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010B1 -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010B1
KR101134010B1 KR1020100031772A KR20100031772A KR101134010B1 KR 101134010 B1 KR101134010 B1 KR 101134010B1 KR 1020100031772 A KR1020100031772 A KR 1020100031772A KR 20100031772 A KR20100031772 A KR 20100031772A KR 101134010 B1 KR101134010 B1 KR 10113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movable
flooring material
sho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630A (ko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US13/263,33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30969A1/en
Priority to CN201410612673.2A priority patent/CN104366894A/zh
Priority to EP10761870A priority patent/EP2417863A2/en
Priority to PCT/KR2010/002135 priority patent/WO2010117209A2/ko
Priority to JP2012504613A priority patent/JP2012522619A/ja
Priority to CN201080015668.3A priority patent/CN102387724B/zh
Publication of KR2010011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with adjustable pads to allow custom f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구간에 걸쳐 결합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바닥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놓여지는 지압체와; 상기 지압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와 자력에 의해 이끌리게 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지압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SHOES BOTTOM PART WITH MOVABLE MASSAGING DEVIC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압체가 구비되는 것이되 상기 지압체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맞는 위치에서 발바닥을 받쳐줌으로써 지압효과를 높여주고 자세를 바르게 유도하며 자석에 의한 혈액순환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제2의 심장으로 알려져 있고 발바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신발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신발들 중 혈액순환 개선등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발바닥의 지압을 위한 신발들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들은 모두 발바닥이 접면되는 바닥창에 돌기들을 형성시키거나 발바닥을 받쳐주는 돌출부가 고정된 채 발바닥에 밀착되어 지압 및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단순히 상하로 유동만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히 발바닥을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단순구조와 신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하는 효과가 미미하면서 돌출부면이 착용자의 발바닥 구조와 균일하게 일치하지 않는 관계로 오히려 통증과 몸의 균형을 틀어지게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즉, 착용자의 발바닥 족궁(발바닥 중심) 부위의 깊이와 위치에 맞지않는 위치에 돌출면이 형성됨으로써 장시간 신발을 신고 보행시 신발이 지면에 착지될때는 더욱더 높은 압력이 가해져서 지속적인 압박에 의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된 돌출면과 발바닥의 구조가 일치하지 않아 자세가 틀어지고 충격흡수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으로 발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발명과관련된특허문헌으로는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10-2009-0011039호의기능성신발이있었다.상기기술의경우발바닥의아치부위를받쳐주는족궁지지체가구비되는것이며,상기족궁지지체는그높낮이가가변될수있도록구성되나그위치는고정되어있는것인바착용자가임의로그위치를조정할수없다는문제점이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용 바닥재로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압체가 구비되어 착용자가 임의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압체의 높낮이 조절될 수 있고 자석에 의한 신체의 혈액순환도 원활하도록 할 수 있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구간에 걸쳐 결합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바닥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놓여지는 지압체와; 상기 지압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와 자력에 의해 이끌리게 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지압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체는, 경질소재, 탄성소재, 공기가 내장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체와 이동체는 볼트, 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지압체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체는, 공기가 충진되거나 경질소재, 탄성소재 중 하나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가압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체는, 가장자리에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걸리게 되는 유도홀이 형성되는 유도판이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체와 이동체는 쿠션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재는, 이동체가 움직이는 구간이 함몰되거나 천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재는, 이동체가 움직이는 구간이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부위에 상기 고정체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체의 하면에 하나 이상의 쿠션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홈과; 하면에 끼움봉이 형성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용 바닥재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가 구비되어 지압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지압체의 높낮이도 조정할 수 있어 보행시의 압박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바닥에 대한 지나친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면서 요구되는 위치에서 발바닥을 지지해 줌으로써 자세도 바르게 하고 자석에 의한 혈액순환도 촉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한편으로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어 발냄새를 줄이며 각종 세균의 번식을 막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주요부에 대한 분해 구성도.
도2는 조립상태의 주요부에 대한 구성도.
도3은 갑피에 바닥재가 연결된 상태에 대한 구성도.
도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바닥재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바닥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관련도면들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타인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과 같은 변형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신발용 바닥재라 함은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인솔을 의미할 수 있고 혹은 인솔 아래에 위치되면서 갑피와 연결되는 부직포와 같은 것일 수도 있으며, 텍숀을 의미할 수도 있고 미드솔 또는 샌들과 같은 신발에 있어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100), 상기 바닥재(1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구간에 걸쳐 결합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고정체(200), 상기 바닥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놓여지는 지압체(300), 상기 지압체(30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200)와 자력에 의해 이끌리게 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이동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압체(300)에 연결되는 이동체(400)가 고정체(200)와 자력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지압체(3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어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에 따라 가장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닥재(100)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며, 본 제1실시예에서는 주로 운동화 종류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즉, 신발의 외관을 이루는 갑피(10)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등의 방식으로 결합이 되는 바닥재(100)로 주로 부직포와 같은 것을 이용한다.
