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497B1 - 주형 장치 - Google Patents

주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497B1
KR101129497B1 KR1020090126330A KR20090126330A KR101129497B1 KR 101129497 B1 KR101129497 B1 KR 101129497B1 KR 1020090126330 A KR1020090126330 A KR 1020090126330A KR 20090126330 A KR20090126330 A KR 20090126330A KR 101129497 B1 KR101129497 B1 KR 10112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ylinder
molten steel
coo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550A (ko
Inventor
김선재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4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2Sectional flasks, i.e. with divided, articulated, or interchangeable sid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5Cooling or heating equipment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8Features with respect to supply of molten metal, e.g. ingates, circular gates, skim gates
    • B22C9/082Sprues, po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냉각 방식으로 용강을 주형하는 주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형 장치는, 플레이트 보드;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주형; 상기 제1 주형과 대응되고 전진 후진 이동되는 제2 주형; 상기 제1 주형 또는 상기 제2 주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중앙에 용강 유입구가 형성된 보호 커버; 및 상기 제1 주형과 제2 주형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 보드 상부에 설치되고,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용강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는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캡;을 포함한다.
주형, 냉각 캡, 보조 주형

Description

주형 장치{Mold device}
본 발명은 주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 냉각 방식으로 용강을 주형하는 주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형(鑄型, mold)이란, 용융된 금속을 유입하여 주물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틀로서 유입하는 재료의 온도에 따라 적정한 내열 재료로 제조된다. 주물을 만들 때의 주형에는 모래, 금속, 주로 철강이 사용되는데 각기 사형(砂型), 금형(金型)이라고 불린다. 이 밖에 내화물의 모래에 열경화성 수지를 섞어서 만드는 셀형(shell 型) 등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종래의 용강 주형 장치에 의한 주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주형(1) 내부에 보조 주형(2)을 삽입하고, 보조 주형(2)을 삽입하여 형성된 공간에 건식 내화물을 충진한 후, 그 상부에 습식 내화물을 채운 다음 소결한다. 이 소결 과정에서 많은 양의 건식 내화물과 습식 내화물은 보조 주형(2) 내부로 유입되어 제거된다. 건조를 통해 상부의 습식 내화물이 소결되면 보조 주형(2) 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플레이트(plate, 미도시)와 하부 실링용 칩(chip, 미도시)으로 보조 주형의 하부를 실링(sealing)한다.
그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유도로(미도시)를 경동하여 용해와 성분 조성이 완료된 용강(A)을 유입한다. 유입이 완료된 용강(A)은 주형에 채워진 상태로 대기 중에서 냉각 응고된다.
그 다음, 도 4c 및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고가 완료된 후, 그 상부의 소결층을 파쇄 와이어와 크레인(4)을 이용하여 주형 분리 작업을 수행한다. 주형(1)과 보조 주형(2)을 분리한 후, 보조 주형(2) 외부에 소결된 건식 내화물은 파쇄 공정을 거쳐 분리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강 주형 장치에 의한 주형 방법에서는 건식 내화물이 소결되어 주형과 보조 주형을 분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주형 사용을 위한 준비 공정과 사용 후의 분리 공정 반복으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안전사고에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강 유입 후 주형이 조립된 상태에서 공기에 의한 자연 냉각이므로 응고 시간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실제 생산 작업에 정체 현상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내화물의 소결과 파쇄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용강 유입시 신속한 응고를 위해 하부 실링용으로 사용되는 칩이 용강 유입 과정에서 부상되어 편석 형태로 잔존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주형과 보조 주형의 분리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용강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주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는,
플레이트 보드;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주형; 상기 제1 주형과 대응되고 전진 후진 이동되는 제2 주형; 상기 제1 주형 또는 상기 제2 주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중앙에 용강 유입구가 형성된 보호 커버; 및 상기 제1 주형과 제2 주형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 보드 상부에 설치되고,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용강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는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캡;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보드, 제1 주형, 및 제2 주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냉각수 통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주형은 중공형 반원기둥 또는 중공형 반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냉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부재는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둘레의 길이가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주형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냉각 캡의 상부에 조립될 수 있는 보조 주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주형은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 주형은 실린더에 의해 전진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진 운동 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형과 보조 주형의 분리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강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여 용강의 냉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강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종전과는 달리 내화물의 소결과 파쇄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진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하부 