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220B1 -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 Google Patents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220B1
KR101124220B1 KR1020090111321A KR20090111321A KR101124220B1 KR 101124220 B1 KR101124220 B1 KR 101124220B1 KR 1020090111321 A KR1020090111321 A KR 1020090111321A KR 20090111321 A KR20090111321 A KR 20090111321A KR 101124220 B1 KR101124220 B1 KR 10112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ixture
discharge
stir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606A (ko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09011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3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 B01F35/7173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gravity, e.g. from a hopper using a h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sl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대상물을 수용하여 분말이나 알갱이형태로 갈아주고 혼합하여 배출하는 혼합물형성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구성되면서 그 회전축상에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22)가 장착된 교반부(20);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내벽면에 분쇄날개(31)가 장착된 용기부(30); 상기 분쇄날개(31)의 회전축에 연결수단(4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분쇄날개(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40); 및 상기 용기부(30)에 구성되어 상기 교반날개(22)와 분쇄날개(31)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물형성기에 표준용량 이외의 다양한 용기부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유지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사용과정 및 유지보수과정에서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혼합물형성기, 몸체부, 교반부, 용기부, 동력전달부, 배출부

Description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Mixer for exchanging the vessel}
본 발명은 분쇄대상물을 분말이나 알갱이형태로 갈아주고 혼합하는 혼합물형성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혼합물형성기의 용기부를 구성함에 있어 표준용량이 아닌 다른 용량의 용기부도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합물형성기는 의약품이나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덩어리형태의 분쇄대상물을 분말이나 알갱이 형태로 분쇄하고 혼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혼합물형성기는 상기 분쇄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수단이나 상기 분쇄대상물을 혼합하는 교반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혼합물형성기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탑재되어 상기 분쇄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내의 분쇄대상물을 절단하는 분쇄부, 상기 용기부내의 분쇄대상물을 혼합하는 교반부, 및 상기 분쇄부와 교반부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혼합물형성기는 상기 용기부를 포함한 구성부품 전체가 세트화된 상태로서, 상기 용기부의 용량이나 규격을 변경하려고 해도 상기 용기부의 공용화가 불가능하여, 상기 혼합물형성기 자체를 교환해야하므로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혼합물형성기는 상기 몸체부에 단지 한 개의 용기부만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예컨대, 상기 분쇄대상물의 공급량이 규정치보다 작거나 클 경우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고 작업하중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대부분은 상기 분쇄부에 의해 상기 용기부가 고정되거나 상기 분쇄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용기부가 몸체부의 하부측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용기부의 분해조립 및 유지보수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하중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혼합물형성기의 용기부를 구성함에 있어 표준용량이 아닌 다른 용량의 용기부도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성되면서 그 회전축상에 모우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가 장착된 교반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내벽면에 분쇄날개가 장착된 용기부; 상기 분쇄날개의 회전축에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분쇄날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용기부에 구성되어 상기 교반날개와 분쇄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혼합물형성기에 표준용량 이외의 다양한 용량의 용기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유지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상기 용기부의 분해 및 조립에 따른 작업과정이 단순화되므로 상기 혼합물형성기의 사용과정 및 유지보수과정에서 작업성이 형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의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와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성형기의 용기부를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구성되면서 그 회전축상에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22)가 장착된 교반부(20);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내벽면에 분쇄날개(31)가 장착된 용기부(30); 상기 분쇄날개(31)의 회전축에 연결수단(42)을 통해 연결되면서 그 회전축상에 장착된 모우터(41)를 통해 상기 분쇄날개(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 및 상기 용기부(30)에 구성되어 상기 교반날개(22)와 분쇄날개(31)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원 발명에 의한 혼합물형성기(1)는, 상기 몸체부(10)에 선택적으로 탑재되는 용기부(30)와, 상기 용기부(30)내에 수용되는 분쇄대상물을 분쇄하고 혼합하는 가공부(30,40), 및 상기 가공부(30,40)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를 사용장소로 배출하는 배출부(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0)는, 상기 혼합물형성기(1)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면에 이후에 설명하는 상기 교반부(20)의 교반날개(22)가 돌출되는 플랜지부(11) 및 상기 동력전달부(40)의 각종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동력박스(12)가 각각 형성되면서, 그 하부면에 상기 혼합물성형기의 이동과정에서 이용하는 바퀴(15)가 장착된다.
