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43B1 - 수평조절기능자전거 - Google Patents

수평조절기능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943B1
KR101132943B1 KR1020090074430A KR20090074430A KR101132943B1 KR 101132943 B1 KR101132943 B1 KR 101132943B1 KR 1020090074430 A KR1020090074430 A KR 1020090074430A KR 20090074430 A KR20090074430 A KR 20090074430A KR 101132943 B1 KR101132943 B1 KR 10113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frame
adjusting means
position adjusting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766A (ko
Inventor
홍상욱
Original Assignee
홍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욱 filed Critical 홍상욱
Priority to KR102009007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9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에서 운전자의 자세를 평지와 같도록 유지하게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오르막 경사에서는 평지에서와 같이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내리막 경사에서는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수평조절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은 실시예에 따른 운행자세 조절기능 자전거는 경사지를 주행시 후륜부의 높이조절수단, 전륜부의 높이조절수단, 또는 안장부의 위치조절수단과 같은 수평유지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운전자의 자세를 평지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시켜, 동력전달력의 향상 및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49303495-pat00001
자전거, 수평조절

Description

수평조절기능자전거{Bicycle comprising horizontal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경사에서 운전자의 자세를 평지와 같도록 유지하게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오르막 경사에서는 평지에서와 같이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내리막 경사에서는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수평조절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에너지 절약 및 재활용의 시대에 새로이 주목 받고 있다. 통상의 자전거는 동력을 운전자가 직접 자전거에 전달하여야 하는 만큼, 오르막 경사에서의 힘을 절약하기 위해 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경사에서는 평지와는 달리 몸체의 중심이 오르막 경사에서는 뒤쪽으로, 내리막 경사에서는 앞쪽으로 이동되어, 운전자의 안정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오르막 경사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충분한 힘을 페달에 전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도면 1 참고)
최근 개발되고 있는 자전거는 기어가 달린 자전거뿐만이 아니라, 산악용 자전거에 있어서는 충격의 흡수를 위해, 후방 서스펜션이나 전방 서스펜션을 추가하거나, 전후방에 모두 서스펜션을 장착하고, 상기 서스펜션을 자전거에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하는 기술이 나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로는 유압식 실린더, 공압식 실린더, 스프링, 및 기타 다양한 서스펜션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스펜션의 설치 목적 및 그 구성은 단순히 주행 중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을 막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경사에서 운전자의 자세를 보정해 주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 공지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210507호(2001년1월15일 공고)에 기재된 중심이동자전거는 자전거의 경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변하게 하는 기능이 추가된 안장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중심이동자전거는 오르막 경사의 주행시 안장부가 미끄럼틀 뒤쪽으로 위치하게 되어 평지에서와 같이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지만, 상기 발명은 운전자의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이 아니고, 단순히 중력에 대한 순응에 따른 자세가 변경될 뿐, 상기 기능이 없는 통상의 자전거에 비해 페달과 안장부의 배치는 수평에 대하여 더 많은 각이 형성되어, 운전자의 힘이 페달에 전달되는 세기는 오히려 안장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현재 공지되어 있는 자전거와 같이 동력의 원천이 운전자의 힘에 전적으로 의존되는 이동수단에 있어서, 오르막 경사에서의 동력 전달이 보정되도록 개발된 기술은 공지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자전거가 오르막 경사를 오르거나, 내리막 경사에서, 운전자의 자세가 평지에서와의 편차가 발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력전달 효율의 저하와 안정감을 극복하기 위해, 경사에서 평지에서와 같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자전거가 평지에서 오르막으로 진행하는 동안 안장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페달축에 대해 뒤로 밀려나고 아래로 내려앉게 된다(도면 1 참고). 