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565B1 - 반목의 항타 장치 - Google Patents

반목의 항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565B1
KR101122565B1 KR1020090051911A KR20090051911A KR101122565B1 KR 101122565 B1 KR101122565 B1 KR 101122565B1 KR 1020090051911 A KR1020090051911 A KR 1020090051911A KR 20090051911 A KR20090051911 A KR 20090051911A KR 101122565 B1 KR101122565 B1 KR 10112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ntagonist
slider
ra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165A (ko
Inventor
김경수
안철수
김대경
이재창
조수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5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목의 항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을 위한 휠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반목을 항타하도록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항타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목을 항타 시 본체가 충격에 대한 반력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반목의 항타 위치가 정확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목의 상부 레벨 조절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셋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서 항타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전하고도 편리한 구동으로 인해 야외 작업의 제한을 없앨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반목, 쇄기부, 본체, 슬라이더, 항타기, 가이드부, 높이조절부

Description

반목의 항타 장치{APPARATUS FOR LEVELING SUPPORTER}
본 발명은 반목을 항타 시 충격에 대한 반력으로부터 본체가 자유롭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셋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반목의 항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자재 입고, 가공, 소조, 중조, 대조를 거쳐서 도크에 탑재 후 최종 조립에 의해 완성된다.
선박의 제조 공정 중에서 탑재가 이루어지는 도크는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와 드라이 도크(dry dock)로 나뉘는데, 플로팅 도크는 수면에 떠있는 도크이고, 드라이 도크는 수심이 충분한 바다에 면한 곳에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ㅇ너비ㅇ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킴과 아울러 측벽(側壁)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널말뚝으로 보강하여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입구에 설치한 도크이다.
도크 입구에 설치되는 도크 게이트는 물에 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배를 도크에 넣을 때는 선박을 도크에 넣고서 위치를 바로잡은 다음, 바다에 떠 있는 도 크 게이트를 도크 입구의 문설주 부분까지 끌고 와서 내측에 물을 채워서 도크 게이트를 가라앉히고, 동시에 펌프로 도크 안에 있는 물을 배출시키면 수십 분 후에 도크 안팎의 수면 고저(高低) 차가 생기고, 도크 게이트는 문설주에 밀착된다.
도크가 배수되어 선박의 용골(龍骨:keel)이 반목에 접하게 되면, 양쪽 측벽과 선체 사이에 지지재(支持材)를 대어 선체를 받히게 되며, 선박을 도크에서 끌어내릴 때는 반대로 작업하게 된다. 특히, 도크의 바닥은 배수가 잘 되도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하고, 거기에 30cm의 각목을 1m 전후의 간격으로 1.2~1.5m의 높이로 쌓아올려서 선체를 지지하는 반목(盤木)으로 삼는다. 이러한 반목은 중심선 외에 좌우 양쪽에도 다수 개가 설치된다.
도크 바닥에 있는 반목은 선체 바닥의 지지 위치에 따른 높이 조절이 되어야 하고,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완성된 선박을 바다로 보내는 진수 시 해수에 잠기어 부식이 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선박의 진수 후 새로운 블록을 반목 위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선체 설계 데이터에 의해 각 지지 위치에 따라 새로이 높이 조절이 되어야 하는데, 수량이 많고 부식 등에 의해 철재의 마찰조건이 좋지 않지만 대부분의 반목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은 해머와 간이치구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머와 간이치구를 이용한 수작업은 대량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성 저하와 작업자의 근골격계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업 조건에 해당되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반목 항타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반목 항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목 항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공개실용 제1995-0027351호의 "반목 항타장치"로서, 대형 구조물을 지지하는 반목의 두 웨지 블록을 상대 이동시켜서 반목의 높이를 조절하는 항타장치에 있어서, 전륜(8)과 후륜(9)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몸체(1)와, 몸체(1)에 상방으로 설치된 승강액튜에이터(2)와, 승강액튜에이터(2)의 작동로드(2a) 상단에 설치된 캐리지(4)에 수평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작동로드(3a) 선단에 설치된 헤드블록(5)으로 웨지블록을 밀어주는 압압액튜에이터(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목 항타 장치는 압압액튜에이터의 작동 시 반목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몸체의 위치가 변동되어 반목의 정확한 위치를 항타하는 것이 어려워 반목의 상부 레벨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목을 항타 시 충격에 대한 반력으로부터 장치의 하부가 자유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위치의 변동이 억제되어 반목의 항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목의 상부 레벨 조절이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는, 반목을 항타하는 장치로서, 이동을 위한 휠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 더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반목을 항타하도록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항타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목을 항타 시 본체가 충격에 대한 반력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반목의 항타 위치가 정확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목의 상부 레벨 조절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셋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서 항타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전하고도 편리한 구동으로 인해 야외 작업의 제한을 없앨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100)는 