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119B1 -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119B1
KR101127119B1 KR1020110089201A KR20110089201A KR101127119B1 KR 101127119 B1 KR101127119 B1 KR 101127119B1 KR 1020110089201 A KR1020110089201 A KR 1020110089201A KR 20110089201 A KR20110089201 A KR 20110089201A KR 101127119 B1 KR101127119 B1 KR 10112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licopter
washing water
wate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1008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having clean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바닥판(101)이 부착된 사각박스형 작업대 프레임(102)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바닥판(101) 위에 디귿자형으로 부착된 물탱크(103)와; 상기 디귿자형 물탱크(103)의 중앙 홈에 설치되어 물탱크(103)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고압펌프(104)와; 상기 고압펌프(10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도록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세정수 주수기(105)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어 이 작업대 프레임(102)의 자세를 교정, 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레버(11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조정레버(11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면서 작업대 프레임(102)에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좌, 우측프로펠러(211, 221)를 회전시켜 작업대 프레임(102)의 방향을 조정하는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류 및 세정수 주수기의 주수 압력에 따라 회전하는 작업대 프레임의 자세를 교정, 즉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해 회전이 상쇄되어 자세가 교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방향조정레버를 좌우로 작동시켜 작업대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좌, 우측 구동모터와 그 프로펠러의 회전속을 가변시켜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세교정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 교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insulator on live wire using helicopter}
본 발명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세교정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 교정이 용이하도록 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송전선로의 구성요소 중 애자는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여 대용량의 초고압을 안전하게 공급하는 한 요소이다.
공기 중에 노출된 애자 부분에 이물질, 특히 염분 등이 부착 될 경우 절연성능이 급격히 감소하여 역섬락이 발생하여 선로가 단전되어 사회적으로 막대한 지장을 초례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의 선로환경이 발전소가 위치한 해안을 경유하고 있으며 전체 선로의 30%정도가 오손지구에 포함되어 있고, 산악지에 위치하며 애자세정 주기가 오손지구는 1년에 1~2회이고 기타지역은 대략 5년에서 7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송전선로의 애자세정은 높은 압력의 물에 의한 세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필요한 설비로는 물탱크, 펌프, 호스와 노즐이 구비된 세정수 주수기 등의 애자세정장비를 인력으로 운반하여 작업자가 세정수 주수기를 직접 들고 세정수를 주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송전선로의 선로환경이 대부분 산악지대를 통과하고 있다는 실정을 감안하여 볼 때 산악지대 입구까지는 트럭 등의 운송장비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입구에서 송전탑까지는 작업자가 애자세정 장비를 직접 운반해야 하며 세정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송전탑에 올라가서 세정수 주수기를 들고 활선애자를 향해 세정수를 주수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 1인이 운반할 수 있는 중량이 애자세정장비와 물을 포함하여 20~30kg 정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보다 운반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어 총소요시간 대비 세정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헬리콥터에 물탱크, 펌프, 호스와 노즐이 구비된 세정수 주수기를 탑재하여 작업자가 헬리콥터 내에서 세정수 주수기를 조작하여 활선애자에 세정수를 주수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헬리콥터에서의 세정수 주수방법은 단지 외국기술을 도입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연구개발 되고 있는 단계에 있으며 철탑이 수목에 근접해 있거나 송전선로가 타 설비와 상호 근접하고 있어 헬리콥터가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활선애자 세정작업에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세정수의 주수방향은 작업자가 어느 정도 조정할 수는 있으나 기본적인 자세를 헬리콥터의 조정사가 조정해야 하는데 헬리콥터의 조정사는 헬리콥터의 전방을 향하여 앉아 있는 상태이고 작업자는 헬리콥터의 측방을 향하여 앉아서 헬리콥터의 측방을 향하여 세정수를 주수하기 때문에 활선애자에 대한 세정수 주수 정확도가 저하되어 세정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세정장비 및 세정수를 대량으로 공급함으로써 무거운 세정장비의 소량 분할 운반에 따른 과다한 시간낭비 및 위험을 제거하고 세정수의 부족으로 인한 불충분한 애자세정을 방지하여 활선애자 세정효율을 극대화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헬리콥터가 송전탑에 근접하지 않고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도 헬리콥터에 매달린 작업대에 구비된 세정수 주수기를 송전탑의 활선애자에 근접시켜 세정수를 주수함으로써 헬리콥터의 측면 선로 근접 제한구역에서도 활선애자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활선애자 세정작업에 제약을 최소화하고, 헬리콥터의선로 추돌 등의 위험요소를 확실하게 배제하여 보다 안전한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제공하며, 작업대가 그 무게중심의 편중 및 기류 등의 영향으로 인해 수평회전하여 활선애자에 대한 세정수 주수기의 주수방향이 어긋나는 경우 이를 바로 잡아 세정수 주수기의 세정수 주수방향이 활선애자를 정확히 향하게 하여 활성애자 세정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14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핸드 타입 세정수 주수기의 사시도, 도 6은 스탠드 타입 세정수 주수기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자세교정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피치가변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피치가변기구의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12는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유압회로도이다.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H)에 매달리는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 하부에 부착되는 물탱크(20)와; 상기 작업대(10)에 설치되어 물탱크(20)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수 펌프(30)와; 상기 세정수 펌프(30)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는 세정수 주수기(40)와; 상기 작업대(10)에 설치되어 자세교정기류를 발생시키는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0)와 물탱크(20)는 섬유보강플라스틱(FRP) 등 전기절연재질로 구성하여 감전위험을 최소화한다.
