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73B1 -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73B1
KR101124773B1 KR1020090078862A KR20090078862A KR101124773B1 KR 101124773 B1 KR101124773 B1 KR 101124773B1 KR 1020090078862 A KR1020090078862 A KR 1020090078862A KR 20090078862 A KR20090078862 A KR 20090078862A KR 101124773 B1 KR101124773 B1 KR 10112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ontact
contact portion
dome
ou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210A (ko
Inventor
정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콘스
Priority to KR102009007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선부를 구비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중앙접점부재와; 상기 중앙접점부 둘레에 마련되는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와, 상기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접점부재로부터 이격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외측접점부재와;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 외부에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와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는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다도록 마련된 몰딩체와; 외주부를 통해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된 돔부재와; 상기 돔부재를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접착시트;를 포함하여 보다 얇은 두께로 갖도록 마련된 돔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DOME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돔 스위치는 돔부재의 반전 동작을 통해 스위치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마련된 스위치를 말한다.
종래 돔 스위치는 먼저 사출물로 마련된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 상부 중앙에는 금속 메탈로 마련된 돔부재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마련되며, 사출된 상태의 케이스에는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접점부재가 장착된다.
각 접점부재는 통상 소정두께의 금속판체를 통해 가공된 것으로,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가 수용홈 내부에 위치되도록 케이스에 장착된다. 이때 외측접점부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돔부재의 외주부에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중앙접점부는 돔부재의 중앙부 직하방에 위치되어 중앙부의 반전 동작시 돔부재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각 접점부재의 말단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어 접속부를 형성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돔스위치는 돔부재 중앙부의 반전여부에 따라 스위치 신호를 얻게 된다.
또한 돔스위치는 돔부재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돔부재 상부에 마련되는 누름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누름부재는 별도의 고정물을 통해 돔부재 상부에 승강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며, 돔부재는 이러한 누름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련되는 종래 돔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돔스위치는 케이스를 먼저 제작한 상태에서 접점부재를 케이스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다시 돔부재와 누름부재를 케이스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작공정수가 많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실질적으로 스위치 동작을 구현하는 돔부재 상부에 누름부재를 더 적층하여 마련되는 종래 돔스위치는 누름부재로 인해 수직방향 두께가 커지게 되므로, 최근 유행하고 있는 슬림형 핸드폰과 같은 슬림형 제품에 적용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얇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는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선부를 구비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중앙접점부재와; 상기 중앙접점부 둘레에 마련되는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와, 상기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접점부재로부터 이격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외측접점부재와;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 외부에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와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는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다도록 마련된 몰딩체와; 외주부를 통해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된 돔부재와; 상기 돔부재를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접점부와 외측접점부는 상기 돔부재와의 접촉을 위한 상측이 상기 몰딩체 외면으로 노출되고 하측이 상기 몰딩체에 인서트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접점부의 높이가 상기 제1연결부보다 높게 되고 상기 외측접점부의 높이가 상기 제2연결부보다 높게 되도록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는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딩체에는 상기 돔부재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마련되되, 상기 중앙접점부는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접점부는 중앙접점부 외측의 상기 안착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안착홈에는 상 기 외측접점부와 함께 상기 돔부재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몰딩체와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접점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접점부의 높이와 같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배선부와 제2배선부는 상기 몰딩체 내부에 상기 몰딩체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돔 스위치 제조방법은 플랙시블한 금속시트를 절단 및 가압하여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를 상대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금속시트에 연결된 상태로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 금속시트의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 쪽을 금형에 인서트 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 내부로 절연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몰딩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외주부가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상기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몰딩체에 배치되는 상기 돔부재를 