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218B1 -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218B1
KR101123218B1 KR1020090102348A KR20090102348A KR101123218B1 KR 101123218 B1 KR101123218 B1 KR 101123218B1 KR 1020090102348 A KR1020090102348 A KR 1020090102348A KR 20090102348 A KR20090102348 A KR 20090102348A KR 101123218 B1 KR101123218 B1 KR 10112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ber key
telephone
memory
imag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053A (ko
Inventor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주) 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뉴 filed Critical (주) 다뉴
Publication of KR2010011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번호키를 포함하는 전화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 전화기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10), 메모리(20), 모드전환버튼(80)을 포함한다.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은 각각의 번호키(11)가 외부입력에 의해 다이얼링 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스위칭(11b)와 디스플레이 패널(11a)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20)은 페이지(210) 단위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에는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11a)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212)정보와 이것이 대표하는 전화번호(211)가 저장되어 있다. 모드전환버튼(80)의 입력에 의해서,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숫자가 디스플레이되어 노말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되거나, 번호키 디스플레이 패널에 메모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단축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5807717-pat00001
디스플레이 패널, 번호키, 단축다이얼링, 전화기

Description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TELEPHONE SYSTEM FOR ONE TOUCH DIALING}
본 발명은 전화기와 전화기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화기의 번호키 각각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여, 단축 다이얼링 모드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기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는 숫자정보, 즉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대방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대방과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의 번호키는 0~9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0~9 사이의 아라비아 숫자가 하나씩 인쇄된 10개의 번호키와 특별한 기능을 위해 '*','#' 특수문자가 인쇄된 2개의 번호키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전화기 이용자 즉 발신자는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대표하는 전화번호, 즉 일정한 형식을 갖춘 0~9까지의 아라비아 숫자의 집합 을 상기의 12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차례차례 정확하게 입력하여, 통신망을 연결하고, 정보를 교환한다.
그러나 일정한 형식의 전화번호는 가입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그 길이가 현재에는 약 10자리 이상으로 늘어났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숙지해야 하는 상대방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전화번호를 정확하게 숙지하여 다이얼링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다른 종래의 기술이 발명되었다. 예를 들면 빈번하게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들을 미리 전화기 내부에 저장해 놓고, 저장된 전화번호 각각에 전화번호를 대표하는 1~3자리로 구성된 간단한 번호, 즉 단축번호를 할당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모두 숙지할 필요가 없이 단축번호만을 입력하여 다이얼링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많은 수의 특수버튼, 즉 단축버튼을 구비하여, 전화를 통해서 빈번하게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 저장된 전화번호 하나와 단축버튼 하나가 대응하도록 하여,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기억된 단축버튼 하나를 한번 누름으로써 상대방과의 연결이 가능해졌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화발신자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정확하게 차례로 전화기의 버튼으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전화를 걸고자 할 때마다 정확하게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거나 정확히 숙지할 필요가 있다. 정확히 숙지했을지라도 전화번호의 자릿수가 많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번호를 입력하면서 입력 오류를 발생하기도 하는 등 편의성이 저하된다.
단축번호를 사용하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다이얼링 할 때마다 숫자로 대표되는 상대방의 단축번호를 암기하거나 숙지해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개인의 나이나 능력에 따라서 의미를 부여하기 힘든 단순한 숫자의 조합을 항상 암기하거나 숙지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번호키 의외에 많은 수의 별도의 단축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며, 하나하나의 단축다이얼에 저장된 상대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단축버튼의 수 및 상대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별도의 수단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단축버튼의 크기 및 상대방의 정보표시 수단의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에 각각을 정확히 식별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특히, 독립세대를 구성하는 노인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휴대전화를 포함하여 전화가입자의 숫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자녀 혹은 유사시 전화연결이 필요한 병원 등 사회복지시설로의 다이얼링이 빈번하게 요구되나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단축번호 혹은 단축다이얼의 위치를 정확히 숙지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빈번히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단축번호를 일일이 숙지하지 않고, 쉽게 상대방의 정보를 인지하고, 전화연결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선된 전화기는, 번호키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번호키에 대한 외부 압력으로 스위칭 접속되어 다이얼링 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 상기 번호 키 매트릭스 부의 각 번호키에 일대일 대응되는 분할된 어드레스를 갖으며, 각 어드레스에 이미지 및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숫자가 디스플레이되어 노말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시키거나, 상기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단축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화기는, 상기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외부입력단자; 상기 번호키 매트릭스 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공중망과 연결되어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컨트롤유닛; 및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 유닛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는 상기 번호키 매트릭스 부의 각 번호키에 일대일 대응되는 분할된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페이지 단위로 전환하여 상기 번호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페이지 전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축 다이얼링 모드시에 상기 번호키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동일 어드레스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번호키 각각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고, 통상적인 숫자 입력 다이얼링 모드(노말 다이얼링 모드)에서 단축 다이어링 모드로 전화시ㅋ키는 경우 번호키에 설치된 패널 각각에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대표하는 이미지 정보를 나타나도록 하였다. 즉,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나타난 이미지로서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정보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현된 상대방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전화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이얼링 시에 상대방을 대표하는 전화번호나 단축번화 같은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숙지할 필요가 없다. 특히 문맹자나, 많은 전화번호를 기억하기 어려운 노령자들에게 다이얼링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번호키 매트릭스 부는 모드 전환에 의해 단축 다이얼링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므로, 통상적인 번호키 이외에 별도의 단축다이얼링 버튼(키)가 필요 없 다. 결국, 번호키는 전화기 제품의 크기가 적더라도 번호키의 크기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사이즈의 번호키에 패널이 장착될 수 있고, 그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눈으로 확인하여 단축 다이얼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버형 전화기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기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10), 메모리(20), 인터페이스부(30), 컨트롤러(40), 네트위크컨트롤유니트(50), 송수화기(60), PSTN연결부(70), 모드전환버튼(80) 및 외부입력단자(90)을 포함한다.
