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261B1 -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261B1
KR101124261B1 KR1020110053106A KR20110053106A KR101124261B1 KR 101124261 B1 KR101124261 B1 KR 101124261B1 KR 1020110053106 A KR1020110053106 A KR 1020110053106A KR 20110053106 A KR20110053106 A KR 20110053106A KR 101124261 B1 KR101124261 B1 KR 10112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ighting
ceiling
wire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범영
Original Assignee
명범영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범영,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filed Critical 명범영
Priority to KR102011005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61B1/ko
Priority to PCT/KR2012/004356 priority patent/WO201216590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천정 슬래브에 전선관의 설치 없이 천정마감재 설치 공사가 완료된 그 건물의 실내에 면조명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과 그 면조명시스템이 개시된다. 먼저, 따내기가 되어 있지 않은 천정마감재의 바깥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을 부착한다. 이와는 별도로, 상용의 교류전원을 면조명기구들의 광원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면조명기구들의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실내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한다. 그리고 전력공급부에서 각 면조명기구까지 직류용 전선을 배선한다. 전선의 배선경로는 천정마감재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에까지 이르는 천정구간을 포함하고, 그 천정구간에서 전선은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아래쪽의 바깥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위에 얹히는 형태로 배선된다.

Description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Flat light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조명 시스템과 이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정마감재 설치 이후에 설치가능한 면조명 시스템과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건물의 실내 조명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형광등과 같은 일반 조명기구는 대부분 상용 교류전원(한국은 220V, 60Hz의 교류전원)을 이용한다. 사용 전압이 높아 누전에 따른 화재발생 등을 예방하기 위해, 조명기구 설치 시 전선 배선은 금속으로 된 전선관 안에 매립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나라들이 많고, 대한민국도 그러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선관 설치, 전선 배선, 조명기구 설치 등을 포함하는 기존의 조명 시스템의 설치작업은 건축물 시공과 동시 병행적으로 진행되었다.
도 1과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설치 방법에 따라 건물 실내의 천정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이 사진들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명기구 설치 공사는 우선 정해진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천정 슬래브 밑에 전선관(10) 배관 공사를 한 다음, 그 전선관(10)을 이용하여 전선(12)을 배선한다. 그리고 그 전선관(10)에 분기박스를 연결하고 거기서 전선의 분기선을 뽑아내어 근처의 조명기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도 2의 (b) 또는 (c) 참조). 이러한 배선 작업과 병행하여, 행거 볼트를 천정 슬래브에 박고 이를 이용하여 엠바(M-bar)나 티바(T-bar)와 같은 천정마감재 지지부재를 천정에 설치한다. 그리고 그 위에 예컨대 석고보드나 석고텍스 등과 같은 천정마감재(14)를 얹어 천정에 설치된 전선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시설물들을 은폐함과 동시에 조명기구 설치준비를 한다.
조명기구의 설치는 천정마감재(14)가 모두 설치된 후에 이루어진다. 먼저, 설치할 조명기구의 크기와 설치 위치에 맞게 천정마감재(14)의 대응 부위를 따낸다. 그리고 조명기구와 연결하기 위해 미리 뽑아둔 전선(18)을 그 따낸 부위(16) 밖으로 노출시켜둔다. 끝으로, 조명기구에 전선(18)을 연결하고, 그 조명기구를 따낸 부위(16)에 매입하고 고정한다. 이로써 하나의 조명기구 설치가 완료된다.
이처럼 기존의 조명 시스템은 금속 전선관을 이용한 전선의 배선, 천정마감재의 따내기 및 조명기구의 매입과 전선 연결 등의 작업을 통해 설치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과 비용(재료비와 노무비)이 많이 든다. 그리고 그러한 설치 작업이 건축물의 시공 시 함께 이루어져야 조명 시스템 설치 작업만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없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성도 낮은 편이다.
또한,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므로 조도 제어 등 조명기구의 제어가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어려운 점이 있다.
종래의 조명 시스템의 또 다른 단점은 설치 위치의 불가변성이다. 즉, 조명기구들을 일단 설치하고 난 후에는 그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경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예컨대 사무실 공간의 경우 내부의 레이아웃이 달라짐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도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사정변경에 의해 설계 당초와는 달리 더 밝을 필요가 있는 곳과 덜 밝아도 되는 곳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러한 사정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맞춰 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변경시키면 효율적인 조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 설치된 조명기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천정마감재와 기존 조명 등을 완전히 철거하고 그 변경할 위치에 맞게 전선관(10)의 배관 및 전선 배선을 다시 한 다음, 천정마감재를 새것으로 다시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조명기구를 새로 설치할 위치에 별도로 천정마감재의 따내기 공사를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크고, 해당 공간을 일시적이나마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철거 쓰레기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렇듯 종래의 방법은 조명의 필요성과 공간의 용도 변경에 상관없이 기존에 설치된 조명기구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사정 변경에 맞는 최적의 조명 환경을 효율적이면서 탄력적으로 제공하기 어렵고, 과잉 조명에 의한 에너지 낭비적 요소가 있다.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또한 공간 가치에 맞지 않는 단순 조명으로 기능할 수밖에 없다. 같은 공간이라도 그 공간의 용도, 구획 및 인테리어 배치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의 조명 요구에 따라 더 밝아야 하는 지점과 덜 밝아도 되는 지점이 있을 수 있고 장식성을 고려하여 조명기구의 종류나 광의 특성이 정해질 필요가 있는 등 다양한 조명 요소들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그러한 조명 요구가 확정되기 전에 설계되고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그 경우 조명기구들은 실내 공간에 일률적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설치한다. 그 결과 과잉조명 또는 부족조명 영역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해당 공간과 조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조명기구의 종류를 정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기존의 조명기구들은 제조사가 정하여 생산하는 표준품의 형상만 가진다. 그러므로 실내 공간의 용도나 내부 배치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조명기구의 형상의 다양성이 크게 부족하였다. 