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61B1 -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61B1
KR101123361B1 KR1020080061913A KR20080061913A KR101123361B1 KR 101123361 B1 KR101123361 B1 KR 101123361B1 KR 1020080061913 A KR1020080061913 A KR 1020080061913A KR 20080061913 A KR20080061913 A KR 20080061913A KR 101123361 B1 KR101123361 B1 KR 10112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erver
distributed
distributed server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836A (ko
Inventor
김순기
Original Assignee
(주)디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유넷 filed Critical (주)디유넷
Priority to KR102008006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공유 학습자원은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제1 분산 서버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각 분산 서버에 소정의 관리 프로그램을 원격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당 분산 서버의 네트워크 구동상태나 서버 구동상태를 조회 및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산 서버들 각각에 저장된 학습자원이 분산 서버 상호 간에 공유될 수 있으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가 분산 서버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습 분산 환경, 학습 자원, 공유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Sever, method for managing learning environment by network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자원을 공유하기 위하여 학습 분산 환경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나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가 업무처리용 정보처리장치에서 교육, 게임 등 다기능 장치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학교나 학원에서 이루어지던 강의는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로 저장되어 그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컴퓨터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상에서의 교육은 인터넷의 발전으 로 말미암아 실시간으로 강의내용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강의내용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이를 학습자의 컴퓨터가 그대로 구현함으로써, 학습자는 일정한 시스템만을 갖추고 있다면 특정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강의를 수강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학습자는 학습자는 원격으로 강의를 수강하는 원격 학습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특히, 대학들은 자체적인 웹서버를 갖추고, 그 대학(학원)의 학생(수강생)들이 웹서버에 접속하여 강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 대학들 사이에 교류가 활발해지는 추세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대학들이 서로 자매 결연을 맺고, 자매 결연을 맺은 대학의 학생들에게는 강의를 제공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타 대학의 학생들에게 자신의 웹서버에 저장된 동영상 강의 등을 제공하기 위해 웹서버의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접속하여야 하는 등 비효율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 대학의 강의를 수강한 학생의 학사 관리를 일괄적으로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복수의 대학의 웹서버 사이에 강의 콘텐츠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작을 위한 도구 등의 학습자원이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동일한 콘텐츠가 각각의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거나, 이용가치가 큰 콘텐츠 저작 도구가 공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콘텐츠 저작 도구를 공유하지 못함으로써, 각각의 웹서버가 제작하는 콘텐츠가 다른 형식을 가지는 문제점을 야기 하기도 한 다.
한편, 각 대학이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는 분산적으로 존재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분산형으로 존재하는 웹서버는 서버와의 네트워크 관계에서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분산형으로 존재하는 웹서버들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매번 동일한 문제점 파악 및 문제의 개별적 해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간적, 인력적 자원을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서버에 저장된 학습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서버들을 통합 관리하여 공유 학습자원 제공 서비스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분산 서버 및 제2분산 서버와 연결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서 공유 학습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공유 콘텐츠, 학습데이터 및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 등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공유 콘텐츠, 학습데이터,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 및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산 서버는, 상기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분산 서버로, 상기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되어, 학습 콘텐츠의 실행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도구(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콘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Management System; AMS) 및 콘텐츠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DMS)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도구는, SCORM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와의 연결 상태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서버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발생한 에러에 관한 에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상태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에러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접속된 관 리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 및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분산 서버 및 제2분산 서버와 연결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학습자원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학습자원의 저장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공유 