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192B1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8192B1 KR101128192B1 KR1020110112035A KR20110112035A KR101128192B1 KR 101128192 B1 KR101128192 B1 KR 101128192B1 KR 1020110112035 A KR1020110112035 A KR 1020110112035A KR 20110112035 A KR20110112035 A KR 20110112035A KR 101128192 B1 KR101128192 B1 KR 101128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rame
- food waste
- wing shaft
- ne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4 metall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6—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262—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means disposed in the casing facilitating the squeezing-out of liqu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 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회전작동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유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탈수수단 및 배출수단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회전축에 각기 회전수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날개 축을 두 개 이상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회전축에 각기 회전수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날개 축을 두 개 이상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수거한 잔 밥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분을 용이하게 탈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부품의 소모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경제적 요건이 풍족해지고 생활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들 중에는 종이나 금속 등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들은 통상적으로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또는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쓰레기들 중 음식물 쓰레기는 다른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와 분리하여 매립하거나 퇴비화하는 방법 등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는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장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취출수가 배출되어 악취를 풍기고, 처리장에서 매립하는 경우에도 취출수가 매립장의 토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탈수 스크린을 구비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탈수장치는 수분, 유분, 이물질 등에 의하여 스크린에 형성된 통수공이 이물질에 막혀 유분이나 수분 등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가 되어 운반이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탈수장치는 하나의 축에 일정간격으로 압축스크류를 형성함으로써 탈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여 유지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탈수장치는 압판이 회전력과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소모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개의 회전축에 각기 회전수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날개 축을 두 개 이상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컨베이어 날개 축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날개 축의 외면에 장착되는 압착스크류 날의 간격을 음식물 쓰레기의 진행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게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유분과 수분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구성을 구획별로 구성하여 수리가 용이하면서도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압판을 제거하여 압판에 의한 탈수기의 관리 및 마모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 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회전작동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유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탈수수단 및 배출수단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회전축에 각기 회전수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날개 축을 두 개 이상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극대화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용량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 축의 외면에 장착되는 압착스크류 날의 간격을 음식물 쓰레기의 진행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게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능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유분과 수분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구성을 구획별로 구성하여 수리가 용이하면서도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압판을 제거하여 압판에 의한 탈수기의 관리 및 마모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1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2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망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1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2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망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1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제 2 날개 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탈수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10)는 프레임 본체(20)와, 상기 프레임 본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탈수수단(40)과,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고 상기 탈수수단(40)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50)과,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고 상기 탈수수단(40) 및 배출수단(50)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제어부(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20)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평 