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016B1 - 압력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016B1
KR101123016B1 KR1020110043846A KR20110043846A KR101123016B1 KR 101123016 B1 KR101123016 B1 KR 101123016B1 KR 1020110043846 A KR1020110043846 A KR 1020110043846A KR 20110043846 A KR20110043846 A KR 20110043846A KR 101123016 B1 KR101123016 B1 KR 10112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outlet
valve body
pressure control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안찬식
유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1004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016B1/ko
Priority to CN201180070694.0A priority patent/CN103502697B/zh
Priority to PCT/KR2011/006093 priority patent/WO201215389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3Details of electro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8Proportional solenoid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클러치에 사용되는 압력 제어 밸브 중 전류값에 따라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비례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공급포트,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된 인렛(inlet) 및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아웃렛(outlet)이 형성된 제1인서트와, 상기 제1인서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렛을 개폐하는 볼과, 상기 제1인서트의 상기 아웃렛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포트와 연결된 제1배출구 및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된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인서트와, 상기 밸브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볼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이 중단에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솔레노이드로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볼과 포핏을 이용하여 제1인서트의 아웃렛과 제2인서트의 제2배출구를 개폐하거나 그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포트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 제어 밸브{PRESS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클러치에 사용되는 압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류값에 따라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비례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변속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과정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와, 변속과정이 일정한 패턴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상술한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작동기구, 유성기어장치, 다판 클러치, 유압제어기구,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다판 클러치는, 클러치 리테이너와, 클러치 리테이너에 결합된 다수의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허브에 결합되고 다수의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클러치 디스크와, 클러치 플레이트와 클러치 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 실린더로 구성되며, 클러치 실린더로 유압이 인가되면 클러치 플레이트를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압착시켜서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유압제어기구는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제어 밸브는 그 내부 구조에 따라 스풀 타입, 볼 타입, 포핏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스풀 타입은 통상의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압을 스풀이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제어압을 얻게 된다. 이때, 스풀 타입에 구비되는 특정 포트에는 변속단에 따라 해당 밸브로부터 하나 내지 둘 이상의 신호압이 작용하므로, 압력 제어 밸브로부터 조절되는 제어압은 신호압이 작용하는 포트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런데 스풀에 의해 조절되는 제어압은 변속 시 유성기어장치의 해당 마찰요소에서 필요로 하는 최대 부하압을 고려하는 수준으로 크게 설정되므로, 최대 부하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속 시 잉여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력에 대한 효율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불필요한 손실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볼 타입 또는 포핏 타입의 압력 제어 밸브에도 나타난다. 특히, 볼 타입 또는 포핏 타입의 압력 제어 밸브는 일반적으로 2-way 방식을 사용하므로 제어압이 0일 경우 오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모두 배출되므로 소비유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에 대한 효율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불필요한 손실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2-way 방식의 압력 제어 밸브는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에 별도의 오리피스를 마련해야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도를 확보하여 조립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제어 밸브는, 공급포트,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된 인렛(inlet) 및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아웃렛(outlet)이 형성된 제1인서트와, 상기 제1인서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렛을 개폐하는 볼과, 상기 제1인서트의 상기 아웃렛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포트와 연결된 제1배출구 및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된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인서트와, 상기 밸브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볼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이 중단에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는,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과, 상기 밸브 몸체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코어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의 내부에 위치된 플런저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로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볼과 포핏을 이용하여 제1인서트의 아웃렛과 제2인서트의 제2배출구를 개폐하거나 그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포트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의 보빈이 밸브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가 하나로 구성됨에 따라 동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밸브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종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 중 솔레노이드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는, 외부에서 공급된 유체에 소정의 제어압력을 인가하여 클러치 측으로 공급하는 밸브부(100)와, 외부에서 인가된 전류값에 따라 밸브부(100)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제어압력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20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밸브부(100)와 솔레노이드(2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밸브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종단면도이다.