콘텐츠, 학습데이터 및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 플릿 등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원 관리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산 서버는, 상기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분산 서버로, 상기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되어, 학습 콘텐츠의 실행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도구(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콘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Management System; AMS) 및 콘텐츠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DMS)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도구는, SCORM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더 제공받는 상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와의 연결 상태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서버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발생한 에러에 관한 에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상태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에러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 및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 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서버 각각에 저장된 학습자원을 공유하여 학습자원의 중복 및 낭비를 막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가치가 큰 학습자원을 공유하여, 효율적으로 학습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서버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각 분산 서버의 상태를 진단하고,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서 분산 서버에 동일한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학습자원 제공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구동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유 학습자원을 분산 서버들 사이에서 송수신하므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의 부하가 적은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분산 서버가 공유하고자 하는 학습자원(이하, 공유 학습자원이라 칭함)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분산 환경은 하나 이상의 분산 서버와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뜻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분산 서버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각 분산 서버는 소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을 다른 분산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연결된 분산 서버들에 대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센싱(Sensing), 검사(Checking) 및 복구(Recov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분산 서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오류 등을 검사할 수 있으며, 오류 발생시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학습자원은 학습자에 제공하는 콘텐츠(동영상 강의 자료, 강의 녹음 자료(mp3 파일 등), 학습 교재 자료 등)이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콘텐츠 저작 템플릿,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대학과 B 대학 사이에 강의를 공유하는 경우(대학간 교류 협정 등)를 가정하자. 이 경우, A 대학의 웹서버(제1 분산 서버의 일 예)와 B 대학의 웹서버(제2 분산 서버의 일 예)는 공유 학습자원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종래에는 B 대학의 학생은 B 대학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B 대학의 웹서버에 저장된 공유 콘텐츠(강의 동영상 등)를 이용하거나, A 대학의 웹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A 대학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A 대학의 학생은 A 대학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B 대학의 웹서버에 저장된 공유 학습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학생)는 공유 학습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특정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A 웹서버가 효율적인 강의 제작 템플릿을 보유한 경우를 가정하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A웹서버의 템플릿을 다른 웹서버와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유 학습자원은 상술한 콘텐츠 이외에도 학습 데이터,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 및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 데이터는 공유 컨텐츠를 이용한 학습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이용 기록에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학습자가 이용하기 위한 학습 관련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은 소정의 학습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좀 더 편한 콘텐츠 저작을 위하여 제공되는 학습자원이다. 그리고 워크 플로우는 분산 서버에서 가입자(즉, 학습자)에게 학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순차적 일정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분산 서버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각 분산 서버에 솔루션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솔루션의 설치로 각 분산 서버의 시스템 구축 및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분산 서버에 간단한 솔루션(소정의 관리 프로그램)의 설치만으로 학습자원의 공유 및 분산 서버의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단시간(예를 들어, 3~4시간)에 분산 서버에 솔루션을 설치하고, 해당 분산 서버에서 이러닝(e-learning)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각 분산 서버 시스템의 구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checking), 진단, 에러 발생시 복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소정의 관리 프로그램을 분산 서버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분산 서버의 상태 진단(에러 감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감지된 에러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들과 같이 학습자가 공유 학습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유 학습자원 관리 시스템은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 네트워크(120), 제1 분산 서버(130) 및 제2 분산 서버(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발자와 관리자는 소정의 단말기(PC 등)(111, 112)을 통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학습자와 교수자는 각 분산 서버(제1 분산 서버(130) 및 제2 분산 서버(140))에 소정의 단말기(131, 132, 141, 142)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공유 학습자원 관리 시스템은 공유 학습자원을 분산 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분산 서버들에 연결된 학습자 또는 교수자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를 관리 및 운영하는 분산 서버의 관리자 단말기(미도 시),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분산 서버의 개발자 단말기(미도시), 동영상 강의의 녹화를 위한 교수자의 단말기,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학습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공유 학습자원은 분산 서버의 관리자에 의하여 다른 분산 서버와 공유되도록 등록된 학습자원이다. 