상기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돔부재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돔스위치는 각각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를 형성하는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가 플랙시블한 얇은 금속시트를 통해 마련되어 돔스위치의 전체적인 수직방향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금속시트 재질의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는 플랙시블 할 정도로 얇게 형성되면서도 그 외부로 사출되는 몰딩체를 통해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 쪽이 돔스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되며, 뼈대가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의 일부를 통해 형성하게 되는 몰딩체의 경우 다소 얇게 형성되더라도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돔 스위치의 슬림화에도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가 플랙시블하게 얇은 금속시트를 절단 및 밴딩하여 제작됨으로써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의 성형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는 상기 금속시트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금형을 거치면서 그 외부로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해 외부에 상기 몰딩체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금속시트에 연결된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는 이러한 수지의 사출시에도 상호 간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상대 위치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몰딩체를 형성하는 수지의 사출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따르면,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와 몰딩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및 돔부재를 고정시키는 돔부재고정단계가 권취롤러에 감겨진 금속시트를 이송롤러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수행되므로, 돔스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제조 할 수 있게 되어 돔스위치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중앙접점부(11)를 구비하는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를 구비하는 외측접점부재(20)와, 외주부(31)가 외측접점부(21a,21b,21c,21d)에 접촉되고 중앙부(32)가 반전 동작시 중앙접점부(11)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돔부재(30)를 구비하여 스위치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마련된다.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중앙접점부재(10)는 상기 중앙접점부(11) 및 제1접속부(12,13)와, 중앙접점부(11)와 제1접속부(12,13)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선부(14)를 구비하고, 외측접점부재(20)는 제2접속부(22,23) 및 중앙접점부(11)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제2접속부(22,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밴선부(24)를 구비하며, 이러한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는 각각 플랙시블한 금속시트(1)를 절단 및 밴딩시켜 가공된 것으로 판상이 아닌 얇은 시트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와 같이 접점부재(10,20)를 플랙시블 한 성질을 가질 정도로 얇은 시트형태로 가공하는 것은 돔스위치(A)의 수직방향 두께를 얇게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는 그 외부로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재질의 몰딩체(4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또 몰딩체(40)는 중앙 및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제1 및 제2접속부(12,13,22,23)는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14,24)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다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제1 및 제2배선부(14,24)는 몰딩체(40) 내부와 완전히 인서트 되고, 제1 및 제2접속부(12,13,22,23)는 몰딩체(40) 외부로 노출된다. 또 중앙접점부(11)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는 돔부재(30)와의 접촉을 위해 상측은 몰딩체(40) 상부 외면으로 노출되고 하측은 몰딩체(40)에 인서트 되는데, 하측이 몰딩체(40)에 인서트 된 상태로 몰딩체(40)에 지지되는 중앙접점부(11)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는 플랙시블한 성질이 없어지게 되어 중앙부(32)의 반전을 위해 가압되는 돔부재(3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중앙 및 외측접점부(21a,21b,21c,21d)는 상측이 몰딩체(40) 외면으로 노출되고 제1 및 제2배선부(12,13,22,23)는 몰딩체(40)에 완전히 인서트 되어야 하므로,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는 중앙접점부(11)의 높이가 제1배선부(14)보다 높게 되고 외측접점부()의 높이가 제2배선부(24)보다 높게 되도록 부분적으로 높이가 다르게 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의 밴딩처리시 제1 및 제2접속부(12,13,22,23)의 높이는 돔스위치(A)를 실장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접속부(12,13,22,23)가 기판에 접속될 수 있게 제1 및 제2배선부(12,13,22,23)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 및 외측접점부(21a,21b,21c,21d)끼리의 높이와 제1 및 제2접속부(12,13,22,23) 끼리 높이와 제 1 및 제2배선부(14,24) 끼리의 높이는 모두 같게 마련된다.
그리고 몰딩체(40)는 제1 및 제2배선부(14,24) 전체와 중앙 및 외측접점부(21a,21b,21c,21d)의 하측이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의 외면에 얇게 입혀진 상태에서도 중앙접점부(11)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므로, 돔스위치(A)를 전체 두께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몰딩체(40)는 대략 얇은 사각판 형태로 마련되는데, 몰딩체(40) 내부에 완전히 인서트 되는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14,24) 중 제2배선부(24)는 대략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몰딩체(40)의 3변의 안쪽에 배치되고 제1배선부(14)는 중앙접점부(11)와 연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대략 일자 형태로 마련되어 몰딩체(40)의 나머지 1변의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중앙접점부재(10)의 제1배선부(14)와 외측접점부재(20)의 제2배선부(24)는 몰딩체(40)의 뼈대를 이루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몰딩체(40)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하게 된다 .즉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와 몰딩체(40)는 개별적으로는 각각 얇게 형성되어 충분한 강성획득이 어려우나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호 간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하여 돔스위치(A) 전체적으로는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게 된다.
