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44B1 - 어상자 - Google Patents

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44B1
KR101130744B1 KR1020090073460A KR20090073460A KR101130744B1 KR 101130744 B1 KR101130744 B1 KR 101130744B1 KR 1020090073460 A KR1020090073460 A KR 1020090073460A KR 20090073460 A KR20090073460 A KR 20090073460A KR 101130744 B1 KR101130744 B1 KR 10113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box
fish
side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983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9007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7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부(22)의 둘레부에 직립 방향으로 구비된 측벽부(24)에 의해 내부에 적제 공간부를 구비한 박스체(20)와, 상기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도록 된 복수개의 바텀홀(30)과, 상기 박스체(20)에 적제된 물이 상기 측벽부(24)의 하측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박스체(20)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부 사이드홀(40)과, 상기 측벽부(24)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체(20) 내부의 적제 공간부에 적제된 어류의 정량 적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류, 다리, 냉동, 정량, 적제, 표시홀, 하부 사이드홀, 미끄럼, 방지

Description

어상자{Fishes safekeeping box}
본 발명은 어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징어와 같이 다리가 많은 어류를 냉동 보관하는 경우에도 어류의 다리가 옆으로 삐져나오는 경우를 방지하고, 바쁜 조업중에도 어류가 정량으로 적제된 여부를 쉽게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냉동된 어류 탈편시의 충격 등에 의해 주요 부분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강 구조를 구비하며, 다단 적제 보관시 미끄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구조를 겸비한 새로운 어상자에 관한 것이다.
냉동된 오징어나 생선 또는 조개 등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운반상자를 나무로 구성한 경우에는 세균오염등으로 인한 위생상의 불리함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어류 보관용으로 플라스틱상자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나무 상자로 된 경우에는 냉동 수산물에서 생성된 수분이 나무에 스며들어 상자 자체가 무거워져서, 이를 운반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어 작업에 불편함이 있으며, 내용물을 담은 상자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경우, 상자가 미끄러져 상자 의 파손 및 상자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나무 상자의 경우 별도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부분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작업자가 운반상자를 사용함에 많은 불편이 있다.
따라서, 나무 상자의 경우 세균으로 인한 위생상의 불리함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서, 최근에 플라스틱 상자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는 어류를 담는 몸체 전체를 플라스틱으로 사출하되,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의 몸체 전체면, 즉 바닥면과 전후 좌우 둘레면 전체에 배수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적제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도록 구성한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 방식의 제품은 나무로 만든 상자에 비하여 개선된 면은 있으나, 오징어와 같이 다리가 많은 어류를 냉동 보관하는 경우, 오징어 다리가 상자의 구멍으로 삐져나와 그대로 얼어버려서, 냉동후 탈편시 잘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자 옆으로 삐져나온 오징어 다리가 그대로 얼어버린 상태가 되어서 냉동 오징어 탈편시나 보관 운반시 등에 삐져나온 다리가 부러지고, 이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고기를 잡으면서 상자에 특정용량까지 담아야 하는데, 정신없이 일을 하다보면 상자에 정량으로 어류가 담겼는지 구분이 쉽지가 않은데, 종래에는 이처럼 바쁘게 일하는 와중에도 상자에 어류가 정량으로 담겨졌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제품이 제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참고로 현재는 23kg이 적재 정량이라 얘기되고 있으나, 이러한 23kg 정량 기준은 해마다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냉동된 어류를 플라스틱 상자에서 탈편하고자 할 경우, 보통 냉동 어류가 담긴 상자를 바닥에 집어 던지거나 바닥에 세게 내려쳐야만 냉동 어류가 탈편될 수 있는데, 이처럼 플라스틱 상자를 바닥에 집어던지거나 내려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플라스틱 상자, 특히 플라스틱 상자 모서리 부분이 쉽게 깨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상자를 플라스틱으로 사출하되,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의 전체면, 즉 바닥면과 전후 좌우 둘레면 전체에 배수를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며, 적제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도록 구성한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 방식의 제품은 나무로 만든 상자에 비하여 