공유 학습자원은 분산 서버의 저장 영역에 저장된 학습자원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공유 학습자원을 관리한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연결된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식별 정보로 구별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Identification), 해당 학습자원이 저장된 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 및 해당 학습자원의 내용을 대표하는 정보, 즉 학습자원 내용을 요약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학습자원의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의 색인 정보 등 콘텐츠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분산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식별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등록된 공유 학습자원들의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공유 학습자원 검색을 요청하는 분산 서버로 리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분산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이하, 상태 정보라 칭함)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프로그램은 분산 서버가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모든 형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관리 프로그램은 공유 콘텐츠의 설정, 콘텐츠 제작, 콘텐츠 제작을 위한 템플릿 제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수신된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분산 서버의 에러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에러 발생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확인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네트워크(120) 중단율, 에러에 대한 처리율 및 서버 가동 현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이동 통신망, 인터넷망 등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WCDMA 뿐만 아니라, 전화 연결 및 콘텐츠 등의 학습자원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인터넷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인터넷망은 컴퓨터 네트워크(120)로서, 동축케이블, 광섬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근거리 통신망(LAN)이거나 패킷 교환망(PSTN), 통합 서비스 디지털 망(ISDN),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WAN)이 될 수도 있고, 케이블 TV망,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위성망, 무선인터넷망, 이동통신사의 인터넷망 등을 포함한다. 인터넷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연결된 분산 서버들 및 각각의 분산 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분산 서버(130, 140)는 상술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분산 서버(130, 14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 학습자원을 제공하는 서버, 제2 분산 서버(140)는 제1 분산 서버(130)로 공유 학습자원을 요청하는 서버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나 이상의 분산 서버(130, 140)에서 공유 학습자원 등록하고, 제공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분산 서버(130)에 접속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학습자 단말기(131)나 교수자 단말기(132))는 제1 단말기로 통칭하며,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학습자 단말기(141)나 교수자 단말기(142))는 제2 단말기로 통칭하기로 한다.
제1 분산 서버(130)는 저장된 전부 또는 일부의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선택한다. 제1 분산 서버(130)는 선택된 공유 학습자원의 식별 정보를 학습 분 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 해당 학습자원이 저장된 분산 서버의 주소 정보 및 해당 학습자원의 내용을 대표하는 정보, 즉 학습자원 내용을 요약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제1 분산 서버(130)는 제2 분산 서버(140)로부터 공유 학습자원을 요청 받는 경우, 해당 공유 학습자원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 학습자원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제1 분산 서버(130)에서 실행되는 공유 학습자원은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된 제2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분산 서버(140)는 접속된 제2 단말기로부터 공유 학습자원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분산 서버(140)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공유 학습자원 검색 요청을 전송하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부터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산 서버(140)는 수신된 리스트 정보를 접속된 제2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개인 단말기로부터 특정 공유 학습자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을 제1 분산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분산 서버(130)와 제2 분산 서버(140)는 상호 간에 공유로 설정된 학습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학습자원의 공유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서버(본 발명의 공유 학습자원 공유 서버)를 통하지 않고 상호간에, 즉 제1 분산 서버(130)와 제2 분산 서버(140) 사이에 웹 서비스를 이용한 자원 공 유 형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PC(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PC(Hand-Held PC) 및 노트북 PC(Notebook PC)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과 통신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각각이 인터넷망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PC 등과 같은 단말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단말기가 이러한 단말기 유형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1 단말기는 제1 분산 서버(130)에 접속하는 단말기이다. 