한편, 몰딩체(4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돔부재(30)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41)은 돔부재(30)의 가압시 상기 중앙부(32)의 반전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돔부재(30)의 외곽을 다소 여유 있게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몰딩체(40) 상부 표면으로 노출되는 중앙접점부(11)와 외측접점부(21a,21b,21c,21d) 중 중앙접점부(11)는 돔부재(30)의 중앙부(32) 직 하방이 되는 안착홈(41)의 중앙에 위치되고, 외측접점부(21a,21b,21c,21d)는 돔부재(30)의 외주부(31)에 대응하는 중앙접점부(11) 외측의 안착홈(41)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접점부(21a,21b,21c,21d)는 총 4개로 구성되는데, 이중 한 쌍의 외측접점부(21b,21c)는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어 상호 180도 각으로 배치되는 나머지 2개의 외측접점부(21a,21d)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외측점점부(21a,21b,21c,21d)는 안착홈(41) 둘레를 따라 3군데에 대략 상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안착홈(41)에 안착되는 돔부재(30)가 기본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외측접점부(21a,21b,21c,21d)의 경우 가능하면 돔부재(30)의 외주부(31)를 더욱 고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외측접점부(21a,21b,21c,21d)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금속시트(1)를 절단하고 밴딩시키는 작업이 추가되기 때문에, 외측접점부(21a,21b,21c,21d)를 많이 형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착홈(41)에는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함께 상기 돔부재(30)의 외주부(31)를 지지하도록 지지부(42,43,44)가 마련되며, 이러한 지지부(42,43,44)는 상기 몰딩체(40)와 일체로 사출되어 제작이 간편하다.
즉, 몰딩체(40)는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10,20)를 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형 내부로 수지를 주임함으로써 형성되므로, 몰딩체(40)와 일체로 사출되는 지지부(42,43,44)는 금형의 형태만 결정되면 몰딩체(40)의 매 사출시마다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42,43,44)는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함께 돔부재(30)의 외주부(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며,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함께 외주부(31)를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접점부(21a,21b,21c,21d)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A)는 돔부재(30)의 외주부(31)가 복수개의 외측접점부(21a,21b,21c,21d) 및 외측접점부(21a,21b,21c,21d)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42,43,44)에 의해 항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또 안착홈(41)에 안착된 돔부재(30)를 몰딩체(4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A)는 접착시트(50)를 더 구비한다.
접착시트(50)는 일면에 점착물이 마련된 얇은 합성수지재질의 시트 형태로 마련되어 중앙부가 돔부재(30)의 상면을 덮고 외곽면이 안착홈(41) 둘레의 몰딩체(41) 상면에 부착되도록 돔부재(30) 상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돔부재(30)가 얇은 시트형태의 부착시트(50)를 통해 몰딩체(40)에 고정되는 돔스위치(A)는 돔부재(30)의 고정을 위한 구조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질 우려가 없어 슬림화에 더욱 유 리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를 제조하기 위한 돔스위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돔스위치(A)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1)를 절단 및 가압하여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를 상대 위치가 정렬되도록 상기 금속시트(1)에 연결된 상태로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S10)와, 금속시트(1)의 상기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 쪽을 금형에 인서트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 내부로 절연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몰딩체(40)를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20)와, 외주부(31)가 상기 외측접점부(21a,21b,21c,21d)에 접촉되고 상기 중앙부(32)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11)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몰딩체(40)에 배치되는 상기 돔부재(30)를 상기 접착시트(50)를 이용하여 몰딩체(40)에 고정시키는 돔부재고정단계(S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조된다.
프레스성형단계(S10)에서는 귄취롤러(미도시)에 감긴 도 6 상태의 상기 금속시트(1)를 이송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프레스성형기계 쪽으로 이송시키면서 프레스성형기계를 지나는 상기 금속시트(1)를 프레스성형기계를 통해 절단 또는 밴딩되도록 가압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금속시트(1) 상에 상기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금속시트(1) 양측에는 걸림홀(1a)이 형성되는데, 상기 권취롤러(미도 시)과 이송롤러(미도시)에는 상기 걸림홀(1a)에 걸리도록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귄취롤러(미도시)에 권취된 금속시트(1)가 이송롤러(미도시)의 이송 동작시 상기 프레스성형기계 쪽으로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금속시트(1) 상에 프레스 성형된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는 각각 연결부(15,25)에 의해 금속시트(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연결부(15,25)에 연결된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는 상호 간의 간격이나 위치 등의 상대 위치가 돔스위치(A)에 적용될 상태 그대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스성형단계(S10)는 상대 위치가 정렬된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 한 쌍이 금속시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성형되도록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프레스성형단계(S10)가 완료된 금속시트(1)는 사출성형단계(S20)가 되면 상기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금형 사이를 통과하게 하게 되는데, 이때 한 쌍의 금형은 그 사이에 상기 몰딩체(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대 위치가 정렬된 한 쌍의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가 한 쌍의 금형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성형공간에는 몰딩체(40)를 형성하기 위한 절연성 수지가 주입된다. 이때 연결부(15,25)를 통해 상대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금속시트(1) 상에 연결되어 있는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는 수지 사출에 따른 충격에도 유동됨이 없이 상호 위치가 정렬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대 위치가 정렬된 고정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 재(20)에는 상기 몰딩체(40)가 안정적으로 사출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에는 이와 같이 몰딩체(40)가 사출된 금형시트(1)의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사출성형단계(S20) 이후 상기 돔부재고정단계(S30)에서는 사출성형단계(S20)를 거친 금속시트(1)가 계속해서 돔부재공급장치와 접착시트부착장치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이송된다.