실제 신발로 제작될 시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바닥재(100) 위에 인솔이 놓이게 되며 바닥재 하부에는 미드솔이 결합될 것이다.
도1은 개략적인 주요부에 대한 분해 구성도이며, 도2는 조립상태의 주요부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3은 갑피에 바닥재가 연결된 상태에 대한 구성도를 보여준다.
바닥재(100)에 고정체(200)가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발바닥 아치부에 해당되는 영역에 고정체(200)가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고정체(200)는 판상의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자석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재(100)의 상면이나 하면에 지압체(300)가 위치된다. 상기 지압체(300)에는 이동체(4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체(400) 역시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것으로 고정체(200)와 자력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200)가 금속성 재질이면 이동체(400)는 자석이 될 것이고 고정체(200)가 자석이 되면 이동체(400)가 금속재질이 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지압체(300)는 바닥재(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고정체(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부직포로 이루어진 바닥재(100)의 하부면에 금속성의 판상 고정체(200)를 부착시키도록 하였고, 상기 바닥재(100)의 상면에 지압체(300)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재(100)에는 이동체(400)가 움직일 수 있는 구간을 한정하기 위해 함몰되거나 천공되는 형태로 하는데, 이 부분을 제한홈(110)이라 부르도록 한다. 상기 제한홈(110)은 지압체(300)에 결합되는 이동체(400)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일직선 형태 또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진 요철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압체(300)는 볼록한 돔 형상인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딱딱한 경질소재이거나, 발포체와 같은 탄성소재 혹은 공기가 내장된 것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지압체(30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압체(300)와 이동체(400) 사이에 볼트(b)와 너트(n)를 개재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지압체(300) 하부면에 너트(n)를 매입된 형태로 설치하고 이동체(400) 상면에 볼트(b)를 연결시키도록 하여 볼트, 너트 구조에 의해 지압체의 높낮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바닥재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4는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바닥재(100)에 함몰된 구간인 제한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제한홈(110)에 금속성 판상체인 고정체(200)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고정체(200)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쿠션체(c)가 결합되며 상기 쿠션체(c)는 바닥재(100)와 고정된다. 상기 쿠션체(c)로는 다수의 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고 혹은 다수의 발포기둥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체(200) 상면에 지압체(300)가 위치되며 상기 지압체(300)에는 자석인 이동체(400)가 결합되어 있어 지압체(300)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는 도5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며, 특히 지압체(300)가 제1부재(310)와 제2부재(320)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바닥재(100)에 고정체(200)를 결합시키되, 함몰부위인 제한홈(110)을 두고 바닥재(100) 하부면에 고정체(20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압체(300)의 상부를 이루는 제1부재(310)와 상기 제1부재(3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320) 및 상기 제2부재(320)에 형성되는 이동체(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310)는 볼록한 돔 형상이 적합하며 경질소재나 탄성소재 혹은 공기가 충진된 것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320)는 가압되었을 때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2부재(3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보행시 하중이 가해지면 제2부재(320)가 압축되어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고 하중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원된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보행시마다 제2부재로부터 공기가 토출되어 발바닥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이어서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6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에 해당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재(100)가 주로 하이힐이나 구두에 적용되는 텍숀인 것으로 한다.