제1 단말기는 제1 분산 서버(130)의 관리자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예를 들어, 서버 관리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1 분산 서버(130)에 저장된 특정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 학습자원으로 설정된 학습자원의 식별 정보를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전송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단말기는 제2 분산 서버(140)에 연결된 단말기이다. 제2 단말기는 제2 분산 서버(140)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단말기일 수 있다. 제2 단말기는 공유 학습자원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산 서버(140)로부터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된 특정 공유 학습자원은 제1 분산 서버(130)에서 실행되어, 제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단말기는 관리자 단말기를, 제2 단말기는 고객 단말기를 예로써 설명하였다. 그리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각의 제1 분산 서버(130) 및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복수 개의 분산 서버 사이에 공유된 학습자원을 관리한다.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즉 학습자가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하여 제1 분산 서버(130)에 저장된 학습자원(물론, 제2 분산 서버(140)와 공유로 설정된 공유 학습자원)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와 같이, A 대학과 B 대학이 학습자원(강의 동영상 등)를 공유하기로 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학습자(B 대학 학생)는 B 대학의 웹서버(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하여 A 대학의 웹서버(제1 분산 서버(130))에 저장된 공유 학습자원, 예를 들어 동영상 강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양 대학 간의 맺어진 교 류 협정에 따라 학습자는 B 대학의 학점을 인정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A 대학과 B 대학 사이에, 학습자원을 공유하는 것 이외에도, 학습자원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즉, 학습자(B 대학 학생)이 A 대학의 강의를 이수한 경우에도, B 대학에서 학점을 인정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A 대학의 웹서버는 해당 학습자가 실행한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 이력 정보를 저장함은 물론이고, B 대학의 웹서버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된 학습자가 제1 분산 서버(130)를 통하여 공유 학습자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유 학습자원 실행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면, 학습자는 B 대학 웹서버에 접속하여, A 대학의 웹서버에 저장된 공유 학습자원을 실행하고, 이에 따른 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공유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를 기능 구성으로 나누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통신부(210), 학습자원 관리부(220), 상태 관리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분산 서버(130)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제2 분산 서버(140)와 학습자원 요청,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 요청이나 요청된 리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분산 서버 외의 모든 장치와 데이터 및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학습자원의 등록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제1 분산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로 구별되는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한다. 예를 들어, 제1 분산 서버(130)에서 "민법강의 제1강"이라는 강의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제1 분산 서버(130)는 해당 강의 학습자원의 식별 정보를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강의 학습자원을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제1 분산 서버(130)(다른 연결된 분산 서버도 포함)로부터 수신된 공유하고자 하는 학습자원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리스트 정보는 공유 학습자원의 검색을 요청하는 분산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원 관리부(220)는 상술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각의 분산 서버로 콘텐츠 관리 도구(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콘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Management System; AMS) 및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DMS)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관리 도구는 학습 콘텐츠의 실행 및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도구로서, SCORM 규약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관리 도구 는 분산 서버에 제공된다. 분산 서버는 콘텐츠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학습과정의 개발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맞춤식 학습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분산 서버(130)에 새로운 콘텐츠를 저장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제1 분산 서버(130)는 관리자는 새로이 저장될 콘텐츠를 제1 분산 서버(130)에 배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코딩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했다.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수동으로 이뤄지던 코딩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제1 분산 서버(130)에 저장하고, 배포(공유 콘텐츠로 등록을 위한 배포 포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저작 도구는 학습 모형에 기반한 템플릿을 바탕으로, 교수와 저작자간의 협업을 통한 콘텐츠를 제작을 지원하는 것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콘텐츠 저작 도구(협업 지원)은 빠른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작 도구는 html 저작도구를 포함하여 작성된 html을 곧바로 제1 분산 서버(130)에 탑재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1 분산 서버(130)에 접속하여, 콘텐츠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는 콘텐츠 개발의 전 공정(기획, 분석, 제작, 검수 등)을 관리하여, 콘텐츠 개발 생산성 및 개발 진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를 통하여, 교수자, 개발자, 설계자, 멀티미디어 담당자 및 운영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하도록 하여, 자료 교환 및 효율적인 운영 이 구현될 수 있다.
