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88B1 - 스핀들 모터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288B1
KR101135288B1 KR1020100090341A KR20100090341A KR101135288B1 KR 101135288 B1 KR101135288 B1 KR 101135288B1 KR 1020100090341 A KR1020100090341 A KR 1020100090341A KR 20100090341 A KR20100090341 A KR 20100090341A KR 101135288 B1 KR101135288 B1 KR 10113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turn table
spindle motor
streng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487A (ko
Inventor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288B1/ko
Priority to CN201110273959.9A priority patent/CN102403003B/zh
Priority to US13/233,526 priority patent/US8607256B2/en
Publication of KR2012002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스핀들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광 디스크를 서포트 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턴 테이블 및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광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정렬하는 조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턴 테이블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주변을 따라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드라이버는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를 기록한다. 광 디스크 드라이버는 광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 및 고속으로 회전되는 광 디스크의 트랙에 데이터를 저장 및 광 디스크의 트랙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광 픽업 모듈을 포함한다.
스핀들 모터는 광 디스크를 서포트하기 위해 회전축에 결합된 턴 테이블 및 턴 광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회전축에 정렬하기 위한 조심 유닛을 포함한다.
턴 테이블은 회전축에 압입 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반면 조심 유닛은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업-다운된다. 즉, 조심 유닛 및 회전축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에는 턴 테이블이 먼저 결합 되고 조심 유닛은 턴 테이블이 결합된 후 회전축에 결합 된다.
한정된 길이를 갖는 회전축에 턴 테이블 및 조심 유닛이 함께 결합됨에 따라 턴 테이블 및 회전축의 결합 면적(또는 접촉 면적)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턴 테이블 및 회전축의 결합 강도 감소, 턴 테이블 및 회전축의 회전 슬립 발생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턴 테이블의 두께를 증가시켜 회전축 및 턴 테이블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킬 경우 스핀들 모터의 전체 사이즈가 증가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부피 또는 두께 증가 없이 턴 테이블 및 회전축의 결합 강도를 향상 시킨 스핀들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스핀들 모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광 디스크를 서포트 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턴 테이블; 및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광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정렬하는 조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턴 테이블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주변을 따라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의하면, 회전축에 압입 되는 턴 테이블에 강도 보강부를 형성하여 회전축 및 턴 테이블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회전축 및 턴 테이블의 회전 슬립을 방지 및 회전축에 대하여 턴 테이블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도중 발생되는 데이터 읽기 에러 또는 데이터 쓰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턴 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턴 테이블의 강도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적용된 턴 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턴 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핀들 모터(700)는 회전축(410)이 형성된 스핀들 모터부(450), 턴 테이블(600) 및 조심 유닛(650)을 포함한다.
스핀들 모터부(450)는 베이스 플레이트(10), 고정자(350) 및 회전자(4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후술 될 고정자(350)와 결합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는 버링홀이 형성된 버링부(15)가 형성된다.
고정자(350)는 베어링(100), 베어링 하우징(200), 코어(310) 및 코일(320)을 포함한다.
베어링(100)은 회전축공(1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베어링(100)은 후술 될 회전자(400)를 고속 회전시키기 위한 오일 함침 소결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200)은 상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어링 하우징(200)은 바닥판(210) 및 측벽(220)을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200)의 바닥판(210)은,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210)의 상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00)이 배치된다. 스러스트 베어링(500)은 후술 될 회전자(400)의 회전축(410)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 하우징(200)의 측벽(220)은 베어링(10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측벽(220)은 바닥판(210)의 에지로부터 베어링(1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측벽(220)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어링(100)은 측벽(220)의 내부로 삽입된다. 베어링(100)은 베어링 하우징(200)에 압입 될 수 있다.
코어(310)는 개구를 갖는 복수개의 철편들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코어(310)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를 이용하여 코어(310)는 베어링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압입 된다.
코일(320)은 코어(310)에 형성된 권선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코어(310)에 권선 된다. 코어(310)에 권선된 코일(320)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코일(320)로부터는 자기장이 발생 된다.
회전자(400)는 회전축(410), 요크(420) 및 마그네트(430)를 포함한다.
회전축(410)은 베어링(100)의 회전축공(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축(410)의 하측 단부는, 예를 들어, 곡면으로 가공되며, 회전축(410)은 베어링 하우징(200)의 바닥면(210)에 배치된 스러스트 베어링(500)과 점 접촉된다.
요크(420)는 원판 형상을 갖는 요크 상판(422) 및 요크 상판(422)으로부터 코어(310)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절곡 된 요크 스커트부(424)를 포함한다. 요크 상판(422)의 중앙부에는 회전축(410)의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회전축(410)에 압입되는 요크 버링부(425)가 형성된다.