실링용 칩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석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는, 플레이트 보드(10),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0),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진 운동 가능한 실린더(30),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주형(40), 상기 제1 주형과 대응되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전진 후진 이동되는 제2 주형(50), 그리고 상기 제1 주형과 제2 주형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캡(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주형 사이에 삽입되며, 냉각 캡이 그 하부에 조립될 수 있는 보조 주형(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형 또는 제2 주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중앙에 용강 유입구(82)가 형성된 보호 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보드(10)는 소정의 두께로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플레이트 보드(1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통수를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 보드(10)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플레이트 보드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플레이트 보드(10)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냉각수 밸브(11, 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20)은 플레이트 보드(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실린더(3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 프레임(20)의 상단에는 실린더(30)에 의해 전진 후진하는 제2 주형(50)을 위한 가이드(21a, 21b)가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내부에는 지지 레일(22a, 22b)이 수평 방향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 레일은 상기 제2 주형(50)과 연결되며, 가이드(21a, 21b)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21a, 21b)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레일(22a, 22b)의 형상은 사각의 파이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등 모든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30)는 지지 프레임(20) 상단의 가이드(21a, 21b)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는 로드(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31)의 일단은 로드 플레이트(32)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플레이트는 제2 주형(50)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로드 플레이트(3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30)는 기계적인 전진 후진 운동을 하며, 상기 로드(31)와 로드 플레이 트(32)는 실린더의 전진 후진 운동을 제2 주형(50)에 전달하여, 실린더의 전진 후진에 따라 제2 주형(50)이 전진 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 주형을 마주보고 제2 주형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30)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에 공지된 여러 가지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나, 압축 공기나 유압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공기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는 펌프나 컨트롤 밸드 등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2 주형(50)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실린더(3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운동을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형(4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절반으로 자른 중공형 반원기둥 또는 중공형 반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보드(10)에 용접 또는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때, 제1 주형(4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통수를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주형(40)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제1 주형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제1 주형(40)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냉각수 밸브(41, 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주형(4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 커버(80)가 끼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의 환봉으로 이루어진 핀(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형(50)은 제1 주형(40)과 대응되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절반으로 자른 중공형 반원기둥 또는 중공형 반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제1 주형(40)과는 달리, 플레이트 보드(10)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상기 실린더(30)에 의해 전진 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유동형으로 설치된다. 이때, 제1 주형과 마찬가지로 제2 주형(50)의 내부에는 냉각수의 통수를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주형(50) 내부에 냉각수를 유입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제2 주형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제2 주형(50)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냉각수 밸브(51, 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주형(5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 커버(80)가 끼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의 환봉으로 이루어진 핀(미도시, 제1 주형의 핀(4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0)의 기계적인 전진 후진 운동이 제2 주형(5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2 주형(5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로드 플레이트(32)가 접촉하여 고정 연결되고, 이 로드 플레이트(32)는 그 일단에 형성된 로드(31)를 통해 실린더(30)와 연결된다.