반목(10)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목(10)을 항타하는 장치로서, 본체(11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20)와, 슬라이더(120)에 설치되는 항타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이동을 위한 휠(111)을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다수의 휠(111)이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휠(111)이 캐스터(cas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유닛(112)이 마련될 수 있는데, 고정유닛(112)은 패들의 누름에 의해 스토퍼가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본체(110)의 이동을 억제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휠(111)에 설치되어 조작에 의해 휠(111)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되거나, 본체(110)에 수직되게 나사 결합되는 리드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루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본체(110)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유닛(112)은 패들의 누름에 의해 스토퍼가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구성을 가질 경우,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처럼, 일례로 몸체(112a)에 하방으로 인출되도록 스토퍼(112b)가 설치되고, 몸체(112a)에 상승패들(112c)이 제 1 힌지축(112d)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승패들(112c)과 스토퍼(112b)에 하강패들(112e)이 제 2 및 제 3 힌지축(112f,112g)을 중심으로 각각 힌지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강패들(112e)의 끝단을 발 등을 사용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하강시키면, 하강패들(112e)이 제 2 힌지축(112f)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3 힌지축(112g)을 하강시킴으로써 스토퍼(112b)가 하방으로 인출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이와 반대로 상승패들(112c)의 끝단을 발 등을 사용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하강시키면, 상승패들(112c)이 제 1 힌지축(112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2 힌지축(112f)을 하강시킴으로써 하강패들(112e)이 제 3 힌지축(112g)을 상승시키도 록 회전하여 스토퍼(112b)가 상승하여 몸체(112a)에 삽입된다.
본체(110)는 전방에 반목(10)과의 정렬을 가이드하기 위한 정렬부재(113)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정렬부재(113)는 일례로 본체(110)의 전측에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반목의 일부분 또는 돌출부(12) 등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항타기(130)가 반목(10)을 정확하게 항타할 수 있도록 본체(110)가 반목(10)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본체(110)에 수평방향, 일례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100)는 슬라이더(120)가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본체(110)의 상부에 수평되게 마련되는 레일(141)과,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더(120)에 설치되는 롤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141)은 단일로 이루어져서 슬라이더(120)에 결합된 롤러(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롤러(142)가 슬라이더(120)의 양측에 다수로 마련되는 경우 슬라이더(120)의 양측에서 롤러(142)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슬라이더(120)의 이동 경로에 손가락이 끼이거나 슬라이더(120)와 함께 항타기(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141)은 롤러(142)를 감싸기 위하여 "ㄷ"자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본체(110)에 서로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고, 서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재(141c)가 슬라이더(120)의 슬라이딩으로부터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양단에 스토퍼(141a)가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42)가 양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롤러(142)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면에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동흡수부재(141b)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142)는 일례로 슬라이더(120)의 양쪽 측부마다 다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20)의 측부마다 2개씩 마련되어 모두 4개로 이루어지며, 레일(141) 각각에 2개씩 회전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100)는 본체(110)로부터 레일(1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본체(110)로부터 레일(141)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승강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레일(141)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151)와, 회전레버(1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152)과, 피니언(152)에 기어 결합되어 레일(141)을 지지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래크(1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레버(151)는 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회전력 전달부재를 사용하여 피니언(152)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피니언(152)은 회전레버(151)의 회전력을 각각 전달받도록 본체(110)의 상부 에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래크(153)는 길이방향을 따라 피니언(152)에 기어 결합되는 다수의 치(미도시)들이 형성되어 수직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이 레일(141)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피니언(152)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레일(141)을 승강시키며, 레일(141)이 안정적으로 수평되게 지지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부(150)는 회전레버(151)의 회전력을 피니언(152)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레버(151)의 회전력을 감속하도록 회전레버(151)의 축(미도시)에 연결되도록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감속기(154)와, 감속기(154)에 의해 회전하도록 감속기(154)에 연결되어 본체(110)의 상부에 브라켓(155a)에 의해 수평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피니언(152)이 축결합되는 제 1 축(155)과, 제 1 축(155)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본체(110)의 