따라서,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이 뒤쪽 아래로 빠지게 되어 페달을 구르는데 평지보다 힘이 더 들게 되는 현상을 평지에서와 같은 자세로 바로잡도록 할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자전거에 있어서, 최소한의 부분의 구성을 교체하거나 보완하여, 운전자의 힘을 충분히 자전거에 전달할 수 있도록 경사지에서 동력전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운전자의 안정감을 평지에서와 같이 유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륜 및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륜부; 안장 및 안장를 지지하는 안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장부; 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륜부; 안장 및 페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 및 주행 중 경사도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수평 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위치조절수단이 후륜부 위치조절수단, 전륜부 위치조절수단, 및 안 장부 위치조절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철심 중간을 돌리면 길이가 조절되는 장치중 하나이고,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레버, 작동버튼, 회전봉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회전가능한 후륜부 연결축(1)에 의해 하부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 및 후방프레임(3)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4)가 연결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압축과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5)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전방프레임(11) 아래의 핸들지지프레임(14)자체 또는 핸들지지프레임의 일측, 또는 전륜지지프레임(14)의 양측 또는 일측에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은, 상부프레임(23)과 하부프레임(27)의 일정한 위치, 안장프레임(25) 및 상부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과 하부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 또는 안장프레임(25)와 후방프레임(24)의 일측, 또는 안장부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굴절축(21)의 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안장이 연결된 상부프레임(23)과 전방프레임(24)의 일측에 굴절이 가능한 굴절축(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은, 상부프레임(23)의 양측 단부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부프레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위치조절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회전가능한 후륜부 연결축(1)에 의해 전방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2) 및 후방프레임(3)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공압실린더(4)가 연결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압축과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5)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전방프레임(11) 아래의 핸들지지프레임(4), 또는 전륜지지프레임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전방프레임(11) 아래의 핸들지지프레임(14), 또는 전륜지지프레임의 양측 또는 일측에 추가되고, 상부프레임(23)과 하부프레임(27)의 일정한 위치, 안장프레임(25) 및 상부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과 하부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 또는 안장프레임(25)와 후방프레임(24)의 일측, 또는 안장부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굴절축(21)의 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안장이 연결된 상부프레임(23)과 전방프레임(24)의 일측에 굴절이 가능한 굴절축(21)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조향핸들, 안장부 또는 상부프레임의 일측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수평조절기능 자전거는 오르막 경사를 오르거나, 내리막 경사에서, 운전 자의 자세가 평지에서와의 편차가 발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력전달 효율의 저하와 안정감을 극복하기 위해, 경사에서 평지에서와 같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자전거에 있어서, 최소한의 부분의 구성을 교체하거나 보완하여, 운전자의 힘을 충분히 자전거에 전달할 수 있도록 경사지에서 동력전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운전자의 안정감을 평지에서와 같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은 실시예에 따른 운행자세 조절기능 자전거는 경사지를 주행시 후륜부의 위치조절수단, 전륜부의 위치조절수단, 또는 안장부의 위치조절수단과 같은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작동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주행 중 운전자의 자세를 평지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시켜, 동력전달력 손실의 최소화 및 안정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자전거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후륜부 위치조절수단(F)을 구비한 수평 유지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의 각 구성은 전륜 및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륜부(A), 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륜부(B), 운전자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페달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C), 안장부(D), 및 방향조절부(E)를 포함하는 통상의 자전거의 구성 및 조절부(F)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절부는 중력에 대하여 경사에서의 안장과 페달의 위치가 평지에서와 동일 또는 최대한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도3은 상기 조절부(F)의 일 예로서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한가지 수단인 공압실린더(4) 및 작동수단 중 한가지 수단인 작동레버(5)를 포함하는 수평조절 자전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의하면, 수평 조절 자전거는 회전가능한 후륜부 연결축(1)에 의해 하부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 및 후방프레임(3)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공압실린더(4)가 연결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압축과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5)가 연결되어 있어, 자전거의 경사도에 따라 작동레버(5)를 작동시키면 공압실린더(4)의 팽창-수축으로 뒷바퀴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자전거 운전자가 평지에서와 동일한 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의 압축과 팽창을 운전 중 또는 운전 전후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5)가 상기 실린더의 일측, 운전자의 핸들에 가까운 위치, 또는 운전자의 핸들의 일부를 포함하여 운전중 또는 운전 전후에 조절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5)의 배치는 도3의 위치 이외에도 전륜부(A)와 후륜부(B)의 각이 조절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든 가능하다.