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769B1 - 칼라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69B1
KR101123769B1 KR1020050044439A KR20050044439A KR101123769B1 KR 101123769 B1 KR101123769 B1 KR 101123769B1 KR 1020050044439 A KR1020050044439 A KR 1020050044439A KR 20050044439 A KR20050044439 A KR 20050044439A KR 101123769 B1 KR101123769 B1 KR 10112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image forming
developer
conta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861A (ko
Inventor
경명호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5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roller or a polygonal rotating cleaning member; Details thereof, e.g. surface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 클리닝부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클리닝부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프린팅 모드시 클리닝부가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를 클리닝하지 않도록 감광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클리닝부 사이의 기계적인 마찰로 인한 감광체 또는 클리닝부의 손상 및 그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감광체, 클리닝, 블레이드, 이격, 손상, 방지,

Description

칼라 화상형성장치{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유닛을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작동유닛을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상형성 장치 101: 화상형성유닛
101k, 101m, 101c, 101y: 감광체 103k, 103m, 103c, 103y: 대전기
106k, 106m, 106c, 106y: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
111: 급지유닛 113: 화상전사벨트
115: 정착유닛 116: 배지유닛
120: 전사유닛 150: 제어부
160, 160': 작동유닛
160m, 160c, 160y, 160m', 160c', 160y': 캠장치
161: 모터 164, 175: 캠
165, 178: 캠스프링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랙(Black; K) 현상제만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mono-printing mode) 기능을 갖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벨트 또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시키고 이 정전잠상을 소정 칼라를 가진 현상제로 현상한 뒤 기록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텐덤형 전자사진방식 칼라 화상형성장치(1)를 예시한다.
급지 카세트(11)는 장치본체(M)의 하부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용지(S)는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14)에 이송된다.
레지스트 롤러(14)의 용지이송 방향 하류측에는 용지(S)를 이송하는 용지이 송벨트(2)가 구동롤러(18), 피동롤러(19), 제1 및 제2텐션롤러(20, 21) 등의 복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용지이송 방향(도 1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용지이송 방향 최상류측에는 용지이송 벨트(2)를 피동롤러(19)에 압착하는 압착롤러(22)가 배치되어 있다.
압착롤러(22)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14)에 의해 용지이송 벨트(2)로 이송되는 용지(S)가 용지이송 벨트(2)에 흡착되어 이송된다.
용지이송 벨트(2)에 대향하여 도 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는 소정 칼라, 예컨대 옐로우(Yellow: Y), 마젠타(Magenta: M), 시안(Cyan: C) 및 블랙(K)의 4개의 감광체(1y, 1m, 1c, 1k)가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다.
각 감광체(1y, 1m, 1c, 1k)의 주위에는 대전기(3y, 3m, 3c, 3k), 현상기(5y, 5m, 5c, 5k), 및 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 6k)가 배치되고 있고, 용지이송 벨트(2)의 내측에는 전사롤러(8y, 8m, 8c, 8k)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기(5y, 5m, 5c, 5k)의 현상제 용기의 내부에는 해당하는 각 칼라의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고, 각 칼라의 현상제화상이 일련의 화상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감광체(1y, 1m, 1c, 1k)에 형성되어 용지이송 벨트(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에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현상제화상이 형성된다.
