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567B1 -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 Google Patents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567B1
KR101127567B1 KR1020100005159A KR20100005159A KR101127567B1 KR 101127567 B1 KR101127567 B1 KR 101127567B1 KR 1020100005159 A KR1020100005159 A KR 1020100005159A KR 20100005159 A KR20100005159 A KR 20100005159A KR 101127567 B1 KR101127567 B1 KR 10112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ated
exchange membrane
ion exchange
poly
hydrogen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392A (ko
Inventor
최재학
정찬희
황인태
이정수
노영창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2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C08J5/2293After-treatment of fluorine-containing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carbon, oxygen and other atoms, e.g. sulfonated 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온빔을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나피온과 같은 수소이온교환막의 일면 또는 양면을 이온빔 조사를 통하여 표면개질하여 메탄올의 투과를 억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피온과 같은 기존의 수소이온교환막들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가장 취약점인 메탄올 크로스오버(Methanol Crossover) 현상, 즉, 음극에 연료로 공급된 메탄올 중 미반응 메탄올이 수소이온교환막을 통하여 공기극에 전달되어 반응함으로써 양극의 전위를 감소시키고, 양극에서의 환원반응을 방해하여, 전체의 전지 성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소형 휴대 전자제품들에 이용될 수 있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중요한 요소인 고성능 수소이온교환막 제조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A method for modifying a surface of proton exchange membranes using ion implantation and proton exchange membranes modified thereby}
본 발명은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감소시켜 연료전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표면이 개질되어 메탄올 투과율이 저감된 수소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탄자원의 고갈과 고유가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에 많은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더불어, 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오염이 적은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체 에너지원들 중에서도 연료전지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가스 등의 연료로부터 수소를 취득,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만드는 전기화학장치로서, 에너지 전환공정이 대단히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간 주목을 받아왔으며, 다양한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지금까지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개발이 이루어진 연료전지들은 이용되는 전해질에 따라서,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 인산형 연료전지(Phosphoric Acid Fuel Cell (PA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DMFC)), 및 알칼리 연료전지 (Alkaline Fuel Cell (AFC))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연료전지들 중에서 자동차 등 일반 생활용품 전반에 적용되기 위하여 저온에서 구동이 가능한 고분자 수소이온교환막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고, 최근에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비하여 고에너지 밀도, 단순한 구동 시스템, 내구성, 낮은 오염원 방출, 낮은 구동 온도 등, 다양한 장점들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성분 중 하나가 수소이온교환막이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들은 높은 이온 전도도, 우수한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나피온과 같은 술폰화된 불소계 고분자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다양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나피온과 같은 술폰화된 불소계 고분자 수소이온교환막들은 실제 응용을 위하여 극복되어야 할 단점이 있다. 극복되어야 할 단점은 연료인 메탄올을 액체상태로 연료극에 주입했을 때 메탄올이 완전히 산화되지 않고 이온교환막을 통과해 공기극으로 넘어가는 현상인 메탄올 크로스오버(methanol crossover)가 높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수소이온과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이 진행되어야 할 양극에서 메탄올이 직접 산화를 일으켜 양극의 전위를 떨어뜨리게 되고, 그 결과로 전지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나피온과 같은 술폰화된 불소계 고분자 수소이온교환막들의 높은 이온 전도도, 우수한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고안하기 위한 연구적 활동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높은 이온 전도도, 우수한 기계적, 열적, 및 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메탄올 크로스 오버를 줄이기 위하여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을 개질하기 위한 플라즈마 처리(Plasma Treatment), 감마선 조사(r-ray irradiation), 전자빔 조사(e-beam irradiation), 플라즈마 중합 (Plasma-induced graft polymeriz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개발 되어져 왔다(Shingjiang Jessie Lue et al., Korean J. Chem. Eng., 23(3), pp 441 (2006); Xiaowei Liu et al., J. Micromech. Microeng., 16, pp S226-232 (2006); L. J. Hobson et al., J. Electrochem. Soc., 148(10), pp A 1185 (2001); M. Walker et al., Surf. Coat. Technol., 116-119, pp 996 (1999)). 상기 연구들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표면처리방법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성능
이온 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플라즈마 처리 19 % 감소 15 % 감소
감마선 처리 13 % 감소 88 % 감소
전자빔 처리 50 % 감소 93 % 감소
