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61B1 - 카트리지형 제빵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제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61B1
KR101124661B1 KR1020110066794A KR20110066794A KR101124661B1 KR 101124661 B1 KR101124661 B1 KR 101124661B1 KR 1020110066794 A KR1020110066794 A KR 1020110066794A KR 20110066794 A KR20110066794 A KR 20110066794A KR 101124661 B1 KR101124661 B1 KR 10112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aking
groove
bakery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석
Original Assignee
김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석 filed Critical 김헌석
Priority to KR102011006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1Baking-tins; Baking forms removable, foldable or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는, 내부에 제빵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입출되는 제빵실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빵실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데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빵재료는 재플(jaffle),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어느 하나의 재료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형성된 제빵실을 가진 카트리지데크와, 상기 제빵실과 대응되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 카트리지가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재플,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하나를 만들 수 있도록 그 내부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그 제빵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제빵기{Cartridge type apparatus for baking}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제빵기로서,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그 제빵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빵기가 사용되는데, 토스트와 같이 가정에서 용이하게 만들어 먹기 위해, 토스터가 이용된다.
이때, 토스터는 상방개구된 구조로서 상측으로부터 이물질이 내부에 인입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붕어빵과 더불어 와플, 핫케익, 재플을 즐겨 먹는다.
이 중에서도 특히 브런치로서 재플을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이러한 제플과 함께 상술된 여러 가지 빵들을 만들 수 있는 제빵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상기 빵들을 후라이팬 등과 같은 요리기구를 통하여 만들 수도 있겠지만, 이들을 전용으로 편리하게 제빵할 수 있는 제빵기가 없다. 나아가, 일례로서 단순한 요리기구를 이용하면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등도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그때그때 정하여 하게 되면, 맛있는 빵을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2001-0005351호와 같은 붕어빵 구이기가 개발되고 있지만,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도 편리하게 제빵을 할 수 있는 제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그 제빵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는, 내부에 제빵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입출되는 제빵실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빵실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데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빵재료는 재플(jaffle),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어느 하나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하면에 상부홈이 형성된 상부틀; 및 상기 상부틀과 힌지로 연결되며, 상면에 하부홈이 형성된 하부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이 맞대는 경우,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제빵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데크의 제빵실에 인입된 후 서로 맞대어 있는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높이는 상기 카트리지데크의 제빵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실시예로서, 상기 재플을 만들기 위해 상기 재플의 재료인 식빵의 테두리가 압박되도록,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테두리가 사각형상이면서, 내측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프레스돌출라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예로서 상기 핫케익을 만들기 위해,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테두리가 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3 실시예로서, 상기 와플을 만들기 위해,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테두리가 원형상이고,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내면에 빗살무늬 홈라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제4 실시예로서, 상기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붕어의 측부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제5 실시예로서, 상기 쿠키를 만들기 위해,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쿠키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6 실시예로서, 토스트, 피자, 부침개와 같은 얇고 넙적한 음식을 만들거나 데우기 위해,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특정한 형상을 지니지 않고 적정한 넓이의 면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의 내면이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틀은 제1 단열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틀은 상기 제1 단열손잡이와 대응되는 제2 단열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열손잡이 및 제2 단열손잡이의 단부에는 서로에 대해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데크는, 상기 제빵실이 다단으로 형성된 데크본체; 상기 제빵실을 감싸면서 상기 데크본체에 내장된 발열코일; 및 상기 데크본체 내에서 상기 발열코일 둘레에 설치된 단열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카트리지데크는, 상기 제빵실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빵실의 개구부가 커지도록, 상기 제빵실의 개구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판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데크에는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조건을 제어하도록 제어판넬이 구성되며, 상기 제어판넬은,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 및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는, 다단으로 형성된 제빵실을 가진 카트리지데크와, 상기 제빵실과 대응되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 카트리지가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재플,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하나를 만들 수 있도록 그 내부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그 제빵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에서 상부틀과 하부틀을 벌려서 그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카트리지형 제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빵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제빵'에서의 '빵'은,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을 전체적으로 일컬을 뿐만 아니라, 사전적 의미와 같이 곡물(밀가루 등)을 주원료로 하여 소금, 설탕, 버터, 효모 따위를 섞어 반죽하여 발효한 뒤에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을 일컬어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제빵기의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트리지에서 상부틀과 하부틀을 벌려서 그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트리지(20)형 제빵기는 제빵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20)와, 상기 카트리지(20)가 입출되는 제빵실(43)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제빵실(43)이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데크(40)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20)는 제빵재료가 수용되어 가열됨에 따라 제빵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제빵재료는 재플(jaffle),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어느 하나의 재료이다.
