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454B1 -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454B1
KR101129454B1 KR1020100117314A KR20100117314A KR101129454B1 KR 101129454 B1 KR101129454 B1 KR 101129454B1 KR 1020100117314 A KR1020100117314 A KR 1020100117314A KR 20100117314 A KR20100117314 A KR 20100117314A KR 101129454 B1 KR101129454 B1 KR 10112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oi
specific poi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래
유정화
유지현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0011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s correcting user's lo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serve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 및 통신망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아울러 이동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친구 찾기 서비스 및 길안내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는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지에 기초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OI(Point Of Interest)의 기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형태 정보 등의 기하학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르면, 촬영된 POI 영상에 기초하여 획득된 POI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르면, 촬영된 POI 영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방향 정보를 갖는 사용자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건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과 사용자 사이의 이격 거리가 획득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된 일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특정 POI를 촬영 방향를 가변하면서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의 방향 정보가 보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화각 제어 방법에 따라 카메라의 화각이 가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본체에서 카메라가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락도이다.
도 15는 서버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기능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심 서비스 시스템은,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서버(200) 및 다른 이동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다른 서버(250) 및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30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특정 POI(Point Of Interest)의 기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POI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 및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POI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POI 영상에서 상기 특정 POI의 형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방향을 보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형태 정보 등의 기하학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보정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다른 서버(250) 및/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통신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서버(250)는 보안, 경비, 경호 서비스 업체의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면 경호 업체 등의 관계자나 보호자는 상기 서버(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특정 POI 영상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다른 서버(250) 및/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30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다른 서버(250) 및 다른 이동 단말기(300)는 상기 수신된 특정 POI 영상으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상기 A/V 입력부(120)의 카메라(121)에서 촬영한 영상 및/또는 상기 제어부(180)에서 보정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 다른 이동 단말기 등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이러한, GNSS를 이용한 위치 측위의 오차 범위는 적게는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에 이르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121)에 의하여 촬영된 특정 POI에 대한 영상은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 출력부(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촬영된 특정 POI 영상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특정 POI 영상은 상기 카메라(1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일 수도 있고,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POI의 기하 정보에는 POI를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거리에서 촬영하였을 때, 촬영된 영상에서의 POI의 크기 정보(높이, 폭 등), 형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바라본 상기 POI의 실제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POI의 위치 정보에는 상기 POI의 좌표 정보, 주소, 건물명, 상호, 상기 POI 주변의 주요 POI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기 위한 동작과 관련된 제어 동작 및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의 사용자 위치 보정 동작은 차후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 본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특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 본다.
도 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제어부(180)는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60)에 저장한다(S110). 상기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제조 당시에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된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될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하여 측위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특정 POI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21)를 제어한다(S120). 상기 특정 POI가 촬영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한다(S130). 이때, 촬영된 영상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특정 POI까지의 이격 거리를 획득한다(S140).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에 대한 기하 정보에 따르면, 상기 특정 POI로부터 10 미터 거리에서 상기 POI를 촬영하였을 때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는 5 센티 미터이고, 상기 특정 POI로부터 20 미터 거리에서 상기 특정 POI를 촬영하였을 때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가 2.5 센티 미터라고 가정한다. 실제로 상기 카메라(1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가 5 센티 미터라고 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POI까지의 거리를 10 미터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가 3 센티 미터이고 그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POI까지의 거리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3 센티 미티와 가까운 2.5 센티 미터에 대응되는 크기 정보인 20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POI까지의 거리를 17 미터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는 촬영 거리에 따른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특정 POI의 크기 정보 중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와 매칭되는 크기 정보에 대응되는 촬영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POI까지의 이격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POI까지의 거리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상기 특정 POI까지의 이격 거리 및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한다(S150).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POI인 건물의 명칭인 "XX 빌딩로부터 10 미터 떨어진 곳"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POI의 주소인 "사당동 XX 번지로부터 10 미터 떨어진 곳"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POI의 상호인 "롯데리아 사당점에서 10 미터 떨어진 곳"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POI의 좌표인 "위도 XX, 경도 YY 지점에서 10 미터 떨어진 곳"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된 사용자 위치 보정의 일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S160). 여기서, 외부 기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 통신 사업자 측의 서버, 경호 업체의 서버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촬영된 POI 영상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에서도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와 같이, 상기 촬영된 POI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POI 영상 및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이동단말기는 기 저정된 POI의 영상 정보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특정 POI의 영상 정보에 포함된 특정 POI의 기하 정보와 기 저장된 영상 정보의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정은 상기 통신 사업자 측의 서버 경호 업체의 서버 등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예는,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POI의 크기 및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POI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S210), 상기 카메라(121)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POI를 촬영하며(S220),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를 획득한다(S230). 이때, 촬영된 특정 POI 영상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촬영된 특정 POI 영상은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특정 POI의 크기 및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를 획득한다(S240).