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종류는 공압실린더 이외에도, 작동수단에 의해 후륜부 연결축(1)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고, 상기 작동수단도 레버, 버튼식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작동수단이면 그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4의 4-1에서는 상기 조절부(F)가 통상의 자전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쇼바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일예를 보여준다. 상기 예에서 구현되는 조절부(F)의 형태는 철심 중간을 돌리면 길이가 조절되는 장치 및 상기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봉의 형태를 띄고 있어, 주행 중 및 주행 전 후에 전륜부(A)와 후륜부(B)의 배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쿠션감을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기존의 자전거에 쇼바대신에 장착하면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 4의 4-2는 또 다른 일예로서 통상의 자전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식 쇼바 또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쇼바(실린더)와 일체로 길이를 주행중 또는 주행 전 후에 레버 등과 같은 작동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대부분의 자전거에서 쿠션의 역할 만을 수행하는 쇼바 대신에 자전거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상기 도면 4의 경우에는 통상의 자전거의 쇼바를 간단히 대체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용할 뿐 아니라, 작동수단의 추가로 인해 주행 중 또는 주행 전, 후에 도로의 사정에 따라 용이하게 운전자의 자세를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절부(F)의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구현 가능한 예들이 도면 5에 나타나 있다.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양쪽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 원통형의 회전가능한 관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길이조절 장치일 수 있다(도5의 A). 또 다른 예로는 걸쇠를 아래 그림과 같이 부착하여 거는 정도에 따라 오르막의 경사도에 맞는 뒷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절할 때마다 내려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제작, 적용하기는 가장 쉽다(도5의 B). 또 다른 자전거 위 프레임에 설치한 나사처럼 돌리면 움직이는 장치를 자전거 쇼바의 한 고정점에 부착해 돌려서 오르막 경사에 따른 뒷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한다(도5의 C). ‘ㄱ’자로 꺾인 레 버를 쇼바에 장착해 당기면 지레의 원리로 오르막 경사에 따른 뒷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당겨진 레버는 아래 그림처럼 톱니와 용수철바에 의한 스토퍼 장치로 고정된다(도5의 D, E). 레버 손잡이를 잡으면 용수철바가 내려가 레버를 당기거나 밀수 있고 놓으면 톱니에 고정된다(도5의 F).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4)의 배치는 도3의 위치 이외에도 전륜부(A)와 후륜부(B)의 각이 조절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든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수평조절수단의 구성을 전륜부에 배치하는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한 수평 유지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자전거의 다른 구성은 도2의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된 자전거의 배치와 동일하고, 다만, 조절부(F)의 위치가 전륜부에 된 점에만 차이가 있다. 도 6에는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 자전거의 핸들프레임(11)의 하단에는 전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핸들프레임(11)아래의 전륜지지프레임(12)에 설치될 수도 있고(도6A), 전륜지지프레임이 충격을 막기 위한 서스펜션으로 이루어진 경우, 서스펜션 자체에 유압조절레버를 추가하거나, 서스펜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의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을 추가할 수도 있다(도면 6 B 참고).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수단은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서스펜션포크는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로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포크는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조절레버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는 압축과 팽창이 조절될 수 있는 작동레버(15)가 연결되어 있어, 자전거의 경사도에 따라 레버를 작동시켜 전륜부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자전거 운전자가 평지에서와 동일하게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축과 팽창을 운전중 조절할 수 있는 레버(15)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측, 운전자의 핸들에 가까운 위치, 또는 운전자의 핸들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버의 위치가 핸들에 가까워 자전거를 운행하면서 실린더의 압축-팽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수평 유지 