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723B1 -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 Google Patents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723B1
KR101121723B1 KR1020100005551A KR20100005551A KR101121723B1 KR 101121723 B1 KR101121723 B1 KR 101121723B1 KR 1020100005551 A KR1020100005551 A KR 1020100005551A KR 20100005551 A KR20100005551 A KR 20100005551A KR 101121723 B1 KR101121723 B1 KR 10112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filter
radiation
titanium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656A (ko
Inventor
강필현
전준표
노영창
서동권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분자 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키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고분자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분자전구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고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TiO2 photocatalyst filter using irradiation of radioactive ray and TiO2 photocatalyst filter thereby}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광촉매 섬유의 제조방법은 분말상태의 이산화티타늄을 고분자 전구체에 넣고 용매와 섞은 후 전기방사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이산화티타늄이 섬유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만 이산화티타늄의 분산성이 저하되고, 섬유 전체에 이산화티타늄이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분말상의 이산화티타늄이 아닌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이용하여 전기방사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이산화티타늄 전구체의 함량이 높아지면 섬유상으로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방법으로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용매를 바꾸거나 소금을 첨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용매의 종류가 한정적이며, 소금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흡착법, 연소법, 공기 희석법 및 바이오 필터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흡착법은 설비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나 흡착제 교환 및 탈착공정 때문에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연소법은 제거공정이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하나 동력비의 상승과 연소에 의한 2차 부산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공기 희석법은 도입이 간편하나 장기적으로 적용했을 때 환경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바이오 필터법은 한정적인 대상물질과 고농도 고속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산화티타늄은 약 380 ㎚ 이하의 단파장 영역인 자외선에서만 높은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는데, 태양광에는 자외선이 약 3 ~ 4% 정도 밖에 포함되지 않아 광촉매 이용에 한계가 있고, 또한 반응성이 느리고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방법을 연구하던 중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분자 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키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분자전구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고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전구체를 방사선으로 전처리하여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켜 광촉매 필터의 섬유 내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된 광촉매 섬유를 광활성화시켜 광촉매 특성을 개신시키며, 섬유형태로 비표면적이 크고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용매 및 소금을 첨가하여 전기방사하는 종래방법의 한계 및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2차 오염문제를 발생시키는 연소법 및 공기 희석법을 대체할 수 있으며, 관리비용이 고가인 촉매법과 대상물질이 한정적인 바이오 필터법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대기정화에서 실내공기정화 및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선 조사에 사용가능한 방사선 조사 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방사에 사용가능한 전기방사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전처리 전후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미세구조를 나타내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조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a): 실시예 1, (b): 비교예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b) 및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키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a)의 X-선 회절분석기(XRD)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a):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 (b): 비교예 1, (c):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킨 비교예 1, (d):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키기 전의 실시예 1, (e): 실시예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와 방사선으로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키기 전의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와 방사선으로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키기 전의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고분자 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키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고분자 전구체를 