상기 사용자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거리 및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며(S250), 촬영된 영상 또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S260).
도 5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건물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획득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건물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 획득 과정을 살펴 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에서의 1층 건물인 상기 건물의 크기가 3 센티 미터인 경우, 상기 건물까지의 거리를 10 미터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건물까지의 거리 획득 결과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11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건물까지의 거리 획득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건물의 크기가 3 센티 미터이면 상기 건물까지의 거리가 10 미터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복수의 건물에 대한 거리 측정 결과가 반복적으로 저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특정 POI까지의 거리 획득 결과가 반복적으로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거리 획득 결과는 특정 POI까지의 거리 획득을 위하여 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된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모듈(115)로부터 수신되는 GPS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측위된 1차 측위 위치에서, 특정 건물에 대한 반경 10 미터로 보다 정확하게 보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 보정 결과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보정 결과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의 화면 또는 경호 서비스 업체 등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것일 수도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위치 보정 결과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경화 서비스 업체 등의 서버에서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예는,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특정 POI의 형태 및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살펴 본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POI의 크기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S310), 상기 카메라(121)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POI를 촬영하며(S320),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는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는 상기 특정 POI를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형태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를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와 비교하여(S330), 상기 특정 POI에 대한 복수의 형태 정보 중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와 매칭되는 형태 정보를 선택한다(S340).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들 중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와 매칭되는 POI 형태를 갖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330 내지 S340 단계는 상기 제어부(180)의 영상 비교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에 대한 형태 정보 중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와 매칭되는 POI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형태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상기 특정 POI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으로 획득할 수 있다(S350).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상기 POI를 촬영한 복수의 영상 중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POI의 형태와 매칭되는 POI 형태를 영상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영상의 촬영 방향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특정 POI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정 POI를 기준으로 방향 정보가 보정된 사용자 위치 정보 역시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된 특정 POI 영상을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통신 서비스사의 서버, 경호 업체의 서버 등에서도, 도 7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특정 POI 영상으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형태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즉, 방향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와 서버들은 상기 특정 POI에 대한 형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도 8은 특정 POI를 촬영 방향을 가변하면서 촬영한 영상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에서의 특정 POI(즉, 특정 건물)의 형태는 촬영 방향에 따라서 가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이 촬영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을 갖는 특정 건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영상에 포함된 특정 건물의 형태와 실제 촬영된 영상에서의 특정 건물의 형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건물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실제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건물의 형태가 도 8의 (a)의 형태와 매칭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a)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을 상기 특정 건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건물의 형태가 도 8의 (a)의 건물 형태와 도 8의 (b)에서의 건물 형태 사이에 형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a)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과 도 8의 (b)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 사이의 방향을 상기 특정 건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방향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의 방향 정보가 보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촬영된 POI의 크기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된 다음, 촬영된 POI의 형태에 기초하여 다시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의한 사용자 위치 보정 결과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는 촬영된 POI의 크기에 기초하여 수행된 위치 보정 결과(도 9에서의 2차 보정 위치)에서 방향 정보가 추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사용자의 위치 보정 결과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보정 결과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의 화면 또는 경호 서비스 제공 업체 등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것일 수도 있다.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위치 보정 결과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경화 서비스 업체 등의 서버에서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카메라(121)의 화각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화각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영역(예컨대, 위험 영역) 이내로 판단될 경우(S410), 카메라(121)의 화각을 상하/좌우로 가변하면서(S420),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여기서, 상기 위험 영역이라 함은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상기 사용자가 가지 말아야할 영역으로 미리 정해 놓은 특정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라 함은 메모리부(160)에 그 정보가 저장된 복수의 POI 중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80)의 판단 결과,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상기 메모리부(160)에 그 정보가 저장된 POI가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S420 내지 S43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 내에 상기 메모리부(160)에 그 정보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를 촬영한다(S440). 이렇게 촬영된 POI 영상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보정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된 영상에 복수의 POI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그 중에서 하나의 대표 POI를 선택하고, 선택된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벗어 나지 말아야 할 제2 영역(예컨대,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POI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POI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화각 제어 방법에 따라 카메라(121)의 화각이 가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POI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11의 (a)), 메모리부(160)에 그 정보가 저장된 POI가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121)의 화각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1의 (b)).