텍숀을 바닥재(100)로 하며 고정체(200)는 금속판체로 한다. 상기 고정체(200)는 텍숀 내부에 위치되며 대략 발바닥 아치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함몰된 제한홈(110)을 두도록 한다. 상기 제한홈(110) 바닥에 고정체(200)가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한홈(110)은 요철 형태가 되는 것으로 한다. 지압체(300)의 하부면에는 이동체(400)가 결합되며 상기 지압체(300)의 형상은 볼록한 돔 형상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압체(300)는 딱딱한 경질소재나 탄성소재, 공기가 충진된 것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은 여성용 힐에 본 제4실시예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지압체(300)와 이동체(400)는 볼트(b)와 너트(n)에 의해서 결합되어 상기 지압체(3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5실시예>
이어서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8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바닥재(미도시)에 고정체(미도시)가 결합되고 지압체(300)에는 이동체(400)가 연결되는 것이되, 상기 지압체(3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플랜지부(33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유도홀(510)이 형성되는 유도판(500)이 바닥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도판(500) 하부에 상기 플랜지부(330)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압체(300)는 유도홀(5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330)가 유도판(500)을 이탈하지 못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압체(300)와 이동체(400)는 스프링이나 발포체와 같은 쿠션체(c)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함으로써 지압체(300)에 하중이 작용될 경우 상하로 움직이면서 지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100)는 언급된 타 실시예에서의 바닥재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그 외 인솔이나 미드솔도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9는 제6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샌들과 같은 신발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이 접촉되는 바닥재(10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재(100) 상면에 이동 가능한 지압체(300)가 설치된다. 즉, 바닥재(100)에 함몰된 제한홈(110)을 두고 그 바닥에는 고정체(200)가 설치되고 지압체(300) 하면에는 이동체(400)가 형성되어 착용자는 지압체(30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착용할 수 있다.
<제7실시예>
본 제7실시예는 신발의 인솔을 바닥재로 하는 경우로서 도10은 이에 대한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0)인 인솔의 중심부에 발바닥 아치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지압체(300)를 설치하되, 고정체(200)를 인솔 저면에 부착시키고 상면에 지압체(300)를 두어서 지압체(300)에 결합된 이동체(400)가 고정체(200)와 자력에 의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지압체(300)와 이동체(400) 사이에 볼트,너트 구조를 두어서 상기 지압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압체(300)는 인솔의 상면뿐 아니라 하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함몰된 제한홈(110)을 두는 구조로 하여 제한홈(110) 범위내에서 지압체(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8실시예>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신발용 바닥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11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바닥재는 그 구성요소로 바닥재(100), 가이드블럭(600), 끼움홈(610), 지압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압체(300)는 바닥재(100)에 대해 그 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재(100)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가이드블럭(600)이 형성된다.
본 예의 경우 대략 바닥재(100)의 중심부에 가이드블럭(600)을 결합시키되, 상기 가이드블럭(600)에는 다수의 끼움홈(61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610)은 지압체(30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봉(340)이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요철형태를 이루는 것이거나 원형홈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럭(600)은 비교적 경질인 것으로 하여 끼움홈(610)에 결합될 끼움봉(3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바닥재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인솔이 되거나 부직포와 같은 것 혹은 미드솔, 텍숀 등이 될 수 있고, 언급된 실시예에서 의미하는 바닥재는 그 중 하나일 수 있는 것이고 구체적인 예로 제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텍숀이나 부직포 형태의 바닥재를 예로 설명한 것의 경우 그 바닥재는 인솔이나 미드솔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는 착용자에 따라 지압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지압체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자석에 의한 신체의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어 기존 제품보다 뛰어난 이점으로 실제 다양한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0 : 바닥재 110 : 제한홈
200 : 고정체 300 : 지압체
310 : 제1부재 320 : 제2부재
330 : 플랜지부 340 : 끼움봉
400 : 이동체 500 : 유도판
510 : 유도홀 600 : 가이드블럭
610 : 끼움홈 c : 쿠션체

Claims (9)

  1.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구간에 걸쳐 결합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바닥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놓여지는 지압체와;