개선된 면은 있으나, 오징어와 같이 다리가 많은 어류를 냉동 보관하는 경우, 오징어 다리가 상자의 구멍으로 삐져나와 그대로 얼어버려서, 냉동후 탈편시 잘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자 옆으로 삐져나온 오징어 다리가 그대로 얼어버린 상태가 되어서 냉동 오징어 탈편시나 보관 운반시 등에 삐져나온 다리가 부러지고, 이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고기를 잡으면서 상자에 특정용량까지 담아야 하는데, 정신없이 일을 하다보면 정량(현재 23kg이 정량이라 얘기되고 있음)이 담겼는지 구분이 쉽지가 않은데, 종래에는 이처럼 바쁘게 일하는 와중에도 상자에 고기가 정량으로 담겨졌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제품이 제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냉동된 어류를 플라스틱 상자에서 탈편하고자 할 경우, 보통 냉동 어류가 담긴 상자를 바닥에 집어 던지거나 바닥에 세게 내려쳐야만 냉동 어류가 탈편될 수 있는데, 이처럼 플라스틱 상자를 바닥에 집어던지거나 내려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플라스틱 상자, 특히 플라스틱 상자 모서리 부분이 쉽게 깨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징어와 같이 다리가 많은 어류를 냉동 보관하는 경우에도 어류의 다리가 옆으로 삐져나오는 경우를 방지하여 어류 냉동후 탈편시 쉽게 빠질 수 있고, 냉동 어류 탈편시나 보관 운반시 등에 옆으로 삐져나온 다리가 부러져 상품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자에 정량이 담겼는지의 여부를 쉽게 구분할 수 있어 바쁜 작업중에 보다 편리성을 기할 수 있도록 된 어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된 어류 탈편시의 충격 등에 의해 주요 부분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강 구조를 구비하고, 아울러, 다단 적제 보관시 미끄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구조를 겸비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어상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부(22)의 둘레부에 직립 방향으로 구비된 측벽부(24)에 의해 내부에 적제 공간부를 구비한 박스체(20)와, 상기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도록 된 복수개의 바텀홀(30)과, 상기 박스체(20)에 적제된 물이 상기 측벽부(24)의 하측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박스체(20)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부 사이드홀(40)과, 상기 측벽부(24)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체(20) 내부의 적제 공간부에 적제된 어류의 정량 적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 어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1) 조업시 주요부인 박스체의 내부에 오징어와 같은 다리가 많은 어류를 적제할 때에 하부측 위치에만 형성된 하부 사이드홀을 통해 물이 박스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박스체의 내부에 어류가 정량 적제선 위치(즉, 중량이 23kg되는 위치)까지 적제되면 박스체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정량 적제 표시홀이 보이지 않게 되면서 어류가 정량으로 적제됐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쉽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조업시 정신없이 일을 하다보면 상자에 어류가 정량(현재 23kg이 정량이라 얘기되고 있음)으로 담겼는지의 구분이 쉽지가 않은데, 본 발명은 어류의 정량 적제 용량에 해당하는 자리에 확인용 구멍인 정량 적제 표시홀을 낸 제품으로서, 적재물이 그 용량만큼(예를 들어, 정량 적제 기준인 23kg만큼) 차게 되면, 박스체의 정량 적제 표시홀이 적제된 어류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가 정량 적제 표시홀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쉽게 정량 적제 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어류를 담는 박스체의 하부측 위치에만 배수를 위한 하부 사이드홀을 형성함으로써, 어류의 다리(예를 들어, 오징어 다리)가 외부로 삐져나오는 경우를 방 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징어 다리가 상자의 구멍으로 삐져나와 그대로 얼어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냉동후 탈편시 냉동 어류를 쉽게 빠지도록 할 수 있으며, 어상자 옆으로 삐져나온 오징어 등의 다리가 그대로 얼어버린 상태가 되지 않아서 냉동 어류 탈편 작업이나 취급시 등에 냉동 어류의 다리가 부러지는 일이 없으며, 나아가, 이러한 다리가 부러짐으로 인한 냉동 어류의 상품성 저하를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3)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박스체의 상면부에 형성된 받침대홈 자체에 의해 좌우 위치에 유동 방지턱이 형성되는 한편, 어상자의 유동 방지턱이 없는 방향에는 가로 방향의 슬립방지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어상자와 받침대(90)(예를 들어, 각목 등)간의 마찰력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측 위치에 적제된 어상자를 지지하는 받침대(90)가 좌우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슬립되어 유동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어상자 다단 적제시 보다 안정화된 적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본 발명은 주요부인 박스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용 바텀홀의 구성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 그룹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바텀홀 그룹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어상자 다단 적제 보관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즉, 다단 적재시 받침대에 