도 11의 (b) 상태에서 촬영된 POI 영상은 상기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위치를 상기 POI를 기준으로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또는 경호 업체 등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등에서는 도 11의 (a)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 등에서도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121)의 화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서 카메라(121)가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있어서 카메라(121)는 본체와 분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12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 또는 안경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엑세서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악세서리 형태의 카메라를 통한 주위 영상 획득은 이동 단말기(100) 본체에 카메라를 통한 주위 영상 획득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를 위하여 카메라(121)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촬영된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촬영된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심 서비스 시스템은,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서버(200) 및 다른 이동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다른 서버(250) 및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30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POI를 촬영한 영상을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특정 POI의 기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에서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 본,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같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POI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POI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방향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포함하는 POI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또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다른 서버(250) 또는 다른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보안, 경비, 경호 서비스 업체의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30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인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면 보안 업체 관계자나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호자는 상기 서버(2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블락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와 유사하게,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50), 데이터베이스(260), 인터페이스부(2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서버(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과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서로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는 그 동작 및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살펴본 다음, 상기 서버(200)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본다.
상기 서버(200)에서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며,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및/또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다른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5는 서버(200)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살펴 본다.
먼저, 제어부(280)는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한다(S510).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복수의 POI의 기하 정보 및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POI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며(S520),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획득한다(S530). 도 1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의하여 획득되어 상기 촬영된 영상과 함께 수신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특정 POI까지의 이격 거리를 획득한다(S540).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특정 POI까지의 이격 거리가 획득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획득된 상기 특정 POI까지의 거리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한다(S550).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보정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보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S560). 여기서, 외부 기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인 피보호자의 보호자의 이동 단말기, 경호 업체의 서버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경호 업체 관계자 등의 고객에게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기능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 접속한 고객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특정 POI의 층수를 입력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를 측정하여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정 POI로부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버(200) 역시,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POI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버(200)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은 도 4 및 그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형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POI에 대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방향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버(200)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은 도 7 및 그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화각 제어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에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될 때까지 상기 카메라(121)의 화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직접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 범위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서버(200)의 카메라 화각 제어 방법은 도 10 및 그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110: 통신부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부 160: 메모리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50: 출력부 260: 데이터베이스
270: 인터페이스부 280: 제어부

Claims (23)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지에 기초하여 주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기하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및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POI가 촬영 범위에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OI의 영상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POI의 기하 정보와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제1 영역 이내이거나 제2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주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POI의 기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동 단말기로부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는,
    상기 POI의 촬영 방향 변화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POI에 대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정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특정 POI의 영상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기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특정 POI 사이의 이격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는,
    상기 특정 POI의 촬영 방향 변화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특정 POI의 영상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POI의 형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POI에 대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23. 제15항 및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한 항에 기재된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117314A 2010-11-24 2010-11-24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KR10112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14A KR101129454B1 (ko) 2010-11-24 2010-11-24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14A KR101129454B1 (ko) 2010-11-24 2010-11-24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454B1 true KR101129454B1 (ko) 2012-03-28

Family

ID=4614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314A KR101129454B1 (ko) 2010-11-24 2010-11-24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454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RBERT FREEMAN et al., IRE TRANSACTIONS ON ELECTRONIC COMPUTERS, 1961, On the Encoding of Arbitrary Geometric Configur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2779B1 (en) Displaying image data and geographic element data
US8634852B2 (en) Camera enabled headset for navigation
EP31632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ly guiding user to ride elevator/escalator
US8935089B2 (en) Mobile mapping in underground or shielded environments
US9546879B2 (en) User terminal,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EP26773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mantic lo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9078098B1 (en) Geo-fencing based functions
US10194273B2 (en) Position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324590A1 (en) Location guid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956236A (zh) 用于生成位置指纹数据的调查技术
KR20160049447A (ko) 지구 자기장을 이용한 동시 로컬리제이션 및 매핑
KR20150121148A (ko) 실내 포지셔닝을 위한 루프-내-사용자 아키텍처
WO2014003414A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142681A1 (en)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CA2851819C (en) Mobile mapping in underground or shielded environments
KR20120137602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에서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WO2019006732A1 (zh) 一种信息推荐方法及装置
CN112752214B (zh) 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无线通信系统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061360B1 (ko) 지자기 기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
KR101129454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사용자 위치 보정 방법
KR101622847B1 (ko)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53466A (ko) 지도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190119241A (ko)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KR20120081448A (ko) 근거리 통신에 기반한 스마트 태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