상태 관리부(230)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연결된 분산 서버(제1 분산 서버(130) 또는 제2 분산 서버(140))로부터 각각의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에 대한 정보(이하, 상태 정보라 칭함)를 전달 받는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연결 상태 정보, 서버 상태 정보 및 에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 상태 정보는 제1 분산 서버(130)와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와의 네트워크(120)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이며, 서버 상태 정보는 제1 분산 서버(13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에러 정보는 제1 분산 서버(130)에서 발생한 에러에 대한 정보이다. 특히, 에러 정보는 공유 콘텐츠 제공을 위해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에러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태 관리부(230)는 제1 분산 서버(130)로부터 SNMP(단순망 규약 관리)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SNMP는 네트워크(120) 장비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본 발명에서 SNMP는 제1 분산 서버(130)를 감시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이용된다. 즉, 상태 관리부(230)는 SNM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20) 연결 상태, 제1 분산 서버(130)의 상태(성능 등)를 관리하고,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관리부(230)는 에러 발생이 감지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경고 메시지를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경고 메시지는 상기한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되어, 관리자는 제1 분산 서버(130)에 발생한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관리부(230)는 감지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태 관리부(230)는 발생한 에러가 제1 분산 서버(130)의 개별적인 문제인지, 다른 분산 서버(예를 들어, 제2 분산 서버(140))에서도 발생이 가능한 공통적인 문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관리부(230)는 에러가 발생한 제1 분산 서버(130)만의 관리상의 문제인지,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버전 업그레이드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 관리부(230)는 발생된 에러가 개별적인 문제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분산 서버(130)의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만을 수정하는 등 에러를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태 관리부(230)는 발생된 에러가 공통적인 문제(예를 들어, 낮은 버전이기 때문에 발생된 에러)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동일한 버전의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한번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여, 잠재적으로 에러 발생이 가능한 모든 분산 서버에서 에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관리부(23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네트워크(120) 중단율, 에러에 대한 처리율 및 서버 가동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태 관리부(230)는 제1 분산 서버(130)를 기준으로,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120)의 중단, 에러 처리, 서버 가동 현황에 대해 통계 처리할 수 있다.
생성된 통계 정보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된 관리자의 단말기 제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식별 정보 및 공유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공유 콘텐츠 제공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부(210), 학습자원 관리부(220), 상태 관리부(230) 및 저장부(240)(특히, 학습자원 관리부(220)와 상태 관리부(230))는 기능적으로 표현하였다. 즉, 각각의 기능부는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하나의 회로(하나의 논리부로서 마이크로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공유 학습자원의 제공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학습자원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분산 서버(130) 및 제2 분산 서버(140)는 특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하, 관리 프로그램이라고 칭함)을 설치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관리 프로그램은 학습자원의 공유를 설정하고, 공유 학습자원를 실행할 수 있으며,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프로그 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모든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관리 프로그램은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프로그램은 해당 분산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모든 수행 과정은 상술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동작의 주체로서 관리 프로그램을 명시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관리 프로그램은 분산 서버에 오프라인으로(CD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온라인으로(예를 들어, 인터넷망을 통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부터 분산 서버로 전송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분산 서버에 자동으로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설치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술한 콘텐츠 관리 도구, 콘텐츠 저작 도구,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관련 정보(예를 들어,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 횟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분산 서버의 상태를 진단하고 자동 복구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공유 학습자원 중, 강의 동영상이나 MP3 강의 자료 등의 공유 콘텐츠를 대표적인 예로서, 공유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 및 제공된 공 유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 S301에서,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 콘텐츠를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제1 분산 서버(130)는 중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설정한다. 이 경우, 제1 분사 서버는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제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에 따라 공유하고하 하는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02에서,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기계어로서, 서버에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종류, 제목, 형식, 저장 위치, 제작자, 제작년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03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단계 S302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공유 콘텐츠로 등록한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즉 제1 분산 서버(130)가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공유 콘텐츠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식별 정보 중에서 콘텐츠 제목 및 저장 위치만을 독출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독출된 콘텐츠 제목 및 저장 위치를 공유 콘텐츠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관리자나 분산 서버에서 공유 콘텐츠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공유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04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등록된 공유 콘텐 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등록된 공유 콘텐츠의 식별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등록된 공유 콘텐츠의 제목 및 저장 위치를 취합하여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5 및 단계 S306에서, 제2 단말기(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분산 서버(140)에 접속하는 단말기를 통칭함)는 제2 분산 서버(140)로 공유 콘텐츠의 검색을 요청한다(S305). 이에 따라, 제2 분산 서버(140)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공유 콘텐츠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S306). 이는 제2 단말기의 사용자가 공유 콘텐츠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이다.
