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764B1 -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764B1
KR101132764B1 KR1020100043643A KR20100043643A KR101132764B1 KR 101132764 B1 KR101132764 B1 KR 101132764B1 KR 1020100043643 A KR1020100043643 A KR 1020100043643A KR 20100043643 A KR20100043643 A KR 20100043643A KR 101132764 B1 KR101132764 B1 KR 10113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s
shaft
windows
blin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067A (ko
Inventor
이완호
Original Assignee
(주)휴그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그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휴그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764B1/ko
Priority to CN2010800264866A priority patent/CN102482913A/zh
Priority to PCT/KR2010/003789 priority patent/WO2010147341A2/ko
Priority to US13/378,191 priority patent/US20120132374A1/en
Publication of KR2011012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창호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러인드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이중창호에 블라인드를 밀폐되도록 설치하여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토록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주택이나 건물의 창호에 햇빛 차단과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현재 이러한 창호는 단열성이 좋도록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유리판을 이중으로 사용하는 이중창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라인드는 창호에 항상 블라인드는 내부에 설치되고 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의 실내온도가 높아 냉방에너지의 소비율이 높게 되고 또한 블라인드에 먼지와 습기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세균 번식 및 오염이 되고 노출되어있는 블라인드가 상당히 거추장스러웠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로 인해서 이중창호 내측에 블라인드를 설치한 것이 제공되었으며 이러한 블라인드의 작동을 위하여 자석이나 전동기를 이용하여 리모콘 방식의 블라인드를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사용이 제한적이고 오작동이 많이 발생하며 또한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제공하면서 작동이 용이하고 외부공기가 이중창호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밀폐되게 형성된 것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이중창호의 내부에 블라인드를 장착하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웠으며 조립을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창호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작동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조립이 용이토록 하고 또한 이중창호와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에 밀폐처리토록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a blind}
본 발명은 이중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창호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이중창호에 블라인드를 밀폐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먼지나 습기로부터 오염방지 및 방수되도록 하여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아파트나 빌라, 일반주택 등과 같은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실, 점포 같은 사업용 건물의 창호에 설치되어 창호를 통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창호는 단열성이 좋도록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공기층을 두어 창호재에 고정하는 이중유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통 블라인드는 창호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의 적외선이 실내에 침투하여 실내온도를 높이게 되고 특히, 여름철의 경우 실내온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냉방 에너지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와 탄소배출이 심화되는 것이다. 또한 창호에 항상 블라인드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와 습기 등으로 인해서 세균의 번식 및 오염문제가 심각하였으며 또한 노출되어진 블라인드는 인테리어상 상당히 거추장스러웠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로 인해서 최근에는 이중창호의 내측 공간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냉,난방에너지의 절약과 먼지와 습기 등의 세균번식과 오염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도록 친환경적인 제품을 개발함과 동시에 화재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도록 함과 이러한 유리를 강화유리로 사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창호의 내측에 설치된 블라인드는 작동을 위하여 현재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전동식 블라인드와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자석식 블라인드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리모콘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상당히 고가이며 또한 정전시에는 작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잦은 고장으로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어 A/S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이 불편하고 그에 따른 수리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력을 이용한 자석식 블라인드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력에 의한 작동의 한계로 인해서 유리의 사용이 폭이 1M이하만 사용하게 되어 대형 건물과 같은 대형창을 사용하는 건물에는 적용을 할 수 없게 되어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자석은 일정기간동안 사용이 경과되면 자석의 자력이 저하되어 작동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자석식 블라인드는 설치 및 작동 공간 확보를 위하여 자석이 설치된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유리판과 외측유리판이 장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중창호의 