    상기 지압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와 자력에 의해 이끌리게 되는 금속성 또는 자성을 갖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지압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는,
    경질소재, 탄성소재, 공기가 내장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와 이동체는 볼트, 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지압체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는,
    공기가 충진되거나 경질소재, 탄성소재 중 하나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가압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는,
    가장자리에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걸리게 되는 유도홀이 형성되는 유도판이 상기 바닥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체와 이동체는 쿠션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이동체가 움직이는 구간이 함몰되거나 천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이동체가 움직이는 구간이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부위에 상기 고정체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체의 하면에 하나 이상의 쿠션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9. 발바닥 하부에 위치되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홈과;
    하면에 끼움봉이 형성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KR1020100031772A 2009-04-07 2010-04-07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KR10113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63,332 US20120030969A1 (en) 2009-04-07 2010-04-07 Insole for a shoe having a movable massaging member
CN201410612673.2A CN104366894A (zh) 2009-04-07 2010-04-07 具有可移动的按摩体的鞋底
EP10761870A EP2417863A2 (en) 2009-04-07 2010-04-07 Insole for a shoe having a movable massaging member
PCT/KR2010/002135 WO2010117209A2 (ko) 2009-04-07 2010-04-07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JP2012504613A JP2012522619A (ja) 2009-04-07 2010-04-07 移動可能な指圧体を有する履き物用中敷材
CN201080015668.3A CN102387724B (zh) 2009-04-07 2010-04-07 具有可移动的按摩体的鞋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85 2009-04-07
KR20090029685 2009-04-07
KR1020090041132 2009-05-12
KR20090041132 2009-05-12
KR20100018910 2010-03-03
KR1020100018910 201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30A KR20100111630A (ko) 2010-10-15
KR101134010B1 true KR101134010B1 (ko) 2012-04-09

Family

ID=4313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72A KR101134010B1 (ko) 2009-04-07 2010-04-07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30969A1 (ko)
EP (1) EP2417863A2 (ko)
JP (1) JP2012522619A (ko)
KR (1) KR101134010B1 (ko)
CN (2) CN102387724B (ko)
WO (1) WO201011720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40B1 (ko) 2013-05-14 2015-0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압장치를 구비한 지압신발
WO2020080731A1 (ko) * 2018-10-15 2020-04-23 김성민 아치패드를 포함하는 신발
KR102248288B1 (ko) * 2021-03-03 2021-05-03 서삼천 부항기가 구비된 발바닥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42315T3 (es) * 2009-08-26 2014-02-11 Iseppi, Mario Suela interior para zapatos
US20170086531A1 (en) * 2009-08-26 2017-03-30 Christian Thagaard Hansen Insole For Shoes
KR101231633B1 (ko) * 2010-10-12 2013-02-08 임성조 지압체를 갖는 신발창
KR101310183B1 (ko) * 2010-10-16 2013-09-24 주식회사 스마트워크 신발 중창의 아치 마사지장치
CA2863067A1 (en) * 2011-02-10 2012-08-16 Roy Gardiner Dynamic arch stabilization and rehabilitative shoe midsole/insole device
KR101071232B1 (ko) * 2011-02-22 2011-10-10 김근서 아치 지지용 신발 깔창 및 이에 부착되는 아치 지지체
KR101368380B1 (ko) * 2011-11-21 2014-03-06 임성조 발바닥 지지체 제조방법과 발바닥 지지체
TWI474789B (zh) * 2013-05-13 2015-03-01 Univ Far East 按摩鞋墊
KR101638145B1 (ko) * 2014-10-14 2016-07-12 주식회사 원흥스틸 발바닥 지압용 신발
CN105853131A (zh) * 2015-01-22 2016-08-17 尹根寿 脚部指压用缓冲部件
CN205145099U (zh) * 2015-08-13 2016-04-13 李继前 一种足部按摩理疗板
TWI581728B (zh) * 2016-08-04 2017-05-11 Adjustable Acupoint Massage Insol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Structure
KR101717906B1 (ko) * 2016-08-04 2017-03-20 이애연 지압용 신발창
GB201712079D0 (en) * 2017-07-27 2017-09-13 Cardiff Metropolitan Univ Orthotic Device
KR101958350B1 (ko) * 2017-11-03 2019-07-04 나도훈 정전기 제거기능이 구비된 신발
CN107772633A (zh) * 2017-11-23 2018-03-09 章列平 一种鞋跟可调节更换的鞋
CN108741394B (zh) * 2018-05-15 2020-12-08 福建省足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保健功效的磁性按摩健美休闲鞋
SE543472C2 (en) * 2019-03-07 2021-03-02 Ophena Ab Magnetic insole arrangement for riders footwear
USD931589S1 (en) 2020-02-18 2021-09-28 Christian Thagaard Hansen Insole for shoes
CN112056642B (zh) * 2020-07-20 2024-05-28 浙江森威特针纺有限公司 按摩滋润防裂护足套
KR102387407B1 (ko) * 2021-08-20 2022-04-18 (주)에이더 족저근막염용 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01A (ja) * 1995-09-29 1997-04-08 Ryosuke Ura 足の裏の指圧器