밸브부(100)는, 밸브 몸체(110)와, 밸브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인서트(120)와, 제1인서트(120)의 내부에 설치된 볼(130)과, 제1인서트(120)의 하단에 결합된 제2인서트(140)와, 밸브 몸체(1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15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10)는 다단의 스풀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몸체(110)의 하단에는 솔레노이드(20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112)가 형성되고, 플랜지(112)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200)의 보빈(220)에 삽입되는 코어(114)가 돌출된다. 밸브 몸체(110)의 중단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포트(116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제어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어포트(116b)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잔류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포트(116c)가 형성된다. 밸브 몸체(1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인서트(120)가 수용되는 장착공간(118a)이 형성되고, 코어(114)의 내부에는 로드(15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통공(118b)이 형성된다.
이때, 공급포트(116a)에는 유체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띠형 필터(162)가 설치되고, 제어포트(116b)에는 클러치(미도시) 측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박판형 필터(164)가 설치된다. 또한, 밸브 몸체(1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압력 제어 밸브 설치시 밀봉을 위한 오링(166)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의 밸브 몸체(110)에 따르면, 밸브 몸체(110)와 코어(114)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 및 작동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몸체(110) 및 코어(114)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150)와의 동축도를 확보하여 로드(150)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인서트(120)는 내부에 설치된 볼(130)과 함께 공급포트(116a)를 통해 공급된 유체의 배출 및 배출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단이 개방된 몸체(122)와, 몸체(122)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하는 덮개(124)를 포함한다.
제1인서트(120)의 몸체(122)는 내부에 작동공간(126)이 형성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공급포트(116a)와 연결된 인렛(inlet,122a)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인렛(122a)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아웃렛(outlet,122b)이 형성된다. 또한, 작동공간(126)의 내벽, 좀 더 상세하게는 인렛(122a)보다 하부 내벽에는 볼(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26a)와 유체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26b)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 돌기(126a)와 가이드 홈(126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공간(126)의 내벽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로 이루어진다.
제1인서트(120)의 덮개(124)는 몸체(122)의 개방된 상단을 밀봉할 수 있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124)의 하면에는 작동공간(126) 측으로 돌출된 돌기(124a)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124a)는 제1인서트(120)의 내부에 설치된 볼(13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볼(130)에 의해 인렛(122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술한 제1인서트(120)는 밸브 몸체(110)의 장착공간(118a)과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중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된다. 즉, 제1인서트(120)의 외주면 중 인렛(122a)이 형성된 부분은 밸브 몸체(110)의 장착공간(118a)에 밀착되고, 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은 장착공간(118a)과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인서트(120)의 외주면 중 일부를 평면으로 형성한 이유는, 제2인서트(140)의 제1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된 유체가 밸브 몸체(110)의 제어포트(116b)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밸브 몸체(110)와 제1인서트(120) 사이에 이송로(128)가 형성하기 위함이다(도 4 참조).
이와 같은 제1인서트(120)의 구조에 따르면, 제1배출구(142)를 통해 배출된 유체가 반원형 단면을 갖는 이송로(128)를 따라 이송되므로, 제1배출구(142)의 내부공간과 이송로(128)의 내부공간이 유체의 댐퍼(Damper) 역할을 하여 전류구간에서 압력 쇼트(shot)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고압의 압력을 보다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볼(130)은 제1인서트(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드(150)가 이동함에 따라 아웃렛(122b)을 개폐하거나 그 개방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볼(130)은 아웃렛(122b)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보다 큰 비중을 갖는 강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인서트(140)는 후술할 로드(150)의 포핏(152)과 함께 제어포트(116b)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제2인서트(140)는 상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단이 제1인서트(120)의 아웃렛(122b) 측에 결합된다. 또한, 제2인서트(140)의 측면에는 제어포트(116b)와 연결된 제1배출구(14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포트(116c)와 연결된 제2배출구(144)가 형성된다.
