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488B1 -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488B1
KR101128488B1 KR1020090096931A KR20090096931A KR101128488B1 KR 101128488 B1 KR101128488 B1 KR 101128488B1 KR 1020090096931 A KR1020090096931 A KR 1020090096931A KR 20090096931 A KR20090096931 A KR 20090096931A KR 101128488 B1 KR101128488 B1 KR 10112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mical liquid
capsule
pai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894A (ko
Inventor
임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창
Priority to KR102009009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4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61J3/071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into the form of telescopically engaged two-piece capsules
    • A61J3/074Filling capsules; Related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복수의 캡슐 성형홈이 형성되어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 상기 한 쌍의 성형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약액 주입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캡슐 성형홈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캡슐 성형 홈으로 약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노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세팅 유닛을 포함한다.
소프트 젤라틴 캡슐, 성형 롤러, 약액 공급 유닛, 세팅, 정렬

Description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A SOFT GELATINE CAPSULE}
본 발명은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는 액체 상태의 젤라틴 용액을 냉각시켜 얇은 젤라틴 시트를 생성한 후, 성형 롤러를 통하여 상기 젤라틴 시트를 캡슐 형상으로 하여 그 내부에 약액을 충진 시킴으로 복용하기 용이한 형태의 캡슐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앙에 장착되어 드럼(21)에서 공급된 젤라틴 시트를 캡슐 형태로 제조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30)가 장착되어 있다. 성형 롤러(30)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젤라틴 시트를 캡슐 형상으로 자르는 캡슐 성형 홈(31) 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성형 롤러(30) 사이에는 캡슐에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약액 주입 유닛(40)의 양 측면에는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주입 노즐(41)이 형성되어 있다.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이 약액 펌프의 압송 압력에 의해 약액 주입 노즐(41)로 분출된다. 분출된 약액의 압력에 의하여 그 부분에 위치한 젤라틴 시트는 성형 롤러(30)의 캡슐 성형 홈(31)으로 유입된다. 이때, 캡슐 성형 홈(31)에 유입된 젤라틴 시트는 서로 맞닿아 회전하는 성형 롤러(30)에 의해 캡슐 성형 홈(31)의 모양으로 커팅되어 소정의 캡슐이 형성된다.
그러나 캡슐을 제조할 때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이 정확하게 일치하여야 한다. 이들이 일치하지 않게 되면 약액 주입 노즐(41)에서 약액이 분출될 때 그 부분에 위치한 젤라틴 시트가 캡슐 성형 홈(31)으로 정확히 유입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량은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또한, 제품의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이 정확하게 일치 시키기 위하여, 숙련공이 그 위치를 확인하고 시험가공을 하여서 그 위치가 맞지 않으면 다시 수정하는 방법으로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을 세팅하였다.
이와 같은 세팅 방법은 전문 숙련공을 필요로 하면서도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시험 가동으로 인해 젤라틴 시트와 약액을 버리는 량이 막대하여 이때 발생하는 비용이나 작업시간의 손실 등으로 막대한 생산손실로 원가 상승의 한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보다 쉽고 빠르게 정확한 위치에 웨지와 성형 롤러를 세팅하여 숙 련공을 요하지 않고 세팅시간의 감소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절감을 효과를 얻도록 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는 외주면에 복수의 캡슐 성형홈이 형성되어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 상기 한 쌍의 성형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약액 주입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캡슐 성형홈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캡슐 성형 홈으로 약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노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세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 롤러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 모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외주면에 웜이 스플라인 결합된 회전축, 상기 기어 박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과 직교 되게 배치되고 상기 웜과 기어 물림 되는 웜휠이 장착되는 피동축, 그리고 상기 피동축과 한 쌍의 성형 롤러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력을 한 쌍의 성형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팅유닛은, 상기 웜을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를 회전시키는 이동 유닛,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표시부와, 그리고 상기 약액 주입유닛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표시부와 일치되면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노즐의 위치가 정렬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세팅 구동부, 일측이 상기 세팅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일 부분이 상기 기어 박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리드 스크류,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웜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웜을 이동시켜 주는 이동 블록,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여, 상기 웜이 상기 웜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블록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 바, 상기 이동 바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인접하면, 상기 세팅 구동부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이동 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팅 구동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이동 블록을 상기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의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전면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 성형 홈과 일치하는 제1 눈금이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약액 주입 유닛의 전면 표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 주입 노즐의 출구 부분과 일치하는 제2 눈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팅 유닛의 움직임으로 캡슐 성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 롤러가 회전되면서,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 유닛에 형성된 약액 주입 노즐의 출구 부분이 정렬된다. 따라서, 세팅 유닛의 움직임으로 간편하게 약액 주입 유닛과 캡슐 성형 홈을 일치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약액 주입 노즐과 캡슐 성형 홈이 정렬되어 세팅되면 외부에 설치된 표시부에서 세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세팅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성형 롤러를 구동 시키는 동력과, 세팅 유닛을 움직이게 하는 동력이 각기 형성되어 성형 롤러를 구동 시키는 동력이 세팅 유닛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팅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세팅 유닛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는, 본체(10),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젤라틴 시트를 성형 롤러(30)로 공급하는 시트 공급 유닛(20), 공급된 젤라틴 시트를 캡슐 형태로 제조하는 성형 롤러(30), 캡슐 내부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40), 성형 롤러(30)와 약액 주입 유닛(40)을 세팅 시켜 주는 세팅 유닛(60), 그리고 시트 공급 유닛(20), 성형 롤러(30)를 구동 시켜 주는 구동 유닛(50)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50)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52), 피동축(54), 그리고 동력 전달부(58)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어 박스(51) 및 회전축(52)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59)를 포함한다.
