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826B1 -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826B1
KR101130826B1 KR1020090002250A KR20090002250A KR101130826B1 KR 101130826 B1 KR101130826 B1 KR 101130826B1 KR 1020090002250 A KR1020090002250 A KR 1020090002250A KR 20090002250 A KR20090002250 A KR 20090002250A KR 101130826 B1 KR101130826 B1 KR 10113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hoe
sole
spr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946A (ko
Inventor
임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통상
Priority to KR102009000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에 적용되는 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은 상부창(110)과 하부창(1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창(120)에는 공간(122)이 형성되어 스프링(130)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창(110)은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18)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형성되는 한편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30)이 끼워지는 탄성질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0)과 돌기(112)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돌기(112)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통로(118)에 연결되는 유입로(114)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122)에 있는 공기가 상기 유입로(114)로를 지나 공기통로(118)로 공급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게 되어 탄성을 가진 돌기와 더불어 작용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보행시 자연스럽게 신발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신발, 밑창, 통기, 충격흡수.

Description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본 발명은 신발에 적용되는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고무의 탄발력을 이용하되 신발 내부로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고자 수많은 종류의 신발들이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밑창과, 이 밑창의 상부에 결합된 갑피로 구성되며, 특히 밑창은 신발의 중창을 이루는 미드솔과, 신발의 바닥창을 이루는 아웃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밑창의 구성 중 미드솔은 통상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발포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아웃솔은 내마모성 과 미끄럼방지를 위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최근 미드솔의 재질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로는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면서 복원력이 있고 변색방지 및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유리한 EVA(ETHYLENE VINYLACET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밑창이 적용되는 신발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발목이나 근육등과 같은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충격흡수 구조가 제안된바 있는데, 예로, 밑창에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미드솔에 충격흡수용 젤을 사용하거나 에어백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매설한 구조등이 그것이다.
여기서, 스프링을 사용한 충격흡수구조에 따르면 밑창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해당 공간에 단순히 스프링을 매설하는데 그치는 것으로서 매설된 스프링이 공간 내부에서 이리 저리 움직이게 되는바, 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안정적인 충격흡수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구성이었다.
한편, 신발 내부는 항상 습기가 많고 체온에 의해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바, 세균이 번식하여 냄새가 날 우려가 많았다. 따라서 충격흡수 구조에 더해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할 수 있도록 하는 밑창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행시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게 되어 탄성을 가진 돌기와 더불어 작용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보행시 자연스럽게 신발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신발 밑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도 보행시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얻기 위해,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구성된 밑창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창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창은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형성되는 한편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탄성질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돌기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돌기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기 유입로로를 지나 공기통로로 공급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2 실시예에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밑창(100)은 크게 상부창(100)과 하부창(120)으로 구분되어 서로 접착됨으로써 밑창(100)을 구성하게 된다.
하부창(120) 상면에는 공간(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22)은 하부창(120)의 상면이 패여 형성된 것으로서, 하중이 주로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바, 통상 발 뒷꿈치 부분에 주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앞꿈치 부분에도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공간(122)의 크기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구성에 따라 그 크기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창(120)에는 스프링(130)이 놓여지게 된다. 스프링(130)은 적당한 탄성을 가진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인 육각형상으로 감겨져있는 것을 적용한다. 특히 스프링(130)을 구성하는 철선은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된 것을 적용하여 줄 수 있다.
스프링(130)을 구성하는 철선의 폭은 3~7mm, 두께는 0.5~1.5mm의 범위의 것을 이용하며, 직경은 20~60mm가 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스프링(130)의 탄성이 너무 작거나 커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예시된 범위 내에서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130)은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팽창할 때에는 발을 밀어주게 되어 원활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창(110)은 상기 하부창(120) 상부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18)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신발 내부에 이르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30)이 끼워지는 탄성질(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파이런 등)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12)에 의해 스프링(130)이 제 위치에서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된다.