특정 실내공간에 잘 어울릴 수 있는 조명기구의 형상이나 배치를 만들어내는 데 그 만큼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마감재 설치 완료 후에 원하는 위치의 천정마감재에 면조명기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램프 구동회로가 직류 저전압으로 동작할 수 있어서 금속 전선관의 설치 및 그 전선관을 이용한 전선 배선, 천정마감재의 따내기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배선작업이 단순하고 안전하며 조도 제어가 용이한 면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명기구의 배치를 바꿀 필요성이 생긴 경우, 기 설치된 면조명기구들을 천정마감재의 실질적인 훼손 없이 간편하게 분리하여 원하는 다른 위치에 다른 배치로 설치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철거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조명기구들의 배치를 바꿀 수 있는 면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면조명 기구의 형상과 배치 위치를 설치자의 의도대로 다양하게 만들 수 있고, 풍부한 디지털 이미지를 조명기구와 결합할 수 있어서 설치 장소와 가장 잘 어울리고 고품격의 장식미를 제공하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실내 공간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면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면조명 시스템을 건축물의 실내 조명 시스템으로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정마감재 설치 공사가 완료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면조명 시스템으로서,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그 천정마감재를 따내지 않은 채 분리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광원 램프(들)과 이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원부가 생성한 빛을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력받아 그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이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 상용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광원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면조명기구들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배선경로 상 필요한 부분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뿐 별도의 금속 전선관 안에 매입되지 않는 직류 공급용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면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는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에 부착하고 필요시에 상기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복수 개의 결합공들과, 상기 결합공들을 통해 상기 천정마감재에 박히는 복수 개의 나사못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으로 된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상기 면조명기구를 붙어있도록 해주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의 배선경로는 상기 천정마감재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에까지 이르는 천정구간을 포함하고, 그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금속 전선관 내에 매입되지 않고 노출 설치되며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아래쪽의 바깥 표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위에 얹히는 형태로 배선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직류용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테이프 또는 고정핀 또는 고정못으로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에 고정되게 배선될 수 있다.
상기 면조명 시스템은 상기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의 본류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면조명기구들을 병렬로 연결해주기 위해 상기 전선의 지류를 뽑아내기 위한 분기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조명 시스템은 상기 전력공급부와 상기 면조명기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의 말단과 상기 램프구동부의 입력단은 끼움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결합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조명기구는 광산란요소들이 저면에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근접 배치되어 그 측면으로 광을 투입하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을 붙잡아 자신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의 근접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을 얹어서 지지해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과 같은 모양의 고리를 이루는 바디프레임과, 한쪽 끝부분이 상기 바디프레임과 맞물려 그 맞물린 부분을 선회축으로 하여 상기 바디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을 발판으로 삼아 상기 커버프레임을 상기 선회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 간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해주면서 상기 커버프레임이 닫힘위치에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도광판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램프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도록 된 램프모듈수납부와, 상기 램프모듈수납부 내에 상기 도광판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패킹부재와,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복수의 위치에 마련된 나사못 고정용 복수의 결합공과 복수의 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구비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 상기 도광판은 상기 램프모듈수납부와 상기 패킹부재,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2중으로 붙잡혀 지지된다.
상기 광원부는 띠 모양으로 길게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LED 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동작전압과 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램프구동부의 구동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LED 램프들이 일렬로 장착되어 상기 구동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근접 배치될 수 있는 띠 모양의 광원모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전선과 커넥터 접속이 가능한 단자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면조명기구는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 표면에 부가되어 상기 이미지가 상기 도광판에서 나오는 광에 의해 밝혀지는 이미지 인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천정마감재 설치 공사가 완료된 건물의 천정에 면조명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그 천정마감재를 따내지 않고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을 분리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광원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상기 실내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면조명기구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상기 각 면조명기구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용 전선을 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은 광원 램프(들)과 이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원부가 