상부에 브라켓(156a)에 의해 설치됨과 아울러 피니언(152)이 축결합되는 제 2 축(156)과, 제 1 축(155)의 회전력을 제 2 축(156)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베벨기어(157) 및 베벨기어축(1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벨기어축(158)은 브라켓(155a,156b)에 의해 제 1 및 제 2 축(155,156)에 직교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때, 베벨기어축(158)과 제 1 및 제 2 축(155,156)간의 연결부위에 베벨기어(157)들이 기어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래크(153)의 수직 이동을 각각 가이드하기 위한 수직가이드(153a)가 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항타기(130)는 슬라이더(1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반목(10), 구체적으로는 반복(10)의 쇄기부(11)를 항타하도록 슬라이더(120)에 설치되고, 작동 유체의 종류 에 제한이 없으나, 공압에 의해 구동하는 핸드 브레이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외부의 공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반목(10)의 쇄기부(11)를 항타하는 항타로드(131)가 전단에 마련됨과 아울러 후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132)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핸들(132)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레버(13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100)는 항타기(130)에 외부의 공압공급부(200; 도 3에 도시)로부터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라인(161; 도 3에 도시)이 권선되기 위하여 본체(110)에 설치되는 릴(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릴(160)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공압공급라인(161)을 권선할 수 있고, 일례로 내측에 롤링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공압공급라인(161)을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항타기(130)에 공압을 직접 또는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공압포트(162; 도 3에 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일측에 공압공급라인(161)의 끝단에 공압공급부(200)에 연결되기 위한 피팅부재(163; 도 2에 도시)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의 작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목(1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본체(110)를 이동시켜서 항타기(130)의 전방에 반목(10)이 위치하도록 하며, 이 때, 본체(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정렬부재(113) 사이에 반목(10)의 특정 부위, 예컨대 돌출부(12)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항타기(130)가 반목(10), 구체적으로는 전후 이동에 의해 반 목(10) 상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쇄기부(11)에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유닛(112)을 사용하여 본체(110)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항타기(130)에 구동을 위해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라인(161)을 릴(160)로부터 인출시켜서 외부의 공압공급부(200)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150)의 회전레버(151)를 회전시켜서 레일(120)과 함께 항타기(130)가 반목(10)의 쇄기부(1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타기(130)의 항타로드(131)가 쇄기부(11)에 정렬되면, 작업자는 항타기(130)의 후방에 위치하여 항타기(130)의 핸들(132)을 파지하여 핸들(132)에 마련된 조작레버(133)의 조작에 의해 항타기(130)를 구동시켜서 항타로드(131)를 쇄기부(11)에 가압하여 항타하여 반목(10) 상단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반목(10)의 쇄기부(11)에 대한 항타기(130)의 항타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반목(10)의 상단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항타기(130)가 핸드 브레이커로 이루어져서 반목(10)의 쇄기부(11)를 항타함으로써 기존의 해머(hammer)나 도석기 등의 질량체 충돌 위주의 장비에 비해 단위 시간에 가해지는 충격의 횟수가 월등히 높으며, 항타기(130)가 항타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 예를 들면 본체(11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120)에 설치됨으로써 항타 충격에 대한 반력에 의해 항타기(130)가 슬라이더(12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장치의 하부, 예를 들면 본체(110)가 반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0)의 셋팅에 소요되는 시 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항타기(130)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아닌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야외 사용에 있어서 감전 등과 같은 안전 사고의 문제가 없으며, 항타기(13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은 롤러(142)와 레일(141)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흡수부재(141b)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본체(110)로 항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10)가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의 감소 등을 통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목을 항타 시 본체가 충격에 대한 반력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반목의 항타 위치가 정확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목의 상부 레벨 조절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셋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서 항타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전하고도 편리한 구동으로 인해 야외 작업의 제한을 없앨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의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의 항타 장치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목 11 : 쇄기부
12 : 돌출부 110 : 본체
111 : 휠 112 : 고정유닛
112a : 몸체 112b : 스토퍼
112c : 상승패들 112d : 제 1 힌지축
112e : 하강패들 112f : 제 2 힌지축
112g : 제 3 힌지축 113 : 정렬부재
120 : 슬라이더 130 : 항타기
131 : 항타로드 132 : 핸들
133 : 조작레버 140 : 가이드부
141 : 레일 141a : 스토퍼
141b : 진동흡수부재 141c : 연결부재
142 : 롤러 150 : 높이조절부
151 : 회전레버 152 : 피니언
153 : 래크 153a : 수직가이드
154 : 감속기 155 : 제 1 축
155a,156a : 브라켓 156 : 제 2 축
157 : 베벨기어 158 : 베벨기어축
160 : 릴 161 : 공압공급라인
162 : 공압포트 163 : 피팅부재
200 : 공압공급부