올려지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바텀홀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하는 한편, 하중 등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전체 배수 효과는 더욱 높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테면, 어상자에서 힘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부분에는 힘을 받쳐줄 수 있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많이 남겨놓아 충분히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힘을 적게 받는 부분으로는 보다 많은 면적의 배수용 구멍을 확보함으로써 전체적인 배수 효율은 보다 높인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1바텀홀 그룹과 제2바텀홀 그룹을 조합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오징어 등의 어류의 몸통 부분이 적제되는 위치의 제1바텀홀 그룹을 통하여서는 보다 원활하게 박스체 외부로 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어류의 다리가 적제되는 제2바텀홀에서 어류의 다리가 아래로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이루어진 제1바텀홀 그룹은 자체로 배수 기능을 가지면서도 어류의 다리가 상자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라 하겠다.
(5) 박스체 바닥부의 제1바텀홀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1바텀홀에는 별도의 간살이 더 형성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을 통하여 오징어 등의 어류의 다리가 아래로 빠질 수 있는 여지를 미연에 차단한 효과를 취득할 수 있다.
(6) 어류가 담기는 박스체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의 코너 보강리브가 구비 되어 있어서, 냉동 어류 탈피를 위해 바닥에 어상자를 내려 치는 등의 충격에 의해 주요 부분, 특히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단에 받침대(90)를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다단 적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부(22)의 둘레부에 직립 방향으로 구비된 측벽부(24)에 의해 내부에 적제 공간부를 구비한 박스체(20)와, 이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 형성된 바텀홀(30)과, 박스체(20)의 측벽부(24) 하부측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사이드홀(40)과, 박스체(20) 측벽부(24)의 상부측 위치에 가로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갖는 어상자이다. 특히, 다리가 많은 오징어나 게 등의 어류를 냉동 보관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어상자이다.
상기 박스체(2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부(22) 둘레부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측벽부(24)가 일체화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측벽부(24)는 전후 측벽부(24a)와 좌우 측벽부(24b)로 구성된다. 또한, 박스체(20)의 측벽부(24)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의 상단 지지부(26)가 일체화되고, 이러한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6a,26b)의 상면 또는 좌우 테두리 부(26c,26d)의 상면에는 받침대홈(60)의 형성되며, 받침대홈(60)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슬립방지 돌편(6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6a,26b)의 상면에 일자홈 형태의 받침대홈(60)이 형성되고, 받침대홈(60)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구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슬립방지 돌편(62)이 구비된다. 여기서, 받침대(90)는 대략 단면 직사각의 각목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단 지지부(26)는 측벽부(24)의 상단에 일체화된 상측 수평면부(26f)와, 이 상측 수평면부(26f)의 약간 아래 위치에서 측벽부(24)의 외표면에 일체화된 하측 수평면부(26e)를 가지며, 상측 수평면부(26f)와 하측 수평면부(26e)는 그 사이의 가로 보강리브(27a)와 세로 보강리브(27b)로 상호 강도가 보강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수평면부(26f)와 하측 수평면부(26e) 사이에서 박스체(20)의 모서리부, 즉 전후 측벽부(24a 및 24b)가 이어지는 부분에는 환형 보강보스(28)가 일체로 더 구비되어 있다. 환형 보강보스(28)는 필요시 철사 등을 끼울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는 어류 적제시 생기는 물을 박스체(20)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바텀홀(30)이 형성된다. 이때, 바텀홀(30)은 박스체(20)를 구성하는 바닥부(22) 중간 위치에 장방형(전후 좌우 사방 위치)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바텀홀(32)을 갖는 제1바텀홀 영역과, 이러한 제1바텀홀 영역의 좌우 위치에 장방향(전후 좌우 사방 위치)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바텀홀(34)을 갖는 제2바텀홀 영역으로 구성되며, 제1바텀홀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1바텀 홀(32) 직경은 제2바텀홀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2바텀홀(34)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된다. 