자전거의 구현을 위해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이 설치된 자전거의 예로서 상부프레임(23)을 상향 회전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는 안장이 연결된 상부프레임(23)과 전방프레임(22)의 일측에 굴절이 가능한 굴절축(21)을 설치하고, 안장프레임(25) 및 상부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과 하부프레임 및 후방프레임(24)이 만나는 곳의 일측에 안장 위치조절수단의 일예로서 공압실린더(28)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공압실린더의 압축 및 팽착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는 운행자가 조절하기 편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상기 공압실린더(28)의 압축-팽창 작용에 따라 굴절 축(2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면 안장이 위-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르막 경사에서도 평지에서의 운행 자세와의 변화를 최소화한다. 이때 상방으로 상향 회전된 안장은 평지에서의 운행자세, 즉 중력방향에 대한 페달과 안장의 위치관계와 달라지는데 통상 안장이 평지때 보다 약간 상방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프레임이 굴절 축 을 중심으로 상방 회전하는 조절수단의 경우 위치조절수단이 중력 방향으로 놓여지게되어 운행 중에 길이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장부의 위치조절수단의 배치는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이 조절되어 안장부가 상향 및 하향 조절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면, 상부프레임(23), 하부프레임(26), 안장프레임(25), 중간프레임(27), 전방프레임(22), 및 후방프레임(24)의 일측 또는 각 프레임이 만나는 곳 사이의 어느 곳에도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하나의 일 예를 들면, 안장프레이(25) 및 하부프레임(24)가 일체로 되어 있는 자전거의 경우에는 상부프레임(23)의 구성을 없애고, 후방프레임(24)과 하부프레임(26)의 일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조절수단을 연결하거나, 상부프레임의 양측을 회전축으로 연결시켜 상기 위치조절수단을 배치함에 의해서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에도 위치조절수단의 작동수단은 압축과 팽창을 운전 중 또는 운전 전후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수 있도록 조절레버(5)가 상기 실린더의 일측, 운전자의 핸들에 가까운 위치, 또는 운전자의 핸들의 일부를 포함하여 운전중 또는 운전 전후에 조절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안장을 이동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안장 축 끝에 슬라이딩이 되는 원호 모양으로 구부러진 레일을 설치하고 안장의 뒷부분을 연결 슬라이딩시키고 안장의 앞쪽 아래에는 조임 나사를 달아 나사를 풀고 조이면서 안장을 원호모양으로 이동시켜 오르막에서도 안장과 페달의 위치관계를 변하지 않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운전 중에도 안장을 용이하게 이동 조절이 가능하고, 기존의 자전거에 안장부만을 교체하여 구현이 가능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륜 위치조절수단이 포함된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일 예에 대한 배치도이다.
도 4는 위치조절수단 및 위치조절수단의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다양한 배치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구성에 대한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7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의 구성 및 배치를 보여준다.

Claims (8)

  1. 삭제
  2. 전륜 및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륜부; 안장 및 안장를 지지하는 안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장부; 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륜부; 안장 및 페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 및 주행 중 경사도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수평 조절기능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후륜부 위치조절수단 및 전륜부 위치조절수단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회전가능한 후륜부 연결축(1)에 의해 전방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2) 및 후방프레임(3)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전방프레임(11) 아래의 핸들지지프레임(14), 또는 전륜지지프레임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며,상기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은 안장이 연결된 상부프레임(23)과 전방프레임(22)의 일측에 굴절이 가능한 굴절축(21)이 설치되며, 상부프레임(23)과 하부프레임(27)의 일정한 위치, 안장프레임(25) 및 상부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과 하부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 또는 안장프레임(25)와 후방프레임(24)의 일측, 또는 안장부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굴절축(21)의 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안장 축 끝에 슬라이딩이 되는 원호 모양으로 구부러진 레일을 설치하고 안장의 뒷부분을 연결 슬라이딩시키고 안장의 앞쪽 아래에는 조임 나사를 달아 나사를 풀고 조이면서 안장을 원호모양으로 이동시켜 오르막에서도 안장과 페달의 위치관계를 변하지 않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철심 중간을 돌리면 길이가 조절되는 장치중 하나이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압축 또는 팽창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수단이 조향핸들, 안장부 또는 상부프레임의 일측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 자전거