생성한 빛을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력받아 그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이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것이며, 상기 직류용 전선을 배선함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배선경로 상 필요한 부분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뿐 별도의 금속 전선관 안에 매입되지 않으며, 상기 전선의 배선경로는 상기 천정마감재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에까지 이르는 천정구간을 포함하고, 그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아래쪽의 바깥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위에 얹히는 형태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들은 필요 시 부착되어 있던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그 천정마감재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천정마감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상기 면조명기구에 마련된 결합공을 통해 나사못을 상기 천정마감재에 박거나 또는 상기 면조명기구에 고정된 복수 개의 자석을 금속성의 상기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붙이는 방법으로 상기 면조명기구들을 상기 천정마감재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가 각 면조명기구의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법규상 전선을 금속 전선관 내부에 배선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의 직류 저전압이다.
상기 직류용 전선을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을 가로지르면서 배선하는 경우, 상기 직류용 전선을 테이프, 고정못 또는 고정핀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은 상기 전력공급부와 상기 면조명기구들 사이에 각 면조명기구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조절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선의 배선작업은 상기 전선의 본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선의 본류로부터 분기 박스를 이용하여 지류를 빼내어 각 면조명기구에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 시스템은 건축물 완공 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면조명기구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해당 실내 공간의 용도 및 배치가 확정되어 그에 맞는 조명기구 배치 방안이 정해진 후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실내 공간에 가장 최적화된 조명기구의 배치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설치 후에도 필요하다면 천정마감재를 훼손하지 않고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면조명기구를 설치한 후에도 그 실내 공간의 용도(예컨대 패션샵, 회의실, 사무실, 은행, 병원로비 등) 및/또는 실내의 공간이나 집기의 배치가 변경되면, 그에 맞는 면조명기구의 형태나 배치, 조명방법 등을 결정하여 기 설치된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그리고 금속 전선관의 재설치 등의 작업 없이 바뀐 환경에 맞게 탄력적으로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실내 공간과 조화로운 조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공간의 가치를 높여주는 가변형 조명이 가능하고 과잉 조명을 피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의 기구적인 형태 조합으로 얻을 수 있는 디자인적인 장식미 외에도, 기존의 디지털화 되어 있는 풍부한 이미지를 필름화 하여 도광판에 적용함으로써 조명기구를 통한 인테리어 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실내의 공간 가치를 높일 수 있다.
고전압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종래의 조명기구는 높은 설치 난이도와 안전 문제로 인해 전문 기술자가 설치해야 하고 그 때문에 많은 설치 비용과 유지비가 든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면조명기구는 직류 저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선을 금속 전선관 내에 설치하도록 하는 법률적 강제는 없다. 본 발명의 면조명 시스템은 금속 전선관 내 전선 배선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명기구에 연결하는 전선의 배선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설치 작업 시간과 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제어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여 공간 활용가치를 증대시키고 높은 에너지 절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도 설치할 수 있을 정도여서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종래의 시공 방법에 따른 천정 전선관 및 배선 공사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의 (a)는 종래의 시공 방법에 따라 천정마감재 공사 후 조명기구 설치를 위한 천정마감재 따내기 장면을, (b)와 (c)는 천정 따내기와 전선 배선 공사가 완료된 천전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4와 5는 LED 램프를 광원램프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기구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조립상태도이며;
도 6과 7은 커브 프레임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에서 도 5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8e는 도 4와 5의 면조명기구를 따내기 하지 않은 천정마감재에 부착하는 절차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 시스템을 전선이 천정마감재 외부에 노출되게 하여 설치한 실내 공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면조명 시스템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조명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면조명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200)와 이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각 면조명기구(200)는 저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구동되는 광원 램프를 광원으로 가진다. 면조명 시스템(100)은 구동전력 제공수단으로서, 상용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면조명기구(200)의 램프구동부에 제공하는 전력공급부(140)를 포함한다. 각 면조명기구(200)는 직류용 전선(125)을 통해 전력공급부(140)에 연결된다. 전력공급부(140)는 상용 교류 전원이 들어오는 콘센트(150)까지 교류용 전선(145)으로 연결된다. 면조명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서 각 면조명기구(200)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도제어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5는 다수의 LED 램프(222)들을 광원으로 채용하여 구성된 엣지형으로 면조명기구(200)를 예시한다. 또한, 도 6과 7은 커버 프레임(234)가 각각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에 있을 때 도 5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예시된 면조명기구(200)는 도광판(210), 램프모듈(220), 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도광판(210)은 투명 아크릴 판재로 만들어지며 예컨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그 밖에 다양한 모양의 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광판(210)의 저면에는 광산란 요소가 마련된다. 도트 형태로 인쇄된 광산란 잉크, V자 형태로 커팅된 홈, 미세 홈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진 광산란 요소들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나, 광효율을 고려할 때 확산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미세 홈 형태의 광산란 요소가 바람직하다. 미세 홈은 예컨대 샌드블라스팅 공정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미세 홈의 밀도 및/또는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그러데이션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모듈(220)의 광원 램프는 그것의 구동회로부가 저전압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LED 램프를 들 수 있다. 냉음극형 형광등(CCFL)도 광원램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LED 램프는 그 종류에 따라 동작전압이 예컨대 대략 1.4V에서 5V 정도의 저전압 직류이다. 냉음극형 형광등의 동작전압은 대략 교류 500V 이상이지만, 이런 교류 고전압을 만드는 램프구동부의 입력전압은 대략 20V를 넘지 않는 직류전압이다. 그러므로 LED 램프나 CCFL의 구동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은 직류 저전압용 전선으로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광원 램프들은 도광판(210)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 또는 측면의 일부와 맞보도록 배치되거나(엣지형의 경우) 또는 도광판(210)의 저면에 고르게 분산 배치(직하형)될 수 있다.