상기 냉각 캡(60)은 제1 주형(40)과 제2 주형(50) 사이의 플레이트 보드(10)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30)에 의해 제2 주형(50)이 전진 이동하여 제1 주형(40)과 접촉할 때, 제1 주형(40)과 제2 주형(5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플레이트 보드 상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 캡(60)은, 냉각 캡(60)의 하부를 형성하며 냉각 부재(62)를 고정 지지하는 캡 플레이트(61)와, 이 캡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 부재(62)를 포함한다. 이 냉각 부재(62)는 후술하는 보호 커버(80)에 형성된 용강 유입구(82)를 통해 유입되는 용강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용강과 냉각 부재(62) 표면의 온도 차이에 의해 용강은 냉각될 수 있으며, 이때 용강과 냉각 부재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용강은 신속하게 냉각 응고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냉각 캡은 냉각수가 통수되는 제1, 제2 주형 및 플레이트 보드와 접촉되어 냉각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부재(62)는 용강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둘레의 길이가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다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직경이 다른 중공형 원기둥 등은 동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보드(10) 내부에 냉각수가 통수되는 경우, 이 냉각수의 차가운 열이 플레이트 보드(10)와 접촉된 캡 플레이트(61)에 전달되고, 이 캡 플레이트(61)와 접촉되는 용강에 냉각수의 차가운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용강을 간접 냉각 방식으로 냉각 응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주형(70)은 제1 주형(40)과 제2 주형(5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냉각 캡(60)이 조립될 수 있다. 제1 주형(40)과 제2 주형(50)의 내부에 통수되는 냉각수는 제1 주형 및 제2 주형을 통해 용강을 간접적으로 냉각 응고시킬 수도 있고(보조 주형이 없는 경우), 보조 주형을 통해 용강을 간접적으로 냉각 응고시킬 수도 있다(보조 주형이 있는 경우). 이때, 보조 주형은 고온의 용강에 의해 제1 주형과 제2 주형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80)는 제1 주형(40) 또는 제2 주형(50)의 상부에 회전 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80)의 상면에는 내화물(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용강이 유입될 수 있는 용강 유입구(82)가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위치에 제1 주형(40) 또는 제2 주형(50)의 상부에 형성된 핀(43)에 끼워질 수 있는 조립홀(8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커버(80)는 상기 핀(4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80)를 회전시켜서 제2 주형(50)에서 보호 커버가 분리되도록 하고, 실린더(30)를 후진 운동시켜서 제2 주형(50)을 후진 이동시킨다. 이때, 지지 프레임(20)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21a, 21b)와 지지 레일(22a, 22b)은 제2 주형의 이동 과정에서 제2 주형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주형을 지지하고, 또한 제2 주형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그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형(50)이 후진 이동하여 넓어진 공간에 냉각 캡(60)을 배치시킨다.
그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형(40)과 냉각 캡(60), 제2 주형(50)과 냉각 캡(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보조 주형(70)을 삽입시키고 실린더(30)를 전진 운동시켜서 제1 주형(40), 냉각 캡(60), 보조 주형(70), 그리고 제2 주형(50)이 서로 밀착될 때까지 제2 주형(50)을 전진 이동시킨다. 경우에 따라, 보조 주형(70)은 삽입시키지 않고, 바로 실린더(30)를 전진 운동시켜서 제1 주 형(40), 냉각 캡(60), 그리고 제2 주형(50)이 서로 밀착될 때까지 제2 주형(50)을 전진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80)를 회전시켜서 보호 커버가 제1 주형(40)과 제2 주형(5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고, 냉각수 밸브(11, 12, 41, 42, 51, 52)를 오픈시켜서 플레이트 보드(10), 제1 주형(40), 제2 주형(50)의 내부에 냉각수(B)를 통수한다. 그 다음, 용해가 완료되어 목적하고자 하는 성분 조정 또는 일정한 특성을 가진 용강이 제조되면 소형 유도로(미도시)를 경동하여 보호 커버의 용강 유입구(82)를 통해 보조 주형(70) 내부에 용강(A)을 유입시킨다.
그 다음,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을 경과시켜서 유입된 용강(A)이 냉각 응고되도록 한다. 이때, 초기에 유입되는 용강은 보조주형(70) 하부에 배치된 냉각 캡(60)에 형성된 냉각 부재(62), 예를 들면, 동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둘레의 길이가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다각기둥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 응고되며, 2차적으로 플레이트 보드(10)와 접촉된 캡 플레이트(61)가 플레이트 보드(10) 내부에 통수되는 냉각수(B)의 차가운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유입된 용강을 간접 냉각시킨다. 또한, 유입된 용강은 보조 주형(70)의 표면에 접촉되어 표면과의 온도차에 의해 직접 냉각되며, 2차적으로 제1 주형(40) 및 제2 주형(50)에 통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간접 냉각 응고된다. 한편, 용강을 신속하게 냉각 응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냉각수의 차가운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용강을 주형 장치에 천천히 유입시킨다. 반면, 신속한 냉각 응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용강을 비교적 빠르게 유입시킨다. 즉, 주형 장치에 용강을 유입시키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용강의 냉각 응고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주형(70)에 유입된 용강의 냉각 응고가 완료된 경우, 플레이트 보드(10), 제1 주형(40), 그리고 제2 주형(50)의 냉각수 밸브(11, 12, 41, 42, 51, 52)를 닫아서, 냉각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 다음, 보호 커버(80)를 회전시켜서 제2 주형(5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실린더(30)로 제2 주형(50)을 후진 이동시킨 상태에서, 보조 주형(70)을 제1 주형(4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에 의하면, 주형과 보조 주형의 분리가 간단하고 용이하여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강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여 용강의 냉각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강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종전과는 달리 내화물의 소결과 파쇄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진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하부 실링용 칩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석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형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 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형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형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보드 20 : 지지 프레임
30 : 실린더 40 : 제1 주형
50 : 제2 주형 60 : 냉각 캡
70 : 보조 주형 80 : 보호 커버
A : 용강 B : 냉각수