먼저 돔부재공급장치는 금속시트(1) 상의 몰딩체(40)에 돔부재(30)를 하나씩 공급하여 돔부재(30)가 몰딩체(40)의 안착홈(41)에 안착되도록 한다. 안착홈(41)에 안착된 돔부재(30)는 외주부(31)가 외측접점부(21a,21b,21c,21d)와 상기 지지부(42,43,44)에 지지된 상태로 외측접점부(21a,21b,21c,21d)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중앙부(32)가 반전시 중앙접점부(11)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1에는 돔부재가 몰딩체의 안착홈에 안착된 금속시트(1)의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접착시트부착장치는 돔부재(30)가 안착홈(41)에 안착된 몰딩체(40)의 상면으로 접착시트(50)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접착시트(50)가 돔부재(30)와 안착홈(41) 둘레의 몰딩체(40) 상면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몰딩체(40)에 돔부재(30)를 고정시키며, 이를 통해 금속시트(1) 상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돔스위치(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은 돔부재고정단계(S30)를 거친 금속시트(1)로부터 각각의 돔스위치(A)를 분리해 내는 분리단계(S40)와, 금속시트(1)로부터 분리된 돔스위치(A)를 포장하는 포장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참조)
분리단계(S40)에서는 돔부재고정단계(S30)를 거친 금속시트(1)를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절단기 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부(15,25)를 잘라냄으로써, 금속시트(1)로부터 각각의 돔스위치(A)를 분리하게 되며, 포장단계(S5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2)를 이용하여 돔스위치(A)들을 포장하게 된다. 캐리어(2)에는 복수개의 수용홈(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각각의 돔스위치(a)는 캐리어(2)의 수용홈(2a)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2a)을 덮도록 캐리어(2)에 부착되는 커버테이프(3)에 의해 캐리어(2)에 고정되도록 포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가 플랙시블하게 얇은 금속시트(1)를 절단 및 밴딩하여 제작됨으로써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의 성형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는 상기 금속시트(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금형을 거치면서 그 외부로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에 의해 외부에 상기 몰딩체(4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금속시트(1)에 연결된 중앙접점부재(10)와 외측접점부재(20)는 이러한 수지의 사출시에도 상호 간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상대 위치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수지의 사출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은 전술한 프레스성형단계(S10)와 사출성형단계(S20) 및 돔부재고정단계(S30)가 권취롤러(미도시)에 감겨진 금속시트(1)를 이송롤러(미도시)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수행되므로, 이러한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돔스위치(A)를 보다 신속하게 제조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절취선 x-x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금속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중 프레스성형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금속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중 사출성형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금속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중 돔부재고정단계에서 돔부재가 안착된 상태의 금속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중 돔부재고정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금속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돔스위치 제조방법 중 포장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금속시트 10: 중앙접점부재
11: 중앙접점부 20: 외측접점부재
21a,21b,21c,21d: 외측접점부 30: 돔부재
40: 몰딩체 41: 안착홈
42,43,44: 지지부 50: 접착시트

Claims (8)

  1.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선부를 구비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중앙접점부재와;
    상기 중앙접점부 둘레에 마련되는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와, 상기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접점부재로부터 이격되는 플랙시블한 금속시트 재질의 외측접점부재와;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 외부에 사출되는 절연성 수지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와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는 전기적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몰딩체와;
    외주부를 통해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된 돔부재와;
    상기 돔부재를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체에는 상기 돔부재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마련되되,
    상기 중앙접점부는 상기 안착홈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외측접점부는 중앙접점부 외측의 상기 안착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외측접점부와 함께 상기 돔부재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몰딩체와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접점부와 외측접점부는 상기 돔부재와의 접촉을 위한 상측이 상기 몰딩체 외면으로 노출되고 하측이 상기 몰딩체에 인서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접점부의 높이가 상기 제1배선부보다 높게 되고 상기 외측접점부의 높이가 상기 제2배선부보다 높게 되도록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는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접점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접점부의 높이와 같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부와 제2배선부는 상기 몰딩체 내부에 상기 몰딩체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8.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와, 상기 중앙접점부와 제1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선부를 구비하는 중앙접점부재와; 상기 중앙접점부 둘레에 마련되는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와, 상기 외측접점부와 제2접속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접점부재로부터 이격되는 외측접점부재와;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 외부에 사출되어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중앙 및 외측접점부와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는 전기적 접속을 허용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선부는 전기적 접속을 차단되도록 마련된 몰딩체와; 외주부를 통해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된 돔부재와; 상기 돔부재를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돔 스위치를 제조하기 위해
