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959B1 -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 Google Patents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959B1
KR101134959B1 KR1020097010239A KR20097010239A KR101134959B1 KR 101134959 B1 KR101134959 B1 KR 101134959B1 KR 1020097010239 A KR1020097010239 A KR 1020097010239A KR 20097010239 A KR20097010239 A KR 20097010239A KR 101134959 B1 KR101134959 B1 KR 10113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joint
groove
tubular member
tubula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996A (ko
Inventor
도모히로 누마지리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하고, 또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 둘레가장자리부 상단 또는 둘레가장자리부 하단이, 관형상 부재 (7) 의 하단 또는 상단과 접합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 (7) 끼리를 결합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8) 로서, 상기 관형상 부재 (7) 에 접속되는 측의 면이고, 또한 상기 관형상 부재 (7) 와의 접합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 (16) 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 FOR TUBULAR MEMB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풍력 발전용 풍차의 지주를 구성하는 관형상 부재끼리를 접속 (결합 : 연결) 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용 풍차의 지주를 구성하는 관형상 부재끼리를 접속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4-525293호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에서는, 용접 이음매를 개재하여 관형상 부재의 하단 또는 상단과 접속 (결합 : 연결) 되는 관형상 부분이 절삭 가공에 의해 제조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조 공정이 장기화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련된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는, 둘레가장자리부 상단 또는 둘레가장자리부 하단이, 관형상 부재의 하단 또는 상단과 접합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끼리를 결합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로서, 상기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이고, 또한 상기 관형상 부재와의 접합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에 의하면,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에, 비교적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을 가공하기만 하면 된다. 즉, 종래와 같이,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의 대부분을 깎아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관형상 부분을 제조할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의 대부분을 깎아 판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관형상 부분을 제조할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판두께를 대략 원래의 두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관형상 부재와 플랜지 조인트를 용접할 때의 열 (용접 열) 이 플랜지 조인트의 접합면 (맞닿음면) 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합면이 변형되는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합면이 변형되는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접합면의 변형을 수정하는 면출 (面出)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홈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에 의하면, P.C.D. (Pitch Circle Diameter : 볼트 구멍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생긴 원 (볼트 구멍 피치 원) 의 직경) 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조인트 둘레가장자리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플랜지 조인트 (8) 의 접합면 (맞닿음면) 끼리를 보다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풍력 발전용 풍차는,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플랜지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풍력 발전용 풍차에 의하면, 풍력 발전용 풍차 전체의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를 구비한 풍력 발전용 풍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2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 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4 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력 발전용 풍차 7 : 관형상 부재
8 : 플랜지 조인트 16 : 홈
16a : 홈 20 : 플랜지 조인트
21 : 홈 30 : 플랜지 조인트
31 : 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고리형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이하, 「플랜지 조인트」 라고 한다) 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를 구비한 풍력 발전용 풍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발전용 풍차 (1) 는, 기초 (B) 상에 세워 설치되는 지주 (「타워」 라고도 한다) (2) 와, 지주 (2) 의 상단에 설치되는 나셀 (3) 과, 대략 수평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나셀 (3) 에 형성되는 로터 헤드 (4) 를 갖고 있다.
로터 헤드 (4) 에는, 그 회전 축선 둘레에 방사상으로 하여 복수 장 (예를 들어 3 장) 의 풍차 회전 날개 (5) 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로터 헤드 (4) 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풍차 회전 날개 (5) 에 닿은 바람의 힘이, 로터 헤드 (4) 를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지주 (2) 는, 복수 개 (예를 들어 3 개) 의 유닛 (6) (도 2 참조) 을 상하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 유닛 (6) 은, 관형상 부재 (7) (도 2 참조) 와, 플랜지 조인트 (8) (도 2 참조) 를 갖고 있다. 또, 관형상 부재 (7) 는, 원통 형상으로 된 복수의 원통 분할체 (도시 생략) 의 단부 (端部) 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조립된 구조, 또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으로 된 복수의 원뿔대 분할체 (도시 생략) 의 단부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나셀 (3) 은, 지주 (2) 를 구성하는 유닛 (6) 중, 최상부에 형성되는 유닛 (6) 상에 설치되어 있고, 지주 (2) 의 상단에 장착되는 나셀 대판 (臺板) (도시 생략) 과, 이 나셀대판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9) 를 갖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8) 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을 나타내는 판형상 부재로서, 판두께 방향 (도 2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는 볼트 구멍 (10) 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 조인트 (8) 의 둘레가장자리부 상단 또는 둘레가장자리부 하단과, 관형상 부재 (7) 의 하단 또는 상단은,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1) 및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2) 를 개재하여 접속 (결합 : 연결) 되어 있다.