상기 작업대(10)는 큐빅(cubic)형 작업대 프레임(11)과, 이 작업대 프레임(11)의 하부에 부착되는 바닥판(12) 및 작업대 프레임(11)의 상부에 부착되는 천장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2)의 상면에는 상기 세정수 펌프(30)와 세정수 주수기(40)가 탑재되며, 천장판(13)의 상면에는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가 탑재된다.
상기 바닥판(12)에는 세정작업자(W1)와 자세교정작업자(W2)가 착석하는 좌석(14,15)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10)의 천장판(13)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헬리콥터(H)에 매달기 위한 절연로프(17)가 연결되는 고리(16)가 구비된다.
상기 4개의 고리(16)에 연결된 절연로프(17)의 상단은 하나로 모아져서 헬리콥터(H)의 인양절연봉(R) 하단에 구비된 자동분리식 커플러(C)에 연결된다.
상기 물탱크(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10)의 바닥판(11)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작업대(10)와 물탱크(20)는 철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섬유보강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면부호 "21"은 상기 물탱크(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담수하기 위한 주입구마개(21)이다.
상기 세정수 펌프(30)는 구동원과 펌프가 일체로 구비된 기성 제품을 사용한다.
또한 세정수 펌프(30)의 구동원으로서는 엔진이나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엔진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료탱크도 일체로 구비된 기성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헬리콥터(H)의 전원을 전원케이블로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작업대(10)에 배터리를 탑재하여 그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주수기(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절연관(41)과, 상기 전기절연관(41)의 선단에 설치되는 주수노즐(42)과, 상기 전기절연관(41)의 내부를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세정수 펌프(3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주수노즐(42)에 연결되는 주수호스(43) 및 상기 전기절연관(41)의 후단에 설치되어 주수호스(43)를 개폐하는 주수밸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수노즐(42)은 1개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효율적인 세정작업을 위하여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개 이상의 다노즐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주수밸브(44)에는 주수밸브조종간(44a)이 구비된다.
상기 세정수 주수기(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작업자(W1)가 전기절연관(41)을 직접 손으로 들고 주수밸브(44)를 조작하는 핸드 타입(hand type)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주수기(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절연관(41)을 상기 작업대(10)의 바닥판(12)에 고정되는 주수기 마운트(45)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수기 프레임(46)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탠드 타입(stand type)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47"은 주수기 프레임(46)을 수평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회전구동기구로서, 주수기 프레임(46)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크랭크 판(47a)과, 상기 주수기 마운트(45)에 후단이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피스톤 로드(47c)의 선단이 힌지(47d)에 의해 상기 수평조종용 크랭크 판(47a)에 편위된 상태로 연결되는 수평 조종 유압실린더(47b)로 구성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48"은 주수기(40)를 상하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회동구동기구로서, 상기 주수기 프레임(46)의 하단에 그 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피스톤 로드(48b)가 전기절연관(41)의 중간부에 힌지(48c)로 연결되는 상하조종 유압실린더(48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49"는 상기 수평조종 유압실린더(47b)와 상하조종 유압실린더(48a)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발생기이다. 상기 유압발생기(49)는 통상적인 유압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유압펌프 등이 사용된다.