즉, 제1바텀홀(32)의 직경에 비하여 제2바텀홀(34)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보다 큰 각각의 제1바텀홀(32)에는 상호 교차되는 형태의 간살(96)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간살(96)은 십자 형태인데, 간살(96)의 갯수는 여러개 추가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간살(96)은 제1바텀홀(32)을 여러 개의 좁은 구멍으로 구획함으로써, 박스체(20)의 내부에 적제된 어류의 다리가 빠져나올 여지를 차단하면서도 박스체(20)의 바닥부(22)의 강도는 저하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박스체(20)를 구성하는 각 측벽부(24a,24b)의 하부측에는 너비 방향을 따라 하부 사이드홀(40)이 형성되고, 각 측벽부(24a,24b)의 상부측 위치에는 너비 방향을 따라 정량 적제 표시홀(5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체(20)의 전후 측벽부(24a)의 하부측 위치에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하부 사이드홀(40)이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좌우 측벽부(24b)의 하부측 위치에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하부 사이드홀(40)이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정량 적제 표시홀(50)도 박스체(20)의 전후 측벽부(24a)의 상부측 위치와 좌우 측벽부(24b)의 상부측 위치에 각각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 두 개열의 하부 사이드홀(40)이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박스체(20)의 하부측 위치에는 물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하부 사이드홀(40)이 구비되고, 박스체(20)의 상부측 위치에는 내부에 적제된 오징 어 등의 어류가 정량으로 적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정량 적제 표시홀(5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사이드홀(40)과 상부의 정량 적제 표시홀(50) 사이는 폐쇄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박스체(20)는 바닥부(22)의 좌우 저면 위치에는 상부 위치로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저면 보조홈부(70)와, 각각의 저면 보조홈부(70) 양측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26)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받침대홈(6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걸림턱(72)과, 상기 저면 보조홈부(70)에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자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편(7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체(20)를 저면에서볼 때, 세로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저면 보조홈부(70)가 형성되고, 한 쌍의 저면 보조홈부(70)의 양측 위치에 한 쌍의 나란한 세로 방향의 보조 걸림턱(72)이 형성되며, 저면 보조홈부(70)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편(74)가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이다. 아울러, 제2바텀홀(34)은 저면 보조홈부(70) 영역에 장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박스체(20)는 사각형의 바닥부(22) 둘레부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측벽부(24)가 일체화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측벽부(24)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의 상단 지지부(26)가 일체화되며, 측벽부(24)의 외측면 모서리부와 상단 지지부(26)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체화되어 박스체(20)의 모서리 부분, 구체적으로 상단 지지부(26)의 모서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코너 보강리브(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업시 박스체(20)의 내부에 오징어와 같 은 다리가 많은 어류를 적제할 때에 하부측 위치에만 형성된 하부 사이드홀(40)을 통해 박스체(20)의 내부에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박스체(20)의 내부에 어류가 정량 적제선 위치(즉, 적제된 어류의 중량이 대략 23kg되는 위치라고 함)까지 적제되면 박스체(20)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통해 외부에서 정량으로 적제된 것을 쉽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23kg 정량 기준은 현재의 정량 기준이고, 이러한 정량 기준은 협회의 기준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업시 정신없이 일을 하다보면 상자에 어류가 정량(즉, 현재의 기준인 23kg 정도)으로 담겼는지의 구분이 쉽지가 않은데, 본 발명은 이처럼 바쁘게 일하는 와중에도 정량 구분선을 쉽게 판별하기 위하여, 정량 적제 용량에 해당하는 자리에 정량 적제 확인용 구멍인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낸 제품으로서, 적재물이 그 용량만큼 차게 되면, 박스체(20)의 정량 적제 표시홀(50)이 적제되어 있는 어류에 의해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가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통해 신속하면서도 쉽게 정량 적제 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박스체(20)의 하부측 위치에만 배수를 위한 하부 사이드홀(40)을 형성함으로써, 박스체(20)의 내부에 오징어와 같은 다리가 많은 어류를 적제할 때에 어류의 다리(예를 들어, 오징어 다리)가 외부로 삐져나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징어 다리가 상자의 구멍으로 삐져나와 그대로 얼어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냉동후 탈편시 냉동 어류를 쉽게 빠지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옆으로 삐져나와서 얼어버린 어류의 다리가 탈편 작업이나 취급시 등에 부러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냉동 어류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를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어상자의 