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089B1 - 티백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티백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089B1
KR101130089B1 KR1020100002642A KR20100002642A KR101130089B1 KR 101130089 B1 KR101130089 B1 KR 101130089B1 KR 1020100002642 A KR1020100002642 A KR 1020100002642A KR 20100002642 A KR20100002642 A KR 20100002642A KR 101130089 B1 KR101130089 B1 KR 10113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ea bag
guide
turntable
outer wra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753A (ko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홍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일 filed Critical 홍승일
Priority to KR102010000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백 포장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을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포켓부에 일시적으로 담은 후, 턴테이블과 편심되게 설치된 드럼에서 승하강하는 안내컵을 통해 상기 턴테이블과 드럼의 사이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는 겉포장지내에 투입함과 동시에 열접착수단을 통해 겉포장지를 열접착함으로써, 티백을 겉포장지에 포장하는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겉포장지에 티백 투입 및 열접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티백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티백제조장치로부터 낱개로 이송되는 티백(3)을 겉포장지 공급장치로부터 반으로 접혀서 공급되는 겉포장지(4)에 포장하기 위한 티백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하단이 관통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본체(10)와 편심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부(20)와, 상기 회전축지지부(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는 상기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3)을 담을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포켓부(41)가 형성된 턴테이블(40)과,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50)과,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회전한 후 빠져나가는 겉포장지(4)의 내부로 상기 포켓부(41)로부터 낙하하는 티백(3)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50)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겉포장지(4)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내컵(60)과, 상기 드럼(50)의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 사이의 겉포장지(4)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는 복수개의 열접착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티백 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FOR TEA BAG}
본 발명은 티백 포장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을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포켓부에 일시적으로 담은 후, 턴테이블과 편심되게 설치된 드럼에서 승하강하는 안내컵을 통해 상기 턴테이블과 드럼의 사이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는 겉포장지내에 투입함과 동시에 열접착수단을 통해 겉포장지를 열접착함으로써, 티백을 겉포장지에 포장하는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겉포장지에 티백 투입 및 열접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티백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백포장장치는,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999-00683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속지를 한쪽만이 개방된 티백봉투를 마련하고 이 티백봉투에 적당량의 원두커피분말이나 소정입자로 분쇄한 녹차 등의 피포장물을 넣은 후 티백봉투의 개방끝단을 접착하여 티백을 얻고 이 티백의 한쪽측면에 물이 든 컵에 넣을 때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를 부착한다.
이 후, 밀폐가 잘되는 겉포장지를 반으로 접어 한쪽만이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이 겉포장지내에 상기 공정에서 얻은 손잡이가 부착된 티백을 넣은 후 겉포장지의 개방끝단을 접착하여 완성품의 포장티백을 얻었다.
상기 티백 포장장치에서, 상기 티백을 겉포장지에 넣어 포장하는 부분을 설명하면,
먼저, 겉포장지를 반으로 접어서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이때 티백을 상기 직선방향으로 이송되는 겉포장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내측으로 하나씩 낙하하게 된다.
