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814B1 -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814B1
KR101136814B1 KR1020100122953A KR20100122953A KR101136814B1 KR 101136814 B1 KR101136814 B1 KR 101136814B1 KR 1020100122953 A KR1020100122953 A KR 1020100122953A KR 20100122953 A KR20100122953 A KR 20100122953A KR 101136814 B1 KR101136814 B1 KR 10113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locity field
shear rate
blood flow
velo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호성
강명진
지은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1Velocity or travel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36Flow rate, liquid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은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입자영상 속도계측(PIV) 기법을 이용하여 혈관 내를 유동하는 적혈구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2개의 혈류유동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촬영된 각 영상에서 관찰된 적혈구 위치의 변위와 두 영상의 촬영시간 간격으로부터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복수개의 순간 속도장을 평균한 평균 속도장으로부터 커브 피팅 후 혈관의 반경 방향 좌표 함수인 속도장 분포함수
Figure 112012010241511-pat00018
를 결정하는 3단계; 상기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
Figure 112012010241511-pat00013
를 결정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결정된 전단율로부터 혈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하여 질병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The measurement method on hemorheologic parameters from blood flow using Red Blood Cells as tracing particles}
본 발명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기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여러 가지 인자 중에서 혈액 유변학적 인자에 대한 정략적 정보를 생체 유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 있는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영상유속계(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기법을 이용하여 구한 혈류유동 속도장으로부터 전단율을 결정할 수 있는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유변학(Hemorheology)은 혈액이 지니고 있는 생물학적/화학적 특성과 혈류유동 사이의 상호작용과 혈관질환의 발생기전에 대한 기전학적 연구에서의 관계를 다루는 매우 중요한 분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혈액이 지니고 있는 성분의 특성에 의한 혈구의 변형성, 혈류유동에 의해 형성되는 혈관 벽과의 상호 작용을 다루는 학문이다. 혈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로는 적혈구의 응집성(Aggregation), 용적률(Hematocrit), 변형성(Deformability), 점도(Viscosity) 그리고 전단율(Shear Rate), 벽면 전단응력(Wall Shear Stress) 등이 있다.
그런데 특정 질병을 가지는 환자의 혈액은 정상인의 혈액과 다른 혈액 유변학적 특성(Hemorheological properties)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구의 변형성에 대한 변화가 정상혈액과 차이가 있으며, 말라리아에 감염된 환자의 경우 혈구의 응집성이 정상혈액과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적혈구의 응집성의 변화와 혈액의 점도의 상호작용은 혈류유동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혈액 내의 지질 성분 변화에 따라 혈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혈관의 기하학적 형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영역에서 혈액의 흐름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고혈압, 신경장애, 동맥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도 혈액의 점도가 정상인의 점도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적혈구의 용적율은 적혈구가 혈액 중에서 차지하는 체적비율을 말한다. 적혈구 용적율이 커지는 경우에도 혈액의 점도가 커진다. 빈혈 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적혈구 용적율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적혈구의 변형성은 유동에 의해 형성되는 전단력과 같은 힘에 의해 적혈구가 변형되는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조혈모세포로부터 생성된 신선한 적혈구는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며, 혈관계를 순환한지 오랜 기간이 경과한 적혈구의 경우 탄력성이 급격하게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적혈구는 탄력성이 좋은 유연한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혈액 속에 있는 적혈구의 모양은 쉽게 변형이 가능하여 적혈구보다 크기가 작은 모세혈관 속으로 적혈구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혈구가 경화되어 변형성이 떨어지는 경우 신진대사 작용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며, 말초혈관 질환을 포함하여 각종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편, 혈액의 전단율이 커지면 혈관의 내막에 있는 혈소판 당단백질의 일부가 혈관벽으로부터 빠져나와 혈액 속의 혈소판과 달라붙어서 혈관 내벽에 고착된다. 이것은 혈관의 직경이 갑자기 감소하는 협착을 발생시키고 유로를 좁히는 결과를 초래하여 각종 질병을 야기한다.