램프모듈(220)은 LED 램프들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구동회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24)에 다수의 LED 램프들(222)이 장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바디 프레임(232)에 마련된 램프모듈수납부(237) 안에 수납된다. 인쇄회로기판(224)은 바람직하게는 램프모듈수납부(237)의 높이에 꼭 맞는 폭을 가지며 도광판의 측면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다. 인쇄회로기판(224)의 구동회로의 입력단에는 전선(125)의 커넥터(127) 단자들과 끼움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형태의 입력단자들(226)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모듈(220)은 사각형 도광판(210)의 경우 요구되는 휘도에 따라 하나의 측면이나 마주보는 두 측면, 또는 네 측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30)은 램프모듈(220)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하고 도광판(210)의 적어도 한 측면이 그 램프모듈(220)의 LED 램프들(222)와 맞닿도록 도광판(2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붙잡아 자신에게 고정되게 하여 이들 간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램프모듈(220)은 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해내어 점검하거나 교체할 필요도 있다. 그러므로 프레임(230)은 필요 시 도광판(210)과 램프모듈(220)을 분리해내거나 또는 조립하는 것이 쉬운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30)은 도광판(210)을 얹어서 고정할 수 있는 바디 프레임(232)과 이 바디 프레임(232)의 측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개폐식 커버 프레임(234)을 포함한다. 프레임(232)은 우수한 강도, 가벼운 무게, 그리고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런 조건을 가장 잘 만족하는 대표적인 재질로는 알루미늄 또는 이를 주재료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디 프레임(232)은 도광판(210)의 가장자리 부분이 걸쳐질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소정 모양의 고리를 형성하는 띠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예컨대 도광판(210)이 사각형인 경우, 바디 프레임(232)은 사각 고리를 형성하는 판재로 된 띠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바디 프레임(232)의 밑면에는 다수의 방열 날개들(232-2)이 돌출되고, 상면의 대략 가운데 부분을 따라 길게 형성된 -형 홈 형상의 램프모듈수납부(237)가 마련된다. 이 램프모듈수납부(237) 안에 LED 램프들(222)이 노출되도록 램프모듈(220)이 수납되고 도광판(210)도 가장자리 부분이 바디 프레임(232) 위에 얹히면서 그 가장자리 끝 부분이 램프모듈수납부(237) 안에 수납된다. 그리고 램프모듈수납부(237)의 상부와 도광판(210)의 가장자리 끝 부분 사이의 틈새에는 필름/도광판 고정용 패킹부재(250)를 개재시킨다. 상기 필름/도광판 고정용 패킹재는 예컨대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램프모듈(220)과 도광판(210)은 바디 프레임(232)에 고정된다.
커버 프레임(234)이 바디 프레임(232)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 프레임(234)과 바디 프레임(232)의 단부들(234-1, 232-1)은 선회가능하게 서로 맞물리고, 바디 프레임(232)의 소정 부분과 커버 프레임(234)의 내면에 돌출된 걸림부(234-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6)가 개재된다.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36)들은 바디 프레임(232)을 발판으로 삼아 커버 프레임(234)을 상기 단부들(234-1, 2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그 미는 힘에 의해 커버 프레임(234)은 어떤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단부들(234-1, 232-1)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이 탄성부재(236)는 사용자가 커버 프레임(234)을 닫힘 상태로 강제하면 그 상태를 유지해주는 힘을 강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도광판(210)은 그의 가장자리 부분이 그 커버 프레임(234)에 눌려 프레임(2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도광판(210)은 광원모듈수납부(237)와 커버 프레임(234)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된다.
4개의 커버 프레임(234)의 경계지점인 네 모서리의 빈 공간은 모서리 브라켓(244)을 끼워넣어 마감한다. 또한, 4개의 바디 프레임(232)은 네 모서리에서 고정프레임(246)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준다.
프레임(230)에는 면조명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이 마련된다. 설치 후 사정변경으로 인해 면조명기구(200)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면조명기구(200)는 천정마감재(14)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컨대 바디 프레임(232)에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4곳 (예컨대 네 모퉁이)에 나사못(239)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비도시)들을 마련하고, 나사못(239)을 거기에 삽입하여 천정마감재(14)에 박는다. 나사못을 풀기만 하면 천정마감재(14)에 나사못 자국 외에는 아무런 흠을 남기지 않고 면조명기구(200)를 분리하여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면조명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에 안정적으로 고착시켜주고 필요 시 그 면조명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로부터 큰 흠을 남기지 않고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이라면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엠바나 티바와 같은 천정마감재 지지부재가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체로 만들어진 것인 경우에는, 상기 부착수단은 프레임(23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된 복수 개의 자석(242)들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바디 프레임(232)의 네 모서리 각각에 하나의 자석(242)을 고정할 수 있다. 자석(242)들은 나사못(239) 및 결합공과 함께 또는 택일적으로 제공된다.
도광판(210)의 긁힘 방지를 위해 보호 필름(248)을 도광판(210) 위에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을 위해, 원하는 그림이나 사진 등이 인쇄된 투명 필름(240)을 도광판(210)의 상면에 더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6 참조). 이 경우 그 장식용 필름(240)은 보호 필름으로서의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그 보호 필름(248)이나 투명 필름(240)은 그 끝부분을 광원모듈수납부(237)와 도광판(210) 사이에 넣고 필름/도광판 고정용 패킹부재(250)를 끼워 넣어 고정한다.
아래 표는 LED 램프모듈(220)을 엣지형 광원으로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면조명기구(200)의 예시적인 사양이며, 두께는 대략 100[mm] 내외로 만들 수 있다.