플라즈마 중합 86 % 감소 93 % 감소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른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 개질방법은 메탄올의 크로스오버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지만, 이와 함께 이온 전도도 또한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이크론 이하의 표면을 개질할 수 있는 이온빔을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에 대한 표면개질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감소시키면서, 이온전도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나피온과 같은 수소이온교환막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실제적 응용에 있어 큰 문제점인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이온빔 조사를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소이온교환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하여 이온빔을 조사하여 막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수소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크로스오버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은 수소이온교환막 자체의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은 유지하면서, 메탄올의 크로스오버 현상, 즉, 음극에 연료로 공급된 메탄올 중 미반응 메탄올이 수소이온교환막을 통하여 공기극에 전달되어 반응함으로써 양극의 전위를 감소시키고, 양극에서의 환원반응을 방해하여 전체의 전지 성능을 크게 떨어뜨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소형 휴대 전자제품들에 응용이 가능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중요한 요소인 고성능 수소이온교환막의 제조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의 이온 주입량에 따른 메탄올 투과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의 이온주입량에 따른 함수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의 이온주입량에 따른 이온교환능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의 이온주입량에 따른 수소이온 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탄올 투과율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수소이온교환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하여 이온빔을 조사하여 막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수소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및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0003827072-pat00001
상기 식에서, x, y, m, 및 n은 반복단위를 나타내며, 각각 0 내지 1,000 범위의 유리수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나피온(Nafion, m≥ 1; n=2; x=5 내지 13.5; y=1000), 다우(Dow, m=0; n=2; x=3.6 내지 10; y=1000), 플레미온(Flemion, m=0; n=1.5; x=5 내지 13.5; y=1000), 에시플렉스(Aciplex, m=0; n=2.5; x=1.5 내지 14; y=1000)등이 있다.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폴리스틸렌술폰산(partially fluorinated poly(styrenesulfonic acid)), 술폰화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술폰화된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 술폰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co-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술폰화된 탄화수소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술폰화된 폴리아세탈(sulfonated polyacetal),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oxide), 술폰화된 폴리설폰(sulfonated polysulfone),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설폰(sulfonated poly(ether sulfone)),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을 개질시키기 위한 이온빔의 원소는 교환막의 열적 특성 및 벌크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면만을 개질하기 위하여 불활성인 탄소, 수소, 아르곤, 헬륨, 네온, 또는 제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빔의 전류밀도는 교환막의 열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1 ㎂/㎠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온빔 에너지는 1 내지 300 keV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조사되는 이온빔의 총조사량은 1×109 내지 1×1016 ion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빔의 총조사량이 1×109 ions/㎠ 미만인 경우에는 이온 교환막의 표면에 대한 효과적인 개질이 유도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1016 ion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온교환막의 표면이 열적 변형 및 분해로 인하여 우수한 물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된 메탄올 투과율이 저감된 수소이온교환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은 기존의 수소이온교환막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메탄올의 크로스오버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켜, 이를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수소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할 경우 연료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수소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및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03827072-pat00002

상기 식에서, x, y, m, 및 n은 반복단위를 나타내며, 각각 0 내자 1,000 범위의 유리수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나피온(Nafion, m≥ 1; n=2; x=5 내지 13.5; y=1000), 다우(Dow, m=0; n=2; x=3.6 내지 10; y=1000), 플레미온(Flemion, m=0; n=1.5; x=5 내지 13.5; y=1000), 에시플렉스(Aciplex, m=0; n=2.5; x=1.5 내지 14; y=1000)등이 있다.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폴리스틸렌술폰산(partially fluorinated poly(styrenesulfonic acid)), 술폰화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술폰화된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 술폰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co-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술폰화된 탄화수소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술폰화된 폴리아세탈(sulfonated polyacetal),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oxide), 술폰화된 폴리설폰(sulfonated polysulfone),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설폰(sulfonated poly(ether sulfone)),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온빔을 이용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Ⅰ
나피온 115(Nafion 115, Dupont사)를 150 keV의 에너지로 1×1015 ions/㎠의 수소 이온을 조사하여 먼저 막의 일면을 처리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막의 반대면을 처리하여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2>
이온빔을 이용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Ⅱ
수소 이온의 총조량을 1×1016 ions/㎠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3>
이온빔을 이용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Ⅲ
조사된 이온빔의 원소를 헬륨이온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4>
이온빔을 이용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Ⅳ
조사된 이온빔의 원소를 헬륨이온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5>
이온빔을 이용한 다우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수소이온교환막으로 다우(Dow, Dow Chemical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다우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6>
이온빔을 이용한 플레미온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수소이온교환막으로 플레미온(Flemion, Ashai Glass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플레미온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7>
