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937B1 -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937B1
KR101127937B1 KR1020040110958A KR20040110958A KR101127937B1 KR 101127937 B1 KR101127937 B1 KR 101127937B1 KR 1020040110958 A KR1020040110958 A KR 1020040110958A KR 20040110958 A KR20040110958 A KR 20040110958A KR 101127937 B1 KR101127937 B1 KR 10112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heating furnace
moving
deposition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359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9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는, 슬라브의 이동을 위하여 가열로의 내부에 고정빔사이에 제공되는 이동빔 및, 상기 이동빔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하여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을 이동시키어 퇴적층을 균일화시키는 스케일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빔의 포스트 하부측에 상기 고정빔과의 간섭을 피하는 길이로 신장되면서 장착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덮여지는 내화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로의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스케일을 가열로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동 분포시킴으로서, 가열로내의 전체 퇴적 스케일의 퇴적높이를 낮추고, 이로 인하여 가열로의 온도 측정을 위한 측정기구(센서)나, 가열로의 하부측 버너 등의 가열로 운영에 필요한 설비들의 가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가열로의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열로, 이동빔, 고정빔, 퇴적 스케일, 스케일 이동수단, 스케일 균일화

Description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An Apparatus for Uniforming Distribution of Scales Piled up on Hearth in Reheating Furnace }
도 1은 슬라브의 소둔을 위한 가열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전체 구성도
(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의 (a) 내지 (d)는 가열로에서의 슬라브 이동을 위한 이동빔의 작동단계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종래 가열로의 내부에 퇴적되는 스케일의 분포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 구성도
(b)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도 4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스케일 이동수단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스케일 이동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8은 가열로의 폭방향 스케일 분포에 따른 본 발명인 장치의 또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가열로의 폭방향 스케일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
(b)는 본 발명인 장치의 또 다른 번형예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c)는 본 발명인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에 의하여 분포가 균일화된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 분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10.... 가열로 20.... 고정빔
30.... 이동빔(working beam) 40.... 스케일 이동수단
50.... 몸체부재 60.... 내화부재
S.... 가열소재(슬라브)
본 발명은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가열소재인 슬라브를 가열로내에서 지지 이동시키는 이동빔(working Beam)의 운동을 구동원으로 하는 스케일 이동수단을 통하여, 가열로의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 적으로 퇴적되는 스케일을 가열로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동 분포시킴으로서, 가열로내의 전체 퇴적 스케일의 퇴적높이를 낮추고, 이로 인하여 가열로의 온도 측정을 위한 측정기구(센서)나, 가열로의 하부측 버너 등과 같은 가열로의 운영에 필요한 설비들의 가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가열로의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로에서 가열되는 가열소재 예를 들어, 제철공장의 연주공정에서 생산되는 슬라브(slab)는 열간 압연공정으로 투입되기 전에 가열로에서 가열하게 되는데, 통상 열간압연공정은 슬라브의 가열→조압연→사상압연→냉각→권취 등의 순서로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열간압연강판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열간압연에서 사용되는 소재인 슬라브는 통상 두께가 200-250mm, 폭이 900-1800mm, 길이가 6000-10000mm정도의 상당한 중량물에 속하기 때문에, 압연전에 가열로내에서 압연에 필요한 고온으로 가열되어야 하며, 통상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압연에서의 부하경감은 물론 냉각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적절히 정해지게 되지만, 통상 1200-1300℃ 정도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슬라브의 가열을 위한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가열로(100)는 슬라브(S)의 가열단계에 따라 예열대, 가열대 및, 균열대의 3단계로 구분되며, 각각의 구역에서는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슬라브(S)는 상온상태에서 부터 압연순서에 따라 가열로에 차례로 장입하게 되며, 가열로(100)내에서의 슬라브의 이동은 이동빔(110)의 규칙적인 운동 에 의해 가열로의 추출지점까지 이동하고, 이동빔(110)사이에는 슬라브가 놓이는 고정빔(120)이 배치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내의 이동빔(110)은 장입과 동시에 고정빔(120)에 놓여진 슬라브(S)의 가열을 위해 일정시간 동안 초기의 위치에 머무르다가 이동시간에 이르면 상기 이동빔(110)은 상승하여 슬라브(S)를 지지하고, 상승된 상태에서 이동빔(110)은 일정폭으로 전진하여 슬라브의 이동이 이루어 지고, 다시 이동빔(110)은 하강하여 슬라브(S)는 고정빔(120)상에 놓이고, 마지막으로 이동빔(110)만이 초기위치로 후진하여 다시 슬라브의 이동을 위해 대기한다.