  3. 전륜 및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륜부; 안장 및 안장를 지지하는 안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안장부; 후륜 및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륜부; 안장 및 페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 및 주행 중 경사도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수평 조절기능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후륜부 위치조절수단 및 전륜부 위치조절수단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회전가능한 후륜부 연결축(1)에 의해 전방프레임(2)과 후방프레임(3)이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2) 및 후방프레임(3)의 각각의 일정한 위치에 공압실린더(4)가 연결되고, 상기 후륜부 위치조절수단의 압축과 팽창을 조절할 수 있는 작동레버(5)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부 위치조절수단은 전방프레임(11) 아래의 핸들지지프레임(14), 또는 전륜지지프레임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며,상기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은 안장이 연결된 상부프레임(23)과 전방프레임(22)의 일측에 굴절이 가능한 굴절축(21)이 설치되며, 상부프레임(23)과 하부프레임(27)의 일정한 위치, 안장프레임(25) 및 상부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과 하부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만나는 곳의 일측, 또는 안장프레임(25)와 후방프레임(24)의 일측, 또는 안장부가 안장부 위치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굴절축(21)의 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안장 축 끝에 슬라이딩이 되는 원호 모양으로 구부러진 레일을 설치하고 안장의 뒷부분을 연결 슬라이딩시키고 안장의 앞쪽 아래에는 조임 나사를 달아 나사를 풀고 조이면서 안장을 원호모양으로 이동시켜 오르막에서도 안장과 페달의 위치관계를 변하지 않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더 포함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철심 중간을 돌리면 길이가 조절되는 장치중 하나이고,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레버, 작동버튼, 회전봉 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기능 자전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74430A 2009-08-12 2009-08-12 수평조절기능자전거 KR101132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430A KR101132943B1 (ko) 2009-08-12 2009-08-12 수평조절기능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430A KR101132943B1 (ko) 2009-08-12 2009-08-12 수평조절기능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766A KR20110016766A (ko) 2011-02-18
KR101132943B1 true KR101132943B1 (ko) 2012-04-05

Family

ID=4377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430A KR101132943B1 (ko) 2009-08-12 2009-08-12 수평조절기능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5085A2 (en) 2013-03-15 2014-09-18 Jeffrey Michael Vehicle and vehicle compon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5459A1 (fr) * 1991-04-17 1992-10-23 Guillet Christian Dispositif de montage d'une selle sur un cadre de bicyclette.
WO1993021056A1 (en) 1992-04-10 1993-10-28 Elio Iacono Device for changing the riding position in two-wheel vehicles
US20010011806A1 (en) * 1998-08-18 2001-08-09 Paul Muser Suspension system for bicycle
KR20080012097A (ko) * 2006-08-01 2008-02-11 최용집 이륜차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5459A1 (fr) * 1991-04-17 1992-10-23 Guillet Christian Dispositif de montage d'une selle sur un cadre de bicyclette.
WO1993021056A1 (en) 1992-04-10 1993-10-28 Elio Iacono Device for changing the riding position in two-wheel vehicles
US20010011806A1 (en) * 1998-08-18 2001-08-09 Paul Muser Suspension system for bicycle
KR20080012097A (ko) * 2006-08-01 2008-02-11 최용집 이륜차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766A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141B2 (en) Bicycle rear suspension system
US9242693B2 (en) Bicycle rear suspension
US5607171A (en) Recumbent bicycle
US20110248470A1 (en) Bicycle seat tube
US20030038450A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s, particularly bicycles
US9845132B2 (en) Mountain bicycle with rear suspension having neutral braking trajectory
WO1995029838A1 (en) Improved bicycle suspension system
EP2686227A1 (en) Bicycle suspension system
US20170101152A1 (en) Bicycle frame
JPH03505317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ビーム式座席支持構造体及びこれを具えた自転車組立体
KR101132943B1 (ko) 수평조절기능자전거
EP1950127B1 (en) Bicycle
US4666174A (en) Wide powerful range bicycle
CN209889004U (zh) 具有调节功能的自行车车座
JP2009046103A (ja) 自転車の弾性・伸縮フレ−ム
CN104176169A (zh) 用脚控制、车身可倾斜三轮摩托车
KR100868875B1 (ko) 충격완충용 자전거
CN102267524A (zh) 斜躺车
US11364960B2 (en) Vehicle with an actuator for adjusting a suspension assembly
CN217146219U (zh) 一种具有自平衡功能的倒骑车
KR200273416Y1 (ko) 오토바이용 완충장치
CN102632955B (zh) 自行式婴儿车
KR200255794Y1 (ko) 자전거 안장의 완충장치
JP2014031065A (ja) 自転車のハンドル用緩衝装置
GB2360497A (en) Bicycle frame and rear suspens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