이러한 카트리지(20)는,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서로 연결체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부틀(21)과 하부틀(22)은 힌지(23)로 서로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틀(21)은 하면에 내측으로 들어간 상부홈(21a)이 형성되고, 하부틀(22)은 상면에 내측으로 들어간 하부홈(2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맞대는 경우, 상기 상부홈(21a)과 하부홈(22a)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카트리지(20) 내부에 제빵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20)는 그 구조적인 측면에 있어서, 높이(h)가 카트리지데크(40)의 제빵실(43) 높이(H)와 대응된다.
즉,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데크(40)의 제빵실(43)에 인입된 후 서로 맞대어 있는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벌어지지 않도록, 카트리지(20)의 높이(h)를 카트리지데크(40)의 제빵실(43) 높이(H)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20)는 그 높이가 카트리지데크(40)의 제빵실 높이(H)와 동일하게 됨으로써, 제빵실(43)에 인입 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며, 인입된 후에는 제빵실(43)의 상면과 하면에 의해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서로 맞대어 있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2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손상될 수 있는 내부면을 보호하고, 제빵재료들이 고열에 의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홈(21a)과 하부홈(22a)의 내면이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카트리지(20)에서 상부틀(21)은 제1 단열손잡이(21b)를 구비하고, 하부틀(22)은 상기 제1 단열손잡이(21b)와 대응되는 제2 단열손잡이(22b)를 구비한다.
이는 카트리지(20)의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서로 맞대어 있는 경우에, 제1 단열손잡이(21b)와 제2 단열손잡이(22b)도 서로 맞대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면서 그립하기 용이한 구조 및 형상을 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단열손잡이(21b)와 제2 단열손잡이(22b)는,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용이한 형상을 지닌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단열손잡이(21b) 및 제2 단열손잡이(22b)는 서로에 대해 착탈되도록 단부에 잠금부(25)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25)는 일례로서 제1 단열손잡이(21b)가 걸쇠돌기(25a) 형상을 취하고 제2 단열손잡이(22b)가 걸쇠홀 또는 걸쇠홈(25b)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착탈되는 기능만 수행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그 구조 또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20)는, 다양한 형상을 지닌 하부홈(22a)(22a')(22a'')(22a''')을 가진 하부틀(22)(22')(22'')(22''')과,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부홈(21a)(21a')(21a'')(21a''')을 가진 상부틀(21)(21')(21'')(21''')을 각각 구비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위에서 기술적으로 설명된 상부틀(21)과 하부틀(22)의 구성은, 다른 형상의 상부틀(21')(21'')(21''')과 하부틀(22')(22'')(22''')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22')의 하부홈(22a)은 테두리가 사각형상이면서, 내측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프레스돌출라인(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스돌출라인(26)은 재플을 만들기 위해, 재플의 재료인 식빵의 테두리가 압박되도록 한다.
즉, 재플은 식빵과 식빵 사이에 여러 가지 내용물(채소, 고기, 소스 등)이 위치되는데, 가열하는 동안 상기 내용물이 외측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겹쳐진 식빵의 테두리를 상기 프레스돌출라인(26)으로 압박하도록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20)의 하부틀(2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핫케익을 만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22')의 하부홈(22a')은 테두리가 원형상인 것이다.
즉, 핫케익의 테두리 형상이 원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대응되도록 상부홈과 하부홈(22a')의 테두리도 원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나아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2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플을 만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22'')의 하부홈(22a'')은 테두리가 원형상이며, 상부홈과 하부홈(22a'')의 내면에 빗살무늬 홈라인(2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와플의 외면에는 경사진 체크무늬인 빗살무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부홈과 하부홈(22a'')의 내면에 빗살무늬 홈라인(27)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22''')의 하부홈(22a''')은 붕어의 측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홈과 하부홈(22a''')의 붕어의 측부형상으로 인하여, 상부홈과 하부홈(22a''')이 맞대어 제빵과정이 이루어지면 전체적으로 붕어형상을 띤 붕어빵이 만들어진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된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을 만드는 제빵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같은 빵들과 그 형상이 유사하거나 그 크기만 차이가 나는 빵들을 만드는 제빵에 있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쿠키를 만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22'''')의 하부홈(22a'''')은 쿠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쿠키형상의 상기 하부홈(22a'''')은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제빵'은 '제과'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하부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토스트, 피자, 부침개와 같은 얇고 넙적한 음식을 만들거나 데우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부틀(미도시)의 상부홈과 하부틀의 하부홈은 특정한 형상을 지니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22''''')에서 최대넓이의 하부홈(22a''''')을 구현하고자 적정한 넓이의 사각형상을 지닌다.
