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298B1 -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298B1
KR101127298B1 KR1020090019574A KR20090019574A KR101127298B1 KR 101127298 B1 KR101127298 B1 KR 101127298B1 KR 1020090019574 A KR1020090019574 A KR 1020090019574A KR 20090019574 A KR20090019574 A KR 20090019574A KR 101127298 B1 KR101127298 B1 KR 10112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ing
holes
blocking rod
p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212A (ko
Inventor
이숙희
Original Assignee
이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순 filed Critical 이태순
Priority to KR102009001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2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막이에 설치되는 차단봉이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차단봉의 휨과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가 용이한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타설막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늘어선 다수의 관통공과,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차단봉이 포함되고, 상기 차단봉은 그 봉(棒)체의 길이방향 단면이 상기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상기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타설막이, 차단봉, 타원, 직사각형

Description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A concrete interception wall including legs for prevention of ben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넓은 구역의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소정의 타설범위를 나누어 그 타설범위 외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견딜수 있는 콘크리트 차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넓은 슬라브, 블럭 등을 구축하는 작업은 한번에 모든 면적이나 모든 크기의 구역이 타설될 수 없으므로 하루 작업할 수 있는 타설면적을 설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면적은 차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와 같이 한 번에 작업할 타설면적을 나누고 그 나누어진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구역의 경계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0)는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120)에 체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에 차단봉(11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2와 도3은 도1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 내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구역의 경계부에 세워 설치되는 것이며, 콘크리트 타설물들이 상기 타설막이(100)가 설치된 영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타설막이(100)의 설치 시 철근(320,340), 기타 구조물(550) 등 장애물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차단봉(110) 중의 일부가 그 철근 등 장애물에 걸려 올려진 상태가 되고, 그 이외의 이웃하는 차단봉(110)들은 정상적 상태로 바닥까지 내려져 설치되므로 철근 등 장애물이 어떠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정해진 구역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설을 막는 차단벽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설막이는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해 차단봉(110)이 도2의 점선과 같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차단봉(110)이 휘어진 상태로 콘크리트가 굳어지는 경우 차후 차단봉(110)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은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차단봉(110)이 제각각 불규칙하게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웃하는 차단봉 사이에서 그 틈이 불규칙하게 발생 또는 확장되고 그 틈 중 틈의 면적이 넓은 곳을 통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당량이 흘러나오게 된다. 이러한 누설은 양생되는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발생과 관련한 불량을 초래하고, 콘크리트가 차단봉(110)을 둘러싸면서 굳어지게 되어 차단봉의 제거를 매우 어렵게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설막이에 설치되는 차단봉이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차단봉의 휨과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가 용이한 구조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늘어선 다수의 관통공과;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차단봉이 포함되고; 상기 차단봉은 그 봉(棒)체의 길이방향 단면이, 상기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상기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봉(棒)체의 길이방향 단면”은 그 단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선이 상기 봉(棒)체가 길게 뻗어있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 기재에서 위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대하여 저항하고 그에 따른 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단봉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늘어선 다수의 관통공과; 봉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봉체의 단면형상은 긴 길이를 가지는 폭과 그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폭이 존재하며, 상기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긴 길이를 가지는 폭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도 제공한다. 이는 차단봉의 단면형상이 타원, 직사각형, 불규칙 형상 등 그 단면이 긴 길이의 폭을 가지는 방향이 존재할 때, 그 긴 길이를 가진 방향이 콘크리트의 압력을 받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이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관통공이 상기 상판과 하판에서 각각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 설치된 각각의 관통공은 상기 하판에 설치된 각각의 관통공과 서로 마주보는 쌍을 각각 이루어 상기 차단봉이 상기 각 쌍에 삽입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차단봉의 단면과 상기 관통공의 형상은 상기 차단봉 또는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상기 차단봉 또는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해야 하므로 타원형상, 직사각형상 또는 긴 육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차단봉이 타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의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단면의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대한 차단봉의 저항력이 증가하여 차단봉의 휨이 방지되고, 차단봉이 불규칙하게 휨에 따라 발생하는 차단봉 사이의 틈이 확장되 는 것도 방지된다.
