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34B1 - 스트레치 센서를 사용한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센서를 사용한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1734B1 KR101131734B1 KR1020100014777A KR20100014777A KR101131734B1 KR 101131734 B1 KR101131734 B1 KR 101131734B1 KR 1020100014777 A KR1020100014777 A KR 1020100014777A KR 20100014777 A KR20100014777 A KR 20100014777A KR 101131734 B1 KR101131734 B1 KR 101131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king
- magnitude
- user
- stretch
- fo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센서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센서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 대비 저항 값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 내부의 일부 회로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게 대비 DSP AD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방향을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속도를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힘 대비 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기(15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Rst (Kohm) | VO (V) |
1 | 3.3 |
1.5 | 2.3 |
2 | 1.8 |
2.5 | 1.5 |
3 | 1.3 |
3.5 | 1.15 |
4 | 1.05 |
120: 손잡이
130: 스트레치 센서
140: 프레임부
150: 제어기
Claims (15)
- 삭제
- 삭제
- 사용자의 신체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그 움직인 방향으로 각 스트레치 센서마다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힘의 크기 기반으로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바퀴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는,
선 형태로서 일측이 사용자 신체의 동일한 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이 보행 보조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길이가 변경되어 상기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자체 저항 값이 변경되는 센서이고,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그 양쪽 끝부분에 소정 길이의 압착 단자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사용자의 신체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 및
상기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그 움직인 방향으로 각 스트레치 센서마다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힘의 크기 기반으로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바퀴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는,
선 형태로서 일측이 사용자 신체의 동일한 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이 보행 보조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길이가 변경되어 상기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자체 저항 값이 변경되는 센서이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서로 병렬로 연결되되,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 전류가 입력되어 다른 하나의 일측으로 상기 전류가 출력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타측과 상기 다른 하나의 타측이 구리판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의 저항 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저항 값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방향을 결정하고,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Ackman 구동방식에 적용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결정된 상기 보행 속도의 입력값에 대한 적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조절하고,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보행 보조기의 일정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움직인 방향으로 각 스트레치 센서마다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상기 힘의 크기 기반으로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바퀴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방향을 결정하고,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Ackman 구동방식에 적용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의 저항 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저항 값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삭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결정된 상기 보행 속도의 입력값에 대한 적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조절하고,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바퀴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 - 보행 보조기의 일정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그 움직인 방향으로 각 스트레치 센서마다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힘의 크기 기반으로 보행 방향과 보행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바퀴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힘의 크기를 Ackman 구동방식에 적용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보조기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다수의 스트레치 센서의 자체 저항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저항 값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인 방향으로 작용한 힘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방법. - 삭제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결정된 상기 보행 속도의 입력값에 대한 적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보행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보행 방향과 상기 보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센서를 이용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26765 | 2009-03-30 | ||
KR1020090026765 | 2009-03-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362A KR20100109362A (ko) | 2010-10-08 |
KR101131734B1 true KR101131734B1 (ko) | 2012-04-05 |
Family
ID=4313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4777A Active KR101131734B1 (ko) | 2009-03-30 | 2010-02-18 | 스트레치 센서를 사용한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7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1362B1 (ko) * | 2012-02-14 | 2014-02-12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사용자의 보행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보행보조로봇 |
KR102284822B1 (ko) | 2014-10-22 | 2021-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지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
KR101633193B1 (ko) * | 2014-12-15 | 2016-06-23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보행 안내 장치 |
GB2538712B (en) * | 2015-05-25 | 2018-09-12 | Bosnak Matevz | A walking assist system comprising a user intention assesment based control system |
KR102314398B1 (ko) * | 2019-10-21 | 2021-10-19 |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행 보조기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보조 보행기 |
KR102795390B1 (ko) * | 2023-05-26 | 2025-04-11 |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보행의도에 따라 제어되는 보행훈련용 전동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7635A (ja) * | 2001-08-06 | 2003-02-18 | Kochi Univ Of Technology | 歩行訓練機 |
JP2003290302A (ja) | 2002-04-03 | 2003-10-14 | Hitachi Ltd | 歩行補助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JP2003302296A (ja) | 2002-04-11 | 2003-10-24 | Nagoya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 | 床反力測定方法及び装置 |
US6783464B1 (en) * | 1993-08-03 | 2004-08-31 | Edward A Romano | Golf swing trainer |
-
2010
- 2010-02-18 KR KR1020100014777A patent/KR10113173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83464B1 (en) * | 1993-08-03 | 2004-08-31 | Edward A Romano | Golf swing trainer |
JP2003047635A (ja) * | 2001-08-06 | 2003-02-18 | Kochi Univ Of Technology | 歩行訓練機 |
JP2003290302A (ja) | 2002-04-03 | 2003-10-14 | Hitachi Ltd | 歩行補助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JP2003302296A (ja) | 2002-04-11 | 2003-10-24 | Nagoya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 | 床反力測定方法及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362A (ko) | 2010-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1734B1 (ko) | 스트레치 센서를 사용한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 |
KR100821641B1 (ko) |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 |
KR102186840B1 (ko) | 전동 보행 보조 장치 | |
TWI607926B (zh) | 位移設備及動力輔助系統 | |
KR102146363B1 (ko) | 착용형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342009B1 (ko) |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 | |
KR101755820B1 (ko) | 착용식 로봇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 |
JP5756384B2 (ja) | 電動式ハンディカート | |
JP2014128870A (ja) | ロボットの歩行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KR101361362B1 (ko) | 사용자의 보행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보행보조로봇 | |
KR101526180B1 (ko) |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보행 보조기 제어방법 | |
KR101724884B1 (ko) | 착용식 로봇의 계단 보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TWI511715B (zh) | 意向偵測與步態調整裝置及方法 | |
CN108415250B (zh) | 一种防止老年人摔倒的人机协同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1755801B1 (ko) | 로봇의 보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TW202214206A (zh) | 智慧型電動助行車 | |
WO2019061126A1 (zh) | 自动随行系统 | |
KR101963953B1 (ko) | 보행 보조를 위한 조향 제어장치 | |
JP6386269B2 (ja) | 歩行補助装置 | |
KR100833338B1 (ko) | 이동수단 및 그 제어방법 | |
JP7124857B2 (ja) | 歩行補助器 | |
JP7083593B2 (ja) | 電動車両および電動車両の制動方法 | |
KR101743262B1 (ko) | 휠체어용 동력 보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00134378A (ko) | 보행 보조 시스템 | |
KR102241922B1 (ko) | 하이브리드 보행 재활 로봇의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