그리고, 용기부(30)는,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대상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부측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면서, 그 상면에 회전축(33-1)을 따라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덮개(33)가 장착되고, 그 내벽면에 분쇄날개(3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랜지부(11)에 상기 용기부(3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부(11)의 둘레면에 구성된 다수개의 고정쇠(32-1), 및 상기 용기부(30)의 둘레면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쇠(32-1)에 걸려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쇠(3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쇠(32-1)와 걸쇠(32-2)의 위치를 상호 변경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덮개(33)의 내벽면에는 상기 용기부(20)와 밀착력을 증대하는 실링수단(36)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30)의 둘레면에 상기 분쇄날개(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동축(31-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30)의 둘레면에 상기 덮개(33)의 잠금수단으로 이용되는 클램핑기구(3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용기부(3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33)에 상기 분쇄대상물이 주입되는 호퍼(35)가 장착된다.
그리고, 교반부(20)는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부(30)에 수용되는 분쇄대상물을 혼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에 내장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우터(21)와 상기 모우터(21)의 회전축상에 장착되어 상기 분쇄대상물과 직접 접촉하는 교반날개(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에 상기 모우터(21)를 고정하는 브래킷이나 상기 모우터(21)를 감속하는 감속기(23) 등을 구성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동력전달부(40)는, 상기 용기부(30)의 피동축(31-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박스(12)에 내장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우터(41), 및 상기 모우터(41)에 의해 회전함은 물론 상기 피동축(31-1)에 연결수단(42)을 통해 연결되는 구동축(4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의 연결수단(42)으로는 상기 피동축(31-1)과 상기 구동축(41-1)을 상호 물어 잡아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클램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원에서는 상기 연결수단(42)으로서 클램프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피동축(31-1)과 구동축(41-1)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동력박스(12)의 바닥면에는 상기 구동축(41-1)을 포함한 구성부품들이 왕복이동하는 레일(43)이 장착되며, 상기 동력박스(12)의 외벽에 상기 혼합물형성기(1)의 이동과정에서 이용하는 손잡이(43-1)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40)의 이동수단으로 상기 레일(43)에 한정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동력전달부(40)를 자동 및 수동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배출부(50)는 상기 용기부(30)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쇄날개(31)와 교반날개(22)에 의해 분쇄되고 혼합되는 혼합재료를 후처리공정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부(3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하여 운반과정에서 편리성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50)에 상기 혼합재료의 배출 및 운반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하는 손잡이(51)를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50)에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혼합재료의 배출구(5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용기부(30)내의 혼합재료를 가두어두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51)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배출구(52)를 개방하도록 슬라이딩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배출부(50)의 손잡이(51)는 스프링을 통해 리턴하여 상기 배출구(52)를 밀폐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50)의 배출관로 바람직하게는 그 상면에 상기 혼합재료의 충진여부 및 상기 혼합재료의 혼합상태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53)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혼합물형성기(1)의 사용과정에서 상기 용기부(30)를 교환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분쇄날개(31)의 피동축(31-1)과 상기 모우터(41)의 구동축(41-1)을 상호 결합하고 있던 상기 연결수단(42)을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용기부(30)와 상기 동력전달부(40)가 상호 분리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40)에 구성된 레일(43)을 작동하여 상기 구동축(41-1)을 포함한 내장부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용기부(30)를 결합하고 있던 상기 고정수단을 분리하면, 상기 몸체부(10)에 탑재되어 있된 상기 용기부(30)의 교체에 따른 분리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용기부(30)를 들어올린 다음, 상기 용기부(30) 이외의 다른 용량을 갖는 용기부를 상기 몸체부(10)에 탑재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동력전달부(40)의 레일(43)을 작동하여 상기 피동축(31-1)과 상기 구동축(41-1)을 상호 맞대고 상기 연결수단(42)을 체결하면, 상기 용기부(30)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형성기(1)에 다른 용량의 용기부(30)를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혼합물형성기(1)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비용 및 작업하중이 절감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형성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성형기의 용기부를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혼합물형성기 10 : 몸체부
20 : 교반부 22 : 교반날개
30 : 용기부 31 : 분쇄날개
31-1 : 피동축 40 : 동력전달부
42 : 연결수단 43 : 레일
50 : 배출부 52 : 배출구

Claims (4)