또한, 도 2 중의 부호 13, 14, 15 는 각각 플랜지 조인트 (8) 끼리를 접속 (결합 : 연결) 하는 볼트, 너트, 와셔이다.
또한, 플랜지 조인트 (8) 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있어서, 또한 관형상 부재 (7) 에 접속되는 측의 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1 개의 홈 (그루브 : groove) (16) 이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홈 (16)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관형상 부재 (7) 의 내주면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홈 (16)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플랜지 조인트 (8) 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관형상 부재 (7) 의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의 접속면 (결합면 : 접합면) 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홈 (16) 의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플랜지 조인트 (8) 끼리를 접속하는 와셔 (15) 의 외주면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홈 (16) 의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와셔 (15) 의 하면 전체 또는 상면 전체가, 플랜지 조인트 (8) 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맞닿도록 (밀착)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8) 에 의하면, 관형상 부재 (7) 에 접속되는 측의 면에, 비교적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 (16) 을 가공하기만 하면 된다. 즉, 종래와 같이,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의 대부분을 깎아,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관형상 부분을 제조할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8) 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측의 면의 대부분을 깎아 판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관형상 부재에 접속되는 관형상 부분을 제조할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판두께를 대략 원래의 두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관형상 부재 (7) 와 플랜지 조인트 (8) 를 용접할 때의 열 (용접 열) 이 플랜지 조인트 (8) 의 접합면 (맞닿음면) (8a) 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합면 (8a) 이 변형되는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합면 (8a) 이 변형되는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접합면 (8a) 의 변형을 수정하는 면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판두께를 대략 원래의 두께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볼트 (13) 의 내력 계수를 저하시킬 수 있어 볼트 강도를 보다 유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2 와 동일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20) 는, 홈 (16) 대신에 홈 (21) 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20) 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을 나타내는 판형상 부재로서, 판두께 방향 (도 3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는 볼트 구멍 (10) 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 조인트 (20) 의 둘레가장자리부 상단 또는 둘레가장자리부 하단과, 관형상 부재 (7) 의 하단 또는 상단은,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1) 및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2) 를 개재하여 접속 (결합 : 연결)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조인트 (20) 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있어서, 또한 관형상 부재 (7) 에 접속되는 측의 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1 개의 홈 (그루브 : groove) (21) 이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홈 (21)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관형상 부재 (7) 의 내주면의 대략 바 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홈 (21)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플랜지 조인트 (20) 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관형상 부재 (7) 의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의 접속면 (결합면 : 접합면) 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홈 (21) 의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홈 (16) 의 내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 (도 3 에 있어서 좌측) 에 위치하도록, 즉,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이, 홈 (21) 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랜지 조인트 (20) 끼리를 접속하는 와셔 (15) 의 외주면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홈 (21) 의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와셔 (15) 의 하면 전체 또는 상면 전체가, 플랜지 조인트 (20) 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맞닿도록 (밀착)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20) 에 의하면, P.C.D. (Pitch Circle Diameter : 볼트 구멍 (10) 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생긴 원 (볼트 구멍 피치 원) 의 직경) 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조인트 (8) 둘레가장자리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플랜지 조인트 (8) 의 접합면 (맞닿음면) (8a) 끼리를 보다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은, 홈 (21) 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에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에는, 홈 (21) 