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663A - 스핀들 모터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663A
KR20120067663A KR1020100129196A KR20100129196A KR20120067663A KR 20120067663 A KR20120067663 A KR 20120067663A KR 1020100129196 A KR1020100129196 A KR 1020100129196A KR 20100129196 A KR20100129196 A KR 20100129196A KR 20120067663 A KR20120067663 A KR 2012006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bearing
rotating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bea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663A/ko
Publication of KR2012006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스핀들 모터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 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된 회전자; 및 상기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와셔 몸체 및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와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방대한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 또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DD)가 개발되고 있다.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 고속으로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픽업 모듈 및 광 픽업 모듈을 구동하는 스텝핑 모터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는 회전자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베어링을 수납하는 베어링 하우징 및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를 포함한다.
와셔는 베어링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의 표면에 형성된 홈과 결합 되어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와셔는 도우넛 형상으로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와셔를 회전축의 홈에 배치하기 위하여 와셔의 관통홀의 직경은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홀을 갖는 와셔에 회전축을 강제로 끼워 넣음으로써 와셔가 빈번하게 파손되거나 와셔의 형상이 변경되어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쉽게 발거 또는 부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의 구조를 개선하여 와셔에 회전축을 결합할 때 와셔의 파손을 방지한 스핀들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스핀들 모터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 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된 회전자; 및 상기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와셔 몸체 및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와셔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스핀들 모터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 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된 회전자; 및 상기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와셔 몸체 및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와셔 몸체의 외주면을 향해 형성된 절개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의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걸림부들을 포함하는 와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핀들 모터에 의하면, 회전축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에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으로부터 회전축의 홈부에 걸리는 걸림편을 돌출시켜 회전축 및 와셔가 결합될 때 와셔의 형상 변형 또는 와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에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축 및 와셔가 결합될 때 와셔의 형상 변형 또는 와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적용된 와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셔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5들을 참조하면, 스핀들 모터(800)는 베어링 어셈블리(250), 고정자(300), 회전축(400), 회전자(500) 및 와셔(55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스핀들 모터(800)는 베이스 플레이트(600), 회로 기판(700) 및 디스크 클램프(7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250)는 베어링 하우징(100) 및 베어링(200)을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100)은 상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0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프레스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00)은 측면판(112) 및 측면판(112)과 연결된 바닥판(114)을 포함하며, 바닥판(114)의 중앙부는 딥 드로잉 공정에 의하여 바닥판(114)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200)은 베어링 하우징(100)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어링(200)은 오일 함침 소결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300)는 코어(310) 및 코일(320)을 포함한다.
코어(310)는 관통홀이 형성된 얇은 두께의 철편을 복수매 적층하여 형성되며, 코일(320)은 코어(310)에 권선 된다.
코어(310)는 관통홀을 이용하여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압입 된다.
회전축(400)은 베어링(200)의 중공에 삽입되고, 회전축(400)은 베어링(20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된다.
회전축(400) 중 베어링(200)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회전축(400)의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groove) 형상의 홈(410)이 형성되고, 홈(410)에 의하여 회전축(400)에는 회전축(4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홈부(420)가 형성된다.
베어링(2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된 회전축(400)에 다양한 원인들에 의하여 회전축(400)을 베어링(200)으로부터 이탈시키려는 발거력이 인가될 경우, 회전축(400)은 베어링(200)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된다.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400)이 베어링(200)으로부터 발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400)에는 와셔(550)가 결합된다. 와셔(550)의 일부는 베어링(200) 및 베어링 하우징(100) 사이에 고정되고, 와셔(550)의 일부는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적용된 와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와셔(550)는 와셔 몸체(551) 및 걸림편(5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와셔(550)는 금속 와셔, 합성 수지 와셔 및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와셔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와셔 몸체(551)는 관통홀(551c)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551a) 및 내주면(551a)과 대향 하는 외주면(551b)을 갖는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와셔 몸체(551)의 관통홀(551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회전축(400)이 관통홀(551c)이 형성된 와셔 몸체(551)를 통과할 때 와셔 몸체(551)는 손상되지 않는다.
걸림편(552)은 와셔 몸체(551)의 관통홀(551c)에 의하여 형성된 와셔 몸체(551)의 내주면(551a)으로부터 와셔 몸체(551)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편(552)은 와셔 몸체(551)의 내주면(551a)으로부터 회전축(400)에 형성된 홈(410)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고, 걸림편(552)은 회전축(400)에 발거력이 가해졌을 때 회전축(400)에 걸려 회전축(400)의 발거 또는 부상을 방지한다.
걸림편(552)은 와셔 몸체(551)의 내주면(551a)을 따라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편(552)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가 와셔 몸체(551)의 내주면(551a)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걸림편(552)에 의하여 회전축(400)의 발거 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된 각 걸림편(552)은 회전축(400)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 또는 절곡 될 수 있고, 각 걸림편(552)은 와셔 몸체(551)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전축(4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관통홀(551c)이 형성된 와셔 몸체(551)의 내측면(551a)으로부터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되는 걸림편(552)을 돌출 또는 연장시켜 회전축(400)이 와셔(550)를 통과할 때 와셔(550)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걸림편(552)을 이용하여 회전축(400)이 베어링(200)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와셔(550)는 와셔 몸체(553) 및 걸림편(554)을 포함한다.