    플랙시블한 금속시트를 절단 및 가압하여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를 상대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금속시트에 연결된 상태로 성형하는 프레스성형단계와;
    상기 금속시트의 상기 중앙접점부재와 외측접점부재 쪽을 금형에 인서트시킨 상태에서 상기 금형 내부로 절연성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몰딩체를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외주부가 상기 외측접점부에 접촉되고 상기 중앙부가 반전시 상기 중앙접점부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몰딩체에 배치되는 상기 돔부재를 상기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몰딩체에 고정시키는 돔부재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제조방법.
KR1020090078862A 2009-08-25 2009-08-25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2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62A KR101124773B1 (ko) 2009-08-25 2009-08-25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62A KR101124773B1 (ko) 2009-08-25 2009-08-25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10A KR20110021210A (ko) 2011-03-04
KR101124773B1 true KR101124773B1 (ko) 2012-04-13

Family

ID=4393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862A KR101124773B1 (ko) 2009-08-25 2009-08-25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496A1 (ko) * 2012-11-19 2014-05-22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622B1 (ko) * 2013-05-09 2014-05-29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KR101361306B1 (ko) * 2012-11-19 2014-02-12 주식회사 포콘스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589A (ja) * 1997-03-10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6082A (ja) 2004-09-17 2006-03-30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US20080047808A1 (en) 2006-07-11 2008-0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switch
JP2008243474A (ja) 2007-03-26 2008-10-09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589A (ja) * 1997-03-10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6082A (ja) 2004-09-17 2006-03-30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US20080047808A1 (en) 2006-07-11 2008-0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switch
JP2008243474A (ja) 2007-03-26 2008-10-09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10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9287C (zh) 用于生产天线部件的方法
KR101506500B1 (ko) 케이스와 안테나 방사체가 모듈화 된 휴대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및 케이스의 제조방법
US9859535B2 (en) Pouch-typ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24773B1 (ko) 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76423B1 (ko) 휴대폰 케이스의 휴대폰 고정 장치
US9526188B2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box
US20050054239A1 (en) Structure for engaging blades with an inner frame of a plug
US20080261109A1 (en) Packaging process for slim batteries and products thereof
US11303071B2 (en) Connector having spacer enhancing connections with conta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90857B2 (ja) 挿入絶縁体モールドバッテリ接点および製造方法
US9106006B2 (en) Connector hav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11477576B2 (e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product with elastic connection sheet, and loudspeak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90151697A1 (en) Floor mat structure and floor mat assembly
KR102187172B1 (ko) 커브드 케이스용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커브드 이차전지 제조방법
US10051757B1 (en) Electronic package module
US9912056B2 (en) Multiband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318513B2 (en) Method of encapsulating light-emitting diode devices using bent frames
JP2007538394A (ja) プリント基板、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11372170A (zh) 振膜和发声装置
US11837836B2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onnector having upper and lower contacts from a first carrier and two discrete middle shielding plates from a second carrier
CN114336135B (zh) 一种Pogo pin连接器及制程工艺
KR101898935B1 (ko) 프레임 체결 장치
CN213279754U (zh) 一种手机听筒的防护堵头
US11342703B2 (en) Connector
CN113990357B (zh) 固定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