예를 들어, 제1 분산 서버(130)는 서울대학교 웹서버이고, 제2 분산 서버(140)가 고려대학교 웹서버인 경우를 가정하자. 고려대학교 학생은 자신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고려대학교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고려대학교 학생이 고려대학교와 연계된 서울대학교의 웹서버에 저장된 강의 콘텐츠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고려대학교 웹서버와 공유된 강의 콘텐츠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웹서버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로 공유된 강의 콘텐츠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07 및 단계 S308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공유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로 제공한다(S307). 이 경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 제2 분산 서버(140)는 수신된 리스트 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공유 콘텐츠 제공 서버는 검색 툴을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검색 툴을 이용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의 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툴은 제목 검색, 저장 위치 검색(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웹서버에 저장된 공유 콘텐츠 검색)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09 및 S310에서, 제2 단말기는 공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309). 그리고 제2 단말기는 공유 콘텐츠를 선택한 정보(이하, 선택 정보라 칭함)를 제2 분산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S310). 상세하게는, 제2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실행을 원하는 공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정보는 제2 분산 서버(14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선택 정보가 제2 분산 서버(140)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선택 정보는 제1 분산 서버(130)(즉, 공유 콘텐츠가 저장된 분산 서버)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후에 설명될 선택된 공유 콘텐츠의 요청 단계(단계 S311)는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11에서, 제2 분산 서버(140)는 단계 S310에서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제1 분산 서버(130)에 공유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산 서버(130)는 선택된 공유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이다.
이어서, 단계 S312에서, 제1 분산 서버(130)는 단계 S311에서 수신된 요청에 따라 해당 공유 콘텐츠를 제2 단말기로 직접 전송한다. 즉, 제1 분산 서버(130)는 수신된 요청에 따라 해당 공유 콘텐츠를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공유 콘텐츠는 제2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상세하게는, 제1 분산 서버(130)는 선택된 공유 콘텐츠를 실행시, 제2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공유 콘텐츠의 실행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제2 단말기로의 입력을 통하여 제1 분산 서버(130)에서 실행 중인 공유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콘텐츠가 동영상 강의 콘텐츠인 경우를 가정하자.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시작" 버튼을 입력하여 해당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의 사용자는 "일시정지", "정지" 등의 버튼 입력을 수행하여, 해당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13에서, 제1 분산 서버(130)는 공유 콘텐츠의 실행이 종료되는 경우, 해당 공유 콘텐츠가 실행된 이력 정보를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력 정보는 공유 콘텐츠의 실행 이력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실행된 콘텐츠의 제목, 공유 콘텐츠의 실행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 및 공유 콘텐츠를 요청한 분산 서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14 및 S315에서, 제2 단말기는 이력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로 요청할 수 있다(S314). 그리고 제2 분산 서버(140)는 요청된 이력 정보를 제1 분산 서버(130)로 요청할 수 있다(S315).
도 3에서는 제2 단말기가 이력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를 통하여 제1 분산 서버(130)로 요청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단말기는 제1 분산 서버(130)로 직접 이력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316 및 S317에서, 제1 분산 서버(130)는 단계 S315에서 요청된 이력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S316). 그리고 이력 정보를 수신한 제2 분산 서버(140)는 제2 단말기로 수신된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17).