현상제화상이 형성된 용지(S)는 정착기(15)의 정착롤러(15a) 및 가압롤러(15b)로 이송되고, 정착롤러(15a) 및 가압롤러(15b)에 의해 현상제화상이 정착된 후, 배출롤러(16)에 의해 장치본체(M)의 상부에 배치된 배출 트레이(17)위로 배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통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현상제를 모두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풀 칼라프린팅 모드(full color printing mode)와, 현상제 유지비용과 인쇄속도를 감안하여 블랙(K)의 현상제만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노프린팅 모드로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체(1y, 1m, 1c)는 상응하는 현상기(5y, 5m, 5c)에 의해 현상제화상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상응하는 전사롤러(8y, 8m, 8c)에 의해 용지이송 벨트(2)와 일정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용지이송 벨트(2)와 기계적 마찰을 발생하지 않도록 공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따라서, 감광체(1y, 1m, 1c)가 공회전하므로, 상응하는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는 잔류하는 현상제화상이 없는 감광체(1y, 1m, 1c)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는 감광체(1y, 1m, 1c)와 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6y, 6m, 6c) 사이의 윤활도 저하로 인해 그 가장자리면이 쉽게 마모 또는 손상되거나, 감광체(1y, 1m, 1c)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 및 그것을 클리 닝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접촉하는 대전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각각의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각각의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각각의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 각각의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 및 클리닝부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클리닝부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클리닝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이동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작동부는 각각의 이동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1캠, 및 각각의 이동 브레이드가 상응하는 제1캠과 접촉하도록 각각의 이동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1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전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가 오염되지 않도록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에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작동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대전부도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경우, 대전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고정 대전롤러,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이동 대전롤러로 구성되고, 작동부는 각각의 이동 대전롤러의 축과 접촉하는 복수의 제2캠, 및 각각의 이동 대전롤러가 상응하는 제2캠과 접촉하도록 각각의 이동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캠과 제2캠의 캠면은, 이동 블레이드와 이동 대전롤러가 상응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동작될 때 이동 대전롤러가, 클리닝되지 않는 감광체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동 블레이드가 상응하는 감광체와 접촉한 시점에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후 상응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를 도시 한다.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는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제1클리닝유닛(155), 작동유닛(160),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제2클리닝유닛(13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급지유닛(111)은 용지와 같은 화상수용매체(S)를 급지하는 것으로, 급지카세트(111a), 픽업롤러(112), 및 레지스트 롤러(114)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11a)는 장치본체(M1)의 하부에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111a)에 적재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되어 레지스트 롤러(114)에 이송된다.
화상형성유닛(101)은 급지유닛(111)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수용매체(S)에 소정의 칼라, 즉 각각 블랙(K), 마젠타(M), 시안(C), 옐로(Y)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유닛(101)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후술하는 전사유닛(120)의 화상전사벨트(113)에 대향하여 도 2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설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각각 알루미늄제 실린더의 외주면에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고, 양단부가 플랜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으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는 후술하는 전사유닛(120)의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일정 압력으 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주위에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 및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기(105k, 105m, 105c, 105y),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기(102k, 102m, 102c, 102y)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는 각각 도전성 롤러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과 접촉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의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소정의 대전전위, 예를들면 현상제가 (-)극성일 경우 약 -600V의 대전전위를 형성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는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에 의해 대전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컴퓨터, 스캐너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대전전위 보다 낮은 소정의 전위, 예를들면 약 -50V의 저전위부를 갖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 레이저 스캐닝부(104k, 104m, 104c, 104y)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 현상기(105k, 105m, 105c, 105y)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상응하는 칼라의 현상제를 부착시켜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및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는 각각, 소정 극성, 예를들면 (-)극성의 블랙(K),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감광체(101k, 101m, 101c, 101y)를 구동하는 기어트레인에 연결된 동력전달기어(도시하지 않음)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 보다 100-400V 낮은 소정의 현상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25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는 제1, 제 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와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의 일측면 하부와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블랙(K), 옐로(Y), 마젠타(M), 및 시안(C)의 현상제는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수용부(109k, 109m, 109c, 109y) 내에서 도시하지 않은 교반수단에 의해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하부 공간으로 이송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보다 100-400V 높은 소정의 현상제공급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5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하부 공간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에 의해 전하를 주입받아 전하를 띄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전위가 낮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에 부착되어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제 공급롤러(108k, 108m, 108c, 108y)와 제1, 제2, 제3, 및 제4현상롤러(110k, 110m, 110c, 110y) 사이의 닙으로 이동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제전부(102k, 102m, 102c, 102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의 표면에 대전된 대전전위를 제거하기 위한 것 으로, 제전램프로 구성된다.
제1클리닝유닛(155)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가 1주기 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클리닝부(107k, 107m, 107c, 107y)로 구성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크리닝부(107k, 107m, 107c, 107y)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 106m, 106c, 106y)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 125m, 125c, 125y)를 구비한다.
제1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는 제1감광체(101k)와 접촉하도록 운직일 수 없게 고정된 고정 블레이드로 구성된 반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후술하는 작동유닛(160)에 의해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양단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 125m, 125c, 125y)의 제1 및 제2측벽(125a; 제1측벽만 도시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68; 하나만 도시함)의 고정축(169; 하나만 도시함)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 125m, 125c, 125y)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 106m, 106c, 106y)에 의해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로부터 클리닝되어 제거된 폐현상제를 저장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 대전기(103k, 103m, 103c, 103y)와 제1, 제 2, 제3, 및 제4 제전기(102k, 102m, 102c, 102y)를 도시하지 않는 격벽에 의해 구획하여 내장하고 있다.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를 이격시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마모와 손상 및 그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에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를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동작하는 작동유닛(160)이 설치된다.