상기 주수기 프레임(46)의 후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7b,48a)를 조종하기 위한 수동 조작식 수평회전조종밸브(51)와 수동 조작식 상하회전조종밸브(52)를 가지는 밸브박스(5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박스(50)에는 수동조작식 수평회전조종밸브(51)를 조작하는 수평회전조종간(53)과 수동조작식 상하회전조종밸브(52)를 조작하는 상하회전조종간(54)이 설치된다.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는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천장판(13)에 장착되는 자세교정기류 발생기 프레임(61)과,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 프레임(61)에 탑재되는 자세교정용 동력원(62)과,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 프레임(61)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63)와, 상기 포스트(63)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로펠러축(64)과, 상기 프로펠터축(64)의 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러(65, 66)와, 상기 포스트(63)의 하단과 상단에 설치되어 자세교정용 동력원(62)의 동력을 프로펠러축(6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68a,68b)와, 상기 포스트(63)를 수평 회전시키는 선회용 유압모터(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세교정용 동력원(62)은 엔진을 포함한다. 엔진에는 연로탱크를 일체로 구비한 기성 제품을 사용한다. 전원은 헬리콥터(H)의 전원을 전원케이블로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작업대(10)에 배터리를 탑재하여 그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을 대신하여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펠러축(64)은 포스트(63)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보호관(64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펠러(65,66)는 자세교정기류의 방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통형 기류안내 하우징(67)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기류안내 하우징(67)은 보호관(64a)의 외주면에 스포크(spoke)(67a)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68a,68b)는 상기 포스트(63)의 내부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자세교정용 동력원(62)의 동력은 하단의 동력전달기구(68a)에 전달되고 동력전달기구(68a)는 그 동력을 포스트(63)의 내부에 설치된 기구를 통해 상단의 동력전달기구(68b)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68a,68b)는 기어, 샤프트, 조인트 등의 통상적인 기계기구로서 포스트(63)가 수평회전하면서도 자세교정용 동력원(62)의 동력을 프로펠러축(64)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회용 유압모터(69)는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 프레임(61)에 설치하거나 도시예와 같이 하측 동력전달기구(68a)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로펠러(65,66)는 고정피치형 프로펠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자세교정을 위하여 프로펠러(65,66)의 피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피치가변기구(70)를 더 포함하는 가변피치형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피치형 프로펠러는 프로펠러를 교체하지 않고 프로펠러를 프로펠러축(62)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동일한 프로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정방향 기류와 역방향 기류 및 무기류(無氣流)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치가변기구(70)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기구들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7a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펠러축(64)의 선단에 "T"자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프로펠러(65,66)를 프로펠러축(64)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로펠러 피치가변축(71,72)과, 상기 프로펠러(65, 66)의 내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러 피치가변축(71,7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과, 상기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의 외측면에 프로펠러 피치가변축(71,72)을 기준으로 180도 위상차를 두고 그 선단이 힌지(75a,76a)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75,76)와, 상기 프로펠러축(64)이 통과하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75,76)의 후단이 각각 힌지(77a,77b)로 연결되는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과, 상기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의 외주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과 직선운동은 일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운동원통(78)과, 상기 동력전달기구(68b) 내에 그 중간부가 힌지(79a)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직선운동원통(78)의 외주면 일측에 그 일단이 힌지(79b)로 연결되는 벨 크랭크(bell crank)(79)와,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 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되어 그 피스톤 로드(81)의 선단이 상기 벨 크랭크(79)의 타단에 힌지(81a)로 연결되는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 피치가변축(71,72)의 양단과 양측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73a,74a)이 끼워진다. 상기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과 직선운동원통(78)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78a)이 끼워진다.
상기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는 상기 유압발생기(49)에서 발생된 압력유를 사용한다.
상기 작업대(10)의 바닥판(12)에는 상기 선회용 유압모터(69)와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를 조종하기 위한 밸브박스(90)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박스(90)에는 선회용 유압모터(69)를 조정하는 선회조종밸브(91)와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를 조종하기 위한 피치조종밸브(92)가 설치된다.
상기 선회조종밸브(91)와 피치조종밸브(92)는 하나의 자세교정조종간(93)에 의해 조종된다.
상기 자세교정조종간(93)을 좌우로 조작하면 선회조종밸브(91)가 작동하고, 자세교정조종간(93)을 전후로 조작하면 피치조종밸브(92)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밸브박스(90)의 전방에는 상기 세정수 펌프(30)와 유압발생기(49)와 자세교정용 동력원(62)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계기판(100)이 설치된다.
이하,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에 의한 활선애자 세정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담수과정>
작업대(10)와 물탱크(20)를 취수처에 내려놓고 물탱크(20)에 세정수를 담수한다.
세정수로서는 고압송전선로의 활선애자 세정용임을 감안하여 무기물이 최소한으로 함유된 물, 즉 최소한의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양 및 이동과정>
담수가 완료되면 고리(16)에 결속된 절연로프(17)를 헬리콥터(H)의 인양절연봉(R)의 자동분리식 커플러(C)에 연결하고 헬리콥터(H)를 이륙시켜 작업대(10)와 물탱크(20)가 헬리콥터(H)에 매달리도록 하여 세정장소로 비행 이동한다.
<세정과정>
헬리콥터(H)를 세정대상 송전탑(T)의 상공에 정지한 상태로 하고 인양절연봉(R)을 내려뜨려 작업대(10)가 세정 대상 활선애자(I) 위치로 헬리콥터(H)에서 작업대(10)에 이르는 높이가 전압별 철탑(T)의 암(A) 간격에 맞추어 작업대가 하단암(A)에 위치하고 헬기가 철탑(T) 정판에서부터 약 10m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세정작업자가 세정수 주수기(40)의 주수밸브(44)의 주수밸브조종간(44a)을 조작하면 세정수 펌프(30)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가 주수호스(43)와 주수노즐(42)을 통해 활선애자(I)에 주수된다.
이때, 세정수 주수기(4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타입(hand type)인 경에는 세정작업자가 세정수 주수기(40)를 손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주수노즐(42)에서 주수되는 세정수가 활선애자(I)를 향하도록 조종한다.
한편, 세정수 주수기(40)가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타입(stand type)인 경우에는 세정작업자가 수평회전조종간(53)과 상하회전조종간(54)을 조작함으로써 주수노즐(42)에서의 세정수 주수방향을 조종한다.