로드(1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봉으로 중단에 포핏(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로드(150)는 관통공(118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제2배출구(144)와 아웃렛(122b)을 통해 볼(130)까지 연장된다. 또한, 로드(150)의 하단, 좀 더 상세하게는 코어(114)의 외부로 돌출된 하단에는 플런저(230)를 고정하기 위한 코킹홈(154)이 형성된다. 이 코킹홈(154)은 플런저(230)를 코킹할 때 플런저(230)의 살밀림에 있어 채워지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코킹홈(154)을 로드(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할 경우 접합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 중 솔레노이드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솔레노이드(200)에 대해 살펴보면, 외주면에 코일(210)이 감긴 보빈(220)과, 밸브 몸체(1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빈(22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코어(114)와, 코어(114)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로드(150)의 하단에 설치된 플런저(230)와, 밸브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12)와 보빈(220)을 감싸는 케이스(240)를 포함한다.
코어(114)의 하단과 플런저(230)의 상단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의 에어갭(G)이 형성된다. 이 에어캡(G)은 플런저(230)가 하강한 상태(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0.35~0.5㎜이고, 플런저(230)가 상승한 상태(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0.08~0.15㎜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230)가 코어(114) 측으로 상승한 상태에서도 코어(114)와 플런저(230) 사이에 에어캡(G)을 유지할 경우 솔레노이드(200)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류가 인가되어 코어(114)가 자화되더라도 플런저(230)가 코어(114)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전원 차단시 플런저(230) 및 로드(150)가 빠르게 하강하여 밸브부(100)의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240)는 그 하단이 보빈(220)의 하면을 감싸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케이스(240)의 하단을 보빈(220)의 내부로 말아 올릴 경우 플런저(230)와 미세간극을 유지하여 자기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플런저(230)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간극은 자기력의 흐름을 단절하거나 축소하기 때문에 자기력부품의 간극을 좁힐수록 자기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솔레노이드(200)에 따르면,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공간(126)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과 로드(150) 및 플런저(230)의 자중에 의해 플런저(230)가 하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솔레노이드(200)에 전류가 인가되어 코일(210)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플런저(230)가 상승하고 코일(210) 주변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코어(114)가 자화되어 플런저h(230)를 상승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114)가 자화되더라도 플런저(230)가 코어(114)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전원 차단시 플런저(230) 및 로드(150)가 빠르게 하강하여 밸브부(100)의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솔레노이드(2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작동공간(126)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과 자중에 의해 로드(150)와 플런저(230)가 하강하여 최하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드(150)의 상단이 볼(130)에서 이격되어 볼(130)에 의해 아웃렛(122b)이 폐쇄되므로, 공급포트(116a)와 인렛(122a)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제1인서트(120)의 작동공간(126)에만 머물 뿐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솔레노이드(200)에 전류가 인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210)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플런저(230)를 상승시키고, 코일(210) 주변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코어(114)가 자화되어 플런저(23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로드(150)의 상단이 볼(130)을 밀어 아웃렛(122b)에서 이격시키므로 아웃렛(122b)이 개방되고, 이에 작동공간(126)의 유체가 아웃렛(122b)과 제2인서트(140)의 제1배출구(142)를 거쳐 제어포트(116b)로 배출된다. 이때, 아웃렛(122b)을 통해 제2인서트(140)로 공급된 유체의 일부는 제2배출구(144)를 거쳐 배출포트(116c)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상술한 원리에 따르면, 솔레노이드(200)로 인가되는 전류값이 클수록 플런저(230)의 상승폭은 커지고, 아웃렛(122b)의 개방량이 증대되므로 제어포트(116b)로 배출되는 제어압력이 높아진다. 반면, 솔레노이드(200)로 인가되는 전류값이 작을수록 플런저(230)의 상승폭은 작아지며, 아웃렛(122b)의 개방량이 감소하므로 제어포트(116b)로 배출되는 제어압력이 낮아진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의 솔레노이드(200)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최대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210)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플런저(230)를 최대로 상승시키고, 코일(210) 주변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코어(114)가 자화되어 플런저(23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로드(150)의 상단이 볼(130)을 밀어 아웃렛(122b)에서 이격시키므로 아웃렛(122b)이 완전히 개방되고, 이에 작동공간(126)의 유체가 아웃렛(122b)과 제2인서트(140)의 제1배출구(142)를 거쳐 제어포트(116b)로 배출된다. 이때, 포핏(152)이 로드(150)와 함께 상승하여 제2배출구(144)를 폐쇄하므로 아웃렛(122b)을 통해 제2인서트(140)로 공급된 유체는 전량이 제1배출구(142)를 거쳐 제어포트(116b)로 배출된다. 즉, 제어포트(116b)로 배출되는 제어압력이 최대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제어 밸브는, 솔레노이드(200)로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 볼(130)과 포핏(152)을 이용하여 제1인서트(120)의 아웃렛(122b)과 제2인서트(140)의 제2배출구(144)를 개폐하거나 그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포트(116b)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밸브부 110: 밸브 몸체