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저면보다 높은 압축력 (체결력 : 조임력) 이 가해지고,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재료의 외관상 피로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에 대한 응력 집중은, 외관상 향상된 피로 강도에 의해 상쇄되어 (커버되어), 홈 (21) 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 과 동일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30) 는, 홈 (16, 21) 대신에 홈 (31) 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들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30) 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을 나타내는 판형상 부재로서, 판두께 방향 (도 4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는 볼트 구멍 (10) 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 조인트 (30) 의 둘레가장자리부 상단 또는 둘레가장자리부 하단과, 관형상 부재 (7) 의 하단 또는 상단은,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1) 및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용접 이음매 (12) 를 개재하여 접속 (결합 : 연결)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조인트 (30) 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있어서, 또한 관형상 부재 (7) 에 접속되는 측의 면에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단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1 개의 홈 (그루브 : groove) (31) 이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홈 (31)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관형상 부재 (7) 의 내주면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홈 (31) 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는 플랜지 조인트 (30) 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관형상 부재 (7) 의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평면에서 보아 고리형 (도너츠 형상) 의 접속면 (결합면 : 접합면) 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홈 (31) 의 개구단측 (관형상 부재 (7) 측) 에 위치하는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홈 (21) 의 안쪽둘레 가장자리와 동일하게, 홈 (16) 의 내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 (도 4 에 있어서 좌측)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랜지 조인트 (30) 끼리를 접속하는 와셔 (15) 의 외주면의 대략 바로 아래 또는 대략 바로 위에 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홈 (31) 의 개구단측에 위치하는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와셔 (15) 의 하면 전체 또는 상면 전체가, 플랜지 조인트 (30) 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맞닿도록 (밀착)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홈 (31) 의 내측 (저면측) 에 위치하는 안쪽둘레 가장자리는, 홈 (16) 의 내측 (저면측) 에 위치하는 안쪽둘레 가장자리와 동일하게, 즉, 홈 (31) 의 개구단측에 위치하는 안쪽둘레 가장자리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 (30) 의 작용 효과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플랜지 조인트 (8, 20, 30) 를 구비한 풍력 발전용 풍차 (1) 에 의하면, 풍력 발전용 풍차 (1) 전체의 제조 공정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조인트 (8) 의 둘레가장자리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플랜지 조인트 (8) 의 접합면 (맞닿음면) (8a) 끼리를 보다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플랜지 조인트 (20, 30) 를 구비한 풍력 발전용 풍차 (1) 에 의하면, 지주 (2) 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풍력 발전용 풍차 (1)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랜지 조인트 (30) 의 상면에 형성된 (상방을 향해 개구된) 홈 (16, 21, 31) 내에, 실리콘 또는 그리스 등이 충전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관형상 부재 (7) 의 내벽면을 따라 내려 온 물방울이, 홈 (16, 21, 31) 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홈 (16, 21, 31) 내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플랜지 조인트의 측면 형상은,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 에 나타내는 원뿔대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써, 플랜지 조인트의 측면과 관형상 부재 (7) 의 측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에 형성시킬 수 있고, 지주 (2) 의 표면 전체에 출현하는 요철을 저감시킬 수 있어 지주 (2) 및 풍력 발전용 풍차 (1) 전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홈 (16) 은, 그 단면에서 본 형상이 도 6 에 나타내는 형상, 즉, 플랜지 조인트 (8) 의 측면을 따라 (에 평행이 되도록) 노치된 비스듬한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 (16a) 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것에 의한 작용 효과는 도 2 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3)

  1. 상면 또는 하면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관형상 부재의 하단 또는 상단과 접합되어 상기 관형상 부재끼리를 결합하는 평판형상의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로서,
    상기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관형상 부재와 접합되는 상기 둘레가장자리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단면에서 보아 U 자 형상을 나타내는 홈이 상기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은 상기 홈을 제외하면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홈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저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용 풍차.