도 3에서는 제1 분산 서버(130)가 이력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를 통하여 제2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력 정보는 생성되는 즉시 제2 분산 서버(140)로 전송되어, 제2 분산 서버(140)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는 이력 정보를 제2 분산 서버(140)로 요청하고, 제2 분산 서버(140)는 요청된 이력 정보를 제2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공유 콘텐츠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모든 공유 학습자원(콘텐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템플릿,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등을 포함)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1 분산 서버(130)의 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산 서버(130)의 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각 분산 서버에 일괄 또는 선택적으로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의 관리자는 원격으로 해당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분산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즉,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분산 서버의 장애 발생, 연결 상태, 서버 상태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조회 결과,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네트워크 중단율, 장애 처리 상황 등의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동상태(또는 분산 서버 구동상태)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통계는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연결된 분산 서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연결된 분산 서버를 통합 관리할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관리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가 분산 서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예로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가 분산 서버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41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연결 상태 정보, 서버 상태 정보 및 에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제1 분산 서버(130)로부터 SNMP(단순망 규약 관리)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SNMP는 네트워크(120) 장비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며, 제1 분산 서버(130)를 감시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이용된다.
즉,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SNMP를 이용하여, 연결 상태 정보, 서버 상태 정보 및 에러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2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단계 S41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 중 에러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분산 서버(130)의 에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에러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즉 제1 분산 서버(13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70).
이어서, 단계 S430에서, 단계 S420에서 에러 발생이 감지된 경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경고 메시지를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로 출력한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제1 분산 서버(130)에서 발생된 에러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경고 메시지는 해당 에러의 종류나 에러 발생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생성된 경고 메시지를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4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감지된 에러가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해결 가능한 에 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발생한 에러가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낮은 버전으로 인해 발생된 에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감지된 에러가 제1 분산 서버(130)의 개별적인 문제인지,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버전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계 S45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단계 S440에서 제1 분산 서버(130)의 개별적인 문제로 판단된 경우, 감지된 에러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6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단계 S440에서 감지된 에러가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해결 가능한 에러인 경우, 제1 분산 서버(130)에 설치된 관리 관리 프로그램과 동일한 관리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분산 서버들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산 서버(130)에서 발생된 에러가 낮은 관리 프로그램의 설치로 인해 발생된 에러인 경우를 가정하자.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낮은 버전의 관리 프로그램으로 인해 발생된 에러임을 판단한다. 그리고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에러의 해결 방안으로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분산 서버에서도 낮은 버전의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에러가 발생한 관리 프로그램과 동일한 버전의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든 분산 서버에 대해서,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다른 분산 서버에서 발생할 에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470에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는 단계 S410에서 생성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계 정보는 네트워크(120) 중단율, 에러에 대한 처리율 및 서버 가동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생성된 통계 정보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110)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관리자 단말기의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120)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콘텐츠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산 서버의 상태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11: 개발자 단말기
112: 관리자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제1 분산 서버
131: 제1 분산 서버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
132: 제1 분산 서버에 접속한 교수자 단말기
140: 제2 분산 서버
141: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
142: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교수자 단말기
210: 통신부 220: 학습자원 관리부
230: 상태 관리부 240: 저장부

Claims (27)

  1.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 자원을 제공하는 제1 분산 서버 및 학습 자원을 요청하는 제2분산 서버와 연결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서 공유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된 학습자원을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제2 분산 서버가 공유하는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분산 서버로 상기 학습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와의 연결 상태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서버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학습자원의 저장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공유 콘텐츠,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 및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는,
    상기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되어, 학습 콘텐츠의 실행 및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도구(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콘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Management System; AMS) 및 콘텐츠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DMS)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도구는,
    SCORM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상태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에러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 및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방법.