전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은 방사선 조사로 고분자 전구체를 전처리함으로써, 고분자 전구체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균일한 섬유상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조사는 전자빔 전압을 0.1 - 10 MeV하고, 전류를 0.1 - 20 ㎃로 하며, 조사량을 10 - 1000 kGy로 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고분자전구체는 석유계 핏치, 석탄계 핏치,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조페이스 핏치, 푸르푸릴 알콜, 페놀, 셀룰로오스, 수크로오스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2의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테트라 에톡시티탄, 테트라 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 부톡시티탄, 사염화티탄, 황산티탄 및 옥시황산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단계 2의 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의 혼합비율은 1: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이산화티타늄 전구체의 비율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광촉매 특성을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상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이 적절한 점도와 전기전도도를 지니지 않으면 전기방사기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의 전기방사는 전압, 방사노즐 크기 및 노즐과 접전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섬유의 굵기 및 형상을 제어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전압을 10 - 30 kV로 하고, 방사노즐 크기를 15 - 30 G로 하며, 노즐과 집전판 사이의 거리를 3 - 20 ㎝로 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방사를 수행함으로써 섬유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4의 방사선 조사는 전자빔 전압을 0.1 - 10 MeV로 하고, 전류를 0.1 - 20 ㎃로 하며, 조사량을 100 - 20000 kGy로 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분자전구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고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한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전구체를 방사선으로 전처리하여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켜 광촉매 필터의 섬유 내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된 광촉매 섬유를 광활성화시켜 광촉매 특성을 개신시키며, 섬유형태로 비표면적이 크고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므로, 용매 및 소금을 첨가하여 전기방사하는 종래방법의 한계 및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2차 오염문제를 발생시키는 연소법 및 공기 희석법을 대체할 수 있으며, 관리비용이 고가인 촉매법과 대상물질이 한정적인 바이오 필터법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대기정화에서 실내공기정화 및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전구체에 전자빔 전압을 0.1 - 10 MeV하고, 전류를 0.1 - 20 ㎃로 하며, 조사량을 10 - 1000 kGy로 조사하여 고분자 전구체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전구체는 석유계 핏치, 석탄계 핏치,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조페이스 핏치, 푸르푸릴 알콜, 페놀, 셀룰로오스, 수크로오스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한 물질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사선은 전자선, 감마선, 이온빔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킴으로써, 광촉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고분자 전구체를 전처리하는 단계
중량 평균 분자량 150000 g/㏖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질소가스로 충진한 후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상기 방사선 조사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빔 전압은 1.14 MeV, 전류는 7.46 ㎃를 사용하여 스캔당 10 kGy의 조사량으로 총 50 kGy를 조사하였다.
단계 2: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전처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다이메틸포름아미드를 1:9로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용액에 티타늄 부톡사이드를 15 중량% 넣고, 아세트산을 티타늄 부톡사이드와 2:1의 몰비가 되도록 넣은 후 질소로 퍼지하면서 8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전기방사는 도 2에 도시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방사노즐과 적층부 간의 거리를 12 ㎝로 이격하고 15 k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고분자 용액의 토출속도는 0.813 ㎜의 직경을 갖는 주사기바늘을 이용하여 분당 0.02 ㎖로 토출시켜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광촉매 필터를 제조하였다.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필터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안정화와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광촉매 필터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티타늄 호일 창을 구비한 스테인레스 스틸 챔버 내에 광촉매 필터를 채운 후 질소가스로 퍼지하고 전자선을 조사하였다. 이때, 전자빔 전압은 1.14 MeV, 전류는 4 ㎃를 사용하여 10 MGy 조사하였다.
<비교예 1>
단계 1: 고분자 전구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다이메틸포름아미드를 1:9로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용액에 티타늄 부톡사이드를 5 중량% 넣고, 아세트산을 티타늄 부톡사이드와 2:1의 몰비가 되도록 넣은 후 질소로 퍼지하면서 8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전기방사는 도 2에 도시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방사노즐과 적층부 간의 거리를 12 ㎝로 이격하고 15 kV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고분자 용액의 토출속도는 0.813 ㎜의 직경을 갖는 주사기바늘을 이용하여 분당 0.02 ㎖로 토출시켜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광촉매 필터를 제조하였다.