Claims (11)

  1. 플레이트 보드;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주형;
    상기 제1 주형과 대응되고 전진 후진 이동되는 제2 주형;
    상기 제1 주형 또는 상기 제2 주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중앙에 용강 유입구가 형성된 보호 커버; 및
    상기 제1 주형과 제2 주형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 보드 상부에 설치되고,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며 용강과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는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캡;
    을 포함하는 주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드, 제1 주형, 및 제2 주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냉각수 통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주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주형은 중공형 반원기둥 또는 중공형 반다각기둥인 주형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된 주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는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원기둥 또는 둘레의 길이가 다른 하나 이상의 중공형 다각기둥으로 형성된 주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주형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냉각 캡의 상부에 조립될 수 있는 보조 주형을 포함하는 주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주형은 중공형 원기둥 또는 중공형 다각기둥인 주형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형은 실린더에 의해 전진 후진 이동되는 주형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드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며 전후진 운동 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주형 장치.
KR1020090126330A 2009-12-17 2009-12-17 주형 장치 KR10112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30A KR101129497B1 (ko) 2009-12-17 2009-12-17 주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30A KR101129497B1 (ko) 2009-12-17 2009-12-17 주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50A KR20110069550A (ko) 2011-06-23
KR101129497B1 true KR101129497B1 (ko) 2012-03-28

Family

ID=4440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330A KR101129497B1 (ko) 2009-12-17 2009-12-17 주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1B1 (ko) * 2013-12-23 2015-05-18 한진수 구상화제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상화제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267U (ko) * 1996-12-26 1998-10-07 안문화 알루미늄 합금제 보빈 성형장치
KR20020075200A (ko) * 2001-03-22 2002-10-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주조방법 및 주조용 금형장치
KR20050015299A (ko)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포트내의 슬래그 응고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267U (ko) * 1996-12-26 1998-10-07 안문화 알루미늄 합금제 보빈 성형장치
KR20020075200A (ko) * 2001-03-22 2002-10-0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주조방법 및 주조용 금형장치
KR20050015299A (ko) *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포트내의 슬래그 응고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1B1 (ko) * 2013-12-23 2015-05-18 한진수 구상화제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상화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50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8796B2 (ja) 鋳造法
US9272328B2 (en) Method for casting a cast piece with at least one through-opening
CN102223969B (zh) 以金属熔体浇铸成铸件的方法及装置
CN106077507A (zh) 一种汽车水冷电机壳铸件的铸造模及铸造工艺
CN102814465B (zh) 一种球墨铸铁铸型及采用该铸型的无冒口铸造方法
US20100139884A1 (en) Casting mould for casting a cast part and use of such a casting mould
CN104014738B (zh) 一种铸造细小通道用组合式型芯及其使用方法
KR101129497B1 (ko) 주형 장치
CN104525865A (zh) 重力倾转铸造浇口盆
KR20130094330A (ko) 헤비 섹션 주조 블랭크의 자가 공급 능력을 개선하는 방법
CN102935493A (zh) 一种单套筒强制冷却制造大型空心钢锭的方法
CN102350485A (zh) 中频电加热钢胚铸造补缩孔装置及工艺
KR101794812B1 (ko) 중력 주조 방법
CN206898325U (zh) 一种砂型合型紧固装置
US9352387B2 (en) Method and plant for manufacturing light alloy castings by injection die casting with non-metallic cores
KR102118208B1 (ko) 중자를 갖는 용탕 충진 장치
JPH0679402A (ja) 中空球状体の鋳造方法
CN206952100U (zh) 一种凸轮轴铸造模具
KR20100026973A (ko) 턴디쉬 폐열을 이용한 몰드 파우더 공급장치
RU167741U1 (ru) Отливка пробки шарового крана
CN205732835U (zh) 排气塞
CN105081276A (zh) 低压铸造装置和用于运行低压铸造装置的方法
CN104759594A (zh) 一种高锰钢破碎壁铸件快速顺序凝固装置
CN205032643U (zh) 一种发动机主轴承盖铸造的浇注装置
CN204842862U (zh) 一种铁合金水冷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