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580B1 -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580B1
KR101124580B1 KR1020090055824A KR20090055824A KR101124580B1 KR 101124580 B1 KR101124580 B1 KR 101124580B1 KR 1020090055824 A KR1020090055824 A KR 1020090055824A KR 20090055824 A KR20090055824 A KR 20090055824A KR 101124580 B1 KR101124580 B1 KR 10112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glass
weight
dielectric constant
gla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665A (ko
Inventor
윤상옥
김관수
김인태
김신
Original Assignee
(주)써모텍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모텍,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써모텍
Priority to KR1020090055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5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LCD 폐유리를 1 내지 10 μm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하여 제조된 유리프리트와 세라믹 충전제 (filler)를 일정 성분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은, 850 내지 950 ℃의 저온에서도 소성이 가능하며, 유전율이 낮고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고효율의 필터 및 안테나 등의 공진기 (resonator)에 응용이 가능하다.
세라믹 글라스, LTCC, LCD, 저온 소성, 저유전율

Description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Glass Ceramic Compositions using LCD Waste Glass}
본 발명은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CD 폐유리로부터 제조된 유리프리트와 세라믹 충전제를 일정 성분비로 혼합하여, 850 내지 950 ℃의 저온에서도 소성이 가능하며, 유전율이 낮고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고효율의 필터 및 안테나 등의 공진기에 응용이 가능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은 전자기기의 경박 단소화, 고기능화,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전체 전자부품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에 부응하여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회로기판 (circuit board)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으로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 고밀도 및 다기능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세라믹스를 이용한 새로운 기판 재료들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통신용 기기의 수동소자는 소형화가 어려웠던 부품이었으나, 저온 소결이 가능한 그린 시트 (green sheet)에 도체 패턴을 인쇄한 후 적층하는 기술 (LTCC :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을 이용하여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필터의 칩(chip)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스 (LTCC) 기술은 전자부품의 소형화 추세에 대응하여 개발되어온 적층 세라믹 기술로서 2 차원 평면상에 제작되어온 소자를 다층의 세라믹 층을 적층하여 3 차원으로 제작함으로써 부품의 소형화와 다기능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자 패키징에서 다양한 모듈과 기판, 특히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응용 부품을 개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LTCC는 저융점 전극 재료인 Ag (961 ℃) 및 Cu (1083 ℃) 등의 전극과 세라믹을 저온 동시 소성하는 기술로서, 특히 저유전율 및 저열팽창을 갖는 재료인 세라믹 글라스 (ceramic/glass) 복합체가 LTCC 기판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는 유리 분말에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충전제를 혼합하여 기지 (matrix) 내에 세라믹을 충전제로 혼합시키는 방법, 유리와 세라믹 분말을 혼합하여 열처리과정을 거치면서 서로 반응시켜 열팽창계수가 낮은 제 2의 결정상을 생성시키는 방법, 그리고 결정화가 가능한 유리 분말을 기판으로 성형한 후 열처리를 거치면서 결정화시켜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라 저급 및 저가의 세라믹스 원료를 사용하면서도 상용 제품과 유사 또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LCD 제품의 수요와 판매가 크게 증가하면서 많은 양의 폐제품이 발생하고 있으며, LCD 패널 제조 과정에서도 다량의 불량 유리가 발생하지만 일부 건축재 재료나 아스팔트용 충전제 정도로 재활용될 뿐, 대부분 매립?소각 처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LCD 패널 제조시 발생되는 불량 LCD 폐유리를 재활용하여 유리 프리트를 제조하고, 이를 세라믹 충전제와 적정 함량으로 포함시킨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한 결과,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이 LCD 폐유리를 최대한 포함하면서도 저온 소결이 가능하며 저유전율을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LCD 폐유리를 재활용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저온 소결이 가능하고 저유전율을 갖는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또는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CD 폐유리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프 리트 90 내지 99 중량% 및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또는 공진기를 제공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LCD 폐유리를 1 내지 10 μm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하여 유리 프리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유리 프리트 90 내지 99 중량%와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은 LCD 폐유리를 이용한 유리 프리트를 사용하고도 950 ℃ 이하의 저온 범위에서도 소성이 가능하고, 종래와 유사 또는 향상된 저유전율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고효율의 필터 및 안테나 등의 공진기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종래의 세라믹 글라스 제조 방법과 달리 대부분 폐기 처분되는 LCD 폐유리의 유리 프리트를 사용하고, 세라믹 충전제를 1 내지 10 중량%의 적은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유리 프리트 제조비용 절감 및 세라믹 충전제의 구매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CD 폐유리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프리트 90 내지 99 중량% 및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유리 프리트를 다량 폐기되는 LCD 폐유리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서 LCD 