종래의 요리기구, 즉 토스터와 같은 기구는 개방형으로서 요리과정에서 수분이 외부로 증발됨에 따라, 음식이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밀폐형으로서, 가열을 하는 과정에서 재료 내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지 않고 카트리지 내에 머물게 되어 촉촉한 음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도 1의 카트리지형 제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카트리지데크(40)는 제빵실(43)이 다단으로 형성된 데크본체(42), 상기 제빵실(43)을 감싸면서 데크본체(42)에 내장된 발열코일(44), 상기 데크본체(42) 내에서 발열코일(44) 둘레에 설치된 단열보드(4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데크본체(42)는 일례로서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며, 하부에는 이동되기 편리하도록 바퀴(42a)와 같은 이동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코일(44)은 제빵실(43)에 인입되어 위치고정되는 카트리지(20)에 열을 가하기 위해, 제빵실(43)을 감싸면서 구체적으로 제빵실(43)에 인입된 카트리지(20)에 대응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데크본체(42) 내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단열보드(46)는 발열코일(44)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빵실(43) 측으로 열이 공급되는 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카트리지데크(40)는 제빵실(43)에 대한 카트리지(20)의 인입을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판재(4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데크(40)의 제빵실(43)에 인입되는 카트리지(20)는, 그 높이(h)가 대응되어 거의 동일한데, 이러한 경우에 카트리지(20)를 제빵실(43)의 개구부(43a)에 정확히 맞추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판재(48)는, 제빵실(43)의 개구부(43a)가 커지도록 제빵실(43)의 개구부(43a)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경사진 가이드부재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면서 제빵실(43) 내로 가이드 인입된다.
이에 더하여, 카트리지데크(40)에서 제빵실(43)의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차단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빵실(43)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데크(40)에는 각각의 제빵실(43)의 가열조건을 제어하도록 제어판넬(50)이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판넬(50)은 제빵실(43)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52),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버튼(54)이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온도조절버튼(52)과 시간조절버튼(54)은 데크본체(42)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빵실(43)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조절버튼(54)은 타이머 기능도 가지며, 아울러 온도조절버튼(52)과 시간조절버튼(54)은 구조적으로 버튼형상뿐 아니라, 회전하면서 제어하는 다이얼형상을 지닐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판넬(50)에는 일정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등을 저장시켜서 일정코스로 제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코스메뉴버튼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형성된 제빵실(43)을 가진 카트리지데크(40)와, 상기 제빵실(43)과 대응되는 동일한 높이를 가진 카트리지(20)가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20)가 재플, 와플, 핫케익, 및 붕어빵 중 하나를 만들 수 있도록 그 내부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재플, 와플, 핫케익, 붕어빵과 같이 종류별로 여러 가지 제빵이 가능하면서, 아울러 그 제빵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카트리지 21 : 상부틀
21a : 상부홈 21b : 제1 단열손잡이
22, 22', 22'', 22''', 22'''', 22''''' : 하부틀
22a, 22a', 22a'', 22a''', 22a'''', 22a''''' : 하부홈
22b : 제2 단열손잡이 23 : 힌지
25 : 잠금부 25a ; 걸쇠돌기
25b : 걸쇠홀 26 : 프레스돌출라인
27 : 빗살무늬 홈라인 40 : 카트리지데크
42 : 데크본체 42a : 바퀴
43 : 제빵실 43a : 개구부
44 : 발열코일 46 : 단열보드
48 : 가이드판재 50 : 제어판넬
52 : 온도조절버튼 54 : 시간조절버튼
h : 카트리지 높이 H : 제빵실 높이

Claims (14)

  1. 내부에 재플(jaffle), 와플, 핫케익, 붕어빵 및 쿠키 중 어느 하나를 만들기 위한 제빵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입출되는 제빵실이 다단으로 형성된 데크본체와, 상기 제빵실을 감싸면서 상기 데크본체에 내장된 발열코일과, 상기 데크본체 내에서 상기 발열코일 둘레에 설치된 단열보드로 구성되는 카트리지데크;를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는,
