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546B1 -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546B1
KR101121546B1 KR1020100046676A KR20100046676A KR101121546B1 KR 101121546 B1 KR101121546 B1 KR 101121546B1 KR 1020100046676 A KR1020100046676 A KR 1020100046676A KR 20100046676 A KR20100046676 A KR 20100046676A KR 101121546 B1 KR101121546 B1 KR 10112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acket
vehicle
light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047A (ko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0004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5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47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using a suction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52Structure of the support arm
    • B60J3/026Structure of the support arm articulated, e.g. comprising pivot joints or lazy-to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챠량의 윈드쉴드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키거나 편광시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판을 다수의 관절수단을 통해 운전자의 눈높이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시키거나 최대한 윈드쉴드에 근접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판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에 탈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10)과, 상기 흡착판(10)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편광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차광판(60, 65)이 부착된 차량용 선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에 일측이 연결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관절부(20)와, 상기 관절부(20)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회전구(32)가 형성된 연결봉(30)과, 상기 회전구(32)를 압착하면서 일정량의 빛을 차단시키거나 편광시키는 판상의 차광판(60)과 결합되는 차광판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SUNGLASS FOR VEHICLE HAVING A POSITION ADJUS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챠량의 윈드쉴드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키거나 편광시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판을 다수의 관절수단을 통해 운전자의 눈높이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시키거나 최대한 윈드쉴드에 근접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판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간에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이나 난반사된 빛은 운전자의 시야를 교란하여 안전운전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야간에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전방에서 교행하는 차량의 전조등이 직접적으로 운전자의 눈에 입사되기 때문에 그 눈부심으로 전방의 도로 상태를 잘 관찰 할 수 없어 야간 교통사고의 주원인중의 하나가 되어 왔다. 즉, 주간 내지 야간에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은 운전자의 눈을 쉽게 피로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특허발명 등록제10-0482382호(공개일자: 2004.03.24)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448호(공개일자: 2009.04.01)를 통해 차량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편광시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선글라스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발명된 "차량용 선글라스"는 차량의 윈드쉴드에 쉽게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는 연결부재에 차량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편광시킬 수 있는 차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개된 차량용 선글라스는 운행중에 차량 내부로 조사되는 빛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차광판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하지만 구조적으로 위치 변경에는 제한이 있었다. 다시 말해, 상기 차광판은 상기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높이 또는 운전자의 좌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판을 떼어 낸 다음 위치에 맞게 이동시킨 후에 다시 부착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차광판의 크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차광판의 범위 밖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다시 흡착판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매우 빨리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광판을 차량의 천장방향으로 돌려 놓았지만, 차량의 윈드쉴드와는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승차 또는 하차하려는 운전자와 빈번하게 머리가 부딪히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 년간 "차량용 선글라스"를 연구 및 제작하여 배포하는 경험적과정에서 발명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쉴드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광판의 위치를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용 선글라스의 효용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용 선글라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의 윈드쉴드와 같은 구조물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차광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또한 운전환경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기능을 갖는 차광판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에 탈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10)과, 상기 흡착판(10)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편광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차광판(60, 65)이 부착된 차량용 선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과 일측이 연결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관절부(20)와, 상기 관절부(20)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형의 회전구(32)가 형성된 연결봉(30)과, 상기 회전구(32)를 압착하면서 상기 차광판(60)과 결합되는 차광판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은, 브라켓하판(42)과 이와 결합되는 브라켓상판(44) 및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장착되는 압착판(50)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판(60, 65)은,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압착판(5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차광판(60, 6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면에 각각 삽입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50)은, 일측면에 탄성부재(52)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52)에 대항하여 상기 압착판(50)을 누를 수 있도록 타측면 중앙부에 해제버튼(55)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압착판(50)에 형성된 해제버튼(55)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구멍(47)과, 상기 버튼구멍(47)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어 돌출된 체결돌기(48)가 형성되고, 상기 차광판(60, 65)은,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의 삽입부(43)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해제버튼(55)이 수용되도록 절개된 절곡부(61)와, 상기 브라켓상판(44)에 형성된 체결돌기(48)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구멍(6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윈드쉴드에 부착된 차량용 선글라스를 운행중에 운전자가 다수의 관절부를 이용하여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과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윈드쉴드에 부착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눈높이와 위치에 따라 차광판의 높이 및 좌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안락한 운전조건을 형성하게 한다.
