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54B1 - 돌기를 구비한 창호 - Google Patents

돌기를 구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654B1
KR101132654B1 KR1020090066742A KR20090066742A KR101132654B1 KR 101132654 B1 KR101132654 B1 KR 101132654B1 KR 1020090066742 A KR1020090066742 A KR 1020090066742A KR 20090066742 A KR20090066742 A KR 20090066742A KR 101132654 B1 KR101132654 B1 KR 10113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rotrusion
bar
fram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73A (ko
Inventor
호 식 박
Original Assignee
호 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 식 박 filed Critical 호 식 박
Priority to KR102009006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건축물에 설치된 창틀에 장착된 창호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로바와 세로바가 연결되어 사각형 창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코너 외부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에 끼워지는 코너부재; 및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의 외부쪽으로 돌출가능하게 구비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종래 시공시 유리가 끼워지는 자리에 창호를 소정 위치에 끼워 넣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창호가 돌기를 구비하여 소정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창호가 소정 위치에 자동으로 안착되므로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창호, 돌기구비창호, 오사이끼움재

Description

돌기를 구비한 창호{Window with protrusion}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된 창틀에 장착된 창호에 설치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 설치된 창호의 유리 등을 제거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창호를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에 기 시공된 창호를 새롭게 활용하거나 미관상 새로운 창호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건축물에 이미 장착된 창호를 바꾸는 기술은 정립된 것이 없어 시공업자들에게 어려움이 있었고, 창호의 유리를 제거하고 창호를 새롭게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방식은 미관을 중시하는 건축물에서 외관을 보기 좋지 않게 할 우려가 있었고 시공의 방법에 있어서도 별다른 방법이나 장치가 없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시공된 창호에 새로운 창호를 끼워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 시공시 유리가 끼워지는 자리에 창호를 새로이 끼워 넣어야 했으므로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끼워지는 창호가 돌기를 구비하여 소정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창호가 소정 위치에 자동으로 안착되므로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건축물에 설치된 창틀에 장착된 창호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로바와 세로바가 연결되어 사각형 창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코너 외부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바와 세로바에 끼워지는 코너부재; 및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의 외부쪽으로 돌출가능하게 구비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종래 시공시 유리가 끼워지는 자리에 창호를 소정 위치에 끼워 넣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창호가 돌기를 구비하여 소정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창호가 소정 위치에 자 동으로 안착되므로 공사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100)가 창호(2)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100)는, 건축물에 기 설치된 창틀(1)에 설치된 창호(2)의 유리를 제거하고, 유리를 대신하여 끼워지는 것이다. 즉, 이미 시공된 건축물에서 창의 활용을 변경하거나 외관을 달리하고 싶을 때 새롭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100)는 기 설치된 창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돌기부(30)가 돌출된 상태로 창호(2)에 끼워진 후 유리를 고정할 때 사용 하는 오사이끼움재(3)를 동일하게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코너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돌기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창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창호에 장착되어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에 비늘창이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100)는 건축물에 설치된 창틀(1)에 장착된 창호(2)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로바(11)와 세로바(12)가 연결되어 사각형 창을 이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코너 외부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에 끼워지는 코너부재(20); 및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외부쪽으로 돌출가능하게 구비된 돌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프레임(10)은 가로바(11)와 세로바(12)가 연결되어 모양을 갖추게 되며, 통상 창틀의 재질로 사용되는 목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하이샷시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유리, 비닐,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한 비늘창, 환기창 등 다양한 형태의 대체 창이 끼워질 수 있다.
가령, 도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대체 창으 로 비늘창(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코너마다 끼워지게 된다. 다만, 도 1에서 보듯이, 코너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의 코너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래야만 창호(2)에 본 발명을 장착하는 경우에 들뜨는 부분이 없이 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코너부재(2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코너부재(20)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에 동시에 끼워지며, 또한 이하 설명하겠지만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에 구비된 끼움돌기(15)에 끼움홈(22)이 끼워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유동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본 발명을 창호(2)에 설치하는 경우에 창호(2)의 외측판에 걸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돌기부(30)가 없는 경우에는 수동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창호를 지지한 상태로 실리콘 등으로 마감을 해야만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정확한 시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외부쪽으로 돌출되는 부분도 생길 수 있어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돌기부(30)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창호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 돌기부(30)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를 따라 총 4개 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즉, 돌기부(30)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양단에 설치되는 코너부재(20) 사이에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코너부재(2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즉,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로바(11) 및 세로바(12)는 각각 내부를 가로지르는 격판(13)을 구비하여 상부에 헤드(14)가 구비된 끼움돌기(15)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헤드(14)의 형상에 상응하는 헤드홈(21)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15)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2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및 도 4 참조).