주요부인 박스체(20)에 오징어 등의 어류를 정량으로 담은 다음에는 박스체(20)의 상단 지지부(26) 상면 좌우 위치에 형성된 받침대홈(60)에 받침대(90)(예를 들어, 각목 등)를 올려놓고, 이러한 받침대(90) 위에 내용물이 적재된 다른 어상자를 다단으로 적제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때, 받침대(90)는 받침대홈(60)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립방지 돌편(62)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하여 받침대(90) 자체가 어상자의 전후 방향으로 슬립되지 않고 안정화됨과 동시에 받침대(90)의 좌우단은 받침대홈(60)에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슬립방지 돌편(62)을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일자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슬립방지 돌편(62) 자체를 구비하기도 보다 용이하다. 즉,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은 기본적으로 수지를 원료로하여 성형된 플라스틱 상자 구조인데, 슬립방지 돌편(62) 자체가 일자형으로 길게 연장된 심플한 구조이므로, 이러한 슬립방지 돌편(62)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 자체의 구조도 심플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슬립방지 돌편(62)을 구비하기가 보다 간단해지는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에서 슬립방지 돌편(62)은 받침대(90)가 박스체(20)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받침대홈(60)은 받침대(9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류가 적제된 어상자를 받침대(90)를 이용하여 다단 적제시 보다 안정화된 다단 적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홈(60) 자체에 의해 좌우 위치에 유동 방지턱이 형성되는 한편, 어상자의 유동 방지턱이 없는 방향에는 가로 방향의 슬립방지 돌편(62)을 형성함으로서 어상자와 받침대(90)(예를 들어, 각목 등)간의 마찰력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로서, 상측 위치에 적제된 어상자를 지지하는 받침대(90)가 좌우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슬립되어 유동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요부인 박스체(20) 저면에 형성된 각각의 저면 보조홈부(70) 양측 위치에는 세로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보조 걸림턱(72)이 형성되어 있는데, 어상자 다단 적재시 이러한 한 쌍의 보조 걸림턱이 아래 위치에 수평 설치된 받침대(90)의 좌우단에 걸려지므로, 위쪽에 적제된 어상자가 좌우로 슬립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면 보조홈부(70) 자체에도 한 쌍의 보조 걸림턱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개의 보조적인 미끄럼 방지돌편(74)이 형성되어 있어서, 위쪽에 적제된 어상자가 아래쪽의 받침대(90)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립되는 현상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 형성된 배수용 바텀홀(30)의 구성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32) 그룹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바텀홀(34) 그룹으로 구성한 것인데, 어상자 다단 적제 보관시에 힘을 많이 받는 부분(즉, 어상자 다단 적재시 받침대(90) 위에 올려지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바텀홀(34)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하는 한편, 하중 등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32) 그룹을 구비함으로써 전체 배수 효과는 더욱 높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바텀홀(32) 그룹은 배수용 구멍을 가능한한 키워달라는 요구 사항에 충분히 부합하기 위한 것이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32) 그룹을 어상자 다단 적재시 힘을 많인 받는 부분에도 형성하면 강도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박스체(20)에서 상대적으로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은 직경이 보다 작은 제2바텀홀(34) 그룹으로 구성한 것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은 어상자에서 힘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부분에는 힘을 받쳐줄 수 있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많이 남겨놓아 충분히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힘을 적게 받는 부분으로는 보다 많은 면적의 배수용 구멍을 확보함으로써 전체적인 배수 효율은 보다 높인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박스체(20)에서 오징어 등의 어류의 몸통 부분이 적제되는 위치의 제1바텀홀(32) 그룹을 통하여서는 보다 원활하게 박스체(20) 외부로 물이 배수되면서도 어류의 다리가 적제되는 제2바텀홀(34)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아서 어류의 다리가 아래로 빠지는 일이 없게 된다. 즉, 바닥 배수를 위한 바텀홀(30)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1바텀홀(32) 그룹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바텀홀(34) 그룹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수 자체는 원활하게 하면서도 어류의 다리가 아래로 빠지는 현상은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오징어 등의 어류 적제시 다리가 측면의 구멍에 끼어서 냉동한 다음에는 냉동 어류 탈편시 어상자에서 잘 빠지지 않고 냉동 어류의 다리가 부러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상자의 측면 위치의 구멍을 상당 부분 메우는 한편, 어류를 담으면 물이 아래로 흐르므로, 바닥 배수용 바텀홀(30)의 영역은 확대한 구조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제1바텀홀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1바텀홀(32)에는 별도의 상호 교차되는 형태의 간살(96)이 더 형성되어 있어서, 제1바텀홀(32)을 통하여 오징어 등의 어류의 다리가 아래로 빠질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한 효과를 취득할 수 있다. 