  1.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구성되면서 그 회전축상에 모우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22)가 장착된 교반부(20);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내벽면에 분쇄날개(31)가 장착된 용기부(30);
    상기 분쇄날개(31)의 회전축에 연결수단(4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용기부(30)에 모우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 및
    상기 용기부(30)에 구성되어 상기 교반날개(22)와 분쇄날개(31)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된 다수개의 고정쇠(32-1)와, 상기 용기부(30)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쇠(32-1)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다수개의 걸쇠(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2)은,
    상기 분쇄날개(31)의 피동축(31-1)과 상기 모우터(41)의 구동축(41-1)을 상호 물어 잡는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40)는,
    그 바닥면에 상기 모우터(41)를 포함한 내장부품을 왕복이동시키는 레일(43)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
KR1020090111321A 2009-11-18 2009-11-18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KR10112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321A KR101124220B1 (ko) 2009-11-18 2009-11-18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321A KR101124220B1 (ko) 2009-11-18 2009-11-18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606A KR20110054606A (ko) 2011-05-25
KR101124220B1 true KR101124220B1 (ko) 2012-03-27

Family

ID=443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321A KR101124220B1 (ko) 2009-11-18 2009-11-18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239A (ko) * 2019-12-23 2021-07-01 폴 코포레이션 혼합 용기를 위한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사용 방법
KR20210081238A (ko) * 2019-12-23 2021-07-01 폴 코포레이션 혼합 용기용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상기 믹서 베이스 조립체의 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210B1 (ko) * 2013-05-03 2014-08-01 주식회사 피티케이 고속 과립기용 파우더 공급장치
KR102627889B1 (ko) * 2021-08-20 2024-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분말 표면 코팅을 위한 임펠러가 도입된 반응로 탈장착 가능 스퍼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퍼터링 코팅 방법
KR102642897B1 (ko) * 2022-02-09 2024-03-04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배수 성능이 향상된 고속 믹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U (ja) * 1993-06-10 1995-01-06 日立金属株式会社 粉末用ミキサー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U (ja) * 1993-06-10 1995-01-06 日立金属株式会社 粉末用ミキサー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239A (ko) * 2019-12-23 2021-07-01 폴 코포레이션 혼합 용기를 위한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사용 방법
KR20210081238A (ko) * 2019-12-23 2021-07-01 폴 코포레이션 혼합 용기용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상기 믹서 베이스 조립체의 이용 방법
CN113083111A (zh) * 2019-12-23 2021-07-09 帕尔公司 用于混合容器的混合器基座组件及使用方法
US11504682B2 (en) 2019-12-23 2022-11-22 Pall Corporation Mixer base assembly for mixing vessels and method of use
KR102489895B1 (ko) * 2019-12-23 2023-01-18 폴 코포레이션 혼합 용기용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상기 믹서 베이스 조립체의 이용 방법
US11565222B2 (en) 2019-12-23 2023-01-31 Pall Corporation Mixer base assembly for mixing vessels and method of use
CN113083111B (zh) * 2019-12-23 2023-02-03 帕尔公司 用于混合容器的混合器基座组件及使用方法
KR102521075B1 (ko) * 2019-12-23 2023-04-13 싸이티바 유에스 엘엘씨 혼합 용기를 위한 믹서 베이스 조립체 및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606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220B1 (ko) 용기부의 교체가 가능한 혼합물형성기
US5419633A (en) Paddle mixer with mixing drum mounted on transportable frame having paddles with rubber scraping elements
CN204841501U (zh) 一种固体大量元素全水溶性肥料生产用混合机
CN112025998A (zh) 一种建筑工程用建筑水泥搅拌与分配设备
CN106139997A (zh) 一种双桶搅拌机
CN104801411A (zh) 一种可移动式粉碎搅拌混合机
KR101734950B1 (ko) 원료의 분쇄 및 혼합을 위한 멀티 믹서장치
KR20050083268A (ko) 회전식 분쇄장치
CN209490863U (zh) 一种化工原料粉碎混合装置
KR101175917B1 (ko) 빙삭기
CN216884592U (zh) 一种干混砂浆混合设备
KR101088444B1 (ko) 분말 혼합장치
CN205253230U (zh) 兽药原材料粉碎装置
KR100841977B1 (ko) 원료 배합기
CN204522840U (zh) 一种小型混合机
CN110947501B (zh) 搅动结构及具有该搅动结构的建筑木材加工废料粉碎装置
KR101504688B1 (ko) 핸드믹서기용 분쇄통의 분쇄날
KR101224966B1 (ko) 다량의 세립분 함유 토사 혼합을 위한 원통형 분쇄기 탑재형 교반장치
CN207238190U (zh) 粉碎机
JP2001314743A (ja) 攪拌装置
JP6929061B2 (ja) 攪拌造粒機
EP3328529B1 (en) Sand mixing device and method of mixing sand
CN217189291U (zh) 一种辣椒粉碎混料一体设备
CN104645855A (zh) 一种小型混合机
CN217494731U (zh) 一种干粉砂浆生产用混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