요크 상판(422)의 내측면과 대향 하는 베어링 하우징(200)의 플랜지부에는 흡입 마그네트(427)가 배치되며, 흡입 마그네트(427)에 의하여 요크 상판(422)에 인력이 가해지고 인력에 의하여 요크 상판(422)의 부상이 방지된다.
마그네트(430)는 요크 스커트부(424)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마그네트(430)로부터 발생 된 자기장 및 코어(310)에 권취 된 코일(320)로부터 발생 된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 된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하여 회전자(400)는 고정자(300)에 대하여 회전된다.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면, 턴 테이블(600)은 요크(420)의 요크 상판(422) 상에 배치되며, 턴 테이블(600)은 회전축(410)에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턴 테이블(600)은 회전축(410)의 외주면에 압입 되고, 이로 인해 턴 테이블(600)은 회전축(410)과 함께 회전된다.
턴 테이블(600)은 몸체(605), 내륜(607), 외륜(609), 커버 부재(610) 및 볼(ball;630)을 포함한다.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는 바닥판(601) 및 측면판(602)을 포함한다. 바닥판(601)은 원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판(602)은 바닥판(601)의 에지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된다. 바닥판(601) 및 측면판(602)에 의하여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에는 오목한 수납부가 형성된다.
몸체(605)의 바닥판(601)의 중앙부에는 바닥판(601)의 상면 및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601a)이 형성된다. 관통홀(601a)의 직경은 회전축(410)의 직경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410)은 몸체(605)의 바닥판(601)에 압입 된다.
턴 테이블(605)의 몸체(605)가 회전축(410)에 압입 됨으로써, 턴 테이블(605)은 회전축(410)과 함께 회전된다.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의 내륜(607) 및 외륜(609)은, 예를 들어, 몸체(605)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에 형성된다. 내륜(607) 및 외륜(609)은 각각 몸체(605)의 관통홀(601a)과 동심축 상에 배치된다.
몸체(605)에 형성되는 내륜(607)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직경 및 지정된 높이를 갖는 원형 펜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605)에 형성되는 외륜(609)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 및 지정된 높이를 갖는 원형 펜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륜(607) 및 외륜(609)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며, 내륜(607) 및 외륜(609)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내륜(607) 및 외륜(609)에 의하여 내륜(607) 및 외륜(609) 사이에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수납공간인 환형 트랜치가 형성되고, 환형 트랜치 내부에는 볼(630)들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볼(630)들은, 예를 들어, 3 개 내지 10 개가 환형 트랜치 내로 제공된다.
볼(630)들은, 내륜(607) 및 외륜(609) 사이의 트랜치를 따라 회전되며, 볼(630)들은 회전하는 몸체(605)의 편심부의 반대 부분에 배치되어 턴 테이블(600) 및 턴 테이블(600) 상에 장착된 디스크에 의하여 발생된 편심을 보상한다.
커버 부재(610)는 내륜(607) 및 외륜(609)을 덮고, 커버 부재(610)는 내륜(607) 및 외륜(609) 사이의 트랜치에 수납된 볼(630)들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턴 테이블 몸체(60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 부재(61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내륜(607) 및 외륜(609)을 덮는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610)의 내측면에는 소정 마찰력을 갖는 환형 펠트(felt)가 배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조심 유닛(650)은 조심 유닛 몸체(658), 백 요크(651) 및 마그네트(652)를 포함한다.
조심 유닛 몸체(658)는 회전축(410)에 삽입되며, 회전축(410)에 삽입된 조심 유닛 몸체(658)는 턴 테이블(600) 상에 배치된다.
조심 유닛 몸체(658)는 바닥판(655) 및 측면판(657)을 포함한다. 바닥판(655)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닥판(655)의 중심부에는 바닥판(655)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직경은 회전축(4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조심 유닛 몸체(658)는 회전축(410)의 축 방향을 따라 업-다운 된다.
측면판(657)은 바닥판(655)의 상면 에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측면판(657)에는 조심편(657a)이 형성된다. 조심편(657a)은 측면판(657)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연장되며, 조심편(657a)은 광 디스크의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측면을 가압하여 광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회전축(410)의 회전 중심에 정렬한다.
조심 유닛 몸체(658)의 바닥판(655) 및 측면판(657)에 의하여 조심 유닛 몸체(658)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백 요크(651)는 조심 유닛 몸체(658)의 수납 공간 내에 배치되며 백 요크(651)는 조심 유닛 몸체(658)의 바닥면(655) 상에 배치된다. 백 요크(651)는 바닥판(655)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결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백 요크(651)의 관통홀은 회전축(41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마그네트(652)는 백 요크(651) 상에 배치되며, 마그네트(652)는 백 요크(651)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700)의 회전축(410)에는 턴 테이블(600) 및 조심 유닛(650)이 순차적으로 결합 되는데, 조심 유닛(650)에 의하여 턴 테이블(600) 및 회전축(410)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이로 인해 턴 테이블(600)이 회전축(410)에 대하여 회전되거나 턴 테이블(600)이 회전축(410)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축(410) 및 턴 테이블(6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에는 강도 보강부(603)가 형성될 수 있다.