따라서 혈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하는 것은 환자의 질병을 초기에 진단하고 진행과정에 대한 예후 판단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협착 부위에서의 혈액 유동의 유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순환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래 혈액 유변학적 인자들 중 점도, 응집력, 용적율 등과 질병과의 상관관계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전단율, 전단 응력이 질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그리고 유체의 전단율이나 전단 응력을 구하는 것은 유체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종래 혈액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문헌들이 다수 있다. 초음파나 방사선을 이용하여 적혈구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복잡한 장비가 필요하고 시간적, 비용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PIV 기법에 의해 구해진 혈관 내의 적혈구 혈류유동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을 결정하여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를 분석함으로써 질병을 판단, 예측할 수 있는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입자영상 속도계측(PIV) 기법을 이용하여 혈관 내를 유동하는 적혈구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2개의 혈류유동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촬영된 각 영상에서 관찰된 적혈구 위치의 변위와 두 영상의 촬영시간 간격으로부터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복수개의 순간 속도장을 평균한 평균 속도장으로부터 커브 피팅 후 혈관의 반경 방향 좌표 함수인 속도장 분포함수
Figure 112012010241511-pat00001
를 결정하는 3단계; 상기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
Figure 112012010241511-pat00002
를 결정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결정된 전단율로부터 혈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하여 질병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IV를 이용한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PIV를 이용하여 결정된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을 구함으로써 혈액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하여 혈관 질환을 진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질병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경동맥이나 관상동맥에 적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질환을 진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활용하여 혈류유동 영상에서 순간 속도장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협착이 발생한 실제 환자의 관상동맥 모형을 대상으로 혈관 내부의 혈류유동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림.
도 4는 혈관의 반경에 따른 속도분포와 전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활용하여 혈류유동 영상에서 순간 속도장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1단계와 2단계는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기법에 의한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PIV는 입자영상 속도계측이라고도 하는데, 시간 간격 t 동안 움직인 추적입작드의 변위 정보를 영상입력장치에 저장한 후, 디지털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입자변위를 계측하고 시간 간격 t로 나누어줌으로써 속도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먼저, 1단계는 혈류유동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보통 적절한 추적입자를 선정하고,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레이저 평면광을 만들어 계측하고자 하는 유동평면을 조사하며, CCD 카메라와 같은 영상입력장치를 평면광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입자 영상을 취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활용하여 속도장을 추출한다. 적혈구는 혈관 내부를 흐르는 혈액 중에서 가장 많은 체적 비율을 차지하며 백혈구와 달리 자체적인 운동성을 지니지 않고 혈액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므로 PIV 기법에서 추적입자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혈관 내부를 흐르는 적혈구에 대하여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2개의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촬영된 2장의 원본 영상 중 일부 관심 있는 영역만을 한정하는 창을 선정한다.
이때, 사람의 혈관 내부를 직접 촬영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은 종래의 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실제 사람의 혈관은 피부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므로 투과하여 촬영할 수 있는 특수한 장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장비에 대한 구체적인 원리와 기능, 구조에 대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2단계는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1단계에서 촬영되어 저장된 각 영상에서 관찰되는 추적입자인 적혈구의 위치 변화량인 변위와, 촬영 시간 간격으로부터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에서 관찰되는 적혈구가 제2 영상에서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3
만큼 변위가 발생하는데, 여기에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4
로 나누어 줌으로써 순간 속도장을 계산한다.
순간 속도장 계산은 알려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기초한 상호상관기법(Cross Correlation)을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3단계는 상기 2단계에서 계산된 순간 속도장을 평균하여 평균 속도장을 결정하고 이로부터 혈관의 특정 위치의 속도장 분포함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2단계에서 혈관의 특정 위치에서 촬영하는 작업을 수회 실시하여 얻어진 다수개의 순간 속도장을 평균하여 평균 속도장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평균 속도장으로부터 혈관의 특정 위치의 단면에서 속도장 분포를 알 수 있게 되며 이를 근거로 적절한 속도장 분포함수는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5
와 같이 혈관의 반경 혹은 폭과 같은 횡방향 좌표의 함수로 나타내질 수 있다. 여기서, U는 속도장 분포함수, r은 혈관의 반경을 나타낸다.