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재질의 특성을 이용한 마찰력 만으로는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없을 것이므로 별도로 고정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끼움돌기(15) 및 끼움홈(22)이다.
다만, 단순히 끼움홈(22)에 끼움돌기(15)를 끼우는 것만으로는 결합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끼움홈(22)의 끝단에는 헤드홈(21)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돌기(15)에는 헤드(14)를 구비하여 일단 헤드(14)가 헤드홈(21)에 안착하면 다시 빠지는 것이 어렵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헤드(14)는 반원(미도시) 또는 삼각형 모양이며 이에 상응하여 상기 헤드홈(21)도 반원 또는 삼각형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끼울 때는 쉽게 끼워지나 다시 뺄 때는 걸려서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로바(11) 및 세로바(12)는 각각 내부를 가로지르는 격판(13)을 구비하여 상부에 상기 돌기부(30)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돌기부(30)와 상기 격판(13) 사이에 끼워져 상기 돌기부(30)를 상부로 밀어서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31)을 구비하며, 상기 코너부재(20)는 제1바홈(23)을 구비하여 튕김방지바(24)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부(30)는 내부에 걸림돌기(32)을 구비하여 상기 튕김방지바(24)의 타단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양단에 설치되는 코너부재(20) 사이에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코너부재(20)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에 설치되는 돌기부(30)의 걸림돌기(32)는 각각 양단에 인접하는 코너부재(20)에 끼워지는 튕김방지바(24)에 의해 양단이 튕겨나가지 않게 걸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하 설명할 고정바(26)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부(30)는 시공시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스프링(31)이다. 상기 돌기부(30)와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 사이에 끼워져서, 돌기부(30)와 가로 바(11) 또는 돌기부(30)와 세로바(12) 상호 간에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1)은 토션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션스프링은 도 5에서 보듯이 중앙의 꼬인 부분에 의해 양쪽으로 반발력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돌기부(30)와 같이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31)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부(30)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이므로 하나의 스프링만으로는 반력을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돌기부(30)가 스프링(31)의 힘에 의해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 튕김방지바(24)이다.
즉, 상기 코너부재(20)는 제1바홈(23)을 구비하여 튕김방지바(24)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부(30)는 내부에 걸림돌기(32)을 구비하여 상기 튕김방지바(24)의 타단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면, 상기 돌기부(30)는 소정 높이만큼 돌기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대로 튕김방지바(24)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30)가 소정 높이 이상 돌기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시공을 하는 과정에서는 용이하나, 돌기를 구비한 창호(100)를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제1바홈(23)의 상부에 제2바홈(25)을 구비하여 고정바(26)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고정바(26)의 타단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돌기부(30)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즉, 상기 고정바(26)를 이용하여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돌기부(30)가 프레임(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시공시에는 살기 고정바(26)를 제거하면 돌기부(30)가 소정 높이까지 돌기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양단에 설치되는 코너부재(20) 사이에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코너부재(20)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에 설치되는 돌기부(30)는 각각 양단에 인접하는 코너부재(20)에 끼워지는 고정바(26)에 의해 양단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30)는, 창틀에 장착된 창호(2)의 외측판 두께(D) 및 돌기부(30)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과 창틀에 장착된 창호(2)의 외측면이 연속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조절날개(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축물에 기 설치된 창호(2)의 종류는 다양하며 창호(2)에 구비된 외측판 두께(D) 및 돌기부(30)와의 간격도 창호(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창호(2)에 장착하고 난 후에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는 외측면이 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돌기부(30)에 두께조절날개(33)를 구비하여 해결할 수 있다(도 1 참조).
두께조절날개(33)는 돌기부(30)의 상단에 장착되어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기부(30)가 돌기된 상태로 본 발명을 창호(2)에 설치하는 경우에 외측판 두께(D) 및 돌기부(30)와의 간격에 따라 걸리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후, 또는 시공 과정에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는 안쪽으로 곡선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가 창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코너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돌기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창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돌기가 창호에 장착되어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돌기를 구비한 창호에 비늘창이 끼워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 : 창틀
2 : 창호
D : 외측판의 두께
10 : 프레임
11 : 가로바
12 : 세로바
13 : 격판
14 : 헤드
15 : 끼움돌기
20 : 코너부재
21 : 헤드홈
22 : 끼움홈
23 : 제1바홈
24 : 튕김방지바
25 : 제2바홈
26 : 고정바
30 : 돌기부
31 : 스프링
32 : 걸림돌기
33 : 두께조절날개
40 : 비늘창
100 : 돌기를 구비한 창호