번호키 매트릭스 부(10)는 복수의 번호키(11)을 포함하고, 번호키(11)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1a)로 구성된다. 패널로 구성된 키를 외부 압력으로 눌렀을때 스위치(11b)에 의해 스위칭 접속되어 다이얼링 번호 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메모리(20)는 몇개의 페이지(210)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페이지는 번호키(11)의 디스플레이 패널(11a) di (i=1,2,3,..m)에 일대일 대응되는 어드레스(213) Di (i=1,2,3,..m)를 갖고 있다. 각 어드레스(213)는 이미지(212)와 전화번호(211) 정보를 대표한다.
인터페이스부(30)는 전화기의 상태 및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것으로, 버튼(12a)에 해당되는 DTMF 톤(Tone)을 네트위크컨트롤러(50)에 전송하는 DTMF 인터페이스(31)와 송수화기(60)을 들거나 혹은 다른 수단으로 다이얼링이 가능한 온훅 상태에 들었음을 알려주는 온훅인터페이스(30), 인커밍콜 (Incoming call)시 수신되는 발신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발신자정보 인터페이스 부(3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40)은 메모리(20)에 저장된 이미지(212)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1a)에 디스플레이하기도 하고, 각 번호키 또는 버튼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또한 외부입력단자(90)를 수단으로, 메모리(20)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한다. 외부입력단자(90)은 직렬인터페이스 및 병렬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컨트롤러(50)은 공중망 즉 PSTN(70)과 연결되어 전화기능을 구현한다.
모드전환버튼(80)은 노말 다이어링 모드에서 단축 다이얼링 모드로 전환하거나, 메모리(20)를 구성하는 페이지(210) 별 이미지(212)를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의 각 번호키(11)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때 입력으로 사용되는 버튼이다.
전화기가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온훅 상태에 진입할 때, 노말 다이얼링 모드를 갖는다. 도 2a는 이때의 각 번호키(11)의 디스플레이 패널(11a)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의 이미지는 메모리(20)의 첫번째 페이지(210)에 저장된 각각의 이미지(212)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 2a에 표시된 아라비아 숫자의 이미지로 종래의 방식으로 노말 다이얼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키 매트릭스 부(10)에 도 2a에 도시된 숫자 및 특수문자가 표현된 후에, 모드전환버튼(80)이 눌렸을 경우 디스플레이 키 매트릭스 부(10)의 디스플레이 패널(11a)에 표현되는 정보를 나타내며, 도 2b의 이미지는 메모리(20)의 페이지i (i=2,3,..m)에 저장된 각각의 이미지(212)이다. 도 2b 에서 도 면부호 (1)은 메모리(20)의 어드레스 D3 저장된 이미지(212)를 보여준다.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상징하는 이미지(2)는 메모리(20)의 어드레스 D9에 저장된 이미지(212)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는 단축 다이얼링 모드를 갖는다.
도 2c는 도 2a, 도 2b의 위치에 대응되는 스위치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전화기로 다이얼링 하는 방법 및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전화기의 온훅(S100) 상태에서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에 도 2a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사용자가 0~9 사이의 숫자로 대응되는 버튼 ki를 입력하면 (S300) 종래의 방법과 같이 노말 다이얼링(S320)이 가능하며, 다이얼링에 따라 DTMF(S321) 톤이 송출되고, 이후 상대방과 통화(S322)가 가능하게 된다.
