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959B1 -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959B1
KR101131959B1 KR20100079340A KR20100079340A KR101131959B1 KR 101131959 B1 KR101131959 B1 KR 101131959B1 KR 20100079340 A KR20100079340 A KR 20100079340A KR 20100079340 A KR20100079340 A KR 20100079340A KR 101131959 B1 KR101131959 B1 KR 10113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ductor
permanent magnet
conductor bar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852A (ko
Inventor
김광수
김원호
이기덕
이재준
이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07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9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9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및 고정자의 내측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를 구비하며, 회전자는, 회전자 몸체; 회전자 몸체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자석매입홀; 및 회전자 몸체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며,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Single phase Line 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nd Method to Fabricate thereof}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을 회전자의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회전자에 구비된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최근 들어, 가정용 전자 제품, 예를 들면 냉장고, 에어컨용 컴프레셔, 선풍기, 믹서기, 청소기 등에 이용되는 단상 유도전동기가 그보다 효율이 우수한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LSPMSM, Line 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로 대체되고 있다.
일반적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는, 회전자(rotor)와, 회전자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회전자의 외부에 마련되는 고정자(stator)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자는 고정되어 있는 코어에 권선이 감긴 구조를 갖는다.
회전자에는, 영구자석이 매입되는 자석매입홀과, 복수의 도체 부분이 다이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자석매입홀에 인접하게 형성된 배리어에 금속 주물이 삽입되지 않도록 수지로 채운 후, 복수의 장착홀에 다이캐스팅에 의해서 도체 부분을 장착하고 앤드링(end ring) 처리를 한다. 이어서 배리어에 삽입된 수지를 제거한 후 자석매입홀에 착자된 영구자석을 삽입한다.
그런데 전술한 제작 방법은 제작 공정이 복잡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않다. 이는 착자 후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삽입하는 공정은 수작업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대량 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삽입한 후 착자를 진행해야 제작이 간편해지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나 도체 바아를 다이캐스팅에 의해 먼저 장착한 후 영구자석의 착자를 진행하는 경우 도체 바아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착자 방향과 반대되는 자속이 발생하여 영구자석의 올바를 착자를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먼저 착자된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삽입한 후, 다이캐스팅에 의해 도체 부분을 장착홀에 결합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방법의 경우 다이캐스팅되는 도체 부분의 높은 온도 때문에 영구자석에 불가역 감자현상(온도 변화와 반자계에 의해 영구자석의 동작점이 knee point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재자화의 과정에 들어가더라도 원래의 동작점으로 복귀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 몸체; 상기 회전자 몸체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자석매입홀; 및 상기 회전자 몸체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며,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홀;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도체 바아;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이 둘레를 따라 미리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앤드링부; 및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가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2 앤드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 바아는 와이어 커팅(wire cutting)에 의해 제작되거나 주조에 의해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와 상기 원형의 제1 앤드링부는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장착 전에 브레이징(brazing)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과 상기 제2 앤드링부는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석매입홀에 상기 영구자석을 매입한 후 착자기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을 착자하고, 이어서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네오디움(Nd), 산화철(Fe) 및 붕소(B)를 주성분으로 구비하는 네오디움 계열 자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자석매입홀에 무착자 상태의 상기 영구자석을 매입하는, 자석 매입 단계; 상기 영구자석이 매입된 상기 회전자 몸체를 착자기에 넣고 상기 영구자석을 착자하는, 자석 착자 단계; 및 상기 회전자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에 미리 제작된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을 장착시키는, 모듈 장착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도체 바아;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이 둘레를 따라 미리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앤드링부; 및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가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2 앤드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장착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들과 상기 제1 앤드링부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단계; 일체화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와 상기 제1 앤드링부를 상기 장착홀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과 상기 제2 앤드링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앤드링부와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앤드링부와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은 브레이징(brazing)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체 바아는 와이어 커팅(wire cutting)에 의해 제작되거나 주조에 의해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홀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착자 상태의 영구자석을 자석매입홀에 매입한 상태에서 착자기에 의해 영구자석의 착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영구자석의 착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회전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자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회전자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자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는, 고정자(미도시, stator)와, 고정자의 내측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100, rotor)를 포함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고정자의 구조는 기존의 고정자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회전자(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 몸체(110)와, 회전자 몸체(110)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며 영구자석(120)이 매입되는 자석매입홀(121)과, 회전자 몸체(110)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며, 고정자에 구비되는 권선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유도 전류가 흐르는 도체 바아 모듈(170)이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홀(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자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깊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자석매입홀(121)이 둘레를 따라 복수 개 마련된다. 