강도 보강부(603)는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 및 회전축(4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보다 향상시켜 턴 테이블(600)이 회전축(410)에 대하여 회전되거나 턴 테이브(600)이 회전축(41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강도 보강부(603)는, 예를 들어, 조심 유닛(650)과 마주하는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강도 보강부(603)는 회전축(410)과 접촉되는 몸체(605)로부터 회전축(4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다. 강도 보강부(603)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도 보강부(603)는,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변이 회전축(410)에 접촉되는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강도 보강부(60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410)의 주변으로부터 회전축(410)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는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강도 보강부(603)는 제2 두께(T2)로 형성된다.
회전축(410)은 몸체(605)의 제1 두께(T1) 및 강도 보강부(603)의 제2 두께(T2)를 합한 제3 두께(T3)로 형성된다. 따라서, 턴 테이블(600) 및 회전축(410)의 접촉 면적은 증가 되고, 이로 인해 턴 테이블(600) 및 회전축(410)의 회전 슬립 또는 턴 테이블(600)이 회전축(41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턴 테이블의 강도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강도 보강부(603a)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회전축(4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강도 보강부(603a)는,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강도 보강부(603a)는,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사분의 일 원 형상, 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의 상면에 강도 보강부(603)가 돌출될 경우, 조심 유닛(650)의 조심 유닛 몸체(658) 및 턴 테이블(600) 사이의 간격이 강도 보강부(603)에 의하여 좁아지고 이로 인해 조심 유닛(650)의 업-다운 동작이 강도 보강부(603)에 의하여 영향받을 수 있다.
또한, 조심 유닛(650)이 업-다운 동작 될 때 강도 보강부(603)에 의하여 조심 유닛(650)이 기울어져 광 디스크와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도 보강부(603)가 형성된 턴 테이블(600)이 조심 유닛(65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와 마주하는 조심 유닛(650)의 바닥판(655)의 하면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656)가 형성된다.
수납부(656)는 조심 유닛(650)의 바닥판(655)의 하면으로부터 바닥판(655)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수납부(656)의 형상은, 예를 들어, 턴 테이블(600)에 형성된 강도 보강부(60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부(603)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수납부(656)의 단면은 강도 보강부(603)에 대응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부(603a)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수납부(656)의 단면은 강도 보강부(603a)에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부(603a) 및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가 회전축(410)과 접속되는 길이(T3)는 수납부(656)가 형성된 조심 유닛(650)의 바닥판(655)의 두께(T4)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턴 테이블(600)의 몸체(605)에 형성된 강도 보강부(603)와 접촉되는 회전축(410)의 외주면 및 조심 유닛(650)에 형성된 수납부(656)에 의하여 형성된 바닥판(655) 사이의 간격(D)는 회전축(410)에 압입된 요크 버링부(42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적용된 턴 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턴 테이블은 강도 보강부를 제외하면 앞서 도 2에 도시된 턴 테이블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상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턴 테이블(600)은 관통홀(601a)이 형성된 바닥판(601) 및 측면판(602)을 포함하는 몸체(605) 및 강도 보강부(603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603b)는 몸체(605)의 바닥판(601)에 형성된 관통홀(601a)의 주변에 형성된다. 강도 보강부(603b)는 적어도 2개가 바닥판(6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강도 보강부(603b)는 회전축(41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축(410) 및 턴 테이블(60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회전축에 압입 되는 턴 테이블에 강도 보강부를 형성하여 회전축 및 턴 테이블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회전축 및 턴 테이블의 회전 슬립을 방지 및 회전축에 대하여 턴 테이블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 및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도중 발생되는 데이터 읽기 에러 또는 데이터 쓰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700...스핀들 모터 450...스핀들 모터부
600...턴 테이블 650...조심 유닛

Claims (11)

  1.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광 디스크를 서포트 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턴 테이블; 및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광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정렬하는 조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턴 테이블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주변을 따라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턴 테이블과 마주하는 상기 조심 유닛의 바닥판에는 상기 강도 보강부를 수용하는 홈 형상의 수납부가 형성된 스핀들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조심 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턴 테이블 몸체의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핀들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회전축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링 형상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 테이블 몸체 및 상기 강도 보강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 길이는 상기 수납부와 대응하는 상기 바닥판의 두께 이상인 스핀들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결합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버링부를 갖고 상기 턴 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요크 및 상기 요크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코어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회전자를 더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심 유닛과 상기 턴 테이블 사이의 간격은 상기 버링부의 길이 이상인 스핀들 모터.