도 8 참조.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박스체(20)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의 코너 보강리브(80)가 구비되어 있어서, 냉도 어류 탈피를 위해 바닥에 어상자를 내려 치는 등의 충격에 의해 주요 부분, 특히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받침대(9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도 6에 도시된 받침대(90)를 이용하여 다단 적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받침대(90)는 박스체(20)의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4a,24b)의 상면 또는 좌우 테두리부(24c,24d)의 상면에 형성된 받침대홈(60)에 얹혀져 거치되는 받침블록(92)과, 이러한 받침블록(9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투리부의 외측단 또는 좌우 테두리부(24a,24b 또는 24c,24d)의 외측단에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블록(9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과 도 7에서는 긴 사각판 형태의 받침블록(92)의 전후단에 각각 전후 걸림블록(94)을 갖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90)를 구성하는 받침블록(92)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본 발명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보조돌편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90) 자체의 전후 걸림블록(94)이 어상자의 주요부인 박스체(20)의 전후단에 걸려지면서 받침대(90)가 전후로 유동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므로, 어상자 다단 적제시 보다 높은 안정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받침대(90)를 구성하는 받침블록(92)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가로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보조돌편이 더 형성되어 있어서, 어상자 다단 적제시 받침대(90) 상면부의 보조돌편은 위쪽 어상자의 바닥부(22)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보다 높이고, 받침대(90) 저면부의 보조돌편은 아래쪽 어상자의 받침대홈(60)에 형성된 슬립방지 돌편(62)과 함께 마찰력을 더욱 높여주므로, 어상자 다단 적제시 더욱더 높은 안정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받침대(90)는 MDF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단에 받침대를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다단 적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도 6에 도시된 받침대를 이용하여 다단 적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제1바텀홀에 간살이 구비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바닥부(22)의 둘레부에 직립 방향으로 구비된 측벽부(24)에 의해 내부에 적제 공간부를 구비한 박스체(20)와, 상기 박스체(20)의 바닥부(22)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도록 된 복수개의 바텀홀(30)과, 상기 박스체(20)에 적제된 물이 상기 측벽부(24)의 하측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박스체(20)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부 사이드홀(40)과, 상기 측벽부(24)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체(20) 내부의 적제 공간부에 적제된 어류의 정량 적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정량 적제 표시홀(50)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24)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의 상단 지지부(26)가 일체화되고, 상기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4a,24b)의 상면 또는 좌우 테두리부(24c,24d)의 상면에는 받침대홈(6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홈(60)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슬립방지 돌편(62)이 형성된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의 바닥부(22) 저면에서 상부 위치로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저면 보조홈부(70)와, 각각의 저면 보조홈부(70) 양측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26)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받침대홈(6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걸림턱(72)과, 상기 저면 보조홈부(70)에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자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편(7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4a,24b)의 상면이나 좌우 테두리부(44c,24d)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받침대홈(60)에 얹혀져 결합되는 받침블록(92)과, 상기 받침블록(9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26)의 서로 나란한 전후 테두리부(24a,24b)의 외측단 또는 좌우 테두리부(24c,24d)의 