작동유닛(160)은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로 구성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는 각각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캠면(164a, 164b)을 갖는 캠(164)을 구비한다. 캠(164)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의 제1측벽(125a) 외측에 설치된 모터(161)의 구동축(163)에 고정되어 모터(161)에 의해 구동된다. 캠스프링(165)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6)와 제1측벽(125a)의 지지브라켓(167)의 제2지지부(167a)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가 제1 및 제2캠면(164a, 164b)에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161)의 구동축(163)이 도 3에 도시한 위치에서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때, 캠(164)은 제2캠면(164b)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는 캠스프링(165)에 대항하여 고정축(169)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선단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모터(161)의 구동축(163)이 180도 회전된 위치에서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할 때, 캠(164)은 제1캠면(164a)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게 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는 캠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축(16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B)방향)으로 선회하여 복귀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선단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된다.
전사유닛(120)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하는 것으로, 화상전사벨트(113), 및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를 구비한다.
화상전사벨트(113)는 화상수용매체(S)를 이송하는 것으로, 매체이송 방향 하류측(도 2의 상부)에서부터 구동롤러(123), 제1 및 제2텐션롤러(121a, 121b), 피동롤러(119) 등의 복수의 회전롤러에 의해 매체이송 방향(도 2의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화상전사벨트(113)표면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유기 광도전층(organic photoconductive layer)이 코팅되어 있다.
화상전사벨트(113)의 매체이송 방향 최상류측(도2의 하부)에는 화상전사벨트(113)를 피동롤러(119)에 압착하는 압착롤러(122)가 배치되어 있다.
압착롤러(122)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114)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로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가 화상전사벨트(113)에 흡착되어 이송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는 화상전사벨트(113)에 소정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전사전압 인가부재로서, 각각, 화상전사벨트(113)의 내측에서 화상전사벨트(113)를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에 대하여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전사롤러(118k, 118m, 118c, 118y)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정착유닛(115)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현상제화상(132)을 정착하는 것으로, 가열롤러(115a)와 가압롤러(115b)를 구비한다. 가열롤러(115a)는 고온의 열에 의해 현상제화상(132)을 화상수용매체(S)에 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다. 가압롤러(115b)는 화상수용매체(S)를 가압하도록 탄성가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롤러(115a)에 대해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배지유닛(116)은 현상제화상(132)이 정착된 화상수용매체(S)를 배출 트레이(117)로 배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롤러(116a)와 백업롤러(116b)를 구비한다.
제2클리닝유닛(130)은 화상전사벨트(113)하부에 배치되고,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와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38)를 구비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제2텐션롤러(121b)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고, 화상전사벨트(113)에 대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는 화상전사벨트(113)가 1 주기회전후 그 표면에 잔류된 폐현상제를 클리닝하여 제거하고, 벨트폐현상제 수용부(138)는 화상전사벨트(113)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수용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장치본체(M1)의 상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예를들면,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113)로 전 사될 경우, 제1전사롤러(118k)에는 현상제의 극성, 예를들면 (-)극성과 반대극성의 +1 내지 +1.2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된 (+)극성의 전압은 화상전사벨트(113)를 통하여 화상수용매체(S)에 전달되어 (-)극성의 현상제를 끌어 당기는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은 전기장에 의하여 화상수용매체(S)로 이동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시키고 인쇄완료 후 다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도록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의 구동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13)으로 전사하기 위해 기어트레인을 통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할 때,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캠(164)의 제2캠면(164b)은 도 3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잔류하는 현상제화상이 없는 감 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장자리면의 마모 또는 손상이나,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이때,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여전히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 동작을 수행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미소량으로 존재하는 비정상 현상제, 예를들면 정상 현상제의 극성인 (-)극성과 반대극성인 (+)현상제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제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대전바이어스 전압으로 정상 현상제의 극성인 (-)극성과 반대극성인 (+)극성의 전압을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에 인가하도록 대전바이어스 전원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비정상 현상제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미소량으로 존재하더라도,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에는 비정상 현상제와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비정상 현상제는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오염은 방지된다.