한편, 운전하는 상황에 따라 흡착판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차광판을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입사되는 빛을 효과적이고 매우 편리하게 차단할 수 있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고, 운전자의 피로감을 감축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에서 차광판 브라켓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브라켓상판의 배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에서 차광판 브라켓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브라켓상판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쉴드에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흡착판(10)과, 상기 흡착판(10)과 일측이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는 다수의 관절부(20)와, 상기 관절부(20)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형의 회전구(32)가 형성된 연결봉(30)과, 상기 회전구(32)를 압착하면서 일정량의 빛을 차단시키거나 편광시키는 판상의 차광판(60)과 결합되는 차광판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10)은, 탄성재질의 흡착패드와, 상기 흡착패드를 잡아당기기 위한 흡착레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흡착패드를 차량의 윈드쉴드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착레버(12)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윈드쉴드와의 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착판(10)의 흡착패드를 고정하도록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구조물에 상기 관절부(20)와 연결되기 위한 고정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14)는 상기 흡착판(10)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착판(10)의 길이방향과 평형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광판(60)을 상기 흡착판(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절부(20)는, 일측이 상기 고정대(14)와 연결되는 구조물로, 상기 구조물은 일측에 축결합부(22)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대(14)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14)와 축결합부(22)는 상기 고정대(14)를 중심으로 상기 구조물이 회동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축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이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동되더라도 상기 구조물에 연결된 차광판(60)의 무게로 인해 유동되지 않도록 충분한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관절부(2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30)은, 상기 관절부(20)의 구조물과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구형상의 회전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관절부(20)의 구조물과는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측은 상기 회전구(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32)는, 상기 차광판브라켓(40)으로 압착되는데,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은, 상기 차광판(60)을 타측에 삽입시켜 장착하며, 일측에 상기 회전구(32)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은 1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전구(32)의 압착은 상기 차광판(6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는 마찰력을 갖도록 조립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상기 차광판(6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차광판(60)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구(32)를 중심으로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이 움직이게 되지만,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차광판(60)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쉴드에 흡착판(10)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 후 사용자는 관절부(20)를 이용하거나 차광판브라켓(40)을 이용하여 차광판(6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절부(20) 또는 차광판브라켓(40) 중 어느 것을 먼저 조절할 수 있으나, 편의상 상기 관절부(20)를 먼저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20)를 'B'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정한 위치로 변경시킨다. 차량의 윈드쉴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차광판(60)은 'a1'의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차광판(60)이 윈드쉴드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내부에서 차광판(60)과 부딪치는 불편함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a1'의 위치는 차광판(60)이 운전자의 시각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경우이므로 시야가 좁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관절부(20)를 움직이지 않은 채 차광판브라켓(40)을 'A' 방향으로 잡아당겨 차광판(60)이 'a2'의 자리로 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각에 대하여 거의 수직한 상태이므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a2'의 위치는 운전자의 시야에 비하여 너무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관절부(20)를 'B' 방향으로 잡아 당겨 'a3'의 자리로 변동시킬 수 있다. 또한, 'a3'의 자리에서 사용자는 차광판(60)의 위치를 상기 관절부(20)는 움직이지 않은 채 상기 차광판브라켓(40) 만을 움직여 조절할 수 있다. 즉, 'a3'의 자리에서 차광판(60)의 기울기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3'의 자리는 운전자의 시야에 비하여 너무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관절부(20)를 'B' 방향으로 더욱 높게 잡아 당기고, 차광판브라켓(40)은 상기 관절부(20)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조절하여 'a4'의 자리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차광판(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관절부(20)와 차광판브라켓(40)을 모두 이용하거나, 상기 'a4'의 자리에서 'C' 방향으로 차광판브라켓(40)을 밀어 올려 차량의 윈드쉴드나 천장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차광판(20)이 윈드쉴드에 인접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상기 차광판(20)과 부딪힐 염려를 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차광판(6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차광판브라켓(40)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은 브라켓하판(42)과, 이와 결합되는 브라켓상판(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는 압착판(50)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로 삽입되는 차광판(65)을 압착하여 거치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차광판(6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면에 각각 삽입부(43)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43)는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이 결합된 경우에 공간을 형성하고, 삽입된 차광판(65)이 차광판브라켓(40)의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판(50)은, 일측면에 탄성부재(52)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52)에 대항하여 압착판(50)을 누를 수 있도록 중앙부에 해제버튼(55)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압착판(50)의 