KR1020097010239A 2007-08-31 2007-08-31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KR101134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7015 WO2009028092A1 (ja) 2007-08-31 2007-08-31 管状部材用のフランジ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996A KR20090086996A (ko) 2009-08-14
KR101134959B1 true KR101134959B1 (ko) 2012-04-09

Family

ID=4038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239A KR101134959B1 (ko) 2007-08-31 2007-08-31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058673A1 (ko)
EP (1) EP2194214A4 (ko)
JP (1) JP5022440B2 (ko)
KR (1) KR101134959B1 (ko)
CN (1) CN101542056B (ko)
AU (1) AU2007358358B2 (ko)
CA (1) CA2668177C (ko)
MX (1) MX2009005193A (ko)
WO (1) WO2009028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9768A1 (en) * 2005-11-24 2007-05-31 Vestas Wind Systems A/S A wind turbine tower, connection means for assembling a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s hereof
WO2009132659A2 (en) * 2008-05-02 2009-11-05 Vestas Wind Systems A/S Tower sec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US8490337B2 (en) * 2009-06-09 2013-07-23 Thomas Nott Word, III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8087898B2 (en) * 2009-12-15 2012-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Stress relief flang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stress for wind turbine components
US20110131898A1 (en) * 2010-04-29 2011-06-09 Jacob Johannes Nies Flange connection
DE102010020443A1 (de) * 2010-05-12 2011-11-17 Timber Tower Gmbh Turm für eine Windkraftanlage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Turmes für eine Windkraftanlage
JP2013534583A (ja) * 2010-05-25 2013-09-0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洋上建築物用ジャケット構造体
CN103124823B (zh) * 2010-07-13 2016-05-04 安德森塔沃森有限公司 使用螺纹接头组装管状建筑结构的方法
SE535989C2 (sv) * 2011-03-23 2013-03-19 Northcone Ab Eftergivlig stolpe och sätt att arrangera vägbelysning
ES2615232T3 (es) * 2011-03-25 2017-06-0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Tubo de acero soldado con disco de pestaña
EP2775141B1 (en) * 2011-11-04 2017-05-3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ower-internal-equipment bracket structure and wind turbine generator
BR112015002426A2 (pt) * 2012-08-03 2017-07-04 D Lockwood James torre de turbina de vento segmentada protendida de concreto pré-moldado
EP2889474A1 (en) * 2013-12-30 2015-07-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Flange connection for direct driven wind turbine
ES2664091T3 (es) * 2014-04-25 2018-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ida de una turbina eólica
CN104019003B (zh) * 2014-06-04 2016-09-14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法兰连接结构及含有其的防雷分段组合式塔架
FR3029231B1 (fr) * 2014-12-01 2016-12-30 Lafarge Sa Section en beton
DE102015110344A1 (de) * 2015-06-26 2016-12-29 Eno Energy Systems Gmbh Teilstück einer Turmsektion, ein Turm und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eilstücks einer Turmsektion
KR101685854B1 (ko) * 2015-12-03 2016-12-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단지의 레트로피트 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JP7305384B2 (ja) * 2019-03-18 2023-07-10 出光興産株式会社 大型異径配管フラン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01U (ja) * 1991-07-31 1993-02-19 川崎製鉄株式会社 柱脚金物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7672A (en) * 1948-06-23 1952-11-11 Harry J Nichols Coupling
US2956821A (en) * 1956-10-08 1960-10-18 American Radiator & Standard Flanged pipe coupling for pressure vessels having stress compensating means
GB920220A (en) * 1959-01-09 1963-03-06 Kralovopolska Strojirna Zd Y C Improvements relating to flanges for tubular members
NL7401323A (nl) * 1974-01-31 1975-08-04 Lely Nv C Van Der Tandbevestiging voor een grondbewerkingswerk-
US4105227A (en) * 1977-05-11 1978-08-08 Ekberg Sven Erik Flange joint between pipe lengths