이온빔을 이용한 에시플렉스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수소이온교환막으로 에시플렉스(Aciplex, Ashai Chemical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에시플렉스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실시예 8>
이온빔을 이용한 술폰화된 트리플루오로스티렌 공중합체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수소이온교환막으로 술폰화된 트리플루오로스티렌 공중합체(Sulfonated Trifluorostyrene Copolymer, BAM3G, Ballard Company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모두가 표면처리된 술폰화된 트리플루오로스티렌 공중합체 수소이온교환막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들의 내용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수소이온교환막 주입이온 이온빔 총조사량
(ions/㎠)
실시예 1 나피온 115 수소 1×1015
실시예 2 나피온 115 수소 1×1016
실시예 3 나피온 115 헬륨 1×1015
실시예 4 나피온 115 헬륨 1×1016
실시예 5 다우 수소 1×1015
실시예 6 플레미온 수소 1×1015
실시예 7 에시플렉스 수소 1×1015
실시예 8 술폰화된 트리플루오로스티렌 공중합체 수소 1×1015
<실험예 1>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투과도( MeOH permeability) 변화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들의 메탄올 투과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메탄올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나피온 115와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 따라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를 각각 측정용기에 장착하고, 용기의 한쪽에는 순수한 물을 주입하고, 다른 한쪽에는 10 M의 메탄올을 주입한 후, 9 시간동안 메탄올의 투과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투과도는 표면이 처리되지 않은 순수한 나피온 115과 비교하여 최대 96 %까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온빔 표면처리를 통해 메탄올 투과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의 함수율( Water Uptake )의 변화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함수율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완전히 건조된 순수한 나피온 115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무게를 측정하고, 물에 24 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각 수소이온교환막들의 무게를 측정하여 함수율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온빔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은 순수한 나피온 115와 거의 유사한 함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온빔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나피온 115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능력( Ion Exchange Capacity )의 변화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순수한 나피온 115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을 3 M 염화나트륨 용액에 24 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적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막들의 이온교환능력은 순수한 나피온 115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막에 존재하는 술폰산의 농도가 이온빔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하여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Proton Conductivity)의 변화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이온빔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나피온 115 수소이온교환막들의 수소이온 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순수한 나피온 115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을 1×4 ㎠으로 절단하고, 24 시간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 4-탐침 임피던스 분석기(4-probe impedance analyzer, Solartron사, SI-1260)를 이용하여 습도 100 % 환경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표면처리된 수소이온교환막들은 순수한 나피온 115에 비하여 최대 7 %까지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다.

Claims (12)

  1. 수소이온교환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하여 이온빔을 조사하되, 상기 이온빔 조사에 이용되는 원소는 수소이고, 총 조사량이 1×1015 내지 1×1016 ions/cm2이 되도록 조사하여 막의 이온전도도는 유지시키고 막의 메탄올에 대한 투과율은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및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을 주쇄로 하는 나피온(Nafion), 다우(Dow), 플레미온(Flemion), 및 에시플렉스(Aciplex)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부분불소화 폴리스티렌 술폰산(patially fluorinated poly(styrenesulfonic acid)), 술폰화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ethylene- co- tetrafluoroethylene)), 술폰화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 술폰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술폰화된 폴리아세탈(sulfonated polyacetal),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sulfonated polyphenylen oxide), 술폰화된 폴리설폰(sulfonated polysulfone),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설폰(sulfonated polyether sulfone), 및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올 투과율이 저감된 수소이온교환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온교환막은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및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불소화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을 주쇄로 하는 나피온(Nafion), 다우(Dow), 플레미온(Flemion), 및 에시플렉스(Aciplex)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부분불소화 고분자계 이온교환막은 부분불소화 폴리스티렌 술폰산(patially fluorinated poly(styrenesulfonic acid)), 술폰화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ethylene- co- tetrafluoroethylene)), 술폰화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 술폰화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sulfonated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ethylene-co-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스티렌술폰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styrenesulfonic acid-grafted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탄화수소고분자계 이온교환막에는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술폰화된 폴리아세탈(sulfonated polyacetal),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sulfonated polyphenylen oxide), 술폰화된 폴리설폰(sulfonated polysulfone),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설폰(sulfonated polyether sulfone), 및 술폰화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sulfonated poly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이온교환막.