그리고 자석매입홀(121)의 양 측부에는 공기층으로서 자속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리어(123, barrier)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석매입홀(121)에 매입되는 영구자석(120)은, 희토류 원소인 네오디움(Nd), 산화철(Fe), 붕소(B)를 주성분으로 구비한 네오디움 계열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네오디움 계열 자석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영구자석(120) 중에 가장 높은 자기에너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단상 유동형 동기전동기(100)의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영구자석(120)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영구자석(120)이 자석매입홀(121)에 매입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 영구자석(120)은 장착홀(160)에 도체 바아 모듈(170)이 장착되기 전에 미리 삽입된다. 여기서, 자석매입홀(121)에 삽입되는 영구자석(120)은 무착자 상태의 영구자석(120)이며, 이러한 영구자석(120)을 자석매입홀(121)에 삽입한 후 회전자 몸체(110)를 착자기(미도시)에 넣어 영구자석(120)을 착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회전자 몸체(110)의 외측 영역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바아 모듈(170) 중 도체 바아(171)들이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홀(160)이 마련된다. 이러한 장착홀(160)은 도체 바아(171)의 삽입 방향을 따라 회전자 몸체(110)에 관통 형성되되, 회전자 몸체(110)의 외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 부분(161)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개구 부분(161)은 도체 바아 모듈(17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체 바아 모듈(170)에 유도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체 바아 모듈(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착홀(160)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일단이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앤드링부(173)와, 제1 앤드링부(173)와 복수의 도체 바아(171)가 결합된 상태로 장착홀(160)에 결합된 후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2 앤드링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도체 바아(171) 각각은 와이어 커팅(wire cutting) 또는 주조 등의 방법에 의해 원하는 사이즈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부분은 미리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도체 부분을 이루는 용융금속을 장착홀에 붓는 다이캐스팅 방법에 의해 장착홀에 도체 부분를 장착한 후 앤드링부를 결합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종래와는 달리 장착홀(160)의 형상에 맞게 도체 바아(171)를 미리 제작한 후 이들을 제1 앤드링부(173)와 결합한 후 장착홀(160)에 결합할 수 있어 종래의 일 실시예에 비해 도체 바아(171)의 결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도체 부분을 이루는 용융금속을 장착홀에 장착하는 과정 중 용융금속의 고온으로 인해 영구자석에 불가역 감자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도체 바아(171)가 미리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후 온도가 저하된 상태로 장착홀(160)에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체 바아(171)는 제1 앤드링부(173)와 결합된 상태로 장착홀(16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앤드링부(173)는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어 도체 바아(171)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영구자석(120)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이 발생되어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100)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일단과 제1 앤드링부(173)는 브레이징(brazing)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징 용접은 450℃ 이하에서 접합하고자 하는 모재, 즉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를 용융점 이하에서 모재가 상하지 않도록 열을 가함으로써 모재를 접합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이러한 브레이징 용접 방법에 의해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는 일체로 접합되되 열에 의해 성질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이 브레이징 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용접 방법 또는 다른 결합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자 몸체(110)에 결합된다고 상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도체 바아(171)를 장착홀(160)에 먼저 장착한 후 브레이징 용접 또는 다른 결합 방법에 의해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를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앤드링부(17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앤드링부(17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타단과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앤드링부(175)는 복수의 도체 바아(171)가 장착홀(160)에 결합된 후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타단과 결합되는데, 이때 제1 앤드링부(173) 및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결합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홀(160)에 개구 부분(1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부분으로 노출된 도체 바아(171)의 타단과 제2 앤드링부(175)의 접합 부분을 브레이징 용접함으로써 도체 바아(171)와 제2 앤드링부(175)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브레이징 용접 방법이 사용됨으로써 도체 바아(171) 및 제2 앤드링부(175)의 성질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100)의 제조 방법은, 회전자 몸체(110)의 내측 영역에 관통 형성된 자석매입홀(121)에 무착자 상태의 영구자석(120)을 매입하는 자석 매입 단계(S100)와, 영구자석(120)이 매입된 회전자 몸체(110)를 착자기에 넣고 영구자석(120)을 착자하는 자석 착자 단계(S200)와, 회전자 몸체(110)의 외측 영역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160)에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170)을 장착시키는 모듈 장착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석 매입 단계(S100)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매입홀(121)에 영구자석(120)이 매입되는데, 이때 영구자석(120)은 무착자 상태를 가지며, 착자 단계 시, 회전자 몸체(110)에 매입된 영구자석(120)은 착자기의 작동에 의해 착자될 수 있다.
