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92B1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Google Patents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6992B1 KR101136992B1 KR1020110010322A KR20110010322A KR101136992B1 KR 101136992 B1 KR101136992 B1 KR 101136992B1 KR 1020110010322 A KR1020110010322 A KR 1020110010322A KR 20110010322 A KR20110010322 A KR 20110010322A KR 101136992 B1 KR101136992 B1 KR 101136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girder
- bridge
- lower flange
- open
- psc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2435 Tendon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58 poly(methylsil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거더의 양측 단부나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를 개방시켜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우수하고, 시공성과 경제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다수개의 PSC 강선을 배치할 수 있고 단부측의 중립축 상승으로 텐던의 곡률반경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부측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중앙부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자중이 감소되고 중립축이 상부로 이동되어 박스 거더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단부측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다수개의 PSC 강선을 배치할 수 있고 단부측의 중립축 상승으로 텐던의 곡률반경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부측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중앙부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자중이 감소되고 중립축이 상부로 이동되어 박스 거더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단부측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의 현장타설 또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콘크리트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의 구조 효율성 증대 및 재료비 절감을 위해 양측 단부나 중앙부 하부플랜지 일부를 개방시킨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PSC BOX 거더는 비틀림 및 단면의 종횡방향 강성이 크고 내구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우수하여 국내외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교량형식이지만 타 형식에 비해 콘크리트의 중량이 너무 커 장지간장의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현장타설 PSC BOX 거더의 경우 MSS, ILM, FSM 공법으로 시공될 경우 60m 지간장이 일반적으로 최대이고, FCM 공법은 타 가설공법에 비해 장지간장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형고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 PSC 교량은 단면형상에 따라 BOX형 또는 I형 거더교량으로 나눌 수 있으며, BOX형이 I형 단면에 비해 단면 성능이 우수하여 장지간 교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프리캐스트 공법은 형고 증가 등 단면 확대로 인한 콘크리트 자중 증가로 인하여 프리캐스트 공법의 장점인 운반 및 가설에 대한 시공성 확보가 어렵고 공사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
또한 중소지간의 교량에 PSC BOX 거더교량을 적용할 경우 구조적으로 I형 거더교량에 비해 BOX형이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우수하나 BOX의 내부 폭 및 형고가 적어 시공시 품질관리 및 향후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우수하고, 시공성과 경제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거더의 양측 단부나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를 개방시킨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다수개의 PSC 강선을 배치할 수 있고 단부측의 중립축 상승으로 텐던의 곡률반경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부측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중앙부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의 상단에 PSC 강선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상기 박스 거더는, 자중이 감소되고 중립축이 상부로 이동되어 박스 거더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단부측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 거더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은 박스 거더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은, 하부플랜지의 일부 구간을 개방하여 제작함으로써, 자중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국내 콘크리트 계열 교량의 경간장이 다소 제한적인데 반해, 장경간 계획이 가능하며, 특히 단부 하부플랜지 개방형 BOX 거더교는 중앙부 하부플랜지에 추가 텐던 배치가 용이하고 긴장을 다단계로 하여 PSC 거더를 장경간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합단면에 비해 하부플랜지 개방형 단면은 중립측의 상승효과로 인해 하부플랜지부의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구조적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자중이 감소함으로써 콘크리트 및 보강재(철근, 강연성 등)의 감소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가설중량감소로 일반 프리캐스트 BOX교량에 비해 적은 크레인 용량으로도 가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를 개방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철저한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향후 BOX 내부의 주기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특히, 단부개방형의 경우 중앙부 개방형에 비해 강연선의 효율적인 배치(직선배치)가 가능하여 긴장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단순교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8은 도 5 및 도 6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단순교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2는 도 9 및 도 10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에 PSC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20의 (a)는 도 17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7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21의 (a)는 도 18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8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22의 (a)는 도 1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9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8은 도 5 및 도 6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단순교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2는 도 9 및 도 10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에 PSC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20의 (a)는 도 17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7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21의 (a)는 도 18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8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도 22의 (a)는 도 1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9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단순교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도 5 및 도 6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1)은 지반을 개착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공간에 복수개의 기초부(미도시)를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부의 상단에 교대 또는 교각(2)을 설치하고, 상기 교대 또는 교각(2)의 상단에 박스 거더(3)를 설치한다.