내측에 블라인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블라인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중창호의 프레임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승하강축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축을 회전하도록 일측은 승하강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중창호의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는 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을 가동시키는 승강와이어가 형성된 것으로 이중창호와 내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토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이중창호의 내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상하로 작동하기 위한 연결수단의 구조가 승하강회전축을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 1회전축과 상기 제 1회전축을 회전하는 제 2회전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제 1회전축과 제 2회전축이 동시에 회전하기 위하여 기어와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이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되는 부분에 브래킷과 연결핀과 오링을 결합하여 밀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였으며 따라서 조립이 매우 까다로워 제품을 생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중창호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작동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이중창호와 내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에 완전하게 밀폐처리를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개선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간격을 두고 내측유리판과 외측유리판에 장착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이중창호와 상기 이중창호의 내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와 상기 블라인드가 상하로 감겨지는 승하강축과 상기 승하강축의 일측에는 승하강축을 회전시는 회전수단과 타측에는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 및 각도조절을 하는 조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일측에 회전수단을 작동시키는 승하강와이어가 장착되는 구조로 된 것으로, 상기 승하강축을 회전하는 회전수단에는 블라인드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클러치가이드가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가이드와 결합되는 회전축이 이중창호의 측면프레임에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우징에 실링처리 및 오링을 결합하여 밀폐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하강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조절수단은 틸트가이드관의 회전으로 스크류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짐으로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 및 각도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회전작동을 위하여 틸트가이드관을 지지하면서 승하강프레임에 스크류가이드가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렴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이중창호의 내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를 밀폐되게 설치토록 함으로써 미세먼지나 외부공기로 인한 습기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렴하면서도 작동이 용이하며 블라인드를 이중창호 내부에 설치토록 함으로써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와 이러한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블라인드가 내부에 밀폐되게 설치되어진 이중창호 내부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과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습기의 생성을 방지토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창호의 내측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창호에 내측에 블라인드가 설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수단의 하우징에 기어가 장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수단의 스프링 클러치가이드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수단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창호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9는 종래의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창호의 내측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유리판(11)과 외측유리판(12)이 상측프레임(10a)과 하측프레임(10b)과 측면프레임(10c)으로 형성된 틀에 장착되는 이중창호(10)와 상기 이중창호(10)의 내측으로 날개(22)와 상기 날개(22)를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사다리실(21)로 이루어진 블라인드(2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20)의 승하강 작동을 위하여 이중창호(10)의 상측프레임(10a)의 하측에 승하강브래킷(30)이 장착되고 상기 승하강브래킷(30)에는 블라인드(20)의 사다리실(21)이 감기는 승하강축(31)과 상기 승하강축(31)의 일측으로 블라인드(20)의 상하 조절 및 각도 조절 기능을 하는 조절수단(32)과 타측으로 승하강축(31)을 회전하면서 브레이크 기능을 하는 회전수단(40)이 장착되어 상기 회전수단(40)에 승강와이어(52)가 장착되어 회전작동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축(31)은 다각으로 형성되고 승하강축(31)이 장착되는 조절수단(32)과 회전수단(40)에는 승하강축(31)과 동일한 형상의 끼움홈(35c,4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다각으로 형성된 승하강축(31)은 블라인드(20) 조절수단(32)과 회전수단(40)에 끼워져 회전될 때 승하강축(31)이 헛돌게 되지 않고 동시에 회전이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수단(32)은 관형상으로 되어 외관이 나선부(33a)로 되어 상하측으로 대칭되는 안내홈(33b)이 형성된 스크류(33)와 상기 스크류(33)의 나선부(33a)와 맞물리는 나선돌기(35a)가 형성된 스크류너트(35)와 내측으로 스크류(33)의 안내홈(33b)이 결합되는 안내돌기(34a)를 형성한 틸트가이드관(34)이 결합되는 것으로 승하강축(31)이 회전수단(40)에 의해 회전하면 틸트가이드관(34)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틸트가이드관(34)의 안내돌기(34a)와 스크류너트(35)의 나선돌기(35a)에 의해 스크류(33)가 전후방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틸트가이드관(34)의 일측면에 다각으로 형성된 승하강축(31)이 끼워져 회전이 되도록 동일한 모양의 