KR20070113943A (ko) * 2006-05-25 2007-11-29 임성조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KR100798727B1 (ko) 2007-07-12 2008-01-29 주식회사 신경 신발 밑창
KR20080077344A (ko) * 2008-08-04 2008-08-22 박세영 무릎 관절 보호용 신발깔창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6103A (en) * 1921-05-16 1922-05-16 John J Mccartin Metatarsal-arch support
US1626725A (en) * 1925-12-04 1927-05-03 William S Duffield Instep-arch supporter
US1718853A (en) * 1929-01-19 1929-06-25 Calvo Frank Callus protector and arch support
US1904789A (en) * 1931-10-26 1933-04-18 Joseph C Howell Adjustable arch support
US2075941A (en) * 1935-02-21 1937-04-06 Joseph C Howell Metatarsal arch support
US2075942A (en) * 1935-04-03 1937-04-06 Joseph C Howell Arch support
US2779110A (en) * 1955-11-23 1957-01-29 Joseph C Howell Arch support for the human foot
US3794037A (en) * 1969-11-18 1974-02-26 W Matteson Adjustable arch support for a shoe
JPS5147483Y2 (ko) * 1971-09-15 1976-11-16
JPS62177307U (ko) * 1986-04-28 1987-11-11
US5285584A (en) * 1991-06-12 1994-02-15 Dubner Benjamin B Mechanical custom molding of footgear
FR2748909B1 (fr) * 1996-05-22 1998-08-14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munie d'une voute plantaire reglable
US6609314B1 (en) * 2000-03-15 2003-08-26 Benjamin B. Dubner Mechanical interior shoe adjustment
CN2458895Y (zh) * 2001-01-10 2001-11-14 运长国 多位按摩健身鞋
CN100391380C (zh) * 2003-02-12 2008-06-04 丁力 一种按摩保健鞋底
TW587420U (en) * 2003-05-15 2004-05-11 Chiou-Fu Jang Structure of flexible massage mat
JP3104692U (ja) * 2004-04-19 2004-10-07 有限会社モリタ 履物用中敷き
US20060059726A1 (en) * 2004-09-22 2006-03-23 Ching-Hui Song Foot orthosis
DE102004052935A1 (de) * 2004-10-29 2006-05-18 Stefan Ebeling Schuhsohle mit Druckmassagefunktion
CN2753358Y (zh) * 2004-12-16 2006-01-25 王国松 两用按摩鞋
CN2847906Y (zh) * 2005-12-14 2006-12-20 王福深 一种多功能保健按摩鞋
CN201182729Y (zh) * 2008-03-11 2009-01-21 万贤能 益智保健按摩鞋
JP3147182U (ja) * 2008-10-07 2008-12-18 株式会社クリエイション・ルネ 履物用の中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101A (ja) * 1995-09-29 1997-04-08 Ryosuke Ura 足の裏の指圧器
KR20070113943A (ko) * 2006-05-25 2007-11-29 임성조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KR100798727B1 (ko) 2007-07-12 2008-01-29 주식회사 신경 신발 밑창
KR20080077344A (ko) * 2008-08-04 2008-08-22 박세영 무릎 관절 보호용 신발깔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40B1 (ko) 2013-05-14 2015-0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압장치를 구비한 지압신발
WO2020080731A1 (ko) * 2018-10-15 2020-04-23 김성민 아치패드를 포함하는 신발
KR102248288B1 (ko) * 2021-03-03 2021-05-03 서삼천 부항기가 구비된 발바닥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6894A (zh) 2015-02-25
JP2012522619A (ja) 2012-09-27
KR20100111630A (ko) 2010-10-15
WO2010117209A2 (ko) 2010-10-14
EP2417863A2 (en) 2012-02-15
US20120030969A1 (en) 2012-02-09
WO2010117209A3 (ko) 2011-01-27
CN102387724B (zh) 2014-12-17
CN102387724A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010B1 (ko) 이동 가능한 지압체를 갖는 신발용 바닥재
US864036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mbedded orthotic devices
MXPA03007050A (es) Un sistema de amortiguacion para el calzado y un dispositivo que comprende dicho sistema, el cual se activa por medio de la presion ejercida sobre las protuberancias provistas en el extremo en contacto con el terreno, presionando las proyecciones de
CN107581708B (zh) 鞋内底组合件、底部部件、鞋类物品、组装方法和套件
KR101231633B1 (ko) 지압체를 갖는 신발창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20070113943A (ko)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JP2006000621A (ja) 可動つぼ押し機能を備えた履物台
KR102182246B1 (ko) 자력 및 탄성력을 이용한 혈류 개선용 신발 깔창
KR20160073676A (ko)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US20130326905A1 (en) Energy wave sockliner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20120055825A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110056581A (ko) 발바닥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357823B1 (ko) 이동 가능한 아치 지지체를 갖는 신발창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102203504B1 (ko)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101480093B1 (ko)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KR20140101110A (ko) 기능성 신발
KR200458030Y1 (ko) 족궁 마사지 기능을 갖춘 신발 밑창
KR20090096053A (ko) 충격흡수용 여성 하이힐의 밑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