세정작업자가 수평회전조종간(53)을 조작하면 유압발생기(49)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수동조작식 수평회전조종밸브(51)를 통해 수평회전조종실린더(47b)를 작동시키게 되어 그 피스톤 로드(47c)에 연결된 수평조종용 크랭크판(47a)과 이에 설치된 주수기 프레임(46)이 좌우로 수평회동하면서 주수기 프레임(46)에 설치된 전기절연관(41) 선단의 주수노즐(42)에서 주수되는 세정수의 수평방향을 좌우로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세정작업자가 상하회전조종간(54)을 조작하면 유압발생기(49)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수동조작식 상하회전조정밸브(52)를 통해 수직회전조종실린더(48a)를 작동시키게 되어 그 피스톤 로드(48b)에 연결된 전기절연관(41)이 상하로 수직회전하면서 전기절연관(41) 선단의 주수노즐(42)에서 주수되는 세정수의 상하방향을 상하로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자세교정 과정>
상술한 세정과정에서 작업대(10)와 물탱크(20) 등의 무게중심의 편중 및 기류 등의 영향으로 인해 작업대(10)와 물탱크(20)가 수평 회전하여 활선애자(I)에 대한 세정수 주수기(40)에서의 세정수 주수방향이 어긋나는 경우 자세교정작업자가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를 조종하여 활선애자(I)에 대한 세정수 주수기(40)에서의 세정수 주수방향을 바로 잡는다.
자세교정작업자가 자세교정조종간(93)을 좌우로 조작하면, 선회조종밸브(91)가 작동하여 유압발생기(49)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선회조종밸브(91)를 통해 선회용 유압모터(69)를 정역회전시키게 되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63)와 그 상단에 설치된 보호관(64a), 동력전달기구(68b), 프로펠러축(64), 프로펠러(65,66), 원통형 기류안내 하우징(67),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 등이 수평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프로펠러(65,66)에 의해 발생되는 자세교정기류의 방향이 좌우로 조종된다.
여기서 작업대(10)와 물탱크(20)와 세정수 주수기(40) 및 작업자 등의 전체무게중심의 편중 및 기류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는 경우에는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에서 발생되는 자세교정기류가 도 7a와 같이 좌측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반시계방향으로 수평회전하는 경우에는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에서 발생되는 자세교정기류가 도 7c와 같이 자세교정기류가 우측방향을 향하게 하여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도 7b와 같이 중립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도 7b와 같이 중립상태로 된 상태에서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에서 발생되는 자세교정기류가 직후방을 향하게 하면 작업대(10)와 물탱크(20)와 세정수 주수기(40) 및 작업자 등 전체무게중심의 편중 및 기류 등의 영향을 받더라도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중립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과정에서 프로펠러(65,66)가 원통형 기류안내 하우징(67) 내에 설치되 있으므로 자세교정기류의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자세교정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정작업자는 세정수 주수기(40)에서 주수되는 세정수를 활선애자(I)에 정확히 주수할 수 있어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정작업자와 자세교정작업자는 공히 작업대(10)에 전방을 향한 상태로 앉아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들 상호간 대화나 통신 없이도 실시간으로 정확한 자세교정작업과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피치가변과정>
상술한 자세교정과정에서 프로펠러(65,66)의 피치가 고정되어 자세교정기류가 항상 동일한 강도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세교정이 완료되어 가는 시점에서 프로펠러(65,66)를 정지시키더라도 작업대(10)와 물탱크(20) 및 세정수 주수기(40)가 중립위치에서 정지하지 못하고 관성력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버런(over run)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자세교정 초기에는 프로펠러(65,66)의 피치를 최대로 하고 자세교정이 진행됨에 따라 프로펠러(65,66)의 피치를 중립 상태로 전환해가면서 자세교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프로펠러(65,66)의 피치를 중립 상태로 되도록 한 다음 자세교정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65,66)의 피치를 최대로 하여 중립위치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의 (b) 및 도 13의 (b)는 프로펠러(65,66)의 피치가 중립상태, 즉 자세교정기류가 발생되지 않는 무기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자세교정작업자가 자세교정조종간(93)을 전후로 조작하면 피치조종밸브(92)가 작동하여 유압발생기(49)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피치조종밸브(92)를 통해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1)를 진퇴 작동시키게 되어 자세교정기류가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하는 정방향 기류와 도 9c, 도 10c, 도 11c, 도 12의 (c) 및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는 역방향 기류로 가변된다.
즉, 자세교정조종간(93)을 후방으로 조작하면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의 (a) 및 도 13의 (a)와 같이 피치조종밸브(92)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유압발생기(47)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에 정방향으로 공급되어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1)가 후퇴하면서 동력전달기구(68b) 내에 힌지(79a)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벨크랭크(7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결된 직선운동원통(78)과 그 내부에 래디얼 베어링(78a)으로 지지된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 직선운동원통(78)의 외주면 양측에 연결된 연결로드(75,76)가 후퇴하게 되며, 연결로드(75,76)에 연결된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에 프로펠러 보스(65a,66a)를 통해 연결된 프로펠러(65,6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피치가 정방향 기류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조종된다.