따라서, 이송과정의 이동빔(110)은 상승-> 전진-> 하강-> 후진의 반복 운동을 반복함으로서, 장입된 슬라브(S)는 가열로의 장입측에서 부터 추출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열이 완료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빔(110)의 전진 및 후진 이동폭은 대략 가열로 설비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략 750mm 정도이고, 통상 하나의 슬라브가 전체 가열로를 통과하는 시간은 대략 3-4 시간에 달하며, 도면에서 별도의 부호로도시하지 안았지만, 노상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빔의 운동을 위한 홈들이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 가열로에서 가열소재 예를 들어, 슬라브(S)를 가열하는 온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대 1300 ℃ 정도까지 도달하고, 통상의 가열로(100)내의 분위기는 약산화성 분위기를 갖는다.
이때, 가열로(100)내의 분위기를 약산화성 분위기로 형성하는 것은 가열을 위한 연소가 완전연소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과, 동시에 가열소재들의 경우 가열에 따라 생성되는 고온 스케일(scale)들이 가열소재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열로(100)내에서는 연소분위기의 측정을 위하여 가열로내의각 구간인 예열대, 가열대, 균열대 별로 가열로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장치)를 설치하여 원하는 상태로 가열소재의 스케일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가열소재인 슬라브(S)의 가열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이와 같은 고온상태의 스케일들은 그 상당부분이 가열로(100)의 내부에서 탈락하여 가열로내에서 퇴적되고, 이와 같은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을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00)의 내부에 퇴적되는 스케일(S')은 가열로의 예열대 보다는 가열대와 균열대에 보다 집중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가열대 및 균열대 부근에서 스케일의 퇴적이 심화된다.
한편, 통상 가열로의 운용은 압연을 위한 압연기에 종속되어지는 운용설비로서, 통상 압연라인(압연기)에서 설비 트러불이 발생되어 가동이 중단되지 않은 한, 가열로의 운용은 그대로 지속되고, 압연라인의 정상적인 보수기간이나 설비보완과 교체기간 등의 특정기간에만 가열로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가열로의 휴지 중에 상기와 같은 퇴적 스케일(S')을 제거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발생시키는데, 대표적인 것이 가열로내의 분위기온도나 슬라브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과 가열로의 내부온도를 결정하는 버너의 정상적인 가동을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열로(100)의 정상적인 운용중에는 가열로의 각 예열대, 가열대, 예열대의 각 구간에 대한 내부온도가 정상적인 온도를 유지하는 가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가열로의 상부와 하부에 각 구간마다 온도측정용 열전대(T/C)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가열로의 하부 온도를 측정을 위한 열전데(T/C)는 통상 가열로(100)의 하부노상(노바닥) 혹은 가열로 하부의 측벽에 설치되게 되고, 결국 도 3에서와 같이, 퇴적 스케일(S')이 누적되면 열전대를 통한 온도측정은 가열로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상기 퇴적 스케일의 온도가 측정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가열로의 온도 측정을 불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 8a를 참조하면 가열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버너(burner)(14)의 경우에도 퇴적 스케일이 누적되면 그 토출부까지 도달되기 쉽고, 이 경우 버너의 정상적인 가동에 악영향을 미치고, 심한 경우 버너 자체는 물론, 토출을 위한 배관 라인까지도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소재인 슬라브(S)를 가열로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빔(110)의 운동을 구동원으로 하여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 퇴적되는 퇴적 스케일과 접촉하는 스케일 이동수단을 제공하면, 이 퇴적 스케일을 지속적으로 퇴적량이 거의 없는 가열로 장입구나 예열대측으로 이동 분포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스케일이 특정부분에 집중 퇴적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가능한 퇴적 스케일의 가열로내 분포를 균일화시키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운동토록 제공된 스케일 이동수단을 통하여 가열로의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스케일을 가열로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동 분포시킴으로서, 가열로내의 전체 퇴적 스케일의 퇴적높이를 낮추고, 이에 따라 가열로의 온도 측정을 위한 측정기구(센서)나, 가열로의 하부측 버너 등의 가열로의 운영에 필요한 설비들의 가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가열로의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슬라브의 이동을 위하여 가열로의 내부에 고정빔사이에 제공되는 이동빔; 및,