즉, 무착자 상태의 영구자석(120)을 회전자 몸체(110)에 매입한 후 회전자 몸체(110)를 착자기에 넣어 영구자석(120)을 용이하게 착자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착자 과정을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듈 장착 단계(S300)는,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일단과 제1 앤드링부(173)를 미리 결합하는 제1 결합 단계(S310)와, 일체화된 복수의 도체 바아(171)와 제1 앤드링부(173)를 장착홀(160)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S320)와, 장착홀(160)에 장착된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타단과 제2 앤드링부(175)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 단계(S310) 시,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일단과 제1 앤드링부(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결합 단계 시(S330) 복수의 도체 바아(171)의 타단과 제2 앤드링부(175)는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구자석(120)을 자석매입홀(121)에 미리 매입한 후,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170)을 간단하게 장착홀(160)에 결합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가역 감자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보다 단상 유동형 동기전동기의 사이즈를 컴팩트(compact)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회전자 110 : 회전자 몸체
120 : 영구자석 121 : 자석매입홀
160 : 장착홀 170 : 도체 바아 모듈
171 : 도체 바아 173 : 제1 앤드링부
175 : 제2 앤드링부
S100 : 자석 매입 단계
S200 : 자석 착자 단계
S300 : 모듈 장착 단계

Claims (11)

  1. 고정자(stator) 및 상기 고정자의 내측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rotor)를 구비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회전자 몸체;
    상기 회전자 몸체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자석매입홀; 및
    상기 회전자 몸체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며, 미리 제작된 도체 바아 모듈이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홀;
    을 포함하며,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도체 바아;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이 둘레를 따라 미리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앤드링부; 및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가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2 앤드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매입홀에 상기 영구자석을 매입한 후 착자기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을 착자한 다음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이 삽입되며,
    상기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는 상기 회전자 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개구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과 상기 제2 앤드링부는 노출된 상기 개구 부분에서 용접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아는 와이어 커팅(wire cutting)에 의해 제작되거나 주조에 의해 미리 제작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와 상기 원형의 제1 앤드링부는 브레이징(brazing)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과 상기 제2 앤드링부는 브레이징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네오디움 계열 자석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8. 제1항에 따른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석매입홀에 무착자 상태의 상기 영구자석을 매입하는, 자석 매입 단계;
    상기 영구자석이 매입된 상기 회전자 몸체를 착자기에 넣고 상기 영구자석을 착자하는, 자석 착자 단계; 및
    상기 회전자 몸체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미리 제작된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을 장착시키는, 모듈 장착 단계;
    를 포함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아 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도체 바아;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이 둘레를 따라 미리 결합되는 원형의 제1 앤드링부; 및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가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2 앤드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장착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들과 상기 제1 앤드링부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단계;
    일체화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와 상기 제1 앤드링부를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장착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장착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과 상기 제2 앤드링부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앤드링부와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앤드링부와 상기 복수의 도체 바아의 타단은 브레이징(brazing)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바아는 와이어 커팅(wire cutting)에 의해 제작되거나 주조에 의해 미리 제작되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제조 방법.
KR20100079340A 2010-08-17 2010-08-17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340A KR101131959B1 (ko) 2010-08-17 2010-08-17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340A KR101131959B1 (ko) 2010-08-17 2010-08-17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52A KR20120016852A (ko) 2012-02-27
KR101131959B1 true KR101131959B1 (ko) 2012-03-29

Family

ID=4583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9340A KR101131959B1 (ko) 2010-08-17 2010-08-17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68A1 (ko) * 2021-01-06 2022-07-14 한국전기연구원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용 회전자, 이를 포함하는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68A1 (ko) * 2021-01-06 2022-07-14 한국전기연구원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용 회전자, 이를 포함하는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52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0325B (zh) 转子、马达以及转子的制造方法
EP2897264B1 (en) Core Manufacturing Device and Core Manufacturing Method
JP4096843B2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203524A1 (ja) 永久磁石電動機
WO2018074561A1 (ja) 同期リラクタンス型回転電機
KR101533228B1 (ko)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JP4701641B2 (ja) 複合ボンド磁石、複合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複合ボンド磁石を搭載した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回転子。
KR101131959B1 (ko)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50097458A1 (en) Permanent Magnet Electric Machine
JP6424615B2 (ja) ロ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回転電気機械
CN108141070A (zh) 用于旋转电机的永磁体转子以及用于制造该转子的方法
JP2011061937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2011120334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2011061938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6635697B2 (ja) 真空含浸中に固定子永久磁石の減磁を防止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269693A (ja) 永久磁石モータ
JP2018143049A (ja)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CN202586685U (zh) 永磁铁式旋转电机
JP6217319B2 (ja) 回転機用ロータ
JP2011061936A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TWI385899B (zh) 永磁式電機之轉子結構及其製造方法
JP2015082854A (ja) 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327547A (ja) 永久磁石埋め込みロータとその製造方法
US20230032685A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rotor, manufacturing method for rotor, and rotor
JP2005210803A (ja) 円弧状永久磁石の製造方法、埋め込み磁石型の回転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