폐유리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프리트는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calcium aluminosilicate)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는 CaO 8 내지 20 중량%, Al2O3 15 내지 30 중량%, SiO2 60 내지 80 중량%, B2O3 15 내지 30 중량%, MgO 1 내지 5 중량%, SrO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한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희토류의 CaO는 유리의 안정화 및 연화 온도를 낮추지만 화학적 내구성이 약한 알카리 산화물을 대체하기 위함이며 함량이 20 중량% 이상이면 유리의 실투현상이 일어나 유리의 결정화 촉진 및 유전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l2O3는 유리의 화학적 내구성과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며 함량이 30 중량% 이상일 경우 유리화 온도의 상승과 유리의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문제가 있다. SiO2는 유리를 제조하는데 필수적이지만 함량이 80 중량% 이상일 경우 유리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유리화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B2O3는 유리의 연화온도를 낮추고 유동성을 높이지만 함량이 30 중량% 이상일 경우 화학?물리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MgO 및 SrO는 화학?물리적 안정성 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5 중량% 이내로 첨가된 LCD 폐유리가 바람직하다.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서의 유리 프리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4 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 포함되는 세라믹 충전제는 알루미나 (α-Al2O3), 산화규소 (SiO2), 고령토 (kaolin), 규회석 (wollastonite), 코디어라이트 (cordierite), 멀라이트 (mullite), 감람석 (forsterite), Zn2SiO4, MgAl2O4, ZnAl2O4, CaAl2O4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령토 및 규회석을 사용하여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저유전율 특성을 종래의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과 유사하게 하거나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서의 세라믹 충전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중량%이다.
LCD 폐유리의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 프리트 90 내지 99 중량%와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은, 850 내지 950 ℃,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25 ℃의 낮은 온도에서 소성되며, 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5.5이고, 품질계수는 바람직하게는 1,300 내지 2,600 GHz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LTCC 기판, 세라믹 히터 및 공진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진기는 고효율의 필터 또는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LCD 폐유리를 1 내지 10 μm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하여 유리 프리트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유리 프리트 90 내지 99 중량%와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습식 볼밀링하여 혼합하고, 건조시킨다. 이후, 혼합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금속 몰드에 일정 함량 넣고 일정 압력을 가하여 펠렛 (pellet) 형태의 성형체를 제조하고 열처리하여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한다.
LCD 폐유리를 1 내지 10 μm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조 크러셔 (jaw crusher)를 이용하여 1 mm 이하로 1 차 분쇄하고, 디스크 밀 (disk mill)을 이용하여 100 μm 이하로 2 차 분쇄하고, 나노셋 밀 (nanoset mill)을 이용하여 3 차 분쇄하여 2 μm 이하의 유리 프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1
LCD 폐유리를 먼저 조 크러셔를 이용하여 1 mm 이하로 1 차 분쇄하고, 이후 디스크 밀을 이용하여 100 μm 이하로 2 차 분쇄한 후, 나노셋 밀을 이용하여 3 차 분쇄하여 2 μm 이하의 유리 프리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리 프리트 99 중량%에 고령토(산업광물은행)를 1 중량%의 함량으로, 에탄올을 용매로 지르코니아 볼과 함께 폴리에틸렌 병 (polyethylene bottle)에 넣고 습식 볼 밀 (ball mill)을 이용하여 각각 24 시간 동안 혼합 분쇄한 후, 오븐에서 100 ℃로 24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분말을 50 MPa의 압력으로 15 mm 원통형 몰드에서 일축 가압 성형하여 펠렛의 직경과 높이의 비를 3 : 2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시편을 전기로에서 10 ℃/분 승온 속도로 승온한 후 900 ℃의 온도 범위에서 2 시간 동안 소결한 다음 로냉 (furnace cooling)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2 내지 5
상기 실시예 1에서 고령토 1 중량% 대신 각각 3, 5, 8, 1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내지 20: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6 내지 20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고령토 대신 규회석(산업광물은행), Al2O3 (Kanto, 99.0 %) 및 SiO2 (High Purity Chemicals, 99.9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에 대한 소결 및 유전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7878680-pat00001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1 내지 10 중량% 세라믹 충전제를 첨가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900 ℃에서 소결하였을 때, 유전율은 3.4 내지 5.5이고, 품질계수는 1,300 내지 2,600 GHz 범위를 나타내었다. 특히, Al2O3 세라믹 충전제를 5 내지 10 중량% 사용하였을 때 99.9 %의 상대밀도, 5.4의 유전율, 2,200 GHz 이상의 품질계수를 갖고, SiO2의 경우 유전율 3.4 내지 4.3의 낮은 유전율 특성을 가지며, 더욱이 고령토 및 규회석의 세라믹 광물을 세라믹 충전제로 사용한 경우 유전율 4.3 내지 5.1의 범위를 나타내어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시편들은 전체적으로 900 ℃ 미만에서 96 % 이상의 상대 밀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저온 소결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주사전자현미경 (FE-SEM)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공이 없는 치밀한 구조가 얻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시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세라믹 충전제로서 Al2O3(a), SiO2(b), 고령토(c) 및 규회석(d)을 각각 사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시편의 사진이다.