프레임이 장착되는 프레임 틀(21)과 상기 프레임 틀(21)의 일 측에 장착되고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 틀(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 본체(20)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연결결합한 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여 프레임 틀(21)을 형성한 다음, 상기 프레임 틀(21)의 일 측에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어부 틀(22)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30)는 상기 프레임 본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수직장착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지지대(30)는 일 측에 투입구(31)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배출구(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31)가 형성되는 지지대(30)와 배출구(32)가 형성되는 지지대(30)의 내부 간격을 서로 다르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구(31)가 형성되는 지지대(30)에는 종래와 다르게 압판이 미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탈수수단(40)은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42)과, 상기 회전축(41)에 소정구간 고정장착되는 제 1 날개 축(43)과,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축(41)에 위치하는 제 2 날개 축(44)과,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날개 축(43)와 제 2 날개 축(44)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인버터가 구비된 제 1, 2 구동모터(45, 46)와,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을 감싸는 탈수망(47)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소정의 크기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1)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42)은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베어링(42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42)에는 회전축(41)의 회전작동시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용 베어링(48)이 더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41)에 소정구간 고정장착되는 제 1 날개 축(43)은 외면에 압착스크류 날(43a)이 장착되고 외측 끝단 부분에는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어(43b)나 스플라인 등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제 1 날개 축(43)은 상기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43a)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압착스크류 날(43a)은 동일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음식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압착스크류 날(43a)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기어(43b)는 상기 지지대(30)의 외 측에 위치한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축(41)에 위치하는 제 2 날개 축(44)은 외면에 압착스크류 날(44a)이 장착되고 외측 끝단 부분에는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어(44b)나 스플라인 등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제 2 날개 축(44)은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축(41)에 독립적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44a)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 2 날개 축(44)의 압착스크류 날(44a)은 동일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음식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압착스크류 날(44a)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기어(44b)는 상기 지지대(30)의 외 측에 위치한 부분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1)과 접촉하는 제 2 날개 축(43)에는 원활한 작동 및 지지를 위하여 내부에 지지 베어링(43d)이 장착된 지지부재(43c)가 두 개 이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2 날개 축(44)에는 회전작동시 외 측 방향으로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용 베어링(48)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는 제 1, 2 구동모터(45, 46)는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기어(43b)와 제 2 날개 축(44)의 기어(44b)와 체인(45a, 46a)을 통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에 회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에는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인버터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을 감싸는 탈수망(47)은 상?하 분할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공(47b)이 형성되는 망(47a)과, 상기 망(47a)의 양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볼트 결합공(47d)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47c)과, 상기 망(47a)의 도중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47e)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탈수망(47)은 상?하 분할형성되고 내부에 여과공(47b)이 형성되는 망(47a)의 끝단에 볼트 결합공(47d)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47c)을 장착한 후, 상기 망(47a)의 도중에 지지 브라켓(47e)을 장착한 탈수망(47)을 길이방향으로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수망(47)은 지지 브라켓(47e)을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할 형성되는 망(47a)의 끝단에 볼트 결합공(47d)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47c)을 일체로 형성한 후 볼팅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는 배출수단(50)은 상기 탈수수단(40)에서 배출되는 취출수가 유입되는 배수 커버(51)와 상기 배수 커버(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배출구(52)로 구성되어 상기 탈수수단(40)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50)은 상기 탈수수단(40)에서 배출되는 취출수가 유입되는 경사면(51a)이 형성되는 배수 커버(51)와, 상기 배수 커버(51)의 도중에 장착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부재(53)와, 상기 여과 부재(53)의 하부에 위치하고 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물질이 수용된 정화부재(54)와, 상기 배수 