이후, 겉포장지의 직선 이동방향 일정거리에 설치된 열접착장치를 통해 겉포장지를 열접착하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티백 포장장치는, 직선방향으로 이송하는 겉포장지내에 티백을 하나씩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고속 포장이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직선이동하는 겉포장지를 고속 이송하게 되면 겉포장지내로 낙하하는 티백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 열접착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겉포장지를 저속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티백이 낙하할 때 겉포장지의 이송을 일시정지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티백을 겉포장지내에 투입하는 부분에서 일정길이의 겉포장지 직선 이동구간이 필요하고, 겉포장지를 열접착하는 부분에서도 일정길이의 겉포장지 직선 이동구간이 필요하여 결국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을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포켓부에 일시적으로 담은 후, 턴테이블과 편심되게 설치된 드럼에서 승하강하는 안내컵을 통해 상기 턴테이블과 드럼의 사이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는 겉포장지내에 투입함과 동시에 열접착수단을 통해 겉포장지를 열접착함으로써, 티백을 겉포장지에 포장하는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겉포장지에 티백 투입 및 열접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어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티백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티백제조장치로부터 낱개로 이송되는 티백을 겉포장지 공급장치로부터 반으로 접혀서 공급되는 겉포장지에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단이 관통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본체와 편심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는 상기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을 담을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포켓부가 형성된 턴테이블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과, 상기 턴테이블과 드럼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회전한 후 빠져나가는 겉포장지의 내부로 상기 포켓부로부터 낙하하는 티백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겉포장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내컵과, 상기 드럼의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 사이의 겉포장지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는 복수개의 열접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백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부는, 상,하단이 개방되되 포켓부의 내측면이 상기 턴테이블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의 개방된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반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켓부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이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 하측의 회전축지지부에는, 상기 개폐판이 특정위치에서 포켓부의 하단을 개방하도록 가장자리 일정구간에 절개부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하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되, 절개부의 원주방향 일측은 플레이트의 외주면까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판의 일단부 하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상기 절개부 구간에서는 개폐판을 원활하게 개방하고 절개부를 벗어난 구간에서는 개폐판을 닫을 수 있도록 개폐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을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포켓부에 일시적으로 담은 후, 턴테이블과 편심되게 설치된 드럼에서 승하강하는 안내컵을 통해 상기 턴테이블과 드럼의 사이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는 겉포장지내에 투입함과 동시에 열접착수단을 통해 겉포장지를 열접착함으로써, 티백을 겉포장지에 포장하는 작업을 고속으로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원주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겉포장지에 티백 투입과 열접착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에서 티백이 낙하하여 안내컵을 통해 겉포장지 내부로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에서 턴테이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에서 티백이 낙하하여 안내컵을 통해 겉포장지 내부로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에서 턴테이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백 포장장치(1)는 미도시된 티백(속포장)제조장치로부터 완성된 티백(3)을 공급받아 겉포장지(4)로 포장하는 장치이며, 즉, 티백제조장치에서 완성된 티백(3)은 이송장치(2)를 통해 티백 포장장치(1)의 턴테이블(40) 상부로 이송되어 하나씩 연속적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티백제조장치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티백 포장장치(1)는 본체(10)와, 회전축지지부(20)와, 회전축(30)과, 턴테이블(40)과, 드럼(50)과, 안내컵(60)과, 열접착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하단이 관통된 일정높이의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구조물(5)이 일정높이로 설치되되, 상기 고정구조물(5)은 상기 드럼(5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드럼(50)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지지부(2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지지부(20)는 상기 본체(10)와 편심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지지부(2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하단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축지지부(2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고, 하단은 본체(10)의 하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회전축지지부(20)의 내부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은 회전축지지부(20)의 상단 보다 돌출되고, 회전축(30)의 하단은 회전축지지부(20)의 하단 보다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30)은 하단에 기어(31)가 결합되어 미도시된 모터와 체인 등으로 연결됨으로써, 모터의 작동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40)은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는 상기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3)을 담을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포켓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포켓부(41)는 턴테이블(40)의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포켓부(41)의 상,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포켓부(41)의 내측면이 상기 턴테이블(4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50)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드럼(50)의 상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상판(55)이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0)이 본체(10)와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도 편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드럼(50)의 외주면 하단에는 드럼(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51)가 결합된다.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은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회전한 후 빠져나가는 겉포장지(4)의 내부로 상기 포켓부(41)로부터 낙하하는 티백(3)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50)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겉포장지(4)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안내컵(60)은 상,하단 관통되게 형성되되, 안내컵(60)의 상단은 확관되어 있어서 포켓부(41)로부터 낙하는 티백(3)이 안내컵(60)으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미도시된 겉포장지 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겉포장지(4)는 반으로 접힌 후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되는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된 겉포장지(4)는 도 2와 같이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216도 회전한 후 빠져나가게 된다. 물론, 상기 겉포장지(4)가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반경과 상기 안내컵(60)의 회전반경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을 연결하는 원의 직경은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을 연결하는 원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을 연결하는 원은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을 연결하는 원에 내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을 연결하는 원과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을 연결하는 원이 접하는 부분에서 포켓부(41)에 담겨진 티백(3)이 안내컵(60)으로 낙하(투입)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안내컵(60)의 회전중심과 포켓부(41)의 회전중심이 편심이고, 상기 안내컵(60)의 회전반경이 포켓부(41)의 회전반경 보다 크게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안내컵(60)의 하단부는 상기 겉포장지(4)가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구간(A)에서만 반으로 접힌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겉포장지(4)와 함께 회전하고, 겉포장지(4)의 회전 구간(A)을 벗어나게 되면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된 안내컵(60)은 겉포장지(4)로부터 상승하여 빠져나와야 한다.