회전축(52)은 기어 박스(51)의 내부를 관통하며, 양쪽 끝이 베어링 따위로 기어 박스(51)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52)의 일측에는 회전축(52)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 모터(59)가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2)과 구동 모터(59)의 연결은 벨트, 기어 따위로 연결되어 동력이 절단된다. 회전축(52)과 구동 모터(59)의 동력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52)의 소정 위치의 둘레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스플라인 축(52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 축(521)에는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관통된 내부면에 스플라인(531)이 형성된 웜(53)이 결합되어 있다. 웜(53)이 회전축(52)에 스플라인 축(521)과 스플라인(531)으로 결합되어 웜(53)을 회전 축(52)의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회전축(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피동축(54)은 일측이 회전축(52)과 직교 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직교 된 부분에는 웜(53)과 기어 물림 되는 웜휠(56)이 배치되어 있다. 피동축(54)의 타측에는 동력 전달부(58)가 동력 연결되어 있다.
동력 전달부(58)는 기어 박스(51)에 소정의 위치가 베어링 따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서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성형 축(581), 한 쌍의 성형 축(581)의 일측에 각기 장착되어 서로 기어 물린 된 한 쌍의 축 기어(582), 한 쌍의 축 기어(582)중 어느 하나가 기어 물림 되어 있고, 피동축(54)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어 피동축(54)의 회전력을 축 기어(582)에 전달하는 피동 기어(5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구동 모터(59)의 동력에 의해 회전축(52)이 회전하면 웜(53)이 회전하고, 웜(53)과 기어 물림 된 웜휠(56)이 회전되면서 피동축(54)이 회전한다. 피동축(54)의 회전으로 피동 기어(57)가 회전되고, 피동 기어(57)에 기어 물림 된 축 기어(582)가 회전되어 성형 축(581)이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성형 축(581)은 축 기어(582)가 서로 물림 되어 있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피동 기어(57)에 기어 물림 된 축 기어(582a)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피동 기어(57)에 기어 물림 되어 있는 축 기어(582a)에 기어 물림 되어 있는 축 기어(582b)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성형 축(58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성형 축(581)의 타측은 기어 박스(51)를 관통하여 본체(10)의 외부 로 노출되어 있다. 노출된 부분에는 한 쌍의 성형 롤러(30)가 각기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성형 롤러(30)는 그 외주면이 서로 닿아 있는 상태에서 각기 결합된 성형 축(58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성형 롤러(30)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성형 롤러(30)의 외주면에는 캡슐의 절반 모양으로 형성된 캡슐 성형 홈(31) 들이 형성되어 있다. 캡슐 성형 홈(31)의 모양은 타원, 원형 따위로 형성되어 있다. 캡슐 성형 홈(31)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성형 롤러(30)의 시트 공급 유닛(20)에서 제공된 사이로 젤라틴 시트가 통과하게 된다. 시트 공급 유닛(20)은 용융 젤라틴을 시트 형태로 만드는 드럼(21), 만들어진 젤라틴 시트의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고 한 쌍의 성형 롤러(30)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22)를 포함한다.