제어부(150)는 인쇄완료후 모터(161)를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캠(164)의 제1캠면(164a)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제2, 제3, 및 제4감 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되어, 다음 인쇄를 위해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프린트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150)는 블랙(K)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결과, 모노프린팅 모드인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유닛(101)의 제1제전기(102k), 제1대전기(103k),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 및 제1현상기(105k)를 제어하여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첫 페이지의 데이터에 상응하는 블랙(K)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
즉, 제1현상제 수용부(109k)에 저장된 소정 극성, 예를들면 (-)극성의 블랙(K) 현상제는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에 의해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와 현상롤러(110k) 사이의 닙으로 이동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공급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예를들면 약 -500V의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제1현상제 공급롤러(108k)와 현상 바이어스 전원부로부터 예를들면 약 -250V의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제1현상롤러(110k)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제1현상롤러(110k)쪽으로 이동된다. 제1현상롤러(110k)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현상제규제 블레이드에 의해 제1현상롤러(110k)에 소정두께로 형성된 형성된 현상제층은 제1감광체(101k)와 접촉하는 닙을 형성하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된다. 한편, 제1대전롤 러(103k)를 통하여 일정한 대전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약 -600V의 고전위로 대전된 제1감광체(101k)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 등을 통해 입력된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현상제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신호에 따라 제1레이저 스캐닝부(104k)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이러한 노광에 의해 제1감광체(101k)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약 -50V로 감쇠된 저전위부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약 -50V의 저전위부와 약 -600V의 고전위부로 이루어진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후, 제1현상롤러(110k)에 형성된 현상제층이 제1감광체(101k)과 마주보는 현상영역으로 이송되어 서로 접촉할 때, 제1감광체(101k)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의 저전위부와 제1현상롤러(110k) 사이에는 -200V의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정전잠상의 저전위부는 제1현상롤러(110k)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극성의 전위가 형성된다. 이 전위차에 의한 전계에 의해 예를들면 (-)극성의 현상제는 제1감광체(101k)의 정전잠상의 저전위부로 이전되며, 이에 따라, 제1감광체(101k)의 정전잠상은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블랙(K) 현상제화상으로 현상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111a)에 장착된 화상수용매체(S)는 픽업롤러(112)에 의해 픽업된 후 레지스트 롤러(114)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흡착롤러(122)로 이송되고, 흡착롤러(122)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1감광체(101k) 사이의 닙으로 이송된다.
제1감광체(101)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트레인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첫 페이지의 데이터의 블랙(K) 현상제화상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으로부터 제1 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 예를들면 +1 내지 1.2KV의 전압에 의해,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다(S4). 이때, 제어부(150)는 화상수용매체(S)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감지하도록 레지스터 롤러(114)와 압착롤러(122) 사이 등과 같은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용지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에 의해 블랙(K) 현상제화상을 제1감광체(101k)에 형성하는 시작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13)로 전사하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할 때, 제어부(15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캠(164)의 제2캠면(164b)은 도 3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S5).
그후, 블랙(K)의 현상제화상이 제1감광체(101k)에서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된 후 제1감광체(101k)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제1감광체(101k)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1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k)에 의해 클리닝되어 제1감광체 폐현상제저장부(125k)로 회수된다(S6).
한편, 블랙(K)의 현상제화상이 전사된 화상수용매체(S)는 화상전사벨트(113) 에 의해 화상을 영구 고정하는 정착유닛(115)으로 이송되고, 정착유닛(115)의 정착롤러(115a)와 가압롤러(115b)에 의해 현상제화상(132)이 정착된 후, 배지유닛(116)의 배지롤러(116a)와 백업롤러(116b)에 의해 장치본체(M1)의 상부에 마련된 배출 트레이(117) 위로 배출된다(S7).
또한, 화상전사벨트(113)가 화살표(A)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블랙(K)의 현상제화상이 제1감광체(101k)에서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될 때 화상전사벨트(113)에 부착된 오염물 등은 벨트클리닝 블레이드(136)에 의해 클리닝되어 벨트 폐현상제저장부(138)로 회수된다(S8).
그후, 제어부(150)는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9).