실제, 획득한 다수개의 평균 속도장 데이터로부터 커브 피팅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포물선 형태의 속도장 분포함수를 매끄럽게 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 결정된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전단율은 유체의 두 평행면 사이의 속도차를 의미하는데, 전단율이 크다는 의미는 유속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단율의 특성으로부터 유체의 유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혈관 내의 전단율 변화로부터 혈액의 유동 특성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질병이 있는 혈관을 판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전단율은 앞서 결정된 속도장 분포함수 U를 r에 대하여 1차 미분함으로써 얻어지며,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6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7
는 혈관의 특정 위치의 단면에서의 전단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5단계는 상기 4단계에서 결정된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인 전단율로부터 질병을 진단하고 예측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정상인 혈관의 전단율과 질병이 있는 비교 분석 대상 혈관의 전단율을 비교하여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미세 협착관 내부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X는 주 유동방향이고, Y는 반경 유동방향이다.
또 도 4는 혈관의 반경에 따른 속도분포와 전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서 Umax는 최대 속도이고 u는 속도 분포함수이며, R은 혈관 측정 단면의 반경이고 r은 반경 방향 좌표이다. 그리고 적색 그래프와 청색 그래프는 유량에 따른 속도분포와 전단율 분포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질병이 발생하여 혈관 내부에 유로가 좁아지는 협착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협착 부분에서 최대속도를 가짐을 볼 수 있다.협착 입구에서 유속이 가속되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목(Neck) 부분에서 최대값을 가진 후 하류로 나아감에 따라 반경이 커져 유속이 급격히 감소한다.
또 협착의 중심으로 진행될수록 전단율이 커지고, 도 4를 참조하면, 벽면에 근접할수록 커진다.
즉, 질환이 생겨 협착이 생긴 혈관에서 혈액의 유동 특성은 속도가 커지고 전단율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단율로부터 어떤 질환이 존재한다고 진단하거나 그러한 증상이 전단율의 변화로부터 미래의 질환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 중에 전단율 외에 점성계수, 벽면전단 응력도 속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들의 변화에 따라 여러 질병의 진단, 예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 질병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경동맥이나 관상동맥에 적용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질환을 진단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U : 속도장 분포함수
r : 혈관의 반경
Figure 112010079937369-pat00008
: 전단율

Claims (1)

  1. 혈액의 유변학적 인자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입자영상 속도계측(PIV) 기법을 이용하여 혈관 내를 유동하는 적혈구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2개의 혈류유동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촬영된 각 영상에서 관찰된 적혈구 위치의 변위와 두 영상의 촬영시간 간격으로부터 순간 속도장을 계산하는 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계산된 복수개의 순간 속도장을 평균한 평균 속도장으로부터 커브 피팅 후 혈관의 반경 방향 좌표 함수인 속도장 분포함수
    Figure 112012010241511-pat00009
    를 결정하는 3단계;
    상기 속도장 분포함수로부터 전단율
    Figure 112012010241511-pat00010
    를 결정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결정된 전단율로부터 혈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판단하여 질병을 진단하거나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단, U는 속도장 분포함수, r은 혈관의 반경,
    Figure 112012010241511-pat00011
    는 전단율)
KR1020100122953A 2010-12-03 2010-12-03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KR10113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953A KR101136814B1 (ko) 2010-12-03 2010-12-03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953A KR101136814B1 (ko) 2010-12-03 2010-12-03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814B1 true KR101136814B1 (ko) 2012-04-19

Family

ID=4614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953A KR101136814B1 (ko) 2010-12-03 2010-12-03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81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09B1 (ko) 2012-06-18 2014-0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 혈액 순환 장치, 및 심혈관 질환 연구 방법
WO2014061868A1 (ko) 2012-10-17 201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체의 동적 변화 산출 장치 및 방법
DE102015011062A1 (de) 2015-08-27 2017-03-02 Matthias F. Carlsohn Partikelbildgeschwindigkeitsmessung mit plenoptischer Kamera an transparenten dreidimensional gedruckten Kunstharzmodellen von zerebralen Gefäßsystemen mit Aneurysmen zur Strömungsanalyse als Qualitätskontrolle von Implantaten wie Stents, Coils und Flow Diverter