드럼(21)은 본체(10)의 전면 양쪽에 각기 설치되어 있다. 드럼(21)에는 드럼 (21)을 회전시켜 주는 드럼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각기 연결되어 있다. 드럼 모터의 연결로 드럼(21)은 회전되며, 이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21)의 외주면에는 용융 젤라틴이 도포 된다. 도포 된 용융 젤라틴은 드럼(21)이 회전되면서 냉각되어 시트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젤라틴 시트는 안내 롤러(22)의 안내로 한 쌍의 성형 롤러(30) 사이로 공급되어 성형 롤러(30)를 통과하게 된다. 젤라틴 시트가 안내 롤러(22)를 통과할 때 그 표면에 오일이 도포 되어 윤활 작용을 하게 된다.
안내 롤러(22)의 안내로 성형 롤러(30)를 통과하는 젤라틴 시트의 일부분은 성형 롤러(30)에 의하여 캡슐 성형 홈(31) 모양으로 절단되어 캡슐 성형 홈(31)과 동일한 모양의 캡슐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캡슐은 원형, 타원형 따 따위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성형 롤러(30)를 통과하는 젤라틴 시트 사이에는 성형 롤러(30)에 의해 캡슐이 만들어질 때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약액 주입 유닛(40)에는 상면에서 양 측면으로 관통된 복수의 약액 주입 노즐(41)이 형성되어 있다. 약액 주입 노즐(41)은 약액 주입 유닛(40)의 상면 부분에 위치한 부분이 약액이 유입되는 입구이고, 측면에 위치한 부분은 유입된 약액이 배출되는 출구이다. 출구는 캡슐 성형 홈(31)과 일치한다. 약액 주입 노즐(41)의 출구와 캡슐 성형 홈(31)은 세팅 유닛(60)의 조절로 정렬된다.
약액 주입 노즐(41)의 입구에는 약액 공급관(도시하지 않음)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약액 공급관은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약액이 저장되어 있는 약액 저장부(42)에 장착된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펌프의 펌핑 압력에 의하여 약액 저장부(42)에 저장된 약액이 약액 공급관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여 약액 주입 노즐(41) 내부로 유입되어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약액은 캡슐 성형 홈(31) 부분에 위치한 젤라틴 시트로 배출된다. 이때 약액이 배출되는 압력에 의하여 젤라틴 시트는 캡슐 성형 홈(3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성형 롤러(30)의 회전에 의하여 약액이 충진되어 캡슐 성형 홈(31)으로 유입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한 쌍의 성형 롤러(30)에 접하게 되면서 캡슐 성형 홈(31)으로 유입된 젤라틴 시트 부분이 캡슐 성형 홈(31) 모양으 로 절단되면서 캡슐화하게 된다.
이러한, 소프트 젤라틴 캡슐을 만들기 위해서는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주입 노즐(41)의 출구와, 약액이 젤라틴 시트에 충진되면서 충진된 부분이 유입되는 캡슐 성형 홈(31)이 세팅 유닛(60)의 조절로 정렬된 상태에서 약액이 주입되어야지 소프트 젤라틴 캡슐을 불량 없이 생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세팅 유닛(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세팅 유닛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성형 롤러 세팅 장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세팅 유닛(60)은 웜(53)을 이동시켜 캡슐 성형 홈(31)과 약액 주입 노즐(41)을 정렬시키는 이동 유닛(61)과,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이 일치된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64)를 포함한다.
이동 유닛(61)은 웜(53)을 이동 시켜 주는 이동 블록(611), 이동 블록(611)을 움직이게 하는 리드 스크류(614), 리드 스크류(614)를 회전 시켜 주는 세팅 구동부(612), 그리고 이동하는 이동 블록(611)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블록(613)을 포함한다. 이동 유닛(61)은 감지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4)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614)의 일측 부분은 기어 박스(51)의 측면에 베어링 따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기어 박스(51)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타측은 기어 박스(51)의 내부에 위치한다.
기어 박스(51)의 외부에는 스크류(61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 주는 세팅 구동부(612)가 장착되어 있다.
세팅 구동부(612)는 모터, 핸들 따위로 이루어져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면서 회전된다. 이러한 세팅 구동부(612)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세팅 구동부(612)는 구동 모터(59)가 회전 구동 시에도 컨트롤러의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세팅 구동부(612)는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다. 세팅 구동부(612)는 벨트, 기어 따위로 리드 스크류(614)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세팅 구동부(612)와 리드 스크류(614)의 동력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블록(611)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기어 박스(51)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 블록(611)에는 회전축(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6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52)을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이동 블록 사이에 웜(53)이 위치한다. 한 쌍의 이동 블록(611)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블록(611)에는 리드 스크류(6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공(611b)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614)가 회전하게 되면 이동 블록(611)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블록(611)은 그 양측에 이동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블록(613)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직선 이동하게 된다.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611)은 리드 스크류(61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블록(611)을 이동 시키는 방식을 리드 스크류(614)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랙, 피니언 따위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 블록(611)을 이동 시킬 수 있다.