이처럼, 상기 안내컵(60)은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만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되고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면 안내컵(60)이 상승하여 겉포장지(4)로부터 빠져나와야 하기 때문에, 안내컵(60)이 상승할 때 턴테이블(40)의 포켓부(41)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컵(60)의 회전반경을 포켓부(41)의 회전반경 보다 크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겉포장지(4) 공급장치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50)에는 상기 안내컵(60)이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하강하여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되고,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면 상승하여 겉포장지(4)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안내컵(6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61)이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수단(61)은, 상기 드럼(5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단부가 상기 안내컵(60)와 결합되는 수직바(62)와, 상기 수직바(62)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측방향으로 베어링부(65)가 돌출되게 구비된 제1캠가이드(64)와, 상기 드럼(50)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조물(5)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제1캠가이드(64)의 베어링부(6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레일홈(67)이 형성된 제1캠레일(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62)는 드럼(50)의 외주면에 지지부(52)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바(62)는 드럼(50)의 상판(55)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52)에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바(62)는 안내컵(6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직바(62)의 상단부와 안내컵(60)은 일정길이의 연결부재(63)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안내컵(60)이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상기 제1캠레일(66)의 수직방향 설치높이가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된다. 즉,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의 제1캠레일(66) 설치높이와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의 제1캠레일(66) 설치높이가 상이하게 되며, 이때 설치높이가 상이한 각 구간의 제1캠레일(66)은 상호 완만하게 연결된다.
도 1에서 왼쪽의 제1캠레일(66) 부분은 상대적으로 설치높이가 높은 부위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의 제1캠레일(66) 부분은 상대적으로 설치높이가 낮은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제1캠레일(66) 구간에 의해 상기 수직바(62) 및 안내컵(60)(도 1에서 오른쪽 안내컵(60))이 하강하여 안내컵(60)의 하단부가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겉포장지(4)와 함께 회전하고,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제1캠레일(66) 구간에 의해 상기 수직바(62) 및 안내컵(60)(도 1에서 왼쪽 안내컵(60))이 상승하여 안내컵(60)이 겉포장지(4)의 내부에서 빠져나와 일정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안내컵(60)이 일정높이 상승함으로써,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겉포장지(4) 부분에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수직바(62)와 마주하는 드럼(50)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의 가이드홈(5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62)에 결합된 제1캠가이드(64)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53)에 삽입되어 수직바(62)의 승하강동작을 지지하면서 수직바(62)의 회전을 방지하는 핀(64a)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열접착수단(70)은 상기 드럼(50)의 상판(55) 상단면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 사이의 겉포장지(4)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열접착수단(70)은, 상기 드럼(50)의 상판(55)에서 겉포장지(4)의 내측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팅바(71)와, 상기 드럼(50)의 상판(55)에서 겉포장지(4)의 외측방향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혀지고 세워지도록 작동하면서 겉포장지(4)를 히팅바(71)측에 밀착시키는 회동바(72)와, 상기 회동바(72)를 눕혀지고 세워지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수단(75)은, 상기 회동바(72)와 직각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끝단부에 베어링부(76a)가 설치된 제2캠가이드(76)와, 상기 드럼(50)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조물(5)에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제2캠가이드(76)의 베어링부(76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레일홈(78)이 형성된 제2캠레일(77)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회동바(72)가 세워지도록 상기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레일홈(78)이 제2캠레일(77)의 내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회동바(72)가 눕혀지도록 상기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레일홈(78)이 제2캠레일(77)의 상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에서 오른쪽의 제2캠레일(77) 부분은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레일홈(78)이 내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회동바(72)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 및 도 3에서 왼쪽의 제2캠레일(77) 부분은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레일홈(78)이 상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회동바(72)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회동바(72)가 세워진 상태에서 눕혀지기 시작하는 구간(도2의 S부)에서는 도 3과 같이,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점차 하측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하도록 설치되므로 회동바(72)가 세워진 상태에서 눕혀지게 되고,
또한, 상기 회동바(72)가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지기 시작하는 구간(도2의 E부)에서는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점차 상측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하도록 설치되므로 회동바(72)가 눕혀진 상태에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상기 회동바(72)가 세워지면서 겉포장지(4)를 히팅바(71)측에 밀착시켜 겉포장지(4)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게 되고,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상기 회동바(72)가 눕혀지게 되어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겉포장지(4) 부분에 걸리지 않게 된다.