상기 이동빔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하여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을 이동시키어 퇴적층을 균일화시키는 스케일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빔의 포스트 하부측에 상기 고정빔과의 간섭을 피하는 길이로 신장되면서 장착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덮여지는 내화부재로 구성된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의 몸체부재는, 상기 이동빔의 포스트 하부측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의 몸체부재는 금속파이프로 이루어 지고, 상기 파이프의 몸체부재에 덮여지는 내화부재로 캐스터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재를 감싸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일체로 역삼각형상으로 제공되어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재를 감싸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하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스케일 이동수단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가열로 장입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다르게는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이동빔 포스트에 다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도 4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스케일 이동수단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스케일 이동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며, 도 8은 가열로의 폭방향 스케일 분포에 따른 본 발명인 장치의 또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에 의하여 분포가 균일화된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 분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 에서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는, 크게 이동빔(30)과 이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하여 스케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스케일의 퇴적을 균일화시키는 스케일 이동수단(40)으로 크게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수단(30)(4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의 상기 이동빔(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빔(30)은 가열로 (10)의 내부에서 슬라브(S)의 이동을 위하여 고정빔(20)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빔(30)은 대략 750mm 정도의 이동폭으로 상승(a)->전진(b)->하강(c)->후진(d)의 운동을 반복 수행하고, 이때 상기 이동빔(30)에 의하여 이동된 슬라브(S)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빔(20)사이에 놓여지고, 최종적으로 가열로내의 장입후 추출구까지 이동 추출되는 것이다.
이때,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에서 슬라브의 이동 즉, 이동빔 (30)의 운동시간은 대략 10초 정도로 짧지만, 슬라브는 고정빔(20)상에 놓여지는 시간이 길므로, 상기 고정빔(20)의 노상에 고정된 포스트(22)는 이동빔(30)의 포스트(32)보다는 보다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의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상 기 이동빔(30)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하여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을 이동시키어 퇴적층을 균일화시키도록 구성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에서 실질적으로 스케일과 접촉하여 강제로 스케일(도 4a,도 9의 S')을 이동시키어 가열로의 가열대나 균열대에 집중 퇴적되는 스케일은 보다 균일한 분포상태로 하는 것이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이다.
또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슬라브(S)의 가열로내 이동을 위한 이동빔(30)과 연계 설치되기 때문에, 실제 장치(1)의 구조가 간단하여 장치의 설비구축이나 운용(보수유지)면에서 편리한 것이다.