계속해서, 상기 박스 거더(3)의 상단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바닥판(5)을 설치하므로서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박스 거더(3)는 현장타설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의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1)으로서, 바닥판(5)을 별도로 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순교량과 연속교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단면의 형상은 단부측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고, 중앙부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박스 거더(3)를 통해 중앙부 하부플랜지에 추가적인 많은 수의 강연선 배치와 정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향상되어 장지간 거더의 건설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박스 거더(3)는 단부측의 중립축 상승으로 텐던의 곡률반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효율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에 피에스씨 강선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의 (a)는 도 17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7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며, 도 21의 (a)는 도 18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8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22의 (a)는 도 19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b)는 도 19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로서, 본 발명은 1회 일괄긴장을 할 수도 있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박스 거더(3)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3)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1회 일괄긴장과는 별도로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일 예가 제시된다.
먼저, 박스 하중 재하시 상기 박스 거더(3)의 양단부에 정착구를 두고 박스 거더(3)의 자중에 대해 1차적으로 PSC 강선(6)을 포물선 형상으로 긴장 후 정착시키고, 박스 거더(3)의 내부에서 슬래브 2차 타설 및 2차 고정하중에 대해 2차적으로 PSC 강선(6)을 포물선 형상으로 긴장 후 정착시킨 다음, 박스 거더(3)의 내부에서 활하중에 대해 3차적으로 PSC 강선(6)을 포물선 형상으로 긴장 후 정착시킴에 따라 박스 거더(3)의 단면효율을 극대화하여 형고와 자중을 줄임으로써, 1회 일괄긴장에 비해 단면효율을 극대화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경간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동바리 및 거푸집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래브 2차 타설 없이 박스 거더 본체와 슬래브를 일체로 타설하여 1차 긴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SC 강선(6)의 긴장단계 및 긴장횟수는 현장여건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박스 거더(3)에는 수직하중의 분배 및 웨브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격벽(4)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을 단순교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연속교형태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도 9 및 도 10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단순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쓰시 박스 거더교량을 세그먼트형의 연속교 형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은 도 13 및 도 14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며, 도 16은 도 13 및 도 14의 B-B의 단면을 도시한 도이다.
상기 도 9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1)은 지반을 개착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공간에 복수개의 기초부(미도시)를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부의 상단에 교대 또는 교각(2)을 설치하고, 상기 교대 또는 교각(2)의 상단에 박스 거더(3)를 설치한다. 상기 박스 거더(3)의 상단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바닥판(5)을 설치하므로서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박스 거더(3)는 현장타설 방식 또는 프리캐스트 방식의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으로서, 바닥판(5)을 별도로 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순교량과 연속교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단면의 형상은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고, 단부측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박스 거더(3)는 하부플랜지 인장응력 측면에서 가장 불리한 중앙부 일부구간을 개방시킴으로써, 자중이 감소 및 중립축이 상부로 이동되어 박스 거더(3)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으며, 구조적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에도 상기 제 1실시예 처럼 PSC 강선(6)을 통해 박스 거더(3)에 긴장력을 다단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은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적용된 박스 거더(3)를 공장 또는 현장에서 세그먼트형으로 분절 제작하고, 상기 세그먼트형으로 분절 제작된 박스 거더(3)의 양단에는 결합용 키(7)를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3)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 거더(3)의 세그먼트 형태 및 갯수는 경간구성, 가설중량 및 현장여건에 따라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1 : 교량 2 : 교각
3 : 박스 거더 4 : 격벽
5 : 바닥판 6 : PSC 강선
7 : 결합용 키
3 : 박스 거더 4 : 격벽
5 : 바닥판 6 : PSC 강선
7 : 결합용 키
Claims (4)
-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2)의 상단에 PSC 강선(6)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3)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 박스 거더(3)는,
다수개의 PSC 강선(6)을 배치할 수 있고 단부측의 중립축 상승으로 텐던의 곡률반경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단부측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중앙부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3)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6)은 박스 거더(3)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3)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대 또는 교각(2)의 상단에 PSC 강선(6)을 통해 긴장력이 도입된 박스 거더(3)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 박스 거더(3)는,