커버(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배출구(52)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10)는 프레임 본체(20)에 상기 탈수수단(40)을 구성하는 탈수망(47)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70)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70)은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의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71)의 전진 작동시 상기 탈수망(47)을 가압하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재(7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수단(70)은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71)의 작동시 완충재(72)가 탈수망(47)을 타격하여 상기 탈수망(47)을 구성하는 여과공(47b)에 고정된 음식물 찌꺼기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평 프레임이 장착되는 프레임 틀(21)과 상기 프레임 틀(21)의 일 측에 장착되고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 틀(22)로 구성되는 프레임 본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20)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일 측에는 투입구(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33)이 형성되는 지지대(30)를 장착한 후 상기 지지대(30)의 반대 측에 배출구(3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33)이 형성되는 지지대(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30)의 수평방향으로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베어링(42a)이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42)과, 상기 회전축(41)에 소정구간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43a)이 장착되며, 외측 끝단 부분에는 기어(43b)가 장착되는 제 1 날개 축(43)과,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축(41)에 위치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44a)이 장착되며, 외측 끝단 부분에는 기어(44b)가 장착되는 제 2 날개 축(44)과,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기어(43b)와 제 2 날개 축(44)의 기어(44b)와 체인(45a, 46a)을 통해 각각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인버터가 구비된 제 1, 2 구동모터(45, 46)와,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을 감싸는 탈수망(47)으로 구성되는 탈수수단(4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의 압착스크류 날(43a, 44a)은 음식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압착스크류 날(43a, 44a)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날개 축(44)의 내부에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44c)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재(44c)의 내부에는 지지 베어링(44d)이 장착되며, 상기 제 2 날개 축(43)과 고정 브라켓(42)에는 회전작동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용 베어링(48)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20)의 하부에 상기 탈수수단(40)에서 배출되는 취출수가 유입되는 배수 커버(51)와 상기 배수 커버(51)의 일 측에 장착되는 배출구(52)로 구성되는 배출수단(5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20)를 구성하는 제어부 틀(22)에 상기 탈수수단(40) 및 배출수단(50)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제어부(60)를 장착하면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 본체(20)에 장착되는 제어부(60)를 조작하여 상기 탈수수단(40) 및 배출수단(50)을 조절한 후 상기 지지대(30)의 투입구(31)에 음식물을 공급하여 상기 탈수수단(40)의 탈수망(47)에 음식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2 구동모터(45, 46)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축(41)과 고정결합된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3)을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각각 회전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날개 축(43)과 제 2 날개 축(44)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 1, 2 구동모터(45, 46)에 구비된 인버터를 통해 각각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날개 축(44)에 위치한 음식물은 압착스크류 날(44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날개 축(44)의 원심력과 탈수망(47)을 통해 수분과 유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은 제 2 날개 축(44)의 압착스크류 날(44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압착스크류 날(43a)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날개 축(44)의 압착스크류 날(44a)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은 상기 제 1 날개 축(43)의 압착스크류 날(43a)로 전달시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압착스크류 날(43a)과 서로 다른 회전수를 통해 음식물의 이동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음식물은 제 1 날개 축(43)의 압착스크류 날(4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유분을 제거하여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보다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음식물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나 유분은 탈수망(47)을 거쳐 배출수단(50)의 배출 커버(51)에 취합된 후 상기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20 : 프레임 본체,
21 : 프레임 틀, 22 : 제어부 틀,
30 : 지지대, 31 : 투입구,
32 : 배출구, 33 : 회전축 결합공,
40 : 탈수수단, 41 : 회전축,
42 : 고정 브라켓, 43 : 제 1 날개 축,
44 : 제 2 날개 축, 45 : 제 1 구동모터,
46 : 제 2 구동모터, 47 : 탈수망,
50 : 배출수단, 51 : 배수 커버,
52 : 배출구, 53 : 여과 부재,
54 : 정화부재, 60 : 제어부,
70 : 가압수단, 71 : 실린더,
72 : 완충재.
21 : 프레임 틀, 22 : 제어부 틀,
30 : 지지대, 31 : 투입구,
32 : 배출구, 33 : 회전축 결합공,
40 : 탈수수단, 41 : 회전축,
42 : 고정 브라켓, 43 : 제 1 날개 축,
44 : 제 2 날개 축, 45 : 제 1 구동모터,
46 : 제 2 구동모터, 47 : 탈수망,
50 : 배출수단, 51 : 배수 커버,
52 : 배출구, 53 : 여과 부재,
54 : 정화부재, 60 : 제어부,
70 : 가압수단, 71 : 실린더,
72 : 완충재.
Claims (9)