끼움홈(35c)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승하강브래킷(30)에 장착되는 스크류가이드(36)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가이드(36)는 중앙에 안착부(36a)가 형성되도록 모서리에 돌기부(37b)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한 돌기부(37b)에 끼워지도록 틸트가이드관(34)에는 일정간격의 안착돌기(34b)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돌기부(37b)에는 스크류너트(35)가 끼워지도록 돌기부(37b)의 후방으로 격벽(36c)이 형성되어 돌기부(37b)와 격벽(36c)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가이드(36)에 스크류너트(35)와 틸트가이드관(34)이 끼워져 스크류너트(35)는 고정되고 틸트가이드관(34)만 안착돌기(34b)에 의해 스크류가이드(36)에서 회전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축(31)의 타측에 장착되는 회전수단(40)은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브라켓(3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면서 중앙에 관통공(41a)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장착부(41b)를 형성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도록 승하강축(31)의 일측 끝단에 블라인드(2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스프링(43)을 가이드하도록 스프링가이드(42)에 끼워져 스프링(43)의 양 끝단(43a)이 걸려져 이를 단속하는 중앙에 승하강축(31)이 끼워지도록 끼움관(44a)이 형성된 제 1클러치가이드(44)와 일측으로 축돌기(45a)가 형성된 제 2클러치가이드(45)가 결합되어 하우징(41)의 일측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41)의 관통공(41a)으로 제 2클러치가이드(45)의 일측에 형성된 축돌기(45a)와 끼워지면서 일측단이 측면프레임(10c)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46)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46)의 일측으로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47)이 하우징(41)의 타측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47)이 장착된 장착부(41b)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를 위한 오링(49)이 끼워지고 장착된 오링(49)과 베어링(47)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48)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0c)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46)에도 외부공기의 유일을 방지하도록 밀폐를 위한 오링(49)이 끼워진 후 상기 회전축(46)을 회전하도록 승하강와이어(52)가 감기는 기어(50)가 장착되고 기어커버(51)가 하우징(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승하강브래킷(30)과 함께 회전수단(40)이 하우징(41)에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이중창호(10)에 장착하고 외부 공기가 이중창호(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처리를 완료한 후에 한번 더 측면프레임(10c)에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46)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오링(49)을 장착하고 기어(50)와 기어커버(51)를 장착토록 하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되면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밀폐도를 좀더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축(46)과 하우징(41)의 접촉면에는 그리스나 오일이 도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41)의 상,하,좌,우측에 걸림돌기(41c)를 형성하고 하우징커버(48)와 기어커버(51)에는 상기 걸림돌기(41c)에 결합되는 걸림부(48a,51a)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결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블라인드(20)에는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블라인드(20)와 같이 날개(22)의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각도 조향수단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러한 날개(22)의 각도조절은 상기 스프링(43)의 양 끝단(43a)이 클러치가이드(44,45)에서 단속되면서 조향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창호(10)에 내장된 블라인드(20)는 내측유리판(11)과 외측유리판(12) 중간에 블라인드(20)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중창호(10)의 내부에서 블라인드(20)의 날개(22)가 승하강되면서 실내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와이어(52)를 잡아당겨 기어(50)를 회전시키면 기어(50)에 장착된 회전축(46)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46)이 회전하게 되면 승하강축(31)이 결합된 제 1클러치가이드(44)와 제 2클러치가이드(45)도 동시에 회전이 되면서 승하강축(31)이 회전되면서 승하강축(31)에 감겨진 블라인드(20)의 사다리실(21)이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면서 날개(2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제 1클러치가이드(44)와 제 2클러치가이드(45)에 의해 스프링(43)이 탄성작동되다가 스프링(43)이 어느정도 탄성되면 블라인드(20)의 승하강을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과 베어링(47)의 접촉면과 회전축(46)과 기어(50)의 접촉면에 오링(49)이 장착되고 그리스 및 오일을 도포함으로써 결합되어진 틈새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승하강브래킷(30)과 함께 장착된 하우징(41)과 측면프레임 (10c)사이에 실링처리를 완료한 상태에서 측면프레임(10c)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46)의 끝단에 기어(50)와 기어커버(51)를 장착하게 되어 공기가 이중창호(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이 형성된 부분이나 조절수단(32)이 형성된 부분 즉, 이중창호(10)의 설치에 따라서 어느 한 쪽으로도 밀폐를 위한 실링처리를 한 후에 기어를 장착토록 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사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양쪽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커버(51)의 일측으로 기어(50)에 감겨지는 승하강와이어(52)가 작동이 원활하게 안내되어지는 경사진 유동홈(5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동홈(51b)으로 승하강와이어(52)만 노출되어 당김으로 작동이 원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커버(51)의 유동홈(51b)이 형성된 부분의 측면프레임(10c)에 홀을 가공하고 상기 가공되어진 측면프레임(10c)의 홀에 와이어커버(53)를 결합하여 와이어커버(53)로 승강와이어(52)만 외부로 노출토록 함으로써 완전한 밀폐가 되면서 외부에서 블라인드를 쉽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외관상으로 보기도 좋도록 한 것이다.