자세교정조종간(93)을 전방으로 조작하면 도 9c, 도 10c, 도 11c, 도 12의 (c) 및 도 13의 (c)와 같이 피치조종밸브(92)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유압발생기(47)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에 역방향으로 공급되어 피치가변용 유압실린더(80)의 피스톤 로드(81)가 전진하면서 벨 크랭크(79)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결된 직선운동원통(78)과 그 내부에 래디얼 베어링(78a)으로 지지된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 직선운동원통(78)의 외주면 양측에 연결된 연결로드(75,76)가 전진하게 되며, 연결로드(75,76)에 연결된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치가변용 크랭크 판(73,74)에 프로펠러 보스(65a,66a)를 통해 연결된 프로펠러(65,6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피치가 역방향 기류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조종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과 직선운동원통(78)은 그 사이에 래디얼 베어링(78a)이 끼워져 있으므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회전형 직선운동원통(77)은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직선운동원통(78)은 직선운동만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작업자가 작업대(10)에서 세정수 주수기(40)로 세정수를 활선애자에 주수할 때 그 주수 방향 및 주수압력에 따라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를 작동시켜 세정장치의 자세를 교정하게 되는바, 상기 자세 교정시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의 프로펠러(65, 66)가 고속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피치가변기구(70)의 피치가변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의 작동에 따라 연동 작동하는 상기 피치가변기구(7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세정수 주수기(40)로 세정수를 활선애자에 주수할 때 그 주수 압력이 보통 60~70㎏/㎠이고 그 반발력은 5㎏/㎠정도, 이 주수 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의 추력이 상기 반발력에 상응하여야 하는데, 실제 추력에 미치지 못하여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를 올바로 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의 추력이 세정수 분사 반발력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이 되게 하려면, 상기 자세교정기류 발생기(60)의 프로펠러(65, 66)의 크기가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크기보다 더 커져야 하므로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세교정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 교정이 용이하도록 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바닥판이 부착된 사각박스형 작업대 프레임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바닥판 위에 디귿자형으로 부착된 물탱크와; 상기 디귿자형 물탱크의 중앙 홈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도록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세정수 주수기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어 이 작업대 프레임의 자세를 교정, 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레버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후방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조정레버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면서 작업대 프레임에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좌, 우측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작업대 프레임의 방향을 조정하는 좌, 우측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바닥판이 부착된 사각박스형 작업대 프레임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바닥판 위에 디귿자형으로 부착된 물탱크와; 상기 디귿자형 물탱크의 중앙 홈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도록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세정수 주수기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어 이 작업대 프레임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레버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조정레버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면서 작업대 프레임에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켜 작업대 프레임의 방향을 조정하는 좌, 우측제트엔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에 의하면, 기류 및 세정수 주수기의 주수 압력에 따라 회전하는 작업대 프레임의 자세를 교정, 즉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해 회전이 상쇄되어 자세가 교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방향조정레버를 좌우로 작동시켜 작업대 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좌, 우측 구동모터와 그 프로펠러의 회전속을 가변시켜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세교정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 교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핸드 타입 세정수 주수기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스탠드 타입 세정수 주수기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자세교정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피치가변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무선조종기의 블록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조종기에 의해 제어되는 피조정물의 블록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무선조종기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무선조종기에 의해 제어되는 피조정물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바닥판(101)이 부착된 사각박스형 작업대 프레임(102)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바닥판(101) 위에 디귿자형으로 부착된 물탱크(103)와, 상기 디귿자형 물탱크(103)의 중앙 홈에 설치되어 물탱크(103)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고압펌프(104)와, 상기 고압펌프(10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도록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세정수 주수기(105)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어 이 작업대 프레임(102)의 자세를 교정, 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레버(11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조정레버(11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면서 작업대 프레임(102)의 방향을 조정하는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조정레버(110)는 두 개 설치되어 있으나, 하나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의 각각에는 좌, 우측프로펠러(211, 221)가 부착되어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측을 향하여 기류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는 속도가 가변 제어되는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상부에는 천정프레임(106)이 설치되고, 상기 천정 프레임(106)의 상부에는 이 천정프레임(106)보다 큰 사이즈의 그늘망 프레임(107)이 설치되며, 상기 천정프레임(106)과 그늘망 프레임(107)의 각각의 꼭지점을 절연로프(108)로 연결하여 헬리콥터에 매달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103)의 상면에는 상기 방향조정레버(110)를 조종하는 방향조정원이 앉을 수 있는 방향조정원 좌석(103a)과, 상기 세정수 주수기(105)를 조종하는 주수기 조정원이 앉을 수 있는 주수기 조정원 좌석(103b)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교정, 즉 작업대 프레임(102)의 방향을 조종하는 방향조정장치는, 방향조정레버(110)와, 상기 방향조정레버(110)의 전후좌우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좌표 검출부(120)와 상기 위치좌표 검출부(120)에 의해 감지된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정해진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 생성기(131)와, ID 정보가 저장된 ID 메모리(132)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 코드에 상기 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을 위한 특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형성하는 데이터 포맷기(133)로 이루어진 코드 가공부(130)와, 상기 포맷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는 송신 제어부(140)와, 상기 송신 제어부(150)의 송신 결정에 따라 상기 포맷 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150)로 구성된다.