해제버튼(55)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구멍(47)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46은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을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체결구멍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상판(44)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상의 버튼구멍(47)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어 체결돌기(48)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48)는 상기 도 3의 측면도와 같이 단부가 중앙하부로 경사지게 경사면(49)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43)를 통해 상기 차광판(60, 65)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돌기(48)에 형성된 경사면(49)을 타고 쉽게 삽입되며, 삽입된 차광판(60, 65)은 상기 압착판(50)을 탄성하는 탄성부재(52)에 의해 탄성되면서 상기 브라켓상판(44) 쪽으로 밀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차광판(60, 6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판브라켓(4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부(61)를 형성하며, 절곡부(61)의 양측에는 장착구멍(6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광판(60, 65)이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부(43)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차광판(60, 65)에 형성된 장착구멍(62)에는 상기 브라켓상판(44)에 형성된 체결돌기(48)가 삽입되며, 상기 압착판(50)에 형성된 해제버튼(55)은 상기 차광판(60, 65)의 절곡부(61)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차광판(60, 65)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삽입된 차광판(60, 65)은 상기 브라켓상판(44) 측으로 노출된 해제버튼(55)을 누르게 되면 이탈된다. 다시 말해, 상기 브라켓상판(44)에 형성된 체결돌기(48)는 상기 압착판(50)의 탄성을 받으면서 상기 차광판(60, 65)의 장착구멍(6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해제버튼(55)을 누르게 되면 상기 압착판(50)은 브라켓하판(42) 측으로 밀려가게 되고, 따라서,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의 삽입부(43)는 상기 차광판(60, 65)이 이탈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부(43)를 통해 차광판(60, 65)은 차광판브라켓(40)에서 이탈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광판(60, 65)을 운전의 조건이나 운전자의 취향에 맞도록 편리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광판은 주간용과 야간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흡착판 12: 흡착레버
14: 고정대 20: 관절부
22: 축결합부 30: 연결봉
32: 회전구 40: 차광판브라켓
41: 회전구 압착부 42: 브라켓하판
43: 삽입부 44: 브라켓상판
46: 체결구멍 47: 버튼구멍
48: 체결돌기 49: 경사면
50: 압착판 52: 탄성부재
55: 해제버튼 60, 65: 차광판
61: 절곡부 62: 장착구멍

Claims (3)

  1. 차량의 윈드쉴드에 탈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10)과, 상기 흡착판(10)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로 투과되는 빛을 편광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차광판(60, 65)이 부착된 차량용 선글라스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0)과 일측이 연결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동될 수 있는 관절부(20)와, 상기 관절부(20)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형의 회전구(32)가 형성된 연결봉(30)과, 상기 회전구(32)를 압착하면서 상기 차광판(60)과 결합되는 차광판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브라켓(40)은, 브라켓하판(42)과 이와 결합되는 브라켓상판(44) 및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장착되는 압착판(50)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판(60, 65)은,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압착판(5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차광판(60, 6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일측면에 각각 삽입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50)은, 일측면에 탄성부재(52)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52)에 대항하여 상기 압착판(50)을 누를 수 있도록 타측면 중앙부에 해제버튼(55)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상판(44)은, 상기 압착판(50)에 형성된 해제버튼(55)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구멍(47)과, 상기 버튼구멍(47)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어 돌출된 체결돌기(48)가 형성되고,
    상기 차광판(60, 65)은, 상기 브라켓하판(42)과 브라켓상판(44) 사이의 삽입부(43)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해제버튼(55)이 수용되도록 절개된 절곡부(61)와, 상기 브라켓상판(44)에 형성된 체결돌기(48)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구멍(6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KR1020100046676A 2010-05-18 2010-05-18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KR10112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76A KR101121546B1 (ko) 2010-05-18 2010-05-18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676A KR101121546B1 (ko) 2010-05-18 2010-05-18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47A KR20110127047A (ko) 2011-11-24
KR101121546B1 true KR101121546B1 (ko) 2012-03-06

Family

ID=4539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676A KR101121546B1 (ko) 2010-05-18 2010-05-18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69Y1 (ko) 2001-09-01 2001-12-13 박종완 차량용 선글라스
KR200359902Y1 (ko) 2004-05-25 2004-08-23 위정희 차량용 윈도우 선글라스
KR200362472Y1 (ko) 2004-06-16 2004-09-22 박종완 차량용 선글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969Y1 (ko) 2001-09-01 2001-12-13 박종완 차량용 선글라스
KR200359902Y1 (ko) 2004-05-25 2004-08-23 위정희 차량용 윈도우 선글라스
KR200362472Y1 (ko) 2004-06-16 2004-09-22 박종완 차량용 선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047A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500B1 (ko) 안경 장착식 조명 장치
JP2015515801A5 (ko)
US10838229B2 (en) Bifocal glasses-shaped frame
JP3928778B2 (ja) アイシールドアセンブリ
JP3202475U (ja) 自撮り用携行棒及び車載用多用途電子端末固定装置
CN204575982U (zh) 多型号适配型手机3d眼镜
KR101121546B1 (ko)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차량용 선글라스
EP3284360B1 (de) Magnetisch wirkende hafthalterung und magnet-set zur brillenbefestigung, sowie verwendung des sets und fahrradhelm
JP2010160415A (ja) 立体視用眼鏡
KR20190080700A (ko) 일회용 방진마스크
KR10133888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CN111123554B (zh) 穿戴式装置
WO2006001628A1 (en) Sunglasses that stick to the sun cap
CN202827315U (zh) 汽车内后视镜以及装设该汽车内后视镜的汽车
CN114815246B (zh) 附件和头戴式显示器
JP6255551B1 (ja) 遮光用具
KR200439876Y1 (ko) 선 캡용 선글라스
US20110176233A1 (en) Mirror device
CN220105452U (zh) 一种具有后视功能的护目镜
CA2724372C (en) Sunglasses clip-on device
KR200255969Y1 (ko) 차량용 선글라스
CN109143584B (zh) 一种vr无线头盔
KR200362472Y1 (ko) 차량용 선글라스
CN220855348U (zh) 一种ar系统
JP2014157192A (ja) 頭部支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