아울러,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상기 회동바(72)가 눕혀짐은 물론 상기 안내컵(60)이 상승함으로써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겉포장지(4) 부분에 모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50)의 상판(55) 가장자리에는 회동바(72)의 회동을 통해 제2캠가이드(76)가 하측방향으로 90도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홈(5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40)의 반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45)이 구비되고, 상기 포켓부(41) 하측의 회전축지지부(20)에는 상기 개폐판(45)이 특정위치에서 포켓부(41)의 하단을 개방하도록 가장자리 일정구간에 절개부(81)가 형성된 플레이트(8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81)는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하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절개부(81)의 원주방향 일측은 플레이트(80)의 외주면까지 완만한 곡면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개부(81)는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상기 포켓부(41)와 그 하측의 안내컵(60)이 수직방향으로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45)의 일단부 하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80)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절개부(81) 구간에서는 개폐판(45)을 원활하게 개방하고 절개부(81)를 벗어난 구간에서는 개폐판(45)을 닫을 수 있도록 개폐가이드(4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40)의 포켓부(4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판(45)이 플레이트(80)의 절개부(81)를 지나가는 순간 포켓부(41) 하단이 개방되면 포켓부(41)내에 담겨있던 티백(3)이 상기 안내컵(60)내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티백 포장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티백 포장장치(1)를 가동하면, 상기 회전축(30)과 함께 턴테이블(40)이 회전하여 복수개의 포켓부(41)가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드럼(50)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과 열접착수단(7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겉포장지(4)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겉포장지(4)는 반으로 접힌 후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되는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된 겉포장지(4)는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회전한 후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겉포장지(4)가 회전하는 구간(A)에서는 겉포장지(4)가 복수개의 히팅바(71) 외측면을 따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이 승하강수단(61)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게 되고, 상기 열접착수단(70)의 회동바(72)는 작동수단(75)에 의해 눕혀지고 세워지는 작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도 3의 오른쪽과 같이, 안내컵(60)이 하강하여 안내컵(60)의 하단부가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때 회동바(72)는 각 안내컵(60)의 사이에서 세워지게 되면서 겉포장지(4)를 히팅바(71)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반으로 접힌 겉포장지(4)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게 된다.
또한,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난 구간(B)에서는 도 3의 왼쪽과 같이, 안내컵(60)이 상승하여 겉포장지(4)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회동바(72)는 눕혀지게 되면서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겉포장지(4) 부분에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티백제조장치(2)를 통해 제조된 티백(3)이 이송장치(2)를 통해 낱개로 이송된 후, 상기 턴테이블(40)의 포켓부(41) 상부위치에서 하나씩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하는 복수개의 포켓부(41)에는 하나씩 낙하하는 티백(3)이 순차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이후, 상기 턴테이블(40)의 포켓부(4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켓부(41)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45)이 플레이트(80)의 절개부(81)를 지나가는 순간 포켓부(41) 하단이 개방되면서 포켓부(41)내에 담겨있던 티백(3)이 상기 안내컵(60)내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안내컵(60)내로 낙하한 티백(3)은 겉포장지(4)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게 되며, 이때 티백(3)은 안내컵(60)에 의해 겉포장지(4)의 내부에서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열접착수단(70)은 안내컵(60)이 상승하기 전까지 각 안내컵(60) 사이의 겉포장지(4)를 안정적으로 열접착하게 된다.