피조정물은 상기 방향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좌우측구동모터(210, 220)이다. 상기 피조정물은 상기 방향조정장치의 적외선 송신부(150)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적외선 수신부(201)와, ID 정보가 저장된 ID 메모리(202)와, 상기 수신된 적외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ID 정보와 상기 저장된 ID 정보를 비교하는 ID 비교부(203)와, 상기 수신된 적외선 데이터의 코드를 분석하여 내재된 데이터 코드를 획득하는 코드 분석부(204)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 코드에 따라 구동 모듈(205)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06)로 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작업의 과정을 설명한다.
<담수과정>
작업대 프레임(102)을 취수처에 내려놓고 물탱크(103)에 세정수를 담수한다.
세정수로서는 고압송전선로의 활선애자 세정용임을 감안하여 무기물이 최소한으로 함유된 물, 즉 최소한의 도전성(導電性)을 가지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양 및 이동과정>
담수가 완료되면 천정프레임(106)과 그늘망 프레임(107)의 모서리에 결속된 절연로프(108)를 헬리콥터의 인양절연봉의 자동분리식 커플러에 연결하고 헬리콥터를 이륙시켜 작업대 프레임(102)과 물탱크(103)가 헬리콥터에 매달리도록 하여 세정장소로 비행 이동한다.
<세정과정>
헬리콥터(H)를 세정대상 송전탑(T)의 상공에 정지한 상태로 하고 인양절연봉(R)을 내려뜨려 작업대 프레임(102)이 세정 대상 활선애자 위치로 헬리콥터에서 작업대 프레임(102)에 이르는 높이가 전압별 철탑의 암 간격에 맞추어 작업대 프레임(102)이 하단 암에 위치하고 헬기가 철탑 정판에서부터 약 10m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세정작업자가 주수기 조정원 좌석(103b)에 앉아 세정수 주수기(105)의 주수밸브의 주수밸브조종간을 조작하면 고압펌프(10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가 활선애자에 주수된다.
<자세교정 과정>
상술한 세정과정에서 작업대 프레임(102)과 물탱크(103) 등의 영향으로 인해 작업대 프레임(102)과 물탱크(103)가 수평 회전하여 활선애자에 대한 세정수 주수기(105)에서의 세정수 주수방향이 어긋나는 경우 방향조정원 좌석(103a)에 앉아 있는 자세교정, 즉 방향조정원이 방향조정레버(110)를 전후 좌우로 조종하여 활선애자에 대한 세정수 주수기(105)에서의 세정수 주수 방향을 바로 잡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정수 주수기(105)의 주수 압력이나 기류의 영향으로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방향조정원은 방향조정레버(110)를 우측으로 기울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방향조정레버(110)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그 위치좌표는 위치좌표 검출부(120)에 의해 감지되어 코드 가공부(130)로 전송되고, 코드 가공부(130) 내의 데이터 코드 생성기(131)는 감지된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정해진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데이터 포맷기(133)는 ID 메모리(132)에 저장된 방향조정레버의 ID 정보를 데이터 코드에 포함시켜 신호 전송을 위한 특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형성, 가공한다. 동시에 송신 제어부(140)의 적외선 데이터가 적외선 송신부(150)를 통해 피조정물의 적외선 수신부(201)에 수신되어 구동모듈(205)을 작동, 즉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 우측에 설치된 우측구동모터(220)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 우측구동모터(220)의 축에 연결된 우측프로펠러(221)가 회전하여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켜 작업대 프레임(102)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방향조정원은 방향조정레버(110)를 좌측으로 기울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방향조정레버(110)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피조정물의 구동모듈(205)이 작동, 즉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 좌측에 설치된 우측구동모터(220)를 구동 그 속도가 가속되어 이 좌측구동모터(210)의 축에 연결된 우측프로펠러(211)가 회전하여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작업대 프레임(102)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자세를 교정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와 좌, 우측프로펠러(211, 221) 대신에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 양측면에 좌, 우측제트엔진(230, 240)이 설치된 것이다.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 우측제트엔진(230, 240)은 기관 내부에서 가압된 유체를 제트 노즐에서 분류(jet)로 분출할 때의 반동으로 추진력을 얻는 기관. 일반적으로 공기를 흡입해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가스를 만드는 열기관을 말한다. 따라서 제트엔진은 대기권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트엔진은 공기흡입구, 압축기, 연소기, 터빈, 제트노즐, 애프터버너 및 연료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는 공기의 유속(流速)을 더디게 하고 압력을 높여 압축기에 유도하는 곳이고, 압축기는 축류형(軸流型)과 원심형이 있으며, 흡입된 공기를 디젤엔진과 같은 정도까지 압축하기 위해 많은 단계를 거쳐 압축한다.
상기 연소기는 흔히 8~9개의 관형(管形)을 사용하고 도넛 모양의 연소실도 사용된다. 연료는 연소실의 상류(上流 ; 1차 연소실)에 분사 연소된다.