분석
1. 방사선으로 전처리된 고분자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 분석
방사선으로 전처리된 고분자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으로 전처리된 고분자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전기전도도가 방사선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고분자 용액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2.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미세구조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미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FEI사, Sirion)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함량이 15 중량%인 경우에는 전기방사된 섬유가 균일하지 못하였으나, 방사선으로 전처리된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면 균일한 섬유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광촉매 필터는 굽힘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400 - 600 ㎚ 범위의 일정한 직경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조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EDS, FEI사, Sirion)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는 상기 실시예 1을 나타내고, (b)는 비교예 1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 전구체의 함량이 높아지면, 섬유내 이산화티타늄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4.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미세구조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및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키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미세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X-선 회절분석기(XRD, PANalytical, X'pert PRO)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a)는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키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이고, (b)는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킨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광촉매 필터에 존재하는 이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 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능 분석 1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외부의 빛이 차단된 원통형 반응기 내에 50 W의 자외선 램프를 반응용기로부터 5 ㎝ 높이에 설치하고 25 ℃를 유지하여 광분해 반응실험을 수행하였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대신하여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반응 용기에 0.1 g의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광촉매 필터와 300 ㎖의 메틸렌 블루 용액(10 ppm)을 넣고 자외선 램프를 켠 후 자외선 조사 시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UV-vis 분광광도기로 염료의 분해량에 따라 달라지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메틸렌 블루의 분해농도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도 7의 (a)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내고, (b)는 비교예 1을 나타내며, (c)는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킨 비교예 1을 나타내고, (d)는 방사선으로 광활성화시키기 전의 실시예 1을 나타내며, (e)는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료의 광분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방사선으로 전처리하고 이산화티타늄이 15 중량% 함유하며 방사선으로 광활성화된 필터(실시예 1)는 자외선을 조사한지 1 시간이 지나면 90 % 정도의 염료를 분해시킨 반면, 방사선으로 전처리하지 않고 광활성화도 시키지 않은 이산화티타늄을 5 중량% 함유하는 필터(비교예 1)는 자외선을 3시간 조사하여도 55% 정도의 염료가 분해되었다. 방사선을 이용한 전처리와 활성화로 제조된 필터의 염료 분해능이 3 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사용된 광촉매가 미량 (0.1 g)인 것을 감안할 때, 매우 우수한 염료분해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능 분석 2
전자선으로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키기 전후의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필터의 광촉매 특성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필터의 시간에 따른 광촉매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의 분해반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외부의 빛이 차단된 30 L 챔버내에 자외선 램프(16 W UV BALLAST, 220 V, 60 ㎐, 0.08 A)를 넣고 표준가스를 넣은 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변화를 자외선 조사 시간(30 분, 1 시간 및 2 시간)에 따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30 분 동안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실험을 수행한 결과,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킨 경우에는 툴루엔(toluene), 벤젠(benz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스티렌(styrene)의 분해율이 높았으며, 광촉매 필터를 활성화시키지 않은 경우보다 약 30 % 이상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분해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툴루엔(toluene), 벤젠(benzene), 에틸벤젠(ethylbenzene), 자일렌(Xylene) 및 스티렌(styrene)의 분해는 자외선 조사 시간(UV irradiation time)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며, 방사선을 조사한 광촉매 필터의 분해능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고분자 전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전처리된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광촉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광촉매 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광활성화시키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고분자전구체는 석유계 핏치, 석탄계 핏치,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조페이스 핏치, 푸르푸릴 알콜, 페놀, 셀룰로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방사선 조사는 전자빔 전압을 0.1 - 10 MeV하고, 전류를 0.1 - 20 ㎃로 하며, 조사량을 10 - 1000 kGy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테트라 에톡시티탄, 테트라 이소프로폭시티탄, 테트라 부톡시티탄, 사염화티탄, 황산티탄 또는 옥시황산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고분자 전구체와 이산화티타늄 전구체의 혼합비율은 1:0.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전기방사는 전압을 10 - 30 kV로 하고, 방사노즐 크기를 15 - 30 G로 하며, 노즐과 집전판의 거리를 3 - 20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방사선 조사는 전자빔 전압은 0.1 - 10 MeV이고, 전류는 0.1 - 20 ㎃이며, 조사량은 100 - 200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05551A 2010-01-21 2010-01-21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KR10112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51A KR101121723B1 (ko) 2010-01-21 2010-01-21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551A KR101121723B1 (ko) 2010-01-21 2010-01-21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56A KR20110085656A (ko) 2011-07-27