10: 이중창호 10a: 상측프레임
10b: 하측프레임 10c: 측면프레임
11: 내측유리판 12: 외측유리판
20: 블라인드 21: 사다리실
22: 날개
30: 승하강브래켓 31: 승하강축
32: 조절수단 33: 스크류
34: 틸트가이드관 35: 스크류너트
36: 스크류가이드
40: 회전수단 41: 하우징
42: 스프링가이드 43: 스프링
44: 제1클러치가이드 45: 제2클러치가이드
46: 회전축 47: 베어링
48: 하우징커버 49: 오링
50: 기어 51: 기어커버
52: 승하강와이어 53: 와이어커버

Claims (8)

  1.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유리판(11)과 외측유리판(12)이 상측프레임(10a)과 하측프레임(10b)과 측면프레임(10c)으로 형성된 틀에 장착되는 이중창호(10)와 상기 이중창호(10)의 내측으로 블라인드(20)가 장착되고 상기 블라인드(20)와 연결되어 상하로 감기도록 하는 승하강축(31)과 상기 승하강축(31)의 일측에는 블라인드(20)의 상하 조절 및 각도 조절 기능을 하는 조절수단(32)과 타측으로 승하강축(31)을 회전하면서 브레이크 기능을 하는 회전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수단(40)에 승강와이어(52)가 장착되어 승강와이어(52)에 의해 회전작동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수단과 조절수단에 외부 공기가 이중창호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오링을 장착하고 실링처리하여 밀폐되게 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축(31)은 다각으로 형성되고 승하강축(31)이 장착되는 조절수단(32)과 회전수단(40)에 승하강축(31)과 동일한 형상의 끼움홈(35c,44a)을 형성하여 승하강축(31)이 회전시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32)은 관형상으로 되어 외관에 나선부(33a)가 형성되고 상하측으로 대칭되는 안내홈(33b)이 형성된 스크류(33)와 상기 스크류(33)의 나선부(33a)와 맞물리는 나선돌기(35a)를 형성된 스크류너트(35)와 내측으로 스크류(33)의 안내홈(33b)이 결합되는 안내돌기(34a)를 형성한 틸트가이드관(34)이 결합되어 승하강축(31)이 회전하면 틸트가이드관(34)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틸트가이드관(34)의 안내돌기(34a)와 스크류너트(35)의 나선돌기(35a)에 의해 스크류(33)가 전후방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은 중앙에 관통공(41a)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장착부(41b)를 형성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일측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도록 승하강축(31)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도록 블라인드(2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스프링(43)을 가이드하도록 스프링가이드(42)에 끼워져 스프링(43)의 양 끝단(43a)이 걸려져 이를 단속하는 중앙에 승하강축(31)이 끼워지는 끼움관(44a)이 형성된 제 1클러치가이드(44)와 일측으로 축돌기(45a)가 형성된 제 2클러치가이드(45)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의 일측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41)의 관통공(41a)으로 제 2클러치가이드(45)의 일측에 형성된 축돌기(45a)와 끼워지면서 일측단이 측면프레임(10c)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46)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46)의 일측으로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47)이 하우징(41)의 타측 장착부(4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47)이 장착된 장착부(41b)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를 위한 오링(49)이 끼워지고 상기 오링(49)과 베어링(47)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커버(48)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0c)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46)에 외부공기의 유일을 방지하도록 밀폐를 위한 오링(49)이 끼워진 후 상기 회전축(46)을 회전하면서 승하강와이어(52)가 감기는 기어(50)가 장착되고 상기 기어를 보호하는 기어커버(51)가 하우징(41)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1)의 상,하,좌,우측에 걸림돌기(41c)를 형성하고 하우징커버(48)와 기어커버(51)에는 상기 걸림돌기(41c)에 결합되는 걸림부(48a,51a)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51)의 일측으로 기어(50)에 감겨지는 승하강와이어(52)가 원활하게 안내되어지는 경사진 유동홈(5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51)의 유동홈(52b)이 형성된 측면프레임(10c)에 홀을 가공하여 상기 홀에 와이어커버(53)를 결합하여 와이어커버를 통해 승강와이어만 외부로 노출토록 하여 외관상 보기 좋으면서 블라인드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호에 오염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설치된 블라인드.