    하면에 상부홈이 형성된 상부틀과, 상기 상부틀과 힌지로 연결되어 상면에 하부홈이 형성된 하부틀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제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데크의 제빵실에 인입된 후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높이는 상기 카트리지데크의 제빵실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플을 만들기 위해 상기 재플의 재료인 식빵의 테두리가 압박되도록,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은 테두리가 사각형상이면서, 내측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 프레스돌출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의 테두리가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의 내면에 빗살무늬 홈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의 내면에 상기 재플(jaffle), 와플, 핫케익, 붕어빵 및 쿠키 중 어느 하나의 측부형상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부홈과 하부홈의 내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틀은 제1 단열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틀은 상기 제1 단열손잡이와 대응되는 제2 단열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열손잡이 및 제2 단열손잡이의 단부에는 서로에 대해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12. 삭제
  13. 제1항, 제5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데크는,
    상기 제빵실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인입을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빵실의 개구부가 커지도록, 상기 제빵실의 개구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판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14. 제1항, 제5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데크에는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조건을 제어하도록 제어판넬이 구성되며,
    상기 제어판넬은,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 및
    각각의 상기 제빵실의 가열시간을 조절하는 시간조절버튼;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제빵기.
KR1020110066794A 2011-07-06 2011-07-06 카트리지형 제빵기 KR10112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94A KR101124661B1 (ko) 2011-07-06 2011-07-06 카트리지형 제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94A KR101124661B1 (ko) 2011-07-06 2011-07-06 카트리지형 제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661B1 true KR101124661B1 (ko) 2012-03-20

Family

ID=4614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794A KR101124661B1 (ko) 2011-07-06 2011-07-06 카트리지형 제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74B1 (ko) * 2001-10-05 2004-05-31 김영식 저전력형 프로그래머블 제과 및 제빵용 오븐
KR200380140Y1 (ko) * 2005-01-06 2005-03-29 최창수 샌드위치 제빵기
JP2005151857A (ja) 2003-11-25 2005-06-16 Hotland Co Ltd たい焼き器
KR20080057347A (ko) * 2005-10-17 2008-06-24 메르코/세이보리 엘엘씨 제거 가능한 트레이 커버들을 구비한 음식 보관 캐비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74B1 (ko) * 2001-10-05 2004-05-31 김영식 저전력형 프로그래머블 제과 및 제빵용 오븐
JP2005151857A (ja) 2003-11-25 2005-06-16 Hotland Co Ltd たい焼き器
KR200380140Y1 (ko) * 2005-01-06 2005-03-29 최창수 샌드위치 제빵기
KR20080057347A (ko) * 2005-10-17 2008-06-24 메르코/세이보리 엘엘씨 제거 가능한 트레이 커버들을 구비한 음식 보관 캐비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784A (en) Sandwich-making apparatus
US20080105137A1 (en) Removable mold for a grill
EP0824863A2 (en) Baking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160183720A1 (en) Waffle-Iron Type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Forming Rounded Bun Shaped Waffles
US2016000779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waffle sandwich press
KR200478529Y1 (ko) 내부 착탈식 바닥판 가열용 가스버너를 구비한 이동식 돔형 화덕
US5465654A (en) Pan for baking, frying, and braising, and pan stacking system
US5154115A (en) Pizza crust cooking utensil
US4970949A (en) Vertically aligned batch baker
US20060102167A1 (en) Pizza oven for grill
EP26322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izza.
US8245633B2 (en) Bread baking support and associated appliance
US8327757B1 (en) Waffle baker
KR101124661B1 (ko) 카트리지형 제빵기
US20170265686A1 (en) Cooking Mat for Producing Shaped Food Items
US20220015377A1 (en) Perforated Wall Mold
JP2001148998A (ja) 電気オーブン及び焼成方法
US20220104655A1 (en) Waffle Maker
JP5965869B2 (ja) 加熱調理器
RU280501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фель с начинкой посредством кухонного прибор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фель с начинкой
KR200496574Y1 (ko) 팬 교체형 양면 전기그릴
CN211746492U (zh) 一种烧饼烘烤机
KR200375952Y1 (ko) 잔류오일의 배출이 용이한 빵틀과 상기 빵틀을 구비한제빵기
JPH01300124A (ja) 焙焼器
KR20160069290A (ko) 항아리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