상기 돌기(112)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는 유입로(114)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로(114)는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공기통로(11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위쪽에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공간(122) 또한 좁아지게 되는바, 공기가 유입로(114)로 유입된 다음 공기통로(188)를 따라 이동하여 신발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입로(114)의 입구가 돌기(112)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공간(122) 내부 벽면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원활한 공기 이동이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112)는 하단부를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단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주게 되면 위쪽에서 하중이 가해져 돌기(112)가 하강할 경우, 상기 돌기(112)의 하단부가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간(122) 내부 바닥에 닿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112)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닿아 수축됨과 동시에 오목한 부분에 공기가 갖힌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돌기(112)의 하단 가장자리와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의 바닥 사이가 공기 압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돌기(112)는 더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은 돌기(112)가 탄성질로 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돌기(112)가 계속 하강을 하게 되면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은 납작하게 수축 되고, 그 결과 하중이 돌기(112) 몸체에 전해지게 되면서 돌기(112) 전체가 수축을 하게 된다. 이때에는 돌기(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로(114)의 입구 또한 좁아지게 되는바, 상기 공간(122)에 있는 공기의 유출량이 감소하면서 갖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최초 돌기(112)의 하단 가장자리가 수축하면서 충격을 신속하게 흡수하다가, 공기가 압축되면서 하중을 지지하여 돌기(112)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막게 되고, 이어 하중이 계속 가해져 임계점에 이르게 되면 공기가 돌기(112)의 하단 홈에서 빠져나가면서 상기 홈이 납작하게 수축 되어 돌기(112) 전체가 수축을 하며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바,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중이 가해지는 초기에는 돌기(11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얇은 가장자리 부분이 먼저 수축 됨에 따라 유입로(114)의 입구 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며,
이후 하중이 계속 가해지면 상기 홈이 납작하게 수축되면서 돌기(112)에 하중이 전달되고, 돌기(112) 전체 몸체가 수축하면서 유입로(114)의 입구 또한 좁아지게 되어 공의 유출량이 감소하는바, 일종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같은 기능을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100)은 하부창(120)에 형성되는 공간(122)과 상부창(110)에 형성된 돌기(112)의 구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공간(122)의 폭을 크게 형성한 다음 하나의 공간(122)에 두 개의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창(120)에는 상기 두 개의 스프링(130)이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두 개의 돌기(112)를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뒷꿈치 부분에는 여러 개의 스프링(130)과 돌기(112)를 배치함으로써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뒷꿈치 부분에 하나를 형성하고 앞꿈치 부분에는 발의 볼이 넓으므로 두 개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뒷꿈치 부분에 두 개를 형성하고 앞꿈치 부분에 세 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하면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스프링(130)이 하중을 받아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부창(11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12)도 같이 하강을 하다가 하단이 하부창(120)에 형성된 공간(122)의 바닥에 접하게 되고, 계속해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돌기(112) 또한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112)는 하단이 공간(122)의 바닥에 접하게 되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홈이 공기를 가둬 둔 상태로 수축을 하다가 임계점에 이르게 도면 공기가 홈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상기 홈이 납작해지게 된다.
따라서, 돌기(112)의 하단이 상기 공간(122)의 바닥에 닿기 전에는 스프링(130) 만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다가, 돌기(112)의 하단이 닿게 되면서 부터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며, 이어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홈이 납작해지게 되면 스프링(130)과 돌기(112) 몸체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바,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 또한 하중을 받아 수축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간(122)에 있던 공기가 돌 기(112)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로(114)를 따라 유입되어 공기통로(118)를 지나 신발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로(114)는 최초와 상기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가 수축도리 때 까지는 거의 완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돌기(112) 하단에 형성된 홈이 납작하게 수축하면서 돌기(112)에 하중이 전해져 몸체 전체가 수축하게 되면 같이 수축하면서 입구가 좁아지게 되는바, 최초에는 급격히 공기를 유출시키다가 나중에는 유출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일종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 와 같은 작용을 하여 충격흡수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보행시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하여 줄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각부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은 하부창(120)에 형성된 공간(122)에 케이싱(140)을 끼워넣어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40)은 상기 공간(122)을 충분한 넓이로 형성한 다음 끼워 넣는 것으로서 돌기(112)와 스프링(130)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창(120)이 보행시 형태가 변함에 따라 공간(12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케이싱(140)은 육면체 형상, 원통형 형상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싱(140) 내부에는 스폰지(142)를 채워넣을 수 있다. 상기 스폰지(142)는 공극을 가진 탄성재라면 파이런, 메모리폼 등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 것으로서 스프링(130)이 메이싱(140)과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폰지(142)는 조각된 것을 채워 넣거나 또는 케이싱(140)의 형상에 딱 맞게 미리 형성된 것을 끼워 넣는 것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며, 스프링(130) 내부와 돌기(112) 사이의 공간이 넓을 경우 해당 부분에도 채워 넣어줄 수 있는 것으로서 당 업자의 기술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앞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부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는바, 형상과 기능에 있어 차이가 없으므로 재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2 실시예에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용상태,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각부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밑창, 110 : 상부창,
112 : 돌기, 114 : 유입로,
118 : 공기통로, 120 : 하부창,
122 : 공간, 130 : 스프링.
140 : 케이싱, 142 : 스폰지.