Claims (11)

  1. 반목을 항타하는 장치로서,
    이동을 위한 휠, 지면 고정용 고정유닛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목과의 정렬을 가이드하도록 전측에 정렬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반목을 항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항타기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수평되게 마련되어 있고 진동 흡수용 진동흡수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의 항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롤러가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레일이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서 상기 롤러를 감싸도록 "ㄷ"자 단면을 가지고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반목의 항타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레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반목의 항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래크
    를 포함하는 반목의 항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의해 회전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이 축결합되는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이 축결합되는 제 2 축과,
    상기 제 1 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축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베벨기어 및 베벨기어축
    을 더 포함하는 반목의 항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기는,
    공압에 의해 구동하는 핸드 브레이커로 이루어지는 반목의 항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타기에 외부의 공압공급부로부터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공급라인이 권선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릴
    을 더 포함하는 반목의 항타 장치.
KR1020090051911A 2009-06-11 2009-06-11 반목의 항타 장치 KR10112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11A KR101122565B1 (ko) 2009-06-11 2009-06-11 반목의 항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11A KR101122565B1 (ko) 2009-06-11 2009-06-11 반목의 항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65A KR20100133165A (ko) 2010-12-21
KR101122565B1 true KR101122565B1 (ko) 2012-03-19

Family

ID=435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11A KR101122565B1 (ko) 2009-06-11 2009-06-11 반목의 항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2A (zh) * 2011-10-20 2012-04-25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坞墩装卸墩木的装置
KR102336451B1 (ko) * 2020-01-17 2021-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반목용 항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497U (ja) 1983-02-17 1984-08-29 日立造船株式会社 盤木矢締め装置
JPS62113688A (ja) * 1985-11-14 1987-05-25 Nippon Kokan Kk <Nkk> 進水駒用矢締機
KR950027351U (ko) * 1994-03-02 1995-10-18 반목 항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497U (ja) 1983-02-17 1984-08-29 日立造船株式会社 盤木矢締め装置
JPS62113688A (ja) * 1985-11-14 1987-05-25 Nippon Kokan Kk <Nkk> 進水駒用矢締機
KR950027351U (ko) * 1994-03-02 1995-10-18 반목 항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65A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24170U (zh) 一种具有多孔连冲功能的建筑木材钻孔装置
KR101122565B1 (ko) 반목의 항타 장치
CN210126615U (zh) 一种新型多用途船用舷梯
CN117506771A (zh) 一种防止配件移动的工程机械配件生产用夹持装置
CN111791122B (zh) 一种轨枕磨削机移动驱动机构
CN217819436U (zh) 一种矿山尾矿处理用自动取样装置
CN209681861U (zh) 一种板材磨边机的砂带安装结构
CN114108562B (zh) 一种码头引导船只停靠的减震装置
CN111058885A (zh) 一种用于矿洞内使用的安全防护架
CN102363224A (zh) 板材倒棱机
CN215042370U (zh) 一种隧道施工用盾构机运输设备
CN211621742U (zh) 一种大型沉井隔仓取土导向装置
CN205870894U (zh) 移动式门槽切割机
CN208468742U (zh) 一种方便固定矿山荒料整形绳锯机的支架
CN202848713U (zh) 一种收料机拍板h型支架传动结构
KR20130004225U (ko) 쐐기반목용 항타장치
CN107756598B (zh) 用于水泥管片圆弧面自动收水抹平系统的收水机头
CN115435205B (zh) 一种地下水位监控装置
CN219492204U (zh) 一种可调式高压旋喷桩装置
CN203716860U (zh) 一种水下爆破钻孔定位工作平台
CN217747641U (zh) 预应力砼管桩的表面处理装置
CN217632254U (zh) 一种预应力钢绞线探矿钻机液压支架
CN209886735U (zh) 一种可对钢板钻斜孔的钻孔机
CN218027693U (zh) 一种用于提高灌浆质量的装置
CN216831670U (zh) 一种花岗岩板加工用自动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