KR20200135041A (ko) * 2019-05-24 2020-12-02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정량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35042A (ko) * 2019-05-24 2020-12-02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0242000A1 (ko) * 2019-05-24 2020-12-03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정량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41323A (ko) * 2019-06-10 2020-12-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20220047946A (ko) * 2019-05-24 2022-04-19 서울대학교병원 마크로파지-1 항원 억제제를 포함하는 폐 손상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044A (en) 1992-11-24 1994-07-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Fluorescent image tracking velocime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044A (en) 1992-11-24 1994-07-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Fluorescent image tracking velocimet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1999.08) *
논문2(2010.03) *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09B1 (ko) 2012-06-18 2014-01-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외 혈액 순환 장치, 및 심혈관 질환 연구 방법
WO2014061868A1 (ko) 2012-10-17 201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체의 동적 변화 산출 장치 및 방법
US9424631B2 (en) 2012-10-17 2016-08-2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dynamic variation of object
DE102015011062A1 (de) 2015-08-27 2017-03-02 Matthias F. Carlsohn Partikelbildgeschwindigkeitsmessung mit plenoptischer Kamera an transparenten dreidimensional gedruckten Kunstharzmodellen von zerebralen Gefäßsystemen mit Aneurysmen zur Strömungsanalyse als Qualitätskontrolle von Implantaten wie Stents, Coils und Flow Diverter
WO2020242000A1 (ko) * 2019-05-24 2020-12-03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정량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35042A (ko) * 2019-05-24 2020-12-02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35041A (ko) * 2019-05-24 2020-12-02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정량화 방법 및 장치
KR102354222B1 (ko) * 2019-05-24 2022-01-21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4786B1 (ko) 2019-05-24 2022-02-21 서울대학교병원 미세순환 정량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47946A (ko) * 2019-05-24 2022-04-19 서울대학교병원 마크로파지-1 항원 억제제를 포함하는 폐 손상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3078B1 (ko) 2019-05-24 2023-08-04 서울대학교병원 마크로파지-1 항원 억제제를 포함하는 폐 손상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1323A (ko) * 2019-06-10 2020-12-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2248444B1 (ko) 2019-06-10 2021-05-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14B1 (ko) 적혈구를 추적입자로 이용한 혈류유동의 혈액 유변학적 인자 추정방법
Vennemann et al. In vivo whole-field blood velocity measurement techniques
Malinauskas et al. FDA benchmark medical device flow models for CFD validation
Yeom et al. Microfluidic-based speckle analysis for sensitive measurement of erythrocyte aggregation: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for detection of elevated erythrocyte aggregation in diabetic rat blood
CN105474264B (zh) 用于交互地分割在血管造影图像数据中的血管的分割装置
Yeom et al. Changes in velocity profile according to blood viscosity in a microchannel
Korin et al. Theoretical model and experimental study of red blood cell (RBC) deformation in microchannels
Lee et al. Micro-PIV measurements of blood flow in extraembryonic blood vessels of chicken embryos
CN109843161A (zh) 用于确定针对狭窄评估的功能指数的装置
Patrick et al. Cellular-level near-wall unsteadiness of high-hematocrit erythrocyte flow using confocal μPIV
Malek et al. Impact of retinal vascular tortuosity on retinal circulation
Raz et al. DPIV prediction of flow induced platelet activation—comparison to numerical predictions
Yi et al. Hemodynamic characteristics in a cerebral aneurysm model using non-Newtonian blood analogues
Shih et al. Hemodynamic analysis of capillary in finger nail-fol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image estimation
Yeom et al. Hybrid system for ex vivo hemorheological and hemodynamic analysis: A feasibility study
Harabis et 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indicator dilution models for bolus of ultrasound contrast agents
Liu et al. Computational modeling of biomechanics and biorheology of heated red blood cells
JP4474530B2 (ja) 血液力学特性測定装置
Hidayatullah et al. Automatic sperm motility measurement
Buchmann Development of particle image velocimetry for in vitro studies of arterial haemodynamics
Barrere et al. Lagrangian mixing of pulsatile flows in constricted tubes
Gusenbauer et al. Sensing platform for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blood cell mechanical stress and activation in microfluidics
Kang Simultaneous measurement method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erythrocyte deformability in resource-limited settings
JP2010042283A (ja) 血液力学特性測定装置
Mehri Red Blood Cell Aggregation Characterization: Quantification and modeling implications of red blood cell aggregation at low shear 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