즉, 이동빔(30)이 슬라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승->전진->하강-> 후진의 싸이클 운동을 지속할때, 상기 이동빔과 연계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반복적으로 후진하면서 접촉되는 도 4a의 퇴적 스케일(S')을 가열로의 예열대나 장입구측으로 후진 이동시키어 스케일이 특정부분에 집중 누적되지 않게 하여 퇴적 스케일에 의한 가열로 윤용시의 온도측정 및 버너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것이 예방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에 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종래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면서 누적되는 퇴적 스케일(S')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의 길이방향으로 대체로 균일한 분포도로 스케일의 퇴적이 이루어 지고, 결국 스케일의 집중 퇴적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설치높 이가 중요한데, 이동빔(30)의 상승후 전진시에는 퇴적 스케일(S')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동하다가 하강후 후진시 퇴적 스케일(S')과 접촉하여 이동시키는 높이(D)로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상기 이동빔(30)의 포스트(32) 하부측에 상기 고정빔(20)과의 간섭을 피하는 길이로 신장되면서 수평하게 장착된 몸체부재(50) 및, 상기 몸체부재(50)에 덮여지는 내화부재(6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동빔 포스트(32)의 하부에 용접 등으로 수평하게 몸체부재(50)인 파이프를 결합시킨후, 이 몸체부재(50)의 파이프를 내열성이 높은 캐스터블로 일체로 덮어서 구성하면 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내화부재(60)는, 상기 몸체부재(50)를 감싸는 제 1 부분(62) 및, 상기 제 1 부분(62)의 하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경우, 내화부재(60)의 제 2 부분(64)은 단면으로 볼때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면서 스케일(S')이 접촉하여 가열로의 예열대 및 장입구측으로 스케일을 밀어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 2 부분(64)은 이와 같은 스케일의 접촉면적을 높이어 스케일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몸체부재 (50)가 열에 의하여 가열로 내에서 처지는 것을 예방시킬 것이다.
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내화부재(60) 는, 다른형태로 상기 몸체부재(50)를 감싸는 제 1 부분(62') 및, 상기 제 1 부분 (62')의 상,하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스케일 이동수단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경우는 몸체부재(40)가 가열로 내에서 처지는 것을 상,하측에 제공된 내화부재(60)의 제 2 부분(64')에 의해 완전하게 차단될 수 있고, 더하여 스케일의 이동폭도 증대시킬 것이다.
다음, 도 8a에서는 가열로(10)의 내부에 스케일의 폭방향 퇴적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가열로(10)의 측벽(12)에 설치된 버너(14)에서 분사되는 화염의 토출압력때문에, 실제 스케일(S')은 가열로의 측벽(12)으로 갈수록 더 퇴적되고 가열로의 중앙측은 가장 적게 퇴적되기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케일의 퇴적상태를 감안하여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가열로 장입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즉, 가열로 측벽(12) 부근에 배치된 스케일 이동수단(40)이 가장 많이 경사지게 배치되면, 스케일은 보다 앞으로 후진 이동하기 때문에, 가열로 측벽에 집중되는 스케일의 퇴적을 보다 균일하게 할 것이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40)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이동빔 포스트(32)상에 다층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측 이동빔(30)에는 그 포스트(32)의 양측으로 하나의 스케일 이동수단(40)을 설치하고, 가열로 측벽으로 갈수록 2층 또 는 3층의 스케일 이동수단(40)을 배치하는 것도 스케일의 균일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1)에 의하면, 가열로내에 퇴적된 스케일이 설비후지시에나 가열로의 외부로 제거되더라도, 가열로의 운용시 즉, 이동빔의 운동시에는 항상 일체로 스케일은 가열로의 장입측부분으로 이동시키어 전체적인 스케일의 퇴적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서, 스케일이 특정구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시키어 가열로의 가동성을 높이면서, 장치구조가 간단하여 설비구축이나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에 의하면, 슬라브의 가열로내 이동을 위한 이동빔(working Beam)의 운동을 구동원으로 운동토록 제공된 스케일 이동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없고 전체적인 장치의 구축이나 운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을 통하여 가열로의 가열대와 균열대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스케일을 가열로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이동 분포시킴으로서, 가열로내의 전체 퇴적 스케일의 퇴적높이를 낮추고, 이로 인하여 가열로의 온도 측정을 위한 측정기구(센서)나, 가열로의 하부측 버너 등의 가열로의 운영에 필요한 설비들의 가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가열로의 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가열소재의 이동을 위하여 가열로의 내부로 고정빔사이로 제공되는 이동빔; 및,