세팅 구동부(612)의 동력에 의해 이동 블록(611)이 이동하게 되면 웜(53)은 회전축(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52)은 구동 모터(59)와 동력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되지 않고 멈춰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웜(53)이 회전축(52)에서 움직이면 웜휠(56)이 회전되어 피동축(54)이 회전된다. 피동축(54)의 회전으로 동력 전달부(58)에 의해 동력 연결된 한 쌍의 성형 축(58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성형 롤러(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성형 롤러(30)의 회전으로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이 일치되면서 이들이 정렬된다. 이때 표시부(64)를 통하여 약액 주입 노즐(41)과 캡슐 성형 홈(31) 의 일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동 유닛(61)을 이동 시키는 세팅 구동부(613)와, 성형 롤러(3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9)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세팅 구동부(612)에 구동 모터(59)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 롤러(30)가 회전될 때 세팅 구동부(612)는 공회전을 하지 않고 멈춰 있는 상태를 일 수 있다. 이동 블록(611)이 움직이지 않을 때에는 세팅 구동부(612)가 멈춰 있어 세팅 구동부(612)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표시부(6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성형 롤러 세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다.
표시부(64)는 한 쌍의 성형 롤러(3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표시부(641) 및 약액 주입 유닛(40)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표시부(642)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641)는 성형 롤러(30) 전면의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캡슐 성형 홈(31)과 일치한다. 이러한 제1 표시부(641)는 제1 눈금(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표시부(641)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부(642)는 약액 주입 유닛(40) 전면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약액주입 노즐(41)의 출구 부분과 일치한다. 이러한 제2 표시부(642)는 약액 주입 유닛(40)의 전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2 눈금(음각 또는 양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 표시부(642)는 제1 표시부(641)의 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부(641, 642)가 센서로 형성된 경우 이들은 세팅 구동부(612)와 연결되어 세팅 구동부(612)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캡슐 성형 홈(31)과 약액 주입 노즐(41)의 출구 부분을 자동으로 정렬 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블록(611)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여, 웜(53)과 웜휠(56)이 항상 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웜(53)을 움직여주는 이동 블록(611)에 감지부(63)가 장착되어 있다. 감지부(63)는 이동 블록(611)에 장착되어 있는 이동 바(631)와, 이동 바(631)의 끝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634)를 포함한다.
이동 바(63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이동 블록(611)에 장착되어 있고, 이동 바(631)의 다른 쪽 끝은 기어 박스(51)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바(631)는 이동 블록(611)과 함께 움직인다.
이동 바(631)의 타측 부분에는 이동 블록(61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는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떨어진 간격은 웜(5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웜(5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떨어진 간격이 웜(53)의 길이보다 큰 경우 이동 블록(611)의 이동 범위가 커져 웜(53)이 웜휠(56)에서 벗어날 수 있다.
센서(634)는 기어 박스(51)에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브래킷 따위로 기어 박스(51)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센서(634)는 세팅 구동부(612)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여, 세팅 구동부(61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1 감지부(632) 또는 제2 감지부(633) 중 어느 하나가 센서(634)에 인접하면, 센서(634)는 세팅 구동부(612)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세팅 구동부(612)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인가되면, 리드 스크류(614) 또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의 위치에 따라 세팅 구동부(612)가 역방향 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블록(611)은 제1 및 제2 감지부(632, 633)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게 되어 웜(53)과 웜휠(56)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항상 물림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의 캡슐이 제조되는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세팅 유닛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세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세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세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시트 공급 유닛
21: 드럼 22: 안내 롤러
30: 성형 롤러 31: 캡슐 성형 홈
40: 약액 주입 유닛 41: 약액 주입 노즐
42: 약액 저장부 50: 구동 유닛
51: 기어 박스 52: 회전축
521: 스플라인 축 53: 웜
531: 스플라인 54: 피동축
56: 웜휠 57: 피동 기어
58: 동력 전달부 581: 성형 축
582: 축 기어 59: 구동 모터
60: 세팅 유닛 61: 이동 유닛
611: 이동 블록 611a: 지지홈
611b: 리드공 612: 세팅 구동부
613: 가이드 블록 614: 리드 스크류
63: 감지부 631: 이동 바
632: 제1 감지부 633: 제2 감지부
634: 센서 64: 표시부
641: 제1 표시부 642: 제2 표시부

Claims (6)

  1. 외주면에 웜이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고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과 동력 연결되어 구동하고, 외주면에 복수의 캡슐 성형홈이 형성되어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는 한 쌍의 성형 롤러,
