조
KR200426336Y1 (ko) 판넬 결합부 고정 캡
CN209494067U (zh) 钢结构厂房屋面变形缝构造
JP7214285B1 (ja) 木造建築物においてヒートブリッジを防止する外張り断熱透湿耐震構造
JP2008050886A (ja) 屋根の棟部の構造
JP6652390B2 (ja) 屋外用構造物および屋外用構造物の施工方法
JP7473366B2 (ja) 水切り部材及びその取り付け構造
JP3392384B2 (ja) 二重葺き外装構造
CN213062660U (zh) 一种屋面内天沟结构
KR101174043B1 (ko)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및 건축 구조물의 신설 지붕 건축 방법
KR200265329Y1 (ko) 곡면형 패널을 이용한 아치형 건축물
JPH10280565A (ja) 出隅構造
JP7130508B2 (ja) 腕木用防水金物、階間部防水構造及び連続庇を有する建物
JPH10306519A (ja) 断熱屋根及び断熱壁
KR20000018761U (ko) 건축용 조립식 단열지붕 구조체
JP3129665B2 (ja) 縦葺屋根板の接続構造
JP2003262012A (ja) 断熱パネル
KR101156693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지붕구조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