가로x세로
[mm]

광원모듈
길이 [mm]

광원 모듈 개수

소비 전력[W]

무게 [Kg]

기타

330x330

274

2

2.0

0.8



LED 간격[mm] 9.13

620x330

48

2

24.0

1.3

1170X330

1096

2

50.0

2.3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엣지형 면조명기구(200)에 의하면, 전력공급부(140)로부터 인쇄회로기판(224)의 램프구동부에 램프 구동에 필요한 DC 구동전원이 제공되면, 그 램프구동부가 각 LED 램프(222)의 동작전압과 전류를 만들어 제공한다. 그에 의해, LED 램프(222)들이 빛을 발하고, 그 빛은 도광판(21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도광판(210) 내부에서 전반사 과정을 거치면서 도광판(210)의 저면에 형성된 광산란요소들에 의해 산란되고 그 산란광 중 적어도 일부는 도광판(210)의 상면을 통해 나온다. 그 결과 도광판(210)이 면광원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광산란요소는 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면조명기구들(2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직류 전원을 마련하기 위해, 전력공급부(140)는 상용 전원(한국의 경우 220V 교류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램프구동부가 필요로 하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해준다. 이 전력공급부(140)는 예컨대 스위치모드 전원공급기(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로 구성할 수 있다. SMPS는 상용 입력전원(220V 교류전압)을 정류, 필터링, 쵸핑, 변환 등의 처리를 하여 사용하는 광원램프(예컨대 LED 램프)의 동작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력공급부(140)의 입력단에는 말단이 플러그로 마감된 상용 교류용 전선(125)이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후술하는 직류용 전선(125)의 말단에 마련된 커넥터와 끼움결합이 될 수 있는 출력단자들이 마련된다.
전력공급부(140)와 각 면조명기구(200)들은 직류용 전선(125)으로 연결된다. 시공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전선(125)의 말단은 커넥터(127)로 마감처리하여 끼움결합에 의해 전선(125)과 램프구동회로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공급부(140)에서 각 면조명기구(200)까지 연결하는 직류용 전선(125)으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을 사용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편편하고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다중 금속도선이 접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면, 좁은 천정의 내부와 긴 라인에서도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유연하며 가볍기 때문에 배선, 분기, 연장, 추가배선 등의 작업들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공사 시간이 단축되며 결과적으로 공사비가 절감된다.
면조명기구들(200)은 병렬로 연결된다. 병렬 연결을 위해 T형 분기박스(120)를 이용한다. 각 면조명기구(200) 근처 적당한 지점에 T형 분기 박스(120)를 설치하고, 그로부터 그 면조명기구(200)까지 지류 전선(125)을 연결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T형 분기 박스(120)를 이용하면 면조명기구(200)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조도제어기(130)는 전력공급부(140)와 각 면조명기구(200)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LED 램프는 PWM 변조를 통하거나 또는 순방향 전류를 낮추는 방법에 의해 쉽게 조도조절(dimming control)이 가능하다. 조도 제어기(130)는 이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한 가지로 LED 램프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조도제어기(130)는 자체의 다이얼을 통하거나 리모콘(160)을 이용하여 원하는 조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160)을 제어입력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그 리모콘(160)과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 시스템(100)의 시공 방법은 건물의 실내 공간에 천정마감재 공사가 완료된 후에 면조명기구(200)를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 건축관련 법규상 상용의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경우, 교류용 전선(125)을 금속 전선관에 매설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채용하는 광원 램프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의 입력은 저전압의 직류 전원이다. 그러므로 전력공급부(140)에서 각 면조명기구(200)까지 저전압 직류용 전선(125)으로 연결하면 되고, 굳이 전선보호용 금속 전선관 안에 그 직류용 전선(125)을 배선할 필요는 없다.
그 직류용 전선(125)을 천정마감재(14)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200)까지 끌고가서 연결할 때 천정마감재(14)의 노출된 바깥면(저면)에 부착하는 형태나 그 천정마감재(14)의 노출되지 않은 내부면(상면) 위에 그냥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선(125)을 천정마감재(14) 밑에서 위로 통과시키거나 그 반대로 통과시키고자 할 때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얹혀 있는 천정마감재(14)를 살짝 들어올려 생긴 빈 틈으로 통과시키면 된다. 어느 방법으로 설치하든 종래처럼 조명기구 설치를 위해 천정마감재(14)를 따내기할 필요가 없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4와 5에 도시된 엣지형 면조명기구(200)의 실제 설치장면을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c는 면조명 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에 고정하는 절차를 나타내며, 도 8d와 도 8e는 면조명 기구(200)에 장식용 필름(240)을 부가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도 9는 면조명 시스템(100)이 설치된 실내 공간을 도시한다.
먼저, 면조명 기구(200)를 설치한다. 천정마감재(14)의 설치 위치를 확인한 후 그 표면을 따내지 않은 채 그 위에 면조명기구(200)를 갖다 대고 커버 프레임(234)을 연다(도 8a 참조). 그런 다음 면조명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의 바깥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나사못을 바디 프레임(232)에 마련된 결합공에 박아 부착한다(도 8b 참조). 그런 다음, 커버 프레임(234)을 닫아 설치를 완료한다(도 8c 참조). 필요 시, 커버 프레임(234)을 열어서 장식용 필름(240)을 끼운 다음 그 커버 프레임(234)을 닫아 설치를 완료한다(도 8d와 도 8e 참조). 자석(242)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커버 프레임(234)을 열 필요도 없이 그냥 간단히 자석(242)을 금속성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정렬시켜 부착시키기만 하면 면조명기구(200)의 설치는 완료된다.