그 후 2차 공기를 넣어 연소 가스 온도를 낮게 해 터빈에 유도한다.
상기 터빈은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축류형과 원심형의 2종이 있는데, 압축기보다 단수는 적다.
상기 제트노즐은 제트를 비행속도에 가장 알맞게 제어하는 부분이며, 가변면적의 노즐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제트엔진에서는 제트노즐로부터 방출된 분류가 그 고도의 대기압과 동등해야 이상적이며, 분류가 대기압이 되도록 면적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애프터버너는 터빈 통과 후의 연료가스에 연료를 첨가해 다시 고온으로 올리는 장치로서, 대추력(大推力)을 단시간 동안 필요로 할 때 사용된다.
상기 좌, 우측제트엔진(230, 240)은 터보제트엔진(turbo-jet engine), 터보프롭엔진(turbo-prop engine), 터보팬제트엔진(turbo-fan-jet engine), 램제트엔진(ram-jet engine), 펄스제트엔진(pulse-jet engine) 및, 리프트엔진(lift engine) 중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터보제트엔진(turbo-jet engine)은 흡입된 공기를 압축기로 압축하고 연료실에서 연료를 분사연소시켜 터빈을 구동한 후 제트노즐을 통해 분류로서 분출한다. 애프터버너를 가진 것이 많고, 이는 제트엔진의 주력이었으나, 대형 비행기용으로는 연료 소비량이 적은 대추력 엔진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중형, 소형으로 한정되어 있다.
상기 터보프롭엔진(turbo-prop engine)은 터보제트에 프로펠러 구동용 터빈을 달고 추력의 대부분을 프로펠러로 얻으므로 가스 터빈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대출력 왕복기관(往復機關)으로는 무거워지므로 대형, 중형의 프로펠러 비행기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터보팬제트엔진(turbo-fan-jet engine)은 터보제트 압축기의 앞이나 터빈의 뒤에 덕트팬(ducted fan)을 달고 흡입 된 공기의 일부분을 터보제트에 넣어 터보제트의 출구에서 나머지 공기를 혼합하거나 그대로 터보제트의 노즐과는 별도로 분출하는 엔진이다. 이는 팬 구동 때문에 터빈을 통과한 가스 온도가 저하되어 제트노즐 출구에서 대기온도에 가까워져 효율이 오르고 팬에 의해 큰 추력이 얻어지므로 전체의 열효율이 높아진다. 대추력, 저연료(低燃料) 소비량의 특성 때문에 제트엔진의 주력이 되고 있다.
상기 램제트엔진(ram-jet engine)은 비행속도가 고속이 되면 기관 내부에서 유속을 더디게 하기만 해도 압력과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고, 압축기가 없어도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온도가 된다. 램제트는 이 원리를 이용한다. 압축기와 터빈이 불필요하며 초음속기에 적합한 엔진이다.
상기 펄스제트엔진 (pulse-jet engine)은 앞 가장 자리에 자동 밸브가 있어 엔진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공기를 흡입한다. 연소시키면 분류가 제트노즐에서 분출해 엔진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밖에서 공기가 자동 밸브를 통해 흡입되어 유속이 느려지면 압력과 온도가 상승한다. 연료를 분사하면 더욱 압력이 상승해 자동 밸브가 닫혀지고 분류가 제트노즐에서 분출된다.
상기 리프트엔진 (lift engine)은 수직이착륙기(VTOL), 단거리이착륙기(STOL)용이며, 이륙할 때 일시적으로 수직방향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제트엔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1 : 바닥판 102 : 작업대 프레임
103 : 디귿자형 물탱크 104 : 고압펌프
105 : 세정수 주수기 106 : 천정프레임
107 : 그늘망 프레임 108 : 절연로프
110 : 방향조정레버 210, 220 : 좌, 우측구동모터
211, 221 : 좌, 우측프로펠러 230, 240 : 좌, 우측제트엔진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바닥판(101)이 부착되고, 상부에는 천정프레임(106)이 설치되며, 상기 천정 프레임(106)의 상부에 이 천정프레임(106)보다 큰 사이즈의 그늘망 프레임(107)이 설치되며, 상기 천정프레임(106)과 그늘망 프레임(107)의 각각의 꼭지점을 절연로프(108)로 연결하여 헬리콥터에 매달도록 된 사각박스형 작업대 프레임(102)과;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바닥판(101) 위에 디귿자형으로 부착된 물탱크(103)와;
    상기 디귿자형 물탱크(103)의 중앙 홈에 설치되어 물탱크(103)에 담수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고압펌프(104)와; 상기 고압펌프(10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주수하도록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세정수 주수기(105)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어 이 작업대 프레임(102)의 자세를 교정, 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레버(110)와; 상기 방향조정레버(110)의 전후좌우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좌표 검출부(120)와; 상기 위치좌표 검출부(120)로부터 감지된 위치좌표에 해당하는 정해진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코드 생성기(131)와, ID 정보가 저장된 ID 메모리(132),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 코드에 상기 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을 위한 특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형성하는 데이터 포맷기(133)로 이루어진 코드 가공부(130)와; 상기 포맷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는 송신 제어부(140)와; 상기 송신 제어부(150)의 송신 결정에 따라 상기 포맷 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150)로 구성된 방향조정장치; 및,
    상기 작업대 프레임(102)의 후방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조정레버(110)의 작동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면서 작업대 프레임(102)에 전방측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좌, 우측프로펠러(211, 221)를 회전시켜 작업대 프레임(102)의 방향을 조정하는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정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피조정물인 좌, 우측구동모터(210, 220)는, 상기 방향조정장치의 적외선 송신부(150)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 받는 적외선 수신부(201)와;