둘째, 차단봉 사이로 콘크리트가 누설된다고 하더라도 콘크리트가 접촉하게 되는 차단봉의 표면이 훨씬 증가하게 되어 점성에 따른 저항을 많이 받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누설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콘크리트의 누설량이 줄고, 차단봉의 휨이 방지되므로 콘크리트 양생 후 타설막이의 제거가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20)은 차단봉(10)이 일정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뻗어 있고, 상판(21)과 하판(22) 및 상판(21)과 하판(22)을 연결하는 연결판(23)을 구비하고 있다. 상판(21)과 하판(22)에는 각각 열(列)을 형성하여 배열된 다수의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21)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30)은 하판(22)에 형성된 관통공(30)과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하나의 차단봉(10)이 상판과 하판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해서 도4와 같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관통공(30)에 삽입되는 차단봉(10)은 긴 봉상(棒狀)의 부재로서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30)으로 차단봉(10)이 빠지지 않도록 관통공(30)보다 큰 머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봉(10)은 가로로 길게 뻗어 있는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관 통공(30)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누설을 막을 수 있는 차단벽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봉(10)의 단면형상을 타원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단봉(10)이 삽입되는 프레임(20)의 관통공(30)도 타원으로 형성하여 상기 차단봉(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30)은 상기 차단봉(10)의 단면적 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하여 차단봉(10)이 관통공(30)에 삽입된 후 자유롭게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단봉(10)을 그 봉(棒)체의 길이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타원으로 형성할 때, 상기 차단봉(10)이 늘어선 방향(X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상기 방향에 수직인 방향(Y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도5에서 도시하고 있는 봉체의 타원형 단면의 단축(b)이 차단봉이 늘어선 방향(X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수직인 방향(Y방향)으로는 타원의 장축(a)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은 차단봉(10)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차단봉(1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관통공(30)을 타원으로 형성할 때에도, 도4에서와 같이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그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도록 타원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관통공(30)은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관통공(30)은 차단봉(10)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차단봉(10)의 단면형상에 따라 그 모양을 형성한 것이므로, 차단봉(10)이 타원형 단면을 가지더라도 그 모양을 반드 시 타원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차단봉(1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차단봉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봉(10)의 형상은 타원형이 아니더라도 차단봉(10)이 수직으로 세워져 차단벽을 형성하게 될 때,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인데, 차단봉(10)이 늘어선 방향으로는 그 폭이 좁고, 상기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는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지게 되도록 도8과 같이 직사각단면이나 긴 육각단면의 차단봉(12′)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설막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타설막이는 도2 및 도3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설치방법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구역의 경계부에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타설 구역 내에만 콘크리트가 머물도록 하고 그 경계부 이외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타설막이를 타설구역의 경계부에 설치하게 되면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설막이의 하부에 철근(310~340)과 기타 장애물(550)이 설치된 곳에서는 차단봉(10)이 상부로 올라간 상태를 유지하고, 그 이외의 차단봉(10)은 하부까지 다리를 뻗어 콘크리트 차단벽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어떠한 장애물이 설치된 타설구역이라 할지라도 쉽게 타설구역을 나누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현장에서 설치한 경우, 도4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 및 힘의 작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차단봉(10)의 봉체부(12)가 단면의 장축(a) 방향으로 힘(F)을 받도록 배치되어 있고, 차단봉(10) 사이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콘크리트(400)의 누설(D)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 하중(분포하중이나 집중하중)을 받고 있는 보에 있어서 그 처짐량은 하중을 받는 방향으로의 보의 높이(보가 가로로 놓여 상부에서 하중을 받는 것으로 가정할 때의 보의 높이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것이므로, 콘크리트의 타설하중(F)을 받는 차단봉(10)에 있어서는 하중(F)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긴 폭(a)(상기 보의 높이에 해당함)을 가진 차단봉(10)이 콘크리트 타설하중(F)에 대하여 처짐이 작게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차단봉(110)에 비하여 본 발명의 차단봉(10)이 타설하중(F)을 받는 방향에 대하여 긴 폭(a)을 가지고 있으므로 과도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에 따른 타설막이는 단순히 차단봉(10)의 처짐만을 방지할 뿐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서 가지는 또 다른 특유의 효과가 있다.