면조명기구(200)의 설치 작업과는 별도로(면조명기구(200)의 설치 전이나 후에), 전력공급부(140)를 실내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한다. 전력공급부(140)는 유지 관리가 쉬운 점을 고려하여 해당 실내공간의 콘센트(150) 근처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미관을 고려하여 천정 슬래브와 천정마감재(14) 사이의 은폐된 공간의 벽에 고정하거나 천정마감재(14) 상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콘센트(150)도 그 은폐된 공간의 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전력공급부(140)에서 각 면조명기구(200)까지 전선(125)을 배선하는 작업을 한다. 조도제어기(130)가 채용되는 면조명 시스템인 경우, 그 조도제어기(130)를 설치하고 경유하는 배선작업을 한다.
전력공급부(140)가 천정마감재(14) 아래 쪽에 설치되는 경우, 직류용 전선(125)의 본류는 해당 실내공간의 벽면을 타고 천정마감재(14) 높이까지 올라간 다음 천정마감재(14) 표면(저면 또는 상면)을 가로질러서 면조명기구(200)들이 설치된 지점 근처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전선(125)의 배선은 보호용 금속 전선관에 내장하지 않고 전선(125)만 끌고가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전선(125)을 벽면과 천정마감재(14)의 바깥 표면(저면)에 노출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거슬리지 않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테이프 형태로 만들어진 전선을 사용하고, 벽면 및 천정마감재(14)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잘 어울리는 색상의 테이프나 또는 고정핀 또는 고정못으로 고정하거나 천정마감재 지지부(천정마감재들의 경계선)를 따라 그의 바깥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전선(125)을 천정마감재(14)를 가로지르는 구간에 설치함에 있어서 그 전선(125)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하려면, 이미 설치된 천정마감재(14)들 중 벽면과 닿는 천정마감재를 살짝 들어올려서 그 안으로 전선(125)을 밀어넣은 다음, 그 본류 전선(125)을 원하는 경로로 끌고 가면 된다. 전력공급부(140)가 천정마감재(14) 위의 은폐 공간에 설치된 경우, 그 전력공급부(140)에 본류 전선(125)을 연결하여 천정마감재(14)의 위의 원하는 경로로 끌고가면 된다.
그리고 그 본류 전선(125)에 분기 박스(120)를 분기 박스(120)를 설치하고 그로부터 지류 전선(125)을 뽑아내어 근처의 면조명기구(200)와 연결한다. 분기 박스(120)가 설치되는 위치는 면조명기구(200)가 설치될 위치와 가까운 곳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전선(125)은 대부분 천정마감재(14) 위쪽에 얹혀 있게 되고, 면조명기구(200)와 아주 가까운 지점에서 일부 길이만 노출된다. 만약 본류 전선(125)이 천정마감재(14)의 바깥 표면에 설치되는 경우 T형 분기 박스(120)는 천정마감재(14) 바같 표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천정마감재(14) 위에 은폐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류 전선(125)을 천정마감재(14) 위에 얹어 은폐시키는 경우에는, T형 분기 박스(120)도 천정마감재(14) 위에 얹어 은폐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선(125)의 본류 및/또는 T형 분기 박스(120)가 천정마감재(14) 위에 얹어 은폐시켜 설치되는 경우, 전선(125)의 지류도 천정마감재(14) 위에 은폐시켜 설치하고 해당 면조명기구(200) 근처에서 바깥으로 뽑아내어 연결하면 될 것이다.
전선(125)의 설치에 필요하다면 졸대나 플렉시블 난연 케이블관과 같이 설치 보조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졸대나 케이블관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종래 방식에 따른 금속 전선관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 금속 전선관은 대개 주철과 같은 강관으로 만들고, 천정마감재 시공 이전에 천정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데 비해, 본 발명의 케이블관은 천정마감재 시공 이후에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125) 고정용으로 설치하며, 천정슬래브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벽면이나 천정마감재(14) 외부 표면에 부착하거나 천정마감재(14) 위에 그냥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한다는 데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설치 방법에 의하면, 천정마감재 공사가 모두 완료되고 심지어 해당 실내 공간 내부의 용도가 정해지고 그에 따른 실내 공간의 구획, 집기들의 배치 등에 관한 레이아웃이 확정된 후에도, 면조명기구(200)들의 설치가 가능하고, 오히려 그런 순서로 설치할 때 해당 실내 공간의 조건에 가장 적합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면조명기구(200)의 배치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사정 변경에 의해 해당 실내 공간의 조명 방안이 변경되어도 그에 맞게 면조명기구(200)들의 배치 위치를 탄력적으로 그리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면조명기구(200)의 위치 변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위치 이동할 면조명기구(200)에 연결된 지류 전선(125)을 면조명기구(200)와 분리한 다음 그 면조명기구(200)를 천정마감재(14)로부터 떼어낸다. 그 다음 절차는 위에서 설명한 면조명기구의 설치 절차에 따르면 된다. 즉, 이동 설치할 위치 근처에 전선(125)의 지류를 뽑아내고 그 위치에 면조명기구(200)를 설치하고, 미리 뽑아둔 전선(125)의 지류를 그 면조명기구(200)에 연결함으로써, 위치 변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LED 램프를 광원 램프로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조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상의 설명에 의거하여 CCFL 램프를 광원 램프로 채용하는 면조명 시스템(100)을 구성하고 설치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예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면조명기구(200)는 천정마감재(14) 외에도 실내공간의 벽면 부착하여 설치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 건물의 실내 조명을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설치를 변경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4: 천정마감재 100: 면조명 시스템
120: T형 분기 박스 125: 직류용 전선
127: 커넥터 130: 조도제어기
140: 전력공급부 150: 교류 콘센트
160: 조도제어기용 리모콘 200: 면조명기구
210: 도광판 220: 램프모듈
222: LED 램프 224: 인쇄회로기판
230: 프레임 232: 바디 프레임
234: 커버 프레임 236: 탄성부재
237 램프모듈수납부 238: 결합공
239: 나사못 240: 투명 필름
242: 자석 248: 보호 필름
250: 필름/도광판 고정용 패킹부재