KR1020100043643A 2009-06-15 2010-05-10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KR10113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643A KR101132764B1 (ko) 2010-05-10 2010-05-10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CN2010800264866A CN102482913A (zh) 2009-06-15 2010-06-11 用于双层窗的密封百叶窗
PCT/KR2010/003789 WO2010147341A2 (ko) 2009-06-15 2010-06-11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US13/378,191 US20120132374A1 (en) 2009-06-15 2010-06-11 Insulated glass with integral blind - manually controll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643A KR101132764B1 (ko) 2010-05-10 2010-05-10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067A KR20110124067A (ko) 2011-11-16
KR101132764B1 true KR101132764B1 (ko) 2012-04-19

Family

ID=4539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643A KR101132764B1 (ko) 2009-06-15 2010-05-10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447B1 (ko) * 2021-02-02 2021-12-08 김강우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18Y1 (ko) 2000-10-14 2001-04-02 박재정 블라인드 이중창의 블라인드 개폐 장치
KR100430821B1 (ko) 2001-10-25 2004-05-10 최호순 커튼 내장 페어 글래스
KR100731987B1 (ko)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18Y1 (ko) 2000-10-14 2001-04-02 박재정 블라인드 이중창의 블라인드 개폐 장치
KR100430821B1 (ko) 2001-10-25 2004-05-10 최호순 커튼 내장 페어 글래스
KR100731987B1 (ko)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067A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KR101092902B1 (ko)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장치
CN202157733U (zh) 中空玻璃内置遮阳布帘
US20120132374A1 (en) Insulated glass with integral blind - manually controllable
KR101103720B1 (ko) 자연환기에 의한 중공층의 온도제어가 가능한 일체형 다중유리 복합창짝
GB2466587A (en) Jalousie window with louver mounted solar cells
KR101132764B1 (ko)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CN203114066U (zh) 中空百叶玻璃间隔框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CN204851011U (zh) 一种抗风外遮阳一体化窗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2041695B1 (ko)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KR101101362B1 (ko)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101210516B1 (ko)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KR200353808Y1 (ko)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창호
KR102392996B1 (ko) 공동주택의 단열기능이 향상된 창호 장치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0874612B1 (ko) 방화 차양장치
JPH054548Y2 (ko)
CN204457380U (zh) 一种轨道运行的电动铝合金卷帘产品
KR20220114272A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N215056973U (zh) 电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2011080342A (ja) 密封ロールスクリーン
CN214886725U (zh) 遥控式电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2216414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