Claims (10)

  1. 건축물에 설치된 창틀(1)에 장착된 창호(2)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로바(11)와 세로바(12)가 연결되어 사각형 창을 이루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코너 외부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로바(11)와 세로바(12)에 끼워지는 코너부재(20); 및
    상기 가로바(11) 또는 세로바(12)의 외부쪽으로 돌출가능하게 구비된 돌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1) 및 세로바(12)는 각각 내부를 가로지르는 격판(13)을 구비하여 상부에 헤드(14)가 구비된 끼움돌기(15)를 구비하고,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헤드(14)의 형상에 상응하는 헤드홈(21)을 구비하여 상기 끼움돌기(15)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1) 및 세로바(12)는 각각 내부를 가로지르는 격판(13)을 구비하여 상부에 상기 돌기부(30)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돌기부(30)와 상기 격판(13) 사이에 끼워져 상기 돌기부(30)를 상부로 밀어서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31)을 구비하며,
    상기 코너부재(20)는 제1바홈(23)을 구비하여 튕김방지바(24)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부(30)는 내부에 걸림돌기(32)을 구비하여 상기 튕김방지바(24)의 타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20)는 상기 제1바홈(23)의 상부에 제2바홈(25)을 구비하여 고정바(26)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고정바(26)의 타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1)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0)는, 창틀에 장착된 창호(2)의 외측판 두께(D) 및 돌기부(30)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면과 창틀에 장착된 창호(2)의 외측면이 연속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조절날개(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4)는 반원 또는 삼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둘레는 안쪽으로 곡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2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비늘창(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를 구비한 창호.
KR1020090066742A 2009-07-22 2009-07-22 돌기를 구비한 창호 KR10113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42A KR101132654B1 (ko) 2009-07-22 2009-07-22 돌기를 구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42A KR101132654B1 (ko) 2009-07-22 2009-07-22 돌기를 구비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3A KR20110009373A (ko) 2011-01-28
KR101132654B1 true KR101132654B1 (ko) 2012-04-02

Family

ID=436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42A KR101132654B1 (ko) 2009-07-22 2009-07-22 돌기를 구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67U (ja) * 1992-12-25 1994-07-1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縦辷り出し窓用窓枠と障子が兼用できる固定障子の取付け構造
KR200360453Y1 (ko) 2004-06-18 2004-08-30 임번상 미닫이문
KR200408112Y1 (ko) 2005-11-17 2006-02-07 이성규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KR20090012672A (ko) * 2007-07-31 2009-02-04 안대연 알루미늄새시 및 모서리고정구를 이용한 문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67U (ja) * 1992-12-25 1994-07-1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縦辷り出し窓用窓枠と障子が兼用できる固定障子の取付け構造
KR200360453Y1 (ko) 2004-06-18 2004-08-30 임번상 미닫이문
KR200408112Y1 (ko) 2005-11-17 2006-02-07 이성규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KR20090012672A (ko) * 2007-07-31 2009-02-04 안대연 알루미늄새시 및 모서리고정구를 이용한 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73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920C2 (ru) Деталь прикрепления к стеновому молдингу
BR202013016457U2 (pt) conjunto de porta
HU223261B1 (hu) Tartószerelvény redőny rögzítésére
CN111150247A (zh) 浮动搁板托架和使用浮动搁板托架的方法
KR101132654B1 (ko) 돌기를 구비한 창호
US20070056217A1 (en) Tilt-latch and window sash assembly
GB2385511A (en) Curtain hanger
KR101892609B1 (ko) 코너몰딩조립체
KR101132655B1 (ko) 돌기를 구비한 창호
US20180283093A1 (en) Accessory of venetian blind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CA2937986A1 (en) Blinds system for installation next to a window or door pane or which can generally be used as partition
KR20130098014A (ko)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0410203Y1 (ko) 커텐 안내봉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US2918121A (en) Venetian blind adjusting means
KR20110096992A (ko) 돌기를 구비한 창호
KR200456513Y1 (ko) 창문용 안전 난간대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20230009642A (ko) 원터치 결속형 다용도 마개
JP4097608B2 (ja) ブラインド用ブラケット
JP2010174485A (ja) 建具
CN208676976U (zh) 一种用于安装窗帘轨道的挂扣
JP6984152B2 (ja) 浴室ユニット
KR20180003387U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