상기 겉포장지(4)의 열접착은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내에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열접착이 완료된 겉포장지(4)는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면서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후, 미도시된 열접착장치를 통해 겉포장지(4)의 개방된 상단을 열접착하여 밀봉하게 되고, 하나로 이어진 겉포장지(4)를 낱개로 커팅함으로서, 티백(3)의 겉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에서 겉포장지(4)의 개방된 상단을 열접착하는 장치와 낱개로 커팅하는 장치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티백 포장장치 2: 이송장치
3: 티백 4: 겉포장지
5: 고정구조물 10: 본체
20: 회전축지지부 30: 회전축
31: 기어 40: 턴테이블
41: 포켓부 45: 개폐판
50: 드럼 51: 기어
52: 지지부 55: 상판
60: 안내컵 61: 승하강수단
62: 수직바 63: 연결부재
64: 제1캠가이드 65,76a: 베어링부
66: 제1캠레일 67,78: 레일홈
70: 열접착수단 71: 히팅바
72: 회동바 75: 작동수단
76: 제2캠가이드 77: 제2캠레일
80: 플레이트 81: 절개부

Claims (7)

  1. 티백제조장치로부터 낱개로 이송되는 티백(3)을 겉포장지 공급장치로부터 반으로 접혀서 공급되는 겉포장지(4)에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단이 관통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본체(10)와 편심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부(20)와,
    상기 회전축지지부(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주면에는 상기 낱개로 이송되어 낙하하는 티백(3)을 담을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포켓부(41)가 형성된 턴테이블(40)과,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50)과,
    상기 턴테이블(40)과 드럼(50)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드럼(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회전한 후 빠져나가는 겉포장지(4)의 내부로 상기 포켓부(41)로부터 낙하하는 티백(3)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50)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겉포장지(4)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안내컵(60)과,
    상기 드럼(50)의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 사이의 겉포장지(4)의 마주하는 면을 열접착시키는 복수개의 열접착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백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부(41)는, 상,하단이 개방되되 포켓부(41)의 내측면이 상기 턴테이블(4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40)의 반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켓부(41)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45)이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41) 하측의 회전축지지부(20)에는, 상기 개폐판(45)이 특정위치에서 포켓부(41)의 하단을 개방하도록 가장자리 일정구간에 절개부(81)가 형성된 플레이트(80)가 설치되고,
    상기 절개부(81)는, 상기 플레이트(80)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하측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되, 절개부(81)의 원주방향 일측은 플레이트(80)의 외주면까지 곡면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폐판(45)의 일단부 하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80)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상기 절개부(81) 구간에서는 개폐판(45)을 원활하게 개방하고 절개부(81)를 벗어난 구간에서는 개폐판(45)을 닫을 수 있도록 개폐가이드(4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켓부(41) 하단을 연결하는 원의 직경은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을 연결하는 원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포켓부(41) 하단을 연결하는 원은 상기 복수개의 안내컵(60)을 연결하는 원에 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에는 상기 안내컵(60)이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하강하여 겉포장지(4)의 내부에 삽입되고,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면 상승하여 겉포장지(4)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안내컵(6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6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61)은,
    상기 드럼(5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단부가 상기 안내컵(60)와 결합되는 수직바(62)와,
    상기 수직바(62)에 결합됨과 아울러 외측방향으로 베어링부(65)가 돌출되게 구비된 제1캠가이드(64)와,
    상기 드럼(50)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조물(5)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제1캠가이드(64)의 베어링부(6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레일홈(67)이 형성된 제1캠레일(6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컵(60)이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상기 제1캠레일(66)의 수직방향 설치높이가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착수단(70)은,
    상기 드럼(50)의 상단에서 겉포장지(4)의 내측방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팅바(71)와,
    상기 드럼(50)의 상단에서 겉포장지(4)의 외측방향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혀지고 세워지도록 작동하면서 겉포장지(4)를 히팅바(71)측에 밀착시키는 회동바(72)와,
    상기 회동바(72)를 눕혀지고 세워지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7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75)은,
    상기 회동바(72)와 직각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끝단부에 베어링부(76a)가 설치된 제2캠가이드(76)와,
    상기 드럼(50)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구조물(5)에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제2캠가이드(76)의 베어링부(76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레일홈(78)이 형성된 제2캠레일(77)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에서는 회동바(72)가 세워지도록 상기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레일홈(78)이 제2캠레일(77)의 내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겉포장지(4)의 회전구간(A)을 벗어나는 구간(B)에서는 회동바(72)가 눕혀지도록 상기 제2캠레일(77)이 회동바(72)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레일홈(78)이 제2캠레일(77)의 상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 포장장치.