Claims (21)

  1. 천정마감재 설치 공사가 완료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면조명 시스템으로서,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그 천정마감재를 따내지 않은 채 분리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광원 램프(들)과 이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원부가 생성한 빛을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력받아 그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이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
    상용 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광원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면조명기구들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배선경로 상 필요한 부분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뿐 별도의 금속 전선관 안에 매입되지 않는 직류 공급용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는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에 부착하고 필요시에 상기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복수 개의 결합공들과, 상기 결합공들을 통해 상기 천정마감재에 박히는 복수 개의 나사못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는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에 부착하고 필요 시에 상기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으로 된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상기 면조명기구를 붙어있도록 해주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배선경로는 상기 천정마감재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에까지 이르는 천정구간을 포함하고, 그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금속 전선관 내에 매입되지 않고 노출 설치되며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아래쪽의 바깥 표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위에 얹히는 형태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직류용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테이프 또는 고정핀 또는 고정못으로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에 고정되게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의 본류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면조명기구들을 병렬로 연결해주기 위해 상기 전선의 지류를 뽑아내기 위한 분기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와 상기 면조명기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말단과 상기 램프구동부의 입력단은 끼움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결합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는 광산란요소들이 저면에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에 근접 배치되어 그 측면으로 광을 투입하는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수용하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을 붙잡아 자신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의 근접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을 얹어서 지지해줄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과 같은 모양의 고리를 이루는 바디프레임과, 한쪽 끝부분이 상기 바디프레임과 맞물려 그 맞물린 부분을 선회축으로 하여 상기 바디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커버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을 발판으로 삼아 상기 커버프레임을 상기 선회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 간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해주면서 상기 커버프레임이 닫힘위치에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도광판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바디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램프모듈을 수납하고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도록 된 램프모듈수납부와, 상기 램프모듈수납부 내에 상기 도광판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둘레부분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패킹부재와, 그리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복수의 위치에 마련된 나사못 고정용 복수의 결합공과 복수의 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판은 상기 램프모듈수납부와 상기 패킹부재,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2중으로 붙잡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띠 모양으로 길게 연장된 인쇄회로기판에 복수의 LED 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동작전압과 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램프구동부의 구동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LED 램프들이 일렬로 장착되어 상기 구동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나란히 근접 배치될 수 있는 띠 모양의 광원모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전선과 커넥터 접속이 가능한 단자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는 소정의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 표면에 부가되어 상기 이미지가 상기 도광판에서 나오는 광에 의해 밝혀지는 이미지 인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14. 천정마감재 설치 공사가 완료된 건물의 천정에 면조명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그 천정마감재를 따내지 않고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을 분리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광원램프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면조명기구들의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상기 건물의 실내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면조명기구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상기 각 면조명기구들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용 전선을 배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면조명기구들은 광원 램프(들)과 이를 구동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원부가 생성한 빛을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력받아 그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광원부와 상기 도광판이 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것이며,
    상기 직류용 전선을 배선함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배선경로 상 필요한 부분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뿐 별도의 금속 전선관 안에 매입되지 않으며, 상기 전선의 배선경로는 상기 천정마감재를 가로질러 각 면조명기구에까지 이르는 천정구간을 포함하고, 그 천정구간에서 상기 전선은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아래쪽의 바깥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천정마감재 또는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의 위에 얹히는 형태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면조명기구들은 필요 시 부착되어 있던 천정마감재의 훼손 없이 그 천정마감재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는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천정마감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i)상기 프레임에 마련된 복수 개의 결합공들과 상기 결합공들을 통해 상기 천정마감재에 박히는 복수 개의 나사못을 포함하거나 또는 ii)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으로 된 천정마감재 지지부재에 상기 면조명기구를 붙어있도록 해주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가 각 면조명기구의 램프구동부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법규상 전선을 금속 전선관 내부에 배선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의 직류 저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용 전선은 직류용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용 전선을 상기 천정마감재의 아래쪽 표면을 가로지르면서 배선하는 경우, 상기 직류용 전선을 테이프, 고정못 또는 고정핀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와 상기 면조명기구들 사이에 각 면조명기구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조절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배선작업은 상기 전선의 본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선의 본류로부터 분기 박스를 이용하여 지류를 빼내어 각 면조명기구에 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조명 시스템 시공방법.
KR1020110053106A 2011-06-02 2011-06-02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2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106A KR101124261B1 (ko) 2011-06-02 2011-06-02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12/004356 WO2012165907A2 (ko) 2011-06-02 2012-06-01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 시스템과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106A KR101124261B1 (ko) 2011-06-02 2011-06-02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261B1 true KR101124261B1 (ko) 2012-03-27