단계 S9에서 판단결과,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위의 단계 S3 내지 S8을 반복하고, 인쇄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가 없으면,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캠(164)의 제1캠면(164a)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되고, 다음 인쇄를 대기하게 된다(S10).
(실시예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작동유닛(160'; 도 4)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한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 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전체 구성도는 별도로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는다. 또한, 화상형성유닛(101)의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 작동부(160'), 제어부를 제외한 급지유닛(111), 화상형성유닛(101), 제1클리닝유닛(155), 전사유닛(120),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및 제2클리닝유닛(130)은 구성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작동부(160')를 도시한다.
화상형성유닛(101)의 대전기(103k)는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유닛(101)의 대전기(103k)와 마찬가지로, 제1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k)에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 고정 대전롤러로 구성된 반면,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축(177)의 양단부가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의 제1, 및 제2측벽(125a; 제1측벽만 도시함)에 형성된 제1 및 제2슬롯(180; 제1슬롯만 도시함)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이동 대전롤러로 구성된다.
작동유닛(160')은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는 각각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제1캠(164)을 구비한다.
제1캠(164)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의 제1측벽(125a) 외측에 설치된 모터(161)의 구동축(163)에 고정되어 모터(161)에 의해 구동된다. 제1캠(164)은 모터(161)에 의해 구동축(163)이 회전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를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 및 제2캠면(164a, 164b)을 갖는다.
제1캠스프링(165)은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에 형성된 제1지지부(166)와 제1측벽(125a)의 제1지지브라켓(167)의 제2지지부(167a)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가 제1 및 제2캠면(164a, 164b)에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를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는 각각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의 단부와 접촉하는 제2캠(175)을 더 포함한다.
모터(161)의 동력은 구동기어(171), 제1아이들기어(172), 제2아이들기어(173), 및 캠기어(174)를 통해 제2캠(175)에 전달된다. 구동기어(171), 제1아이들기어(172), 제2아이들기어(173), 및 캠기어(174)는 동일한 회전각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어(171)는 모터(161)의 구동축(163)과 동축 형성되고, 캠기어(174)는 제2캠(175)과 동축 형성되어 있다. 제1아이들기어(172), 제2아이들기어(173) 및 캠기어(174)의 축은 제1측벽(125a)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제2캠(175)은 캠기어(174)가 회전될 때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를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작동하는 제3 및 제4캠면(175a, 175b)을 갖는다. 제3 및 제4캠면(175a, 175b)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다시 접촉하도록 동작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 보다 먼저 접촉하지 않도록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한 시점에서부터 일정시간, 즉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가 접촉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부분이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에 도달하는 시간 동안 지연된 후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3 및 제4캠면(175a, 175b)은 제3 및 제4캠면(175a, 175b)의 중심선이 수평이 되지 않고 수평에서 약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다시 접촉될 때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에 의해 클리닝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오염도 방지된다.
제2캠스프링(178)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제1측벽(125a)의 제2지지브라켓(179)의 제3지지부(179a)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제 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이 제3 및 제4캠면(175a, 175b)에 접촉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모터(161)의 구동축(163)이 도 4에 도시한 위치에서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때, 제1캠(164)은 제2캠면(164b)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는 제1캠스프링(165)에 대항하여 고정축(16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선단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모터(161)의 동력이 구동기어(171), 제1아이들기어(172), 제2아이들기어(173), 및 캠기어(174)를 통해 제2캠(175)에 전달됨에 따라, 제2캠(175)은 제2캠면(175b)이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축(177)은 제2캠스프링(17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
반대로, 모터(161)의 구동축이 180도 회전된 위치에서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때, 제1캠(16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면(164a)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는 제1캠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축(169)을 중심으로 시계반 대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선회하여 복귀된다.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선단부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된다.
또한, 모터(161)의 동력이 구동기어(171), 제1아이들기어(172), 제2아이들기어(173), 및 캠기어(174)를 통해 제2캠(175)에 전달됨에 따라, 제2캠(17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면(175a)이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축(177)은 제2캠스프링(178)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한다.
이상에서,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의 제1측벽(125a)에 설치된 것으로만 예시및 설명하였지만,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는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를 양측에서 균형있게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하기 위해 제2, 제3, 및 제4감광체 폐현상제수용부(125m, 125c, 125y)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것으로 이해 해야 할 것이다.