JPS54136803A (en) * 1978-04-17 1979-10-24 Hitachi Ltd Tone arm device
JPS597929Y2 (ja) * 1979-10-03 1984-03-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鋼管の連結具
US4458924A (en) * 1980-12-01 1984-07-10 Gunter Schlicht Bimetal flange connector
JPS6077661U (ja) * 1983-11-02 1985-05-30 株式会社隅田運搬機製作所 鉄塔装置
JPS642901U (ko) * 1987-06-25 1989-01-10
GB8905894D0 (en) * 1989-03-15 1989-04-26 Rolls Royce Plc Fluid-tight joints
DE4135521A1 (de) * 1991-10-28 1993-04-29 Ruehs Klaus Gerd Flach - vorschweissflansche
US5333436A (en) * 1992-09-14 1994-08-02 Pirod, Inc. Modular antenna pole
US5687537A (en) * 1996-05-24 1997-11-18 Pi Rod Inc. Modular antenna pole
US5967566A (en) * 1998-01-06 1999-10-19 Schlicht; Gunter Light-weight, slip-on pipe flange
JP3552652B2 (ja) * 2000-07-07 2004-08-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構造物用管フランジ継手
NZ528392A (en) * 2001-03-23 2005-07-29 Aloys Wobben Flange connection for attachment to one end of a tubular component of wind turbine towers
DK200200178A (da) * 2002-02-06 2003-08-07 Vestas Wind Sys As Ophængningsmidler til vindturbinetårne
DE10223429C1 (de) * 2002-05-25 2003-05-28 Aloys Wobben Flanschverbindung
US20080041009A1 (en) * 2006-08-18 2008-02-21 General Electric Flangeless support structures
US20100024311A1 (en) * 2008-07-30 2010-02-04 Dustin Jon Wambeke Wind turbine assembly with tower mount
ES2386519T3 (es) * 2008-11-27 2012-08-22 Vestas Wind Systems A/S Torre para una turbina eólica y método para montar la tor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01U (ja) * 1991-07-31 1993-02-19 川崎製鉄株式会社 柱脚金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4214A4 (en) 2011-03-23
US20100058673A1 (en) 2010-03-11
CA2668177A1 (en) 2009-03-05
CA2668177C (en) 2012-10-23
EP2194214A1 (en) 2010-06-09
KR20090086996A (ko) 2009-08-14
JPWO2009028092A1 (ja) 2010-11-25
AU2007358358A1 (en) 2009-03-05
WO2009028092A1 (ja) 2009-03-05
AU2007358358B2 (en) 2011-11-17
CN101542056B (zh) 2012-12-12
JP5022440B2 (ja) 2012-09-12
CN101542056A (zh) 2009-09-23
MX2009005193A (es)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959B1 (ko) 관형상 부재용 플랜지 조인트
CN101684780B (zh) 无法兰风塔的设计
DK2283231T4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LEAF CONNECTION TO A ROTOR BLADE, LEAF CONNECTION AND ACHIEVING ELEMENT TO A LEAF CONNECTION
EP2527556B1 (en) Bolt Connection for a Wind Tower Lattice Structure
US8225576B2 (en) Wind turbine tower, connection means for assembling a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s thereof
EP2767654B1 (en) Flange assistant for connecting adjacent tower sections
US20110154757A1 (en) Tower sec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US20100325986A1 (en) System for joining a gondola to the concrete tower of an aerogenerator
US10669993B2 (en) Wind turbine tower reinforcement system
US9074581B2 (en) Cone angle insert for wind turbine rotor
CA2512126A1 (en) Split francis turbine runner
WO2011110235A2 (en) Wall portion for a wind turbine tower
EP3874101B1 (en) A flange element, a flange connection comprising such flange elements and a tower structure
KR102053892B1 (ko) 터빈용 로터 블레이드
RU230067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фланец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осев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и узла диска ротора ступени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в газовой турбине
KR20190031305A (ko) 타워 섹션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 타워 섹션, 타워, 풍력 발전 설비, 그리고 타워 섹션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타워 섹션들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JP2020528512A (ja) 風力発電設備タワー用の風力発電設備鋼製タワー部分とその製造方法
WO2020089674A1 (fr) Tronçon de mât d'éolienne, mât d'éolienne et procédé d'assemblage
CN219005113U (zh) 一种组合式大型筒形件焊接防变形工装
JP6345167B2 (ja) 風車タワーの組み立て方法
KR101475874B1 (ko) 임펠러 및 그 제조방법
JPS60196424A (ja) 回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