Claims (5)

  1. 신발의 밑창에 적용되는 충격흡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밑창(100)은 상부창(110)과 하부창(1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창(120)에는 공간(122)이 형성되어 스프링(130)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창(110)은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18)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형성되는 한편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30)이 끼워지며 하단이 오목하게 형성된 탄성질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0)과 돌기(112)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돌기(112)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통로(118)에 연결되는 유입로(114)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122)에 있는 공기가 상기 유입로(114)로를 지나 공기통로(118)로 공급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2)는 뒷꿈치쪽에 하나 앞꿈치쪽에 두 개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22)에는 케이싱(140)이 마련되어 끼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40) 내부에는 스폰지(142)가 채워져 소음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
KR1020090002250A 2009-01-12 2009-01-12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KR10113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ko) 2009-01-12 2009-01-12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ko) 2009-01-12 2009-01-12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946A KR20100082946A (ko) 2010-07-21
KR101130826B1 true KR101130826B1 (ko) 2012-04-19

Family

ID=4264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ko) 2009-01-12 2009-01-12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448A (ko) 2018-03-28 2019-10-08 한지안 통풍용 신발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3803A (zh) * 2018-07-19 2018-11-16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减震型儿童运动鞋的高效率成型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9B1 (ko) *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9B1 (ko) *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448A (ko) 2018-03-28 2019-10-08 한지안 통풍용 신발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946A (ko)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225B1 (ko) 개량된 중간창을 갖는 신발
ES2624137T3 (es) Calzado
KR200474643Y1 (ko) 신발밑창
US10786036B2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1130826B1 (ko)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KR100518307B1 (ko) 신발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1333728B1 (ko) 육각형 실리콘 지압 인솔
KR100937229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148934Y1 (ko) 쿠션신발창
KR101147675B1 (ko) 풍부한 외부공기가 송풍 되는 통풍신발
KR100775362B1 (ko) 탄성체가 결합된 신발
KR19990069793A (ko)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KR100972043B1 (ko) 미끄럼 방지 겸용 충격 흡수식 신발깔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0427686Y1 (ko) 신발 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02570Y1 (ko) 공기압력이동의 병목현상을 이용한 신발용 소형 충격흡수장치
KR20110007867U (ko) 신발 내부의 땀 및 열 배출이 원활한 안창
KR20170019952A (ko) 충격 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제조방법
KR200292146Y1 (ko) 신발용 피스톤 기능 시스템
CN113576102B (zh) 一种防臭防潮家用拖鞋
KR200474565Y1 (ko)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