  14.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 자원을 제공하는 제1 분산 서버 및 학습 자원을 요청하는 제2분산 서버와 연결된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있어서,
    학습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된 학습자원을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제2 분산 서버가 공유하는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학습자원 관리부;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와의 연결 상태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서버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콘텐츠 ID 및 상기 학습자원의 저장위치에 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공유 콘텐츠, 콘텐츠 저작을 위한 템플릿 및 콘텐츠 제작관리를 위한 워크 플로우(Work Flow)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원 관리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 학습자원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는,
    상기 공유 학습자원의 실행에 따른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상기 제2 분산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되어, 학습 콘텐츠의 실행 및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도구(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콘텐츠 저작 도구(Authoring Management System; AMS) 및 콘텐츠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콘텐츠 개발 관리 도구(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DMS)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도구는,
    SCORM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22. 삭제
  23. 삭제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상태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에러에 상응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 접속된 관리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학습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 및 제2 분산 서버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27.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 자원을 제공하는 제1 분산 서버 및 학습 자원을 요청하는 제2분산 서버와 연결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에서 공유 학습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산 서버로부터 학습자원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된 학습자원을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제2 분산 서버가 공유하는 공유 학습자원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분산 서버로 상기 학습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분산 서버와 상기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와의 연결 상태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 상기 제1 분산 서버의 서버 상태 정보 및 상기 제1 분산 서버에 발생한 에러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상기 관리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공유 학습자원은 상기 제2 분산 서버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분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학습자원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061913A 2008-06-27 2008-06-27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2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13A KR101123361B1 (ko) 2008-06-27 2008-06-27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13A KR101123361B1 (ko) 2008-06-27 2008-06-27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36A KR20100001836A (ko) 2010-01-06
KR101123361B1 true KR101123361B1 (ko) 2012-03-23

Family

ID=4181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913A KR101123361B1 (ko) 2008-06-27 2008-06-27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99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의료데이터 인공지능 분산학습 방법
KR20220149796A (ko) 2021-04-28 2022-11-08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딥러닝기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057A2 (en) * 2009-01-09 2010-07-15 Ganart Technologies, Inc. Distributed transaction system
KR101374406B1 (ko) * 2012-03-07 2014-03-17 주식회사 유비온 학습 컨텐츠의 오쏘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4486B1 (ko) * 2012-03-07 2014-03-14 주식회사 유비온 학습 컨텐츠 오쏘링 툴에서의 도구 등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61105B2 (en) 2014-10-24 2024-04-16 Ganar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of accretive value store loyalty card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224A (ko) * 2000-10-23 2002-05-01 정재길 컨텐츠 분산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2907B1 (ko) * 2003-12-18 200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224A (ko) * 2000-10-23 2002-05-01 정재길 컨텐츠 분산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2907B1 (ko) * 2003-12-18 200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99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의료데이터 인공지능 분산학습 방법
KR20220149796A (ko) 2021-04-28 2022-11-08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딥러닝기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36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8772B (zh) 一种测试方法及装置
US81356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sset installation and evaluation
US7133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figuring testing laboratories
EP3069250B1 (en) User support experience with automatically generated virtual environment
KR10112336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분산 환경 관리 서버, 방법 및 그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80276181A1 (en) Mesh-Managing Data Across A Distributed Set of Devices
US200602422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figuring testing laboratories
CN109545366B (zh) 用于汇总诊断分析仪相关信息的方法和系统
KR20070120095A (ko) 프로세스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MXPA04000611A (es) Sistema y metodo para la evaluacion en la observacion de tiempo real.
AU20112296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ud enterprise services
US2008026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ort Assistance
US10990359B2 (en) Use and advancements of assistive technology in automation for the visually-impaired workforce
US11132285B1 (en) Issue reporting context session identifier for issue tracking systems
JP2019121285A (ja) 構成変更管理装置、構成変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587727A (zh) 流程操作系统及流程操作方法
CN111507492A (zh) 课程预约请求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JP59102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052951A (ja) ヘルプ情報表示システム、ヘルプ情報表示方法及びヘルプ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3984691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CN114217961A (zh) 校园信息的获取系统、获取方法、教学服务器及移动终端
CN114064510A (zh) 功能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48790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749611B2 (ja) アノテーションの表示制御システム、アノテーション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アノテーションの表示制御方法
CN115484560B (zh) 智能短信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