통화(S322)후 전화기가 오프훅(S323)이 되면, 번호키 매트릭스(10)에 표현되었던 도 2a의 이미지는 오프(S324) 된다. 도 3a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통화(S322)가 가능하게 되면 오프훅(S323) 상태와 관계없이 도 2a의 이미지를 오프(S324)할 수 도 있다.
단계(S300)에서 만일 모드전환버튼(80)이 눌려지면,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에 표시된 도 2a의 이미지는 도 2b와 같이 변경된다. 만일 페이지 버튼(80)을 연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메모리(20)의 다음 페이지i (i=2,3,4...m)에 저장된 각각의 이미지(212)가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에 표현된다(S310). 이 때 번호키 매트릭스 부(10)에 표현된 이미지(1)에 해당되는 버튼 ki를 선택하게 되면, 대응되는 전화번호(211)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서(S312), 상대방과 통화(S313)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단계 (S314) 및 (S315)는 단계 (S323) 및 (S324)와 같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에 번호키키 매트릭스부(10)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인커밍콜(S10)이 수신되면 동시에 수신된 발신자 정보(Caller ID)를 확인하여, 이 발신자 정보가 메모리(20)에 기억되어있는 전화번호(211)와 동일한지를 판별하고(S20), 만일 동일한 전화번호(211) 저장되어있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212)를 디스플레이 키 매트릭스부(10)의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11a)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기 구성도이고,
도 2a는 온훅(On-hook) 상태 진입시 번호키 매트릭스 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이고,
도 2b는 단축 다이얼링 모드에서 번호키 매트릭스 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이고,
도 2c는 도 2a 및 도 2b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구성도이고,
도 3a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를 이용한 다이얼링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b는 인커밍콜 (Incoming call)시 번호키 매트릭스 부의 발신자 이미지 표시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5)

  1. 번호키 각각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번호키에 대한 외부 압력으로 스위칭 접속되어 다이얼링 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번호키 매트릭스 부; 및
    상기 번호 키 매트릭스 부의 각 번호키에 일대일 대응되는 분할된 어드레스를 갖으며, 각 어드레스에 이미지 및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숫자가 디스플레이되어 노말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시키거나, 상기 번호키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단축 다이얼링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외부입력단자;
    상기 번호키 매트릭스 부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공중망과 연결되어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컨트롤유닛; 및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 유닛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고, 각 페이지는 상기 번호키 매트릭스 부의 각 번호키에 일대일 대응되는 분할된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페이지의 단위로 전환하여 상기 번호키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페이지 전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다이얼링 모드시에 상기 번호키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동일 어드레스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20090102348A 2009-04-27 2009-10-27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 KR101123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622 2009-04-27
KR20090036622 2009-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53A KR20100118053A (ko) 2010-11-04
KR101123218B1 true KR101123218B1 (ko) 2012-03-19

Family

ID=4340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348A KR101123218B1 (ko) 2009-04-27 2009-10-27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2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161A (ko) * 2003-08-21 2005-03-04 주식회사 팬택 전화기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0539878B1 (ko) 1998-07-2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70065752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다이얼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9332B1 (ko) 2007-01-03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78B1 (ko) 1998-07-29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50020161A (ko) * 2003-08-21 2005-03-04 주식회사 팬택 전화기에서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70065752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다이얼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9332B1 (ko) 2007-01-03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053A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5609B (zh) 一种显示私密联系人来电的方法及装置
CN102724344B (zh) 一种虚拟按键显示的控制方法及终端
KR20030081834A (ko)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CN101267467B (zh) 具有标准键的移动通信终端及其输出双音多频信号的方法
KR101123218B1 (ko)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번호키를 갖는 전화기
CN103685667A (zh) 触摸屏拨号呼叫方法及触摸屏终端
CN102202136A (zh) 电话机、按键设置方法、快速拨号方法及来电显示方法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CN202050458U (zh) 电话机
KR200182971Y1 (ko) 컴퓨터 제어가 가능한 다기능 전화기
KR101605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다이얼 입력 방법 및 장치
JPS60194859A (ja) 電話機
JP5010302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ボタン電話機及び表示信号処理方法
KR20040110886A (ko) 휴대폰의 다이얼링 방법
KR200700238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통화중 개선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60004340A (ko) 엘시디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24409B1 (ko) 통신 단말의 단축 키 등록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이용한통신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
JP4290170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回線接続方法
CN102006348B (zh) 可转接来电的电话机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60856A (ko) 가정용 디지탈 전화기의 단축다이얼 제어방법
JP2003298722A (ja) 携帯電話装置
JP2002252680A (ja) ディーリング通話端末装置
JP2007221190A (ja) 連絡先自動選択発信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JPH0424873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