와셔 몸체(553)는 관통홀(553c)에 의하여 내주면(553a) 및 외주면(553b)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홀(553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회전축(400)이 와셔 몸체(553)을 통과할 때 와셔 몸체(553)는 회전축(400)과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와셔 몸체(553)의 파손은 방지된다.
걸림편(554)은 와셔 몸체(553)의 내주면(553a)으로부터 와셔 몸체(553)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편(554)은 회전축(400)의 홈(410) 내에 배치되어 회전축(400)에 발거력이 인가되었을 때 회전축(400)의 발거 또는 부상을 방지한다.
걸림편(554)은 와셔 몸체(553)의 내주면(553a)을 따라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편(554)은, 예를 들어, 3 개가 와셔 몸체(553)의 내주면(553a)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554)은 회전축(400)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또는 연장될 수 있고, 걸림편(554) 및 와셔 몸체(553)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한편, 걸림편(553)들은 회전축(400)이 와셔 몸체(553)을 통과할 때 회전축(400)과 접촉되며, 걸림편(553)들은 회전축(400)과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회전축(400)에 의하여 걸림편(553)들에 가해지는 힘이 과도할 경우 걸림편(553)이 영구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편(553) 및 회전축(400)이 접촉될 때 걸림편(553)에 과도한 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걸림편(553)의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와셔 몸체(553)에는 절개부(553d)가 형성된다. 절개부(553d)들은 걸림편(553)의 탄성력을 향상시켜 걸림편(553)의 영구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한다.
절개부(553d)는 와셔 몸체(553)의 내주면(553a)으로부터 외주면(553b)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개부(553d)의 길이는 와셔 몸체(553)의 내주면(553a) 및 외주면(553b)의 폭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절개부(553d)의 길이는 와셔 몸체(553)의 폭의 약 5% 내지 약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553d)의 길이가 와셔 몸체(554)의 폭의 5% 미만일 경우, 절개부(553d)의 효과가 미미하며, 절개부(553d)의 길이가 와셔 몸체(554)의 폭의 50% 초과일 경우 와셔 몸체(553)의 강도가 크게 감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셔(550)는 와셔 몸체(555) 및 걸림편(556)을 포함한다.
와셔 몸체(555)는 관통홀(555c)에 의하여 내주면(555a) 및 외주면(555b)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홀(555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관통홀(555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에 형성된 홈부(42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걸림편(556)은 와셔 몸체(555)의 내주면(555a)으로부터 외주면(555b)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555d)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개부(555d)는 복수개가 와셔 몸체(555)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절개부(555d)들에 의하여 걸림편(556)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개부(555d)의 길이 및 관통홀(555c)의 반지름을 합한 길이는 회전축(500)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절개부(555d)들에 의하여 형성된 걸림편(556)은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되며 걸림편(556)은 회전축(400)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400)이 베어링(200)으로부터 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편(556)은 회전축(400)과 접촉되면서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걸림편(556)이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된 후 원 위치로 복원되며 이로 인해 걸림편(556)은 와셔 몸체(555)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에 장착된 와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와셔(550)는 와셔 몸체(557) 및 걸림편(558)을 포함한다.
와셔 몸체(557)는 관통홀(557c)에 의하여 내주면(557a) 및 외주면(557b)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통홀(557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관통홀(557c)의 사이즈는 회전축(400)에 형성된 홈부(42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걸림편(558)은 와셔 몸체(557)의 내주면(557a)으로부터 외주면(557b)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557d)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개부(557d)는 복수개가 와셔 몸체(557)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절개부(557d)들에 의하여 걸림편(557)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개부(557d)의 길이 및 관통홀(557c)의 반지름을 합한 길이는 회전축(500)의 직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절개부(557d)들에 의하여 형성된 걸림편(558)은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되며 걸림편(558)은 회전축(400)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400)이 베어링(200)으로부터 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편(558)은 절개부(557d)를 이용하여 와셔 몸체(557)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걸림편(558)은 몸체(557)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회전자(500)는 요크(510) 및 마그네트(520)를 포함한다.
요크(510)는 요크 상판(512) 및 요크 측면판(514)을 포함한다.
요크 상판(512)은 회전축(400)과 결합되는 요크 버링부(513)를 포함하며, 요크 상판(512)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크 측면판(514)은 요크 상판(512)의 에지로부터 코어(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마그네트(520)는 요크 측면판(514)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마그네트(520)는 코어(310)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흡입 마그네트(550)는 코어(310)의 상면 또는 코어(310)의 상면과 마주하는 요크(510)의 요크 상판(512)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마그네트(550)는 요크 상판(12) 및 코어(310) 사이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회전축(400)의 고속 회전에 따른 요크(510)의 부상을 방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600)는 베어링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압입되는 버링부(610)를 포함한다. 버링부(610)에 의하여 베어링 하우징(100)은 고정되며, 버링부(610)의 단부는 코어(310)의 하면을 지지한다. 코어(310)의 상면은 베어링 하우징(100)의 코어 고정부(120)에 의하여 고정되고, 코어(310)의 상면과 대향 하는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버링부(610)에 의하여 고정된다.