112: 플랜지 114: 코어
116a: 공급포트 116b: 제어포트
116c: 배출포트 118a: 장착공간
118b: 관통공 120: 제1인서트
122: 몸체 122a: 인렛
122b: 아웃렛 124: 덮개
126: 작동공간 126a: 가이드 돌기
126b: 가이드 홈 130: 볼
140: 제2인서트 142: 제1배출구
144: 제2배출구 150: 로드
152: 포핏 154: 코킹홈
162: 띠형 필터 164: 박판형 필터
166: 오링 200: 솔레노이드
210: 코일 220: 보빈
230: 플런저 240: 케이스

Claims (23)

  1. 중공으로 형성된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외측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중공의 내부와 각각 통하는 공급포트와 제어포트와 배출포트;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된 인렛(inlet) 및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아웃렛(outlet)이 형성된 제1인서트;
    상기 제1인서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웃렛을 개폐하는 볼;
    상기 제1인서트의 상기 아웃렛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포트와 연결된 제1배출구 및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된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제2인서트; 및
    상기 밸브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볼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이 중단에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작동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공간은 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와 유체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홈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압력 제어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는 일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은 덮개에 의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에 상기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타단에 상기 아웃렛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이 상기 인렛과 상기 아웃렛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작동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인서트가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는 외벽 중 일부가 상기 장착공간에 밀착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장착공간과 이격되어 이송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측면에 상기 공급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일단에 상기 제어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서트는 일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 중 상기 공급포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렛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인서트의 타단에 상기 아웃렛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는 외벽 중 상기 인렛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장착공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압력 제어 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외주면에 코일이 감긴 보빈;
    상기 밸브 몸체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내부에 상기 로드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코어;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의 내부에 위치된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에어갭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은, 상기 플런저가 상기 코어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0.08~0.15㎜이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코어의 반대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0.35~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밸브 몸체의 타단과 상기 보빈을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압력 제어 밸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타단은 상기 보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설치된 상기 로드의 타단에는 코킹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킹홈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는 상기 볼이 수용되는 작동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공간은 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와 유체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홈은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압력 제어 밸브.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는 일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단은 덮개에 의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에 상기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타단에 상기 아웃렛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이 상기 인렛과 상기 아웃렛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작동공간 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인서트가 수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는 외벽 중 일부가 상기 장착공간에 밀착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장착공간과 이격되어 이송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측면에 상기 공급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일단에 상기 제어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인서트는 일단이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 중 상기 공급포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인렛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인서트의 타단에 상기 아웃렛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는 외벽 중 상기 인렛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장착공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KR1020110043846A 2011-05-11 2011-05-11 압력 제어 밸브 KR101123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6A KR101123016B1 (ko) 2011-05-11 2011-05-11 압력 제어 밸브