    상기 한 쌍의 성형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약액 주입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캡슐 성형홈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유닛,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가 회전하도록 상기 웜을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캡슐 성형 홈으로 약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노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세팅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세팅 구동부,
    일측이 상기 세팅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 부분이 상기 기어 박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리드 스크류,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웜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가 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웜을 이동시켜 주는 이동 블록
    을 포함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 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기어 박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과 직교 되게 배치되고 상기 웜과 기어 물림 되는 웜휠이 장착되는 피동축, 그리고
    상기 피동축과 한 쌍의 성형 롤러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력을 한 쌍의 성형롤러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3. 제2항에서,
    세팅유닛은,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표시부와, 그리고
    상기 약액 주입유닛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표시부와 일치되면 캡슐 성형 홈과 약액 주입노즐의 위치가 정렬되는 제2 표시부
    를 포함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기어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여, 상기 웜이 상기 웜휠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블록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블록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 바,
    상기 이동 바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1 감지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인접하면, 상기 세팅 구동부에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이동 블록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세팅 구동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이동 블록을 상기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의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센서
    를 포함하는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성형 롤러의 전면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슐 성형 홈과 일치하는 제1 눈금이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약액 주입 유닛의 전면 표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 주입 노즐의 출구 부분과 일치하는 제2 눈금인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20090096931A 2009-10-12 2009-10-12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KR10112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31A KR101128488B1 (ko) 2009-10-12 2009-10-12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31A KR101128488B1 (ko) 2009-10-12 2009-10-12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94A KR20110039894A (ko) 2011-04-20
KR101128488B1 true KR101128488B1 (ko) 2012-03-27

Family

ID=4404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931A KR101128488B1 (ko) 2009-10-12 2009-10-12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09A (ko)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46B1 (ko) * 2015-02-25 2015-06-09 박종술 소프트 캡슐약제조장치
CN106346651B (zh) * 2016-11-08 2018-10-26 山东润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套有硬胶囊的软胶囊的吸排气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73U (ko) * 1994-11-11 1996-06-17 김덕흥 소프트젤라틴 캡슐제조기의 냉각드럼로울러 무단변속장치
JP2006299052A (ja) * 2005-04-20 2006-11-02 Ina Food Ind Co Ltd ソフトカプセ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090010357U (ko) * 2008-04-07 2009-10-12 염창선 캡슐제조장치의 다이롤 셋팅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73U (ko) * 1994-11-11 1996-06-17 김덕흥 소프트젤라틴 캡슐제조기의 냉각드럼로울러 무단변속장치
JP2006299052A (ja) * 2005-04-20 2006-11-02 Ina Food Ind Co Ltd ソフトカプセ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090010357U (ko) * 2008-04-07 2009-10-12 염창선 캡슐제조장치의 다이롤 셋팅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709A (ko) 2014-05-27 2015-12-08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94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488B1 (ko)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 장치
JP2009500194A5 (ko)
KR20110011610A (ko) 케이블 운반장치
CN202557855U (zh) 一种送膜切膜装置
CN210148589U (zh) 一种注塑设备的送料机构
KR101849009B1 (ko) 타이어 트레드 재단장치
CN105449940B (zh) 一种无刷电机磁钢圈加工工艺及其卷绕设备
KR101074483B1 (ko) 약물 충진량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장치
EP2767382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ITMI20060098A1 (it) Macchina per il taglio di barre di sapone in spezzoni di lunghezza prefissata ad elevata flessibilita' di funzionamento
CN205248998U (zh) 一种无刷电机磁钢圈新型卷绕设备
KR102125066B1 (ko) 편리한 영점조절 기능을 갖춘 연질캡슐 성형기
KR101484905B1 (ko) 소재 위치 보정형 로터리 다이커팅장치
KR100710870B1 (ko) 파레트 프레임 포밍기
CN109019101A (zh) 一种高速卷筒机的卷筒机构
CN216804910U (zh) 管件打标装置
KR200376232Y1 (ko) 떡 성형기
KR101639800B1 (ko)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성형장치
KR200439147Y1 (ko) 직결 구동방식이 구비되는 고무 압출기
KR200351846Y1 (ko) 소프트 젤라틴 캡슐 제조기
CN219743346U (zh) 一种全自动软胶囊机
CN215946742U (zh) 一种桶装矿泉水灌装装置
KR200402225Y1 (ko) 파레트 프레임 포밍기
CN210045883U (zh) 一种用于缩管机的等长机
KR101004744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