통상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상당히 큰 점성이 있으므로 타설막이의 차단봉 사이의 틈으로 흘러나올 때, 차단봉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저항을 받게 된다. 종래의 차단봉(110)은 단순히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흘러나오는 방향으로 긴 폭(a)을 가지는 형상이므로, 차단봉의 봉체부(12) 사이의 틈으로 콘크리트가 흘러나오면서 저항을 받는 표면이 훨씬 넓고 통과하는 통로의 길이도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도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차단봉 사이의 틈이 동일한 폭(w)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본 발명과 종래의 타설막이의 작용을 비교해 보면, 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11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통과하는 길이(l2)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설막이의 차단봉(10)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통과하는 길이(l1)가 훨씬 길어지므로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타설막이에서는 콘크리트가 통과하는 동안 받게 되는 차단봉 표면에서의 마찰저항이 훨씬 증가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설막이는 차단봉(10) 사이의 간격을 종래의 차단봉(110)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고 하더라도 콘크리트의 누설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설에 따라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밀도 불균형이나 공극발생과 관련한 불량을 방지하며, 흘러나온 콘크리트가 차단봉을 둘러싸면서 굳어져 차후 차단봉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참고로, 차단봉(10) 사이에는 일정한 틈이 발생되고 그 틈은 과도하게 좁힐 수가 없는데, 이는 프레임(20)에 형성되는 관통공(30)이 서로 붙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만 차단봉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종래의 타설막이를 비교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필수적인 강도가 확보되는 조건으로 비교해야 하므로 차단봉 사이의 틈이 동일한 폭(w)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구성은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저항하여 그 차단봉의 휨을 방지하는 작용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누설에 대하여 저항력을 갖는 구조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1은 종래 타설막이의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 타설막이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3은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본 종래 타설막이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6은 도4의 타설막이를 A-A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설막이와 종래의 타설막이의 작용을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의 단면을 다양하게 구성한 변형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단봉 11 : 머리부
12 : 봉(棒)체부 20: 프레임
21: 상판 22: 하판
23: 연결판 30: 관통공
310 ~ 340: 철근 400: 타설된 콘크리트
500: 바닥부 550: 설치물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 다수의 관통공과;
    상기 다수의 관통공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차단봉이 포함되며, 상기 차단봉은 그 봉(棒)체의 길이방향 단면이 타원형상으로서 타원형 단면의 단축이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타원형 단면의 장축이 관통공이 늘어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관통공이 상기 상판과 하판에서 각각 일정 간격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에 설치된 각각의 관통공은 상기 하판에 설치된 각각의 관통공과 서로 마주보는 쌍을 각각 이루어 상기 차단봉이 상기 각 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19574A 2009-03-09 2009-03-09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12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574A KR101127298B1 (ko) 2009-03-09 2009-03-09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574A KR101127298B1 (ko) 2009-03-09 2009-03-09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12A KR20100101212A (ko) 2010-09-17
KR101127298B1 true KR101127298B1 (ko) 2012-03-29

Family

ID=4300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574A KR101127298B1 (ko) 2009-03-09 2009-03-09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2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46U (ko)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사용되는 차단봉
KR20190139385A (ko) * 2018-06-08 2019-12-18 김기헌 콘크리트 타설막이 시공방법 및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105188A (ko) 2019-02-28 2020-09-07 김기찬 콘크리트 타설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42B1 (ko) *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20190000046U (ko)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우영에스티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 2017-07-1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46U (ko)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사용되는 차단봉
KR20190139385A (ko) * 2018-06-08 2019-12-18 김기헌 콘크리트 타설막이 시공방법 및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124693B1 (ko) 2018-06-08 2020-06-18 김기헌 콘크리트 타설막이 시공방법 및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105188A (ko) 2019-02-28 2020-09-07 김기찬 콘크리트 타설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12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298B1 (ko) 휨방지 차단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JP4738886B2 (ja) 設備用基礎
KR101783167B1 (ko)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899277B1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870087B1 (ko)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DE102013216838B3 (de) Schalungsanordnung
KR100860422B1 (ko) 수평,수직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장치
JP2019035313A (ja) 露出型柱脚用座金及びこれを用いた露出型柱脚の定着構造
JP7209509B2 (ja) 水路のライニング構造
JP3064841B2 (ja) ダム通廊の構築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通廊セル
JP6710586B2 (ja) 門型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KR101967037B1 (ko) 층고저감형 개량형 철골보 구조
JP2017025607A (ja) ダム通廊の構築方法、ダム通廊の通廊セル及び通廊セルの製造に用いる型枠
KR200223188Y1 (ko) 키커브라켓트
KR100715695B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2019085836A (ja) 鉄筋部材、及び鉄筋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0317314Y1 (ko) 보거푸집의 지지 브라켓
KR102683300B1 (ko)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되는 pc슬래브 제조장치
KR102688522B1 (ko) 복합 pc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복합 pc구조물
KR20230001673U (ko) 타설막이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