제어부는 도 2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장치본체(M1)의 상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블랙(K)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컴퓨터, 스캐너 등에서 입력되는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유닛(10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감광체(101k)의 화상영역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화상전사벨트(113)에 의해 이송되는 화상수용매체(S)에 전사되도록 전사 바이어스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사유닛(120)의 제1전사롤러(118k)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시키고, 인쇄완료후 다시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시키도록 제1, 제2,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의 구동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13)으로 전사하기 위해 기어트레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할 때, 제1 및 제2캠(164, 175)의 제2및 제4캠면(164b, 175b)이 도 4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도 4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는 잔류현상제가 없는 감광체와 직접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장자리면의 마모 또는 손상이나,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에 존재하는 미소량의 현상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어부는 인쇄완료후 제1 및 제2캠(164, 175)의 제1 및 제3캠면(164a, 175a)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 및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도 4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되고, 다음 인쇄를 위해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덤형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모노프린팅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또는 제어판넬을 통해 인쇄명령이 입력되면(S1), 제어부는 블랙(K)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인지를 판단하고(S2),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의 모노프린팅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단계 S3과 S4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4에서 제1감광체(101k)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을 화상전사벨트(113)으로 전사하기 위해 화상전사벨트(113)와 제1,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k, 101m, 101c, 101y)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시작할 때, 제어부는 제1 및 제2캠(164, 175)의 제2및 제4캠면(164b, 175b)이 도 4에 도시한 위치에서부터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일방향, 예를들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도 4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로부터 이격된다(S5').
그후, 제어부는 제1실시예의 모노프린팅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단계 S6 내지 S9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9를 수행한 후, 제어부는 제1 및 제2캠(164, 175)의 제1 및 제3캠면(164a, 175a)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의 몸체 및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의 축(177)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1, 제2, 및 제3캠장치(160m', 160c', 160y')의 모터(161)를 타방향, 예를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 결과, 도 4를 참조하여 위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제3, 및 제4감광체클리닝 블레이드(106m, 106c, 106y)와 제2, 제3, 및 제4대전기(103m, 103c, 103y)는 제2, 제3, 및 제4감광체(101m, 101c, 101y)와 접촉되고, 다음 인쇄를 위해 대기하게 된다(S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클리닝부가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를 클리닝하지 않도록 감광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클리닝부 사이의 기계적인 마찰로 인한 감광체 또는 클리닝부의 손상 및 그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대전부가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에 비정상현상제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 즉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거나,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비정상현상제에 의한 대전부의 오염 및 그로인한 화상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한 칼라의 현상제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현상제화상이 전사될 수 있는 화상전사부재;
    상기 감광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 및
    상기 클리닝부에 연결되고,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클리닝부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고정 블레이드,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이동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동 브레이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제1캠, 및 상기 이동 브레이드가 상응하는 제1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이동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1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에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극성의 대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고정 대전롤러, 및 모노프린팅 모드시 상기 화상형성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게 배치된 복수의 이동 대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이동 대전롤러의 축과 접촉하는 복수의 제2캠, 및 상기 이동 대전롤러가 상응하는 제2캠과 접촉하도록 상기 이동 브레이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캠의 캠면은, 상기 이동 블레이드와 상기 이동 대전롤러가 상응하는 감광체에 접촉하도록 동작될 때 상기 이동 대전롤러가, 상기 이동 블레이드가 상응하는 감광체와 접촉한 시점에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후 상응하는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형성 장치.
KR1020050044439A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KR10112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39A KR101123769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39A KR101123769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61A KR20060124861A (ko) 2006-12-06
KR101123769B1 true KR101123769B1 (ko) 2012-03-15

Family

ID=3772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439A KR101123769B1 (ko) 2005-05-26 2005-05-26 칼라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103A (ja) *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6103A (ja) *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861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3335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43781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69983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노프린팅 방법
JP482122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756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75581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ベルト装置
US76099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llution control unit
US73178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a defined relationship among an image length, transforming member length, and length of an electric field area
JP20073045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15878A (ja) 画像形成装置
KR20100086751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3769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
JP4631441B2 (ja) 画像形成装置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26007A (ja) 画像形成装置、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の組立方法
JP20073103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3109A (ja) 画像形成装置
JP72057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8058458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472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64647A (ja) 画像形成装置
JP524585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492202B2 (ja) 画像形成装置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JP4635078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