KR1020100005159A 2010-01-20 2010-01-20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KR10112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59A KR101127567B1 (ko) 2010-01-20 2010-01-20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159A KR101127567B1 (ko) 2010-01-20 2010-01-20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92A KR20110085392A (ko) 2011-07-27
KR101127567B1 true KR101127567B1 (ko) 2012-04-26

Family

ID=4492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59A KR101127567B1 (ko) 2010-01-20 2010-01-20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459A (ko) 2020-07-21 2022-01-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술폰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막용 복합막,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이온 교환막, 상기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상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 교환막용 복합막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0077A (zh) * 2016-01-13 2016-06-15 山东星火科学技术研究院 一种质子交换膜
CN113314748B (zh) * 2021-05-31 2022-09-02 安徽中能元隽氢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表面改性聚合物骨架的增强型质子交换膜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024A (ko) * 2003-04-23 2004-1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의 제조 방법
KR20070003469A (ko) * 2005-07-02 2007-01-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해질막의 표면 처리 방법, 표면 처리된 전해질막 및 이를포함하는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024A (ko) * 2003-04-23 2004-11-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의 제조 방법
KR20070003469A (ko) * 2005-07-02 2007-01-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해질막의 표면 처리 방법, 표면 처리된 전해질막 및 이를포함하는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459A (ko) 2020-07-21 2022-01-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술폰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막용 복합막, 상기 복합막을 포함하는 이온 교환막, 상기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상기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온 교환막용 복합막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92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ghari et al. Recent advances in application of chitosan in fuel cells
US8552075B2 (en) Low permeability composite proton exchange membrane including organic-inorganic hybrid
Gubler et al. Trends for fuel cell membrane development
CN101087029B (zh) 固体高分子电解质膜、膜电极接合体及采用它的燃料电池
Qiao et al. Anion conducting poly (vinyl alcohol)/poly (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membranes with high durable alkaline stability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Li et al. High performance direct methanol fuel cells based on acid–base blend membranes containing benzotriazole
KR20070038472A (ko) 이온 교환 막을 포함하는 고체 알칼리성 연료 전지
US7867667B2 (en) Polymer electrolyte for a fuel cell,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493171B1 (ko) 복합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Lufrano et al. Investigation of sulfonated polysulfone membranes as electrolyte in a passive-mode direct methanol fuel cell mini-stack
CN101999188B (zh) 质子传导性聚合物电解质膜及其制造方法、以及膜-电极组件和聚合物电解质型燃料电池
WO2008023801A1 (fr) Membrane électrolytique polymère composée d&#39;une base de membrane polymère aromatique et son procédé de production
Jung et al. Advances in ion conducting membranes and binders for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JP4771702B2 (ja) 補強材を有する高分子固体電解質膜
US20070218334A1 (en) Methods for making sulfonated non-aromati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KR101127567B1 (ko) 이온빔을 이용한 수소이온교환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수소이온교환막
US8993193B2 (en) Sulfonated perfluorosulfonic acid polyelectrolyte membranes
US20210135264A1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proton conductiv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aroutaji et al. Materials for fuel cell membranes
US7378471B2 (en) Polymer comprising terminal sulfonic acid group, and polymer electrolyte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JP2006269266A (ja) 補強材を有する複合高分子固体電解質膜
JP2007056155A (ja) イオン伝導性材料、固体高分子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
US7459487B2 (en) Polymer composite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Qiao et al. Life test of DMFC using poly (ethylene glycol) bis (carboxymethyl) ether plasticized PVA/PAMPS proton-conducting semi-IPNs
JP2009070584A (ja) 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