-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일 측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에 소정구간 고정장착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이 장착되며, 외측 끝단 부분에는 기어가 장착되는 제 1 날개 축과, 상기 제 1 날개 축의 반대 측에 위치한 회전축에 위치하고, 외면에는 압착스크류 날이 장착되며, 외측 끝단 부분에는 기어가 장착되는 제 2 날개 축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날개 축의 기어와 제 2 날개 축의 기어와 체인을 통해 각각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인버터가 구비된 제 1,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날개 축과 제 2 날개 축을 감싸는 탈수망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 2 날개 축의 내부에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지지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회전작동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유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배출되는 취출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탈수수단 및 배출수단을 제어 및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평 프레임이 장착되는 프레임 틀과 상기 프레임 틀의 일 측에 장착되고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어부 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 축과 제 2 날개 축의 압착스크류 날은 음식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압착스크류 날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 축과 고정 브라켓에는 회전작동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림 방지용 베어링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망은,
상?하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공이 형성되는 망과;
상기 망의 양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망의 도중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탈수수단에서 배출되는 취출수가 유입되는 배수 커버와 상기 배수 커버의 일 측에 장착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탈수수단에서 배출되는 취출수가 유입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배수 커버와, 상기 배수 커버의 도중에 장착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망과, 상기 여과 망의 하부에 위치하고 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물질이 수용된 정화부재와, 상기 배수 커버의 일 측에 장착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035A KR101128192B1 (ko) | 2011-10-31 | 2011-10-31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035A KR101128192B1 (ko) | 2011-10-31 | 2011-10-31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8192B1 true KR101128192B1 (ko) | 2012-03-22 |
Family
ID=4614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2035A KR101128192B1 (ko) | 2011-10-31 | 2011-10-31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819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9974A (ko) | 2019-06-05 | 2020-12-15 | 이달은 | 탈수용 실린더망을 보호하는 탈수용 실린더망 완충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탈수기 |
KR102299722B1 (ko) * | 2021-02-26 | 2021-09-08 | 윤종득 | 스크류 압착형 탈수기 |
KR102303615B1 (ko) | 2021-01-27 | 2021-09-17 | 김태영 | 배출압력 조절형 음식물 탈수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790Y1 (ko) * | 1998-12-07 | 2001-03-02 | 김지숙 |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JP2002192387A (ja) * | 2000-12-25 | 2002-07-10 | Penta Ocean Constr Co Ltd | スクリュープレス式脱水機 |
JP2003126900A (ja) * | 2001-10-26 | 2003-05-07 | Maezawa Ind Inc | し渣移送脱水機 |
KR200396783Y1 (ko) * | 2005-06-08 | 2005-09-27 | 김태영 | 음식물 탈수장치 |
-
2011
- 2011-10-31 KR KR1020110112035A patent/KR1011281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790Y1 (ko) * | 1998-12-07 | 2001-03-02 | 김지숙 |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
JP2002192387A (ja) * | 2000-12-25 | 2002-07-10 | Penta Ocean Constr Co Ltd | スクリュープレス式脱水機 |
JP2003126900A (ja) * | 2001-10-26 | 2003-05-07 | Maezawa Ind Inc | し渣移送脱水機 |
KR200396783Y1 (ko) * | 2005-06-08 | 2005-09-27 | 김태영 | 음식물 탈수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9974A (ko) | 2019-06-05 | 2020-12-15 | 이달은 | 탈수용 실린더망을 보호하는 탈수용 실린더망 완충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탈수기 |
KR102303615B1 (ko) | 2021-01-27 | 2021-09-17 | 김태영 | 배출압력 조절형 음식물 탈수장치 |
KR102299722B1 (ko) * | 2021-02-26 | 2021-09-08 | 윤종득 | 스크류 압착형 탈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0995758U (zh) | 一种垃圾自动分类处理装置 | |
CN108824389B (zh) | 一种水面污染垃圾清理机 | |
KR101565240B1 (ko) |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 |
CN1802197A (zh) | 从液体中清除细小的筛分物的装置 | |
CN110841913B (zh) | 一种生活垃圾的预处理系统 | |
KR101128192B1 (ko) |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 |
KR101321370B1 (ko) | 고효율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 |
CN109647855B (zh) | 工业固废处理装置 | |
CN211755343U (zh) | 一种建筑垃圾破碎回收装置 | |
WO2015152654A1 (ko) | 슬러지 균등 공급장치 | |
KR101233808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CN210367032U (zh) | 一种防堵塞阶梯式格栅除污机 | |
CN204521599U (zh) | 全草类中药材联动生产成套装备 | |
CN106939773B (zh) | 一种钻井液泥浆筛分干化处理方法及钻井液泥浆筛分装置 | |
CN112057940B (zh) | 一种排水工程用水过滤循环设备及其工作方法 | |
JP3771515B2 (ja) | 底部開閉型固液分離装置 | |
CN110937776A (zh) | 一种用于污泥处理的污泥处理机 | |
KR101421280B1 (ko) | 진개물 파쇄장치를 갖는 제진기 | |
CN206882114U (zh) | 一种脱水蔬菜振动式磁选机 | |
KR200342805Y1 (ko) |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 |
CN110238159A (zh) | 一种城市人行道节能清洁设备 | |
KR20150133308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
KR20070071382A (ko) | 로터리식 제진기 | |
KR102025926B1 (ko) |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이용한 협잡물 처리방법 | |
CN211920011U (zh) | 一种用于垃圾处理的进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