    ID 정보가 저장된 ID 메모리(202)와;
    상기 수신된 적외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ID 정보와 상기 저장된 ID 정보를 비교하는 ID 비교부(203)와;
    상기 수신된 적외선 데이터의 코드를 분석하여 내재된 데이터 코드를 획득하는 코드 분석부(204)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 코드에 따라 구동 모듈(205)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10089201A 2011-09-02 2011-09-02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KR10112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01A KR101127119B1 (ko) 2011-09-02 2011-09-02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01A KR101127119B1 (ko) 2011-09-02 2011-09-02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119B1 true KR101127119B1 (ko) 2012-03-22

Family

ID=4614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201A KR101127119B1 (ko) 2011-09-02 2011-09-02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1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7168A (zh) * 2013-11-22 2014-02-12 刘伟华 免登高绝缘子自动擦洗器
CN105071289A (zh) * 2015-07-24 2015-11-18 彭倍 一种高压线路异物清除装置
CN113945768A (zh) * 2021-10-15 2022-01-18 沈阳建筑大学 一种吸附式绝缘子污秽在线清除装置及方法
CN116039932A (zh) * 2023-01-31 2023-05-02 大唐河南清洁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蒸汽除冰装置及除冰方法
KR20230164374A (ko)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라스트마일 활선애자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655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추진 및 조타 장치
KR100948171B1 (ko) * 2009-02-27 2010-03-16 주식회사 삼성전력항공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KR20110083656A (ko) * 2008-10-08 2011-07-20 시리트 엘엘씨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팬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엔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655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추진 및 조타 장치
KR20110083656A (ko) * 2008-10-08 2011-07-20 시리트 엘엘씨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팬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엔진
KR100948171B1 (ko) * 2009-02-27 2010-03-16 주식회사 삼성전력항공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7168A (zh) * 2013-11-22 2014-02-12 刘伟华 免登高绝缘子自动擦洗器
CN103567168B (zh) * 2013-11-22 2015-11-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免登高绝缘子自动擦洗器
CN105071289A (zh) * 2015-07-24 2015-11-18 彭倍 一种高压线路异物清除装置
CN105071289B (zh) * 2015-07-24 2017-05-24 彭倍 一种高压线路异物清除装置
CN113945768A (zh) * 2021-10-15 2022-01-18 沈阳建筑大学 一种吸附式绝缘子污秽在线清除装置及方法
CN113945768B (zh) * 2021-10-15 2024-02-09 沈阳建筑大学 一种吸附式绝缘子污秽在线清除装置及方法
KR20230164374A (ko)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라스트마일 활선애자 세척장치
CN116039932A (zh) * 2023-01-31 2023-05-02 大唐河南清洁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蒸汽除冰装置及除冰方法
CN116039932B (zh) * 2023-01-31 2023-09-05 大唐河南清洁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蒸汽除冰装置及除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119B1 (ko)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AU2013375961B2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U2003246915B2 (en) Ducted air power plant
CN102501969B (zh) 一种旋翼桨尖喷气式单人飞行器
CA2731205C (en) Personal flight device incorporating radiator cooling passage
CN109415120A (zh) 无人机
CN105691623B (zh) 用于航空燃气涡轮发动机的可变节距安装
NZ538630A (en) Propulsion device for a personal flight device with fans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CN104481696A (zh) 一种对转式外骨架水空两用发动机
CN108502188A (zh) 一种植保无人机喷洒作业风场测试系统及方法
KR100948171B1 (ko) 헬리콥터를 이용한 현수식 활선애자 세정장치
CA2599342C (en) Propulsion device
JP7129220B2 (ja) 高高度到達装置
BG61837B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летене
CN109998431A (zh) 墙顶清洁无人机
CN210126641U (zh) 一种弥雾植保无人机
US3481405A (en) Fire fighting aircraft
CN209776810U (zh) 一种用于混合动力无人机的喷射后坐力消除装置
CN106364665A (zh) 飞行动力系统及飞行器
CN206155761U (zh) 带有喷气式推进器的飞飘飞行器
CN202464126U (zh) 一种旋翼桨尖喷气式单人飞行器
US2949737A (en) Helicopter including a jet driven rotor and drive system
CN113879546A (zh) 空中可调喷射角度涡喷制雾系统
GB63206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jet driven helicopter rotors
CN214903370U (zh) 一种5g通信用驱鸟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