자중이 감소되고 중립축이 상부로 이동되어 박스 거더(3)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중앙부 하부플랜지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하고, 단부측 하부플랜지는 폐쇄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박스 거더(3)는 세그먼트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박스 거더(3)의 양단에는 인접한 다른 박스 거더(3)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키(7)가 더 구비되며,
상기 PSC 강선(6)은 박스 거더(3)의 양단부와, 박스 거더(3)의 내부 또는 하부플랜지에 정착구를 두고, 시공단계별 하중증가를 고려하여 긴장력이 단계적으로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322A KR101136992B1 (ko) | 2011-02-01 | 2011-02-01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0322A KR101136992B1 (ko) | 2011-02-01 | 2011-02-01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6992B1 true KR101136992B1 (ko) | 2012-04-19 |
Family
ID=461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322A KR101136992B1 (ko) | 2011-02-01 | 2011-02-01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699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200272A1 (ko) * | 2013-06-14 | 2014-12-18 | 우경기술주식회사 | 단면 강성이 증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거더 |
CN106480815A (zh) * | 2016-11-17 | 2017-03-08 | 盐城工学院 | 一种箱式桥梁拼装结构及安装方法 |
KR20210092369A (ko) | 2020-01-15 | 2021-07-2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현장 조립 기반 콘크리트 박스 거더 어셈블리, 그 박스 거더 어셈블리를 적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9449A (ja) | 2004-06-28 | 2006-01-12 | Kajima Corp |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
KR20060025221A (ko) * | 2006-02-15 | 2006-03-20 | 박영희 | 바닥판 콘크리트가 생략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물 및 이의 연속화 방법 |
KR20090068525A (ko) * | 2007-12-24 | 2009-06-2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교량 구조물 |
KR101013021B1 (ko) * | 2010-01-18 | 2011-02-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종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박스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2011
- 2011-02-01 KR KR1020110010322A patent/KR101136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9449A (ja) | 2004-06-28 | 2006-01-12 | Kajima Corp |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
KR20060025221A (ko) * | 2006-02-15 | 2006-03-20 | 박영희 | 바닥판 콘크리트가 생략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물 및 이의 연속화 방법 |
KR20090068525A (ko) * | 2007-12-24 | 2009-06-29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교량 구조물 |
KR101013021B1 (ko) * | 2010-01-18 | 2011-02-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종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박스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200272A1 (ko) * | 2013-06-14 | 2014-12-18 | 우경기술주식회사 | 단면 강성이 증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거더 |
CN106480815A (zh) * | 2016-11-17 | 2017-03-08 | 盐城工学院 | 一种箱式桥梁拼装结构及安装方法 |
CN106480815B (zh) * | 2016-11-17 | 2018-04-24 | 盐城工学院 | 一种箱式桥梁拼装结构及安装方法 |
KR20210092369A (ko) | 2020-01-15 | 2021-07-2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현장 조립 기반 콘크리트 박스 거더 어셈블리, 그 박스 거더 어셈블리를 적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36890A (ko) |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20010036486A (ko) | 다단계 긴장식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설계 방법 및 거더의 제조방법 | |
KR100511216B1 (ko) | 아치형상의 콘크리트 충전 강재 합성거더와 긴장재로 이루어진 복합거더 | |
KR20160150155A (ko) | 고강도 경량콘크리트의 분할타설에 의한 fcm 교량시공방법 | |
KR100728106B1 (ko) |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030128B1 (ko) |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 |
KR100974305B1 (ko) |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 |
KR101136992B1 (ko) | 개방형 하부플랜지 피에스씨 박스 거더 교량 | |
KR101973240B1 (ko) |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타입 교량의 부모멘트구간의 슬래브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시공법 | |
KR101169012B1 (ko) | Psc 박스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12759B1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 |
KR102183909B1 (ko) |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 |
KR20140012805A (ko) | 바이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형 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069840A (ko) | 프리캐스트 패널과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 방법 | |
KR101344219B1 (ko) | 횡방향 긴장력이 도입되어 종방향 압축강도가 증진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
KR20090012491A (ko) |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구비한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 및 그시공방법 | |
KR101198376B1 (ko) | 에프씨엠 교량의 주두부 시공방법 | |
KR20130090709A (ko) |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0969357B1 (ko) | 하부가 개방되고 지지격벽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단순교 또는 연속교 시공방법 | |
KR200342287Y1 (ko) |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강합성빔의 설치구조 | |
KR100650158B1 (ko) |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93646B1 (ko) | 아치형 지점부 연결부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2206777B1 (ko) | 개구형 단경간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2145559B1 (ko) | 종방향 위치와 긴장 단계에 따른 하부플랜지의 강성 조절 방식의 psc u형 거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되는 교량 | |
KR101123935B1 (ko) | 정착장치가 형성된 파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