회로 기판(700)은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회로 기판(700)은 고정자(300)의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스핀들 모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핀들 모터(800)는 베어링 하우징(900) 및 베어링(200)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950), 고정자(300), 회전축(400) 및 회전자(5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스핀들 모터(800)는 베이스 플레이트(600), 회로 기판(700) 및 디스크 클램프(7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950)의 베어링 하우징(900)는 후술 될 베어링(200)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베어링 하우징(900)은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900)은 제1 하우징부(910) 및 제2 하우징부(92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910)는 베어링 하우징(900)의 직경보다 작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1 하우징부(910)에 의하여 코어(310)를 압입 및 지지하기에 적합한 단턱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부(920)는 제1 하우징부(9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2 하우징부(920)는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하우징(900)의 제1 하우징부(910) 및 제2 하우징부(920)는 직경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하우징부(910,920)들에 의하여 베어링 하우징(900)에는 단차가 있는 단턱이 형성된다.
베어링 하우징(900)의 하면에는 그루브 형상의 홈(410)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420)를 갖는 회전축(400)의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930)가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930) 상에는 스러트스 베어링(94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900)은 황동을 이용한 주물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200)은 베어링 하우징(900)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된다.
베어링(200) 및 지지 플레이트(930)의 사이에는 회전축(400)의 홈(410)에 배치되는 와셔(550)가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와셔(550)는 앞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와셔(5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회전축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에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으로부터 회전축의 홈부에 걸리는 걸림편을 돌출시켜 회전축 및 와셔가 결합될 때 와셔의 형상 변형 또는 와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 인가된 발거력에 의하여 회전축이 베어링으로부터 발거 또는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에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축 및 와셔가 결합될 때 와셔의 형상 변형 또는 와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스핀들 모터 250...베어링 어셈블리
300...고정자 400...회전축
500...회전자 550...와셔
600...베이스 플레이트 700...회로기판
750...디스크 클램프

Claims (13)

  1.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 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된 회전자; 및
    상기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와셔 몸체 및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와셔를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와셔 몸체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절곡된 스핀들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상기 걸림편의 양쪽 측면들과 대응하는 상기 와셔 몸체에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와셔 몸체의 외주면을 향해 소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스핀들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스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내주면에 상기 베어링을 수납하고 외주면에 형성된 단턱에 상기 코어를 고정하는 황동 주물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면을 덮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스핀들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금속 와셔를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8.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수납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된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권선 된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되며 상기 베어링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 된 회전자; 및
    상기 베어링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와셔 몸체 및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와셔 몸체의 외주면을 향해 형성된 절개부들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의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걸림부들을 포함하는 와셔를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와셔 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된 스핀들 모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와셔 몸체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와셔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절개부들은 등 간격으로 형성된 스핀들 모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 및 상기 관통홀의 반지름의 합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큰 스핀들 모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금속 와셔, 합성 수지 와셔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와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KR1020100129196A 2010-12-16 2010-12-16 스핀들 모터 KR20120067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96A KR20120067663A (ko) 2010-12-16 2010-12-16 스핀들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96A KR20120067663A (ko) 2010-12-16 2010-12-16 스핀들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63A true KR20120067663A (ko) 2012-06-26

Family

ID=4668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96A KR20120067663A (ko) 2010-12-16 2010-12-16 스핀들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2733B2 (en) 2012-09-14 2014-05-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disc driving device having shaft upwardly protruding from chucking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2733B2 (en) 2012-09-14 2014-05-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disc driving device having shaft upwardly protruding from chucking mechanism
KR101412847B1 (ko) * 2012-09-14 2014-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디스크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8209B2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82694B1 (ko) 스핀들 모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84182A (ko) 스핀들 모터의 클램핑 장치
US20060206909A1 (en) Thin brushless motor
JP594031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20067663A (ko) 스핀들 모터
KR101196600B1 (ko) 스핀들 모터
KR20090058163A (ko) 스핀들 모터
US8561091B2 (en) Single body type bracket and disk driv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70223A (ko) 스핀들 모터
KR101294646B1 (ko) 스핀들 모터
KR20120004027A (ko) 스핀들 모터
KR20120082199A (ko) 스핀들 모터용 턴 테이블 및 이를 갖는 스핀들 모터
KR100701202B1 (ko) 스핀들 모터
KR20130073382A (ko) 스핀들 모터
KR101884801B1 (ko) 스핀들 모터
KR101100444B1 (ko) 스핀들 모터
KR101352897B1 (ko) 척킹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핀들 모터
KR101245456B1 (ko) 스핀들 모터
KR101047473B1 (ko) 스핀들 모터
KR101135288B1 (ko) 스핀들 모터
KR20130060540A (ko) 스핀들 모터
KR20120067664A (ko) 스핀들 모터
KR101101650B1 (ko) 모터 장치
US20120200201A1 (en) Spindle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