외측단에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블록(94)로 구성된 받침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홀(30)은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바닥부(22) 중간 위치에 장방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바텀홀(32)을 갖는 제1바텀홀 영역과, 상기 제1바텀홀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장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바텀홀(34)을 갖는 제2바텀홀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바텀홀(32)의 직경에 비하여 상기 제2바텀홀(34)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바텀홀(30)을 구성하는 상기 제1바텀홀(32)에는 상호 교차되는 형태의 간살(9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는 사각형의 바닥부(22) 둘레부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측벽부(24)가 일체화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24)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의 상단 지지부(26)가 일체화되고, 상기 측벽부(24)의 외측면 모서리부와 상기 상단 지지부(26)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체화되어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모서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코너 보강리브(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KR1020090073460A 2009-08-10 2009-08-10 어상자 KR10113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60A KR101130744B1 (ko) 2009-08-10 2009-08-10 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60A KR101130744B1 (ko) 2009-08-10 2009-08-10 어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83A KR20110015983A (ko) 2011-02-17
KR101130744B1 true KR101130744B1 (ko) 2012-03-28

Family

ID=4377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460A KR101130744B1 (ko) 2009-08-10 2009-08-10 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2B1 (ko) 2012-08-16 2014-06-27 정지은 수협어판장에서의 활어보관 및 운송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94B1 (ko) * 2013-06-27 2015-07-06 엔피씨(주) 상자 성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56A (ko) * 1999-11-08 2001-06-05 강동환 어상자
KR200371001Y1 (ko) * 2004-10-07 2004-12-23 백현근 냉동 어패류 운반상자
KR20050019157A (ko) * 2003-08-18 2005-03-03 최돈성 어상자
KR20090001329U (ko) * 2007-08-03 2009-02-06 남정욱 어류 보관 및 운송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56A (ko) * 1999-11-08 2001-06-05 강동환 어상자
KR20050019157A (ko) * 2003-08-18 2005-03-03 최돈성 어상자
KR200371001Y1 (ko) * 2004-10-07 2004-12-23 백현근 냉동 어패류 운반상자
KR20090001329U (ko) * 2007-08-03 2009-02-06 남정욱 어류 보관 및 운송용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2B1 (ko) 2012-08-16 2014-06-27 정지은 수협어판장에서의 활어보관 및 운송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83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0495A (en) Pallet structure
US5636469A (en) Fishing tackle apparatus
US20070175790A1 (en) Stackable tray
KR101130744B1 (ko) 어상자
AU2009257178A1 (en) Improved pallet
US20100147727A1 (en) Open-Topped Stackable Container
US10099814B2 (en) Pallet
WO2015176740A1 (en) Container system
CN106241045A (zh) 装配有顶部加固框架的具有可堆叠托盘的容器
KR20140023575A (ko) 수협어판장에서의 활어보관 및 운송상자
US6394301B1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for chain and bulk goods
US20220403584A1 (en) Extendable attachable laundry basket
WO2015118456A1 (en) Pallet
US20090211497A1 (en) Transport pallet made of plastic
KR20130019843A (ko) 저장고용 조립식 기능 깔판
US6811125B1 (en) Shipping pod
JP2006206089A (ja) 一体成形二方差し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449586Y1 (ko) 수산물 운반상자
US20240164361A1 (en) Fishing tackle storage system and method
CN109625536A (zh) 一种多功能托盘
CN212074743U (zh) 多功能新型木托盘
NO346684B1 (no) Transportpall
RU67548U1 (ru) Ящик транспорный многооборотный штабелируемы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родукции (варианты)
RU216234U1 (ru) Полиэтиленовый поддо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 нем груза
KR200414066Y1 (ko) 적층 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토록 된 빠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