  7. 삭제
KR1020100002642A 2010-01-12 2010-01-12 티백 포장장치 KR10113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42A KR101130089B1 (ko) 2010-01-12 2010-01-12 티백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42A KR101130089B1 (ko) 2010-01-12 2010-01-12 티백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753A KR20110082753A (ko) 2011-07-20
KR101130089B1 true KR101130089B1 (ko) 2012-03-28

Family

ID=4492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42A KR101130089B1 (ko) 2010-01-12 2010-01-12 티백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3339B (zh) 2019-05-22 2023-02-28 I.M.A.工业机械自动装置股份公司 用于供应冲泡产品的配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559A (ko) * 2001-01-08 2002-07-13 김준호 정제포장장치
JP2004099134A (ja) * 2002-09-11 2004-04-02 Topack Co Ltd 粉剤充填包装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559A (ko) * 2001-01-08 2002-07-13 김준호 정제포장장치
JP2004099134A (ja) * 2002-09-11 2004-04-02 Topack Co Ltd 粉剤充填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753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746B2 (ja) 間欠移送式ロータリー型袋詰め包装機
JP4387310B2 (ja) 飲料自動販売機用カプセル給送装置
ES2433522T3 (es) Sistema de embalaje con carrusel de carga
ES2255602T3 (es) Dispositivo de llenado de cajas con objetos alineados.
CN105819012B (zh) 一种方形糖用两头尖角折叠包装机
JP2011512302A (ja) (チューブ)袋を段ボール箱に入れる方法と装置
CN205872601U (zh) 苹果套网包装机
JP5944738B2 (ja) 連続移送式袋詰め包装機
JP2007532426A (ja) 箱を外装に配置するための把持装置、梱包装置および方法
JP2006027733A (ja) ラップされたタバコ群の対を蝶番のある蓋付きワレットパケット中に包装する方法
KR101762336B1 (ko) 로터리형 자동 포장기의 포장백 배기장치
US6719015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illed flexible pouch
ES2808091T3 (es) Unidad y procedimiento de agrupamiento y alineación de cápsulas
KR101130089B1 (ko) 티백 포장장치
CN106794907B (zh) 用于生产沏泡产品的包装的设备
WO2013045806A1 (fr) Machine d'emballage
ES2858199T3 (es) Máquina y método para embalar productos
ES2306206T3 (es) Dispositivo para plegar tapas de paquetes rigidos en maquinas para realizar tales paquetes y maquina que incorpora tal dispositivo.
TWI259161B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filling and closing of cardboard/plastic composite packages which are open on one side; and a cell cage for transporting such packages in the device
CN106347762B (zh) 茶的包装机
CN205652404U (zh) 一种方形糖用两头尖角折叠包装机
CN108290652A (zh) 堵塞检测装置、检测灌装机中有缺陷的包装的方法、用于在灌装机中生产可灌注食品包装的折叠单元和灌装机
KR200284118Y1 (ko) 종이컵 자동포장기의 포장물 배출장치
US20240017866A1 (en)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in boxes and packaging apparatus operating according to this method
JP2013028355A (ja) 被包装物充填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