    상기 이동빔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빔을 구동원으로 하여 가열로내의 퇴적 스케일을 이동시키어 퇴적층을 균일화시키는 스케일 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빔의 포스트 하부측에 상기 고정빔과의 간섭을 피하는 길이로 신장되면서 장착된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에 덮여지는 내화부재로 구성된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의 몸체부재는, 상기 이동빔의 포스트 하부측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의 몸체부재는 금속파이프로 이루어 지고,
    상기 파이프의 몸체부재에 덮여지는 내화부재는 캐스터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재를 감싸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일체로 역삼각형상으로 제공되어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부재는,
    상기 몸체부재를 감싸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하부에 일체로 제공되어 스케일 이동수단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스케일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제 2 부분;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가열로의 장입구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이동수단은 가열로 측벽방향으로 갈수록 이동빔 포스트에 다층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KR1020040110958A 2004-12-23 2004-12-23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KR10112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58A KR101127937B1 (ko) 2004-12-23 2004-12-23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58A KR101127937B1 (ko) 2004-12-23 2004-12-23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59A KR20060072359A (ko) 2006-06-28
KR101127937B1 true KR101127937B1 (ko) 2012-03-26

Family

ID=3716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58A KR101127937B1 (ko) 2004-12-23 2004-12-23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013A (en) * 1976-12-02 1978-06-22 Daido Steel Co Ltd Walking beam type heating furnace
JPH04123242U (ja) * 1991-04-15 1992-11-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排滓穴のシール性に優れた加熱炉
KR19980026441U (ko) * 1996-11-11 1998-08-05 김종진 슬래그 차단구조를 가지는 가열로 포스트 파이프
KR200195869Y1 (ko) * 1999-11-17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열로 워킹 홀의 실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013A (en) * 1976-12-02 1978-06-22 Daido Steel Co Ltd Walking beam type heating furnace
JPH04123242U (ja) * 1991-04-15 1992-11-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排滓穴のシール性に優れた加熱炉
KR19980026441U (ko) * 1996-11-11 1998-08-05 김종진 슬래그 차단구조를 가지는 가열로 포스트 파이프
KR200195869Y1 (ko) * 1999-11-17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열로 워킹 홀의 실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59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931B1 (ko) 강 또는 강 합금으로 이루어진 연속 주조 제품의 가열 및/또는 온도 균일화를 위한 롤러 허스로와 롤러 허스로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US20020045144A1 (en) Continuous sintering furnace and use thereof
US3450394A (en) Walking beam furnace
US2298149A (en) Continuous heating furnace
KR101127937B1 (ko) 가열로의 퇴적 스케일 균일화장치
US4648837A (en) Walking beam furnace
US4391587A (en) Slab heating furnace
EP0017830B1 (en) Slab heating furnace
US1338003A (en) Heating-furnace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KR101150375B1 (ko) 가열로를 포함하는 광휘소둔로 및 이를 이용한 광휘소둔방법
US763892A (en) Heating-furnace.
JP2005220419A (ja) 被加熱材のスキッド部での局部的温度低下を低減した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
CN201945185U (zh) 金属圆棒加热炉的导轨与炉体的配合结构
US5232359A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thermal radiation heat transfer on an object in a furnace
US2069057A (en) Furnace
KR101322124B1 (ko) 열방산 방지장치
KR20100047006A (ko) 가열로의 슬라브 가열장치 및 방법
JP2005163167A (ja) 継目無鋼管製造ラインでの回転炉床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JPS62177116A (ja) 中間装入式ウオ−キングビ−ム加熱炉
JP3915408B2 (ja) 蓄熱式バーナーを有する連続式加熱炉の操業方法
EP0208679A1 (en) METHOD FOR REDUCING LOCAL TEMPERATURE DIFFERENCES IN STEEL BLOCKS DURING ROLLING.
US726338A (en) Perforated-bottom furnace.
CA1160834A (en) Walking beam furnace
US693771A (en)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