CN201180070694.0A CN103502697B (zh) 2011-05-11 2011-08-18 压力调节阀
PCT/KR2011/006093 WO2012153893A1 (en) 2011-05-11 2011-08-18 Pressure control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6A KR101123016B1 (ko) 2011-05-11 2011-05-11 압력 제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016B1 true KR101123016B1 (ko) 2012-03-16

Family

ID=4614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846A KR101123016B1 (ko) 2011-05-11 2011-05-11 압력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23016B1 (ko)
CN (1) CN103502697B (ko)
WO (1) WO20121538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178B1 (ko) 2012-08-08 2012-10-09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8914A (zh) * 2014-10-15 2015-02-18 浙江华益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比例阀
EP3261102A1 (en) 2016-06-23 2017-12-27 Rain Bird Corporation Universal solenoid
CN106246904B (zh) * 2016-08-30 2019-12-24 星宇电子(宁波)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箱档位控制电磁阀
CN106246900B (zh) * 2016-08-30 2019-07-30 星宇电子(宁波)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箱油压调节电磁阀
US10980120B2 (en) 2017-06-15 2021-04-13 Rain Bird Corporation Compact printed circuit board
CN107990006A (zh) * 2017-11-24 2018-05-04 苏州喷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精密调压阀
JP2019168074A (ja) 2018-03-26 2019-10-03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サーモバルブ及び同製造方法
US11503782B2 (en) 2018-04-11 2022-11-22 Rain Bird Corporation Smart drip irrigation emitter
US11721465B2 (en) 2020-04-24 2023-08-08 Rain Bird Corporation Solenoid apparatus and methods of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329A (ko) * 2002-08-08 2004-02-14 이턴 코포레이션 솔레노이드 작동식 압력 조정 밸브 및 배출형 압력 조정밸브의 감쇠 방법
KR20060049110A (ko) * 2004-10-22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70077729A (ko) * 2006-01-24 200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리드형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KR100890420B1 (ko) 2008-08-05 2009-03-26 주식회사 유니크 변속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568B2 (ja) * 1997-06-18 200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三方電磁弁
DE10034959A1 (de) * 2000-07-19 2002-02-2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Proportional-Druckregelventil
DE102005010693A1 (de) * 2005-03-09 2006-09-14 Zf Friedrichshafen Ag Proportional-Druckregelventil mit Drucksprung in seiner p/l-Kennlinie
CN101539217A (zh) * 2006-06-13 2009-09-23 喜雷特国际公司 压力调节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329A (ko) * 2002-08-08 2004-02-14 이턴 코포레이션 솔레노이드 작동식 압력 조정 밸브 및 배출형 압력 조정밸브의 감쇠 방법
KR20060049110A (ko) * 2004-10-22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티지케이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KR20070077729A (ko) * 2006-01-24 2007-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리드형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
KR100890420B1 (ko) 2008-08-05 2009-03-26 주식회사 유니크 변속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178B1 (ko) 2012-08-08 2012-10-09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US9169941B2 (en) 2012-08-08 2015-10-27 Unick Corporation Soleno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3893A1 (en) 2012-11-15
CN103502697B (zh) 2017-07-11
CN103502697A (zh)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016B1 (ko) 압력 제어 밸브
JP2008075765A (ja) スプール弁
KR10191853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201827380U (zh) 阀组件
PL168596B1 (pl) Zawór do cieczy PL PL PL PL PL
JP2016535833A (ja) 調整可能な冷媒ポンプ
JP5993000B2 (ja) 弁、特に圧力調整弁又は圧力制限弁
KR102076477B1 (ko) 비례 압력 조절 밸브
GB2346676A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fan viscous clutch
KR20060079222A (ko) 비례 압력 조절 밸브
JP5391037B2 (ja) 電磁弁装置
HRP20020191A2 (en) Valve control unit for a hydraulic elevator
JP2006052746A (ja) 流体伝動装置の油圧回路
KR100890420B1 (ko) 변속기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57500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EP2912354B1 (en) A magnetic valve with a one-piece housing
EP1323963A2 (en) Integrated hydraulic damper for a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pool valve
KR10116047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724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19216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0057793A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JP4885571B2 (ja) 段階放水自動弁装置
EP3071868B1 (en) Valve, in particular water discharge valve for toilets
JP2009275839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102424668B1 (ko)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