Claims (10)

  1. LCD 폐유리로부터 제조되며 1 내지 10 μm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쇄된 유리 프리트 90 내지 99 중량% 및 세라믹 충전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유전율이 3.4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전율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스(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리트는 CaO 8 내지 20 중량%, Al2O3 15 내지 30 중량%, SiO2 60 내지 80 중량%, B2O3 15 내지 30 중량%, MgO 1 내지 5 중량%, SrO 1 내지 5 중량%를 함유한 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충전제는 알루미나 (α-Al2O3), 산화규소 (SiO2), 고령토, 규회석, 코디어라이트, 멀라이트, 감람석, Zn2SiO4, MgAl2O4, ZnAl2O4, CaAl2O4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의 품질계수가 1,300 내지 2,600 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이 850 내지 950 ℃의 온도에서 소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CC 기판.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히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유전율 LTCC용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및 안테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진기.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55824A 2009-06-23 2009-06-23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KR10112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24A KR101124580B1 (ko) 2009-06-23 2009-06-23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24A KR101124580B1 (ko) 2009-06-23 2009-06-23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65A KR20100137665A (ko) 2010-12-31
KR101124580B1 true KR101124580B1 (ko) 2012-03-15

Family

ID=4351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824A KR101124580B1 (ko) 2009-06-23 2009-06-23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90B1 (ko) * 2013-03-11 2014-02-05 (주)이노소재 붕규산염계 장섬유 유리용 고순도 실리카 분말의 제조방법
CN106747357B (zh) * 2016-12-22 2019-12-06 广东风华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低温共烧陶瓷及其制备方法
CN111170741B (zh) * 2020-01-16 2022-02-15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高频低损耗ltcc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102340A (zh) * 2023-01-03 2023-05-12 北京航天微电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共烧生瓷、制备方法及陶瓷基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510A (ja) * 2002-12-02 2004-07-02 Asahi Glass Co Ltd ガラスフリット混合物、電子回路基板製造方法および電子回路基板
KR20040085939A (ko) * 2003-04-02 2004-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유전율 저온소성 세라믹 조성물
KR20060108283A (ko) * 2005-04-12 2006-10-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온소성 저손실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
KR20090030864A (ko) * 2007-09-21 2009-03-2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폐 엘씨디 유리를 재활용한 엔지니어드 스톤용 컬러유리칩및 이를 이용한 엔지니어드 스톤 복합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510A (ja) * 2002-12-02 2004-07-02 Asahi Glass Co Ltd ガラスフリット混合物、電子回路基板製造方法および電子回路基板
KR20040085939A (ko) * 2003-04-02 2004-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유전율 저온소성 세라믹 조성물
KR20060108283A (ko) * 2005-04-12 2006-10-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저온소성 저손실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
KR20090030864A (ko) * 2007-09-21 2009-03-2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폐 엘씨디 유리를 재활용한 엔지니어드 스톤용 컬러유리칩및 이를 이용한 엔지니어드 스톤 복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66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010B1 (ko) 저온소성용 저유전율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6852198B2 (ja) ボロアルミノシリケート鉱物材料、低温同時焼成セラミック複合材料、低温同時焼成セラミック、複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hen Sintering, crystallization, and properties of CaO doped cordierite-based glass–ceramics
CN103553559B (zh) CaO-B2O3-SiO2玻璃+氮化铝陶瓷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332902C (zh) 高热膨胀玻璃和带子组合物
CN106904953B (zh) 高密度封装用高热膨胀系数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hen Effect of replacement of MgO by CaO on sintering, crystallization and properties of MgO–Al 2 O 3–SiO 2 system glass-ceramics
CN107176834B (zh) 中高介电常数的ltcc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24580B1 (ko) Lcd 폐유리를 이용한 세라믹 글라스 조성물
Induja et al. Low κ, low loss alumina-glass composite with low CTE for LTCC microelectronic applications
CN109650871A (zh) 一种ZnAl2O4陶瓷体系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347781B (zh) 一种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Phys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l–gel derived CaO–B2O3–SiO2 glass-ceramics and their dielectric properties in the 5G millimeter-wave bands
KR100704318B1 (ko) 저온소성 저손실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
CN102276151A (zh) 微波等离子炬制备ltcc非晶玻璃瓷粉的工艺方法
JP2000143332A (ja) 低温焼成ガラスセラミックス
CN105399413B (zh) 一种低介电常数、低损耗的微波介质陶瓷及制备方法
Wang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sol-gel derived CaO–MgO–B2O3–SiO2 glass-ceramics for 5G applications in the millimeter-wave bands
KR101559379B1 (ko) 알루미늄포스페이트계 세라믹 충전제를 이용한 ltcc용 유리-세라믹 조성물
KR20120050012A (ko) 저온 소성 글라스 세라믹 조성물
KR20090117412A (ko) 고품질계수 저유전율 유리-세라믹 조성물
EP1627863B1 (en) Porcelain composition
KR100471651B1 (ko) 저온 소성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327428A (ja) 低温焼成ガラスセラミックスとその製造方法
KR100632393B1 (ko) 저온소성 세라믹 다층 패키지용 고유전율 유전체 세라믹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