Family

ID=4614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106A KR101124261B1 (ko) 2011-06-02 2011-06-02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2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9973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컨버터 공용식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세트
KR101809668B1 (ko) * 2016-04-29 2017-12-15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다용도 조명장치
KR101821151B1 (ko) * 2016-07-27 2018-01-23 조춘현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12582A (ko) * 2017-07-28 2019-02-11 태주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led 엣지등
KR102141774B1 (ko) 2020-01-02 2020-08-05 김승욱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90833B1 (ko) * 2022-11-07 2023-01-19 문경숙 전등 케이블 공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526A (ja) 2000-05-29 2001-12-07 Maxxum:Kk 足元灯
KR100950957B1 (ko) 2009-06-02 2010-04-02 (주)렌즈 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8526A (ja) 2000-05-29 2001-12-07 Maxxum:Kk 足元灯
KR100950957B1 (ko) 2009-06-02 2010-04-02 (주)렌즈 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9973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컨버터 공용식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세트
KR101608894B1 (ko) * 2014-02-26 2016-04-05 주식회사 비바아트 컨버터 공용식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세트
KR101809668B1 (ko) * 2016-04-29 2017-12-15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다용도 조명장치
KR101821151B1 (ko) * 2016-07-27 2018-01-23 조춘현 엘이디 조명장치
KR20190012582A (ko) * 2017-07-28 2019-02-11 태주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led 엣지등
KR101952181B1 (ko) * 2017-07-28 2019-02-26 태주공업(주) 모듈형 led 엣지등
KR102141774B1 (ko) 2020-01-02 2020-08-05 김승욱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90833B1 (ko) * 2022-11-07 2023-01-19 문경숙 전등 케이블 공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261B1 (ko) 면조명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US10422518B2 (en) Flat panel lighting device
US7703946B2 (en) LED wall wash light
US6390652B1 (en) Portable mounting light unit
JP2011029067A (ja) ダクト式照明システム
TW201619546A (zh) 照明器具
KR20150133981A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WO2012165907A2 (ko)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 시스템과 이의 설치방법
WO2019095988A1 (zh) 一种装饰线
JP2014035967A (ja) 仮設照明システム
US20150338070A1 (en) Lighted Display Connector
WO2007071953A1 (en) Low profile lighting device
JPH06267327A (ja) 照明付帯装置
CN209944054U (zh) 一种通过智能控制的灯具
CN210004253U (zh) 吸顶灯
JP2013532353A (ja) 天井板用の照明組立体
US11885127B2 (en) Mounting profile for lighting system of suspended ceiling
JP3932774B2 (ja) 屋内照明装置
GB2378060B (en) Fluorscent lamp brightness controller
KR200446201Y1 (ko) 간접 조명용 형광등프레임
JP2005307621A (ja) 照明装置及びその照明装置を使用した床パネル
JP2024083307A (ja) Ledストリップバーを用いたライン照明
EP0427346A1 (en) Ballast for one or more external fluorescent lamps and lighting fixture for fluorescent lamps having no ballast apparatus
CN104949076B (zh) 吊挂架照明装置
RU11459U1 (ru) Карниз с подсвет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