  10.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7항, 제8항 및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턴 테이블의 두께는 상기 조심 유닛의 두께 보다 크거나 같은 스핀들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KR1020100090341A 2010-09-15 2010-09-15 스핀들 모터 KR10113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341A KR101135288B1 (ko) 2010-09-15 2010-09-15 스핀들 모터
CN201110273959.9A CN102403003B (zh) 2010-09-15 2011-09-15 主轴电动机
US13/233,526 US8607256B2 (en) 2010-09-15 2011-09-15 Spindle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341A KR101135288B1 (ko) 2010-09-15 2010-09-15 스핀들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487A KR20120028487A (ko) 2012-03-23
KR101135288B1 true KR101135288B1 (ko) 2012-04-12

Family

ID=4580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341A KR101135288B1 (ko) 2010-09-15 2010-09-15 스핀들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07256B2 (ko)
KR (1) KR101135288B1 (ko)
CN (1) CN10240300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059A (ko) * 1999-08-11 2001-04-16 이시가끼 요시오 턴테이블 및 디스크 구동장치
KR20060065967A (ko) * 2004-12-11 2006-06-15 (주)아이엠 광 디스크 드라이버용 턴테이블 어셈블리
KR20070051167A (ko) * 2005-11-14 2007-05-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KR20070074925A (ko) * 2006-01-11 200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134A (en) * 1992-01-22 1995-03-07 Nagano Nidec Corporation Spindle motor
US6535475B1 (en) * 1996-10-09 2003-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player, and turntable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clamper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and spindle motor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adopted for disk player
US5982061A (en) * 1996-11-19 1999-11-09 Seagate Technology, Inc. Spindle motor with two-piece shaft and connector
US5965966A (en) * 1998-02-12 1999-10-12 Seagate Technology, Inc. Stator grounding means based on radial interference
WO2001045233A1 (en) * 1999-12-17 2001-06-21 Encap Motor Corporation Spindle motor with encapsulated st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266473A (ja) * 2000-03-23 2001-09-28 Tokyo Parts Ind Co Ltd ディスク載置部を備えたスピンドルモータ
EP1251626A3 (en) * 2001-04-17 2005-11-16 Minebea Co., Ltd. Bearing device and spindle motor provided with the bearing device
JP2003176825A (ja) * 2001-12-12 2003-06-27 Minebea Co Ltd 流体動圧軸受およびスピンドルモータ
KR20040051188A (ko) * 2002-12-12 2004-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버용 스핀들 모터
JP4794907B2 (ja) * 2005-05-24 2011-10-19 Ntn株式会社 流体軸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2008035605A (ja) * 2006-07-28 2008-02-14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JP5151268B2 (ja) * 2007-06-25 2013-02-2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059A (ko) * 1999-08-11 2001-04-16 이시가끼 요시오 턴테이블 및 디스크 구동장치
KR20060065967A (ko) * 2004-12-11 2006-06-15 (주)아이엠 광 디스크 드라이버용 턴테이블 어셈블리
KR20070051167A (ko) * 2005-11-14 2007-05-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스핀들모터
KR20070074925A (ko) * 2006-01-11 200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6701A1 (en) 2012-03-15
US8607256B2 (en) 2013-12-10
CN102403003A (zh) 2012-04-04
CN102403003B (zh) 2015-02-18
KR20120028487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5807A1 (en)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device
CN102386738B (zh) 包含肋部的主轴电机和盘片驱动装置
JP2007035239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US8467146B2 (en) Apparatus for clamping disk and mot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20070257567A1 (en) Spindle Motor
KR100982846B1 (ko)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
KR101135288B1 (ko) 스핀들 모터
KR101196600B1 (ko) 스핀들 모터
JP6125826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ー
KR100990609B1 (ko) 척킹 장치,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8561091B2 (en) Single body type bracket and disk drive device having the same
US8826310B2 (en) Spindle motor
KR101326322B1 (ko) 스핀들 모터
JP4489508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884801B1 (ko) 스핀들 모터
KR20110137180A (ko) 디스크 회전 장치
KR101031915B1 (ko) 스핀들 모터
KR20120043907A (ko) 스핀들 모터
KR101761335B1 (ko) 스핀들 모터
KR20110137181A (ko) 디스크 회전 장치
KR20120067663A (ko) 스핀들 모터
EP1107435A1 (en) Compatible disk drive motor
US20120200201A1 (en) Spindle motor
KR20130007344A (ko) 스핀들 모터
US20070271575A1 (en) Disk Driv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