KR101121723B1 true KR101121723B1 (ko) 2012-03-22

Family

ID=4492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551A KR101121723B1 (ko) 2010-01-21 2010-01-21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192A (zh) * 2016-05-20 2016-07-20 上海师范大学 一种制备TiO2/PI复合纳米纤维材料的方法
CN105951214A (zh) * 2016-05-20 2016-09-21 上海师范大学 一种TiO2/PI复合纳米纤维材料及其应用
WO2019036308A1 (en) * 2017-08-14 2019-02-21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PREPARATION OF SIO2-TIO2 COMPOSITE AEROGELS AND SIO2 @ TIO2 CORE-ENVELOPE AEROGELS WITH HIGH THERMAL STABILITY AND ENHANCED PHOTOCATALYSIS
CN108251970A (zh) * 2018-01-23 2018-07-06 苏州大学 TiO2/PAN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386A (ja) 2004-03-19 2005-09-29 Keio Gijuku 光触媒機能を持つ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11205B1 (ko) * 2006-08-17 2008-03-07 (주) 아모센스 은나노함유 항균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5780A (ko) * 2008-02-05 2009-08-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소 처리된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나노섬유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KR20100128840A (ko) * 2009-05-29 2010-12-08 한국원자력연구원 전기방사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탄 나노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386A (ja) 2004-03-19 2005-09-29 Keio Gijuku 光触媒機能を持つ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11205B1 (ko) * 2006-08-17 2008-03-07 (주) 아모센스 은나노함유 항균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5780A (ko) * 2008-02-05 2009-08-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불소 처리된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나노섬유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KR20100128840A (ko) * 2009-05-29 2010-12-08 한국원자력연구원 전기방사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탄 나노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656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zeolite composite for abatement of pollutants
Ma et al. Fabrication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cationic and anionic S-doped TiO2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Liu et al. Fabrication of TiO2/ZnO composit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photocatalytic property
Li et al. Visible light responsive NF-codoped TiO2 photocatalysts for the degradation of 4-chlorophenol
KR101121723B1 (ko)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필터
CN102086045B (zh) TiO2二级纳米棒阵列及其制备方法与应用
Sedghi et al. A one step electrospinn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niline modified TiO2/polyacrylonitile nanocomposite with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CN107915867B (zh) 一种秸秆纤维素水凝胶-CdS纳米量子点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664922B (zh) 碳修饰TiO2/WO3复合纳米纤维光催化剂、制备方法及应用
KR101113156B1 (ko) 전기방사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탄 나노섬유
CN104045110A (zh) 二氧化钛纳米纤维材料的制备方法
Zhong et al. Enhanced photo-induced charge separation and solar-driven photocatalytic activity of g-C3N4 decorated by SO42−
KR20210101451A (ko) 방사성 세슘 흡착용 중공 활성 탄소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6300B1 (ko) 탄소, 질소, 붕소, 불소가 동시에 도핑된 가시광 응답형 이산화티타늄 및 그 제조방법
CN113546625B (zh) 一种静电纺缺陷态TiO2/Fe3O4复合纳米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Gümrükçü et al. In-situ synthesis of phthalocyanines on electrospun TiO2 nanofiber by solvothermal process fo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CN112452165A (zh) 一种Ag/AgBr/AgVO3复合纳米纤维过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85282A (zh) 新型三价钛与非金属元素氮共掺杂二氧化钛纳米光催化剂的制备
Liu et al. Synthesis of calcium doped TiO2 nanomaterials and their visible light degradation property
KR20110089976A (ko) 광촉매 활성 무기 복합 섬유와 이를 사용하는 광촉매 활성 필터
Han et al. Facile synthesis of amidoximated PAN fiber-supported TiO2 for visible light driven photocatalysis
Shao et al. Preparation of porphyrinated polyacrylonitrile fiber mat supported TiO_2 photocatalyst and its photocatalytic activities
Jing et al. β-FeOOH/TiO 2/cellulose nanocomposite aerogel as a novel heterogeneous photocatalyst for highly efficient photo-Fenton degradation
CN112593346A (zh) 一种基于静电纺丝工艺的复合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Tomovska et al. Current state of nanostructured TiO2-based catalysts: prepara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