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343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1343B1 KR101121343B1 KR1020097018449A KR20097018449A KR101121343B1 KR 101121343 B1 KR101121343 B1 KR 101121343B1 KR 1020097018449 A KR1020097018449 A KR 1020097018449A KR 20097018449 A KR20097018449 A KR 20097018449A KR 101121343 B1 KR101121343 B1 KR 101121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brake
- unit
- brake control
- decele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비상 제동 동작시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되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갖고,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를 갖고, 제1 연산부에는 문턱값이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2 연산부에는 제1 연산부와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설정되어 있다. 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brak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brake device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and the first brake control unit makes an emergency stop of the car, and the deceleration of the car during the emergency braking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control unit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And a second brake control unit for reduc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device, wherein the second brake control unit has first and second arithmetic units that independently perform operations for reduc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device by arithmetic processing. In the first calculation unit, the threshold value is set to change according to the car position, and the second calculation unit is set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calcul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 제동시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를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having a brake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the deceleration of the car during emergency braking.
종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비상 제동시에, 감속 지령값 및 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소정값으로 되도록 전자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제어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In the conventional brake device of an elevator, the brak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brake is controlled so that the deceleration of the car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based on the deceleration command value and the speed signal (see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칸이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있으면, 엘리베이터칸이 큰 감속도로 신속하게 감속되어 정지된다. 또,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칸이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있는 경우 이외이면, 엘리베이터칸이 충분히 낮은 감속도로 감속되어 정지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when an emergency stop command generate | occur | produces, if a car is traveling toward the terminal floor near the terminal floor, the car decelerates rapidly and stops at a large deceleration speed. When the emergency stop command is generated, the car is decelerated and stopped at a sufficiently low deceleration unless the car is traveling toward the end floor in the vicinity of the end floor (see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15721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57211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30651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306517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기본적인 비상 제동 동작과 제동력의 제어 동작 양쪽이 1개의 브레이크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지고 있기 때 문에, 브레이크 제어 유닛의 고장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면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반대로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과소로 되면 제동 거리가 길어져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정지시의 엘리베이터칸 감속도가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의해 단속적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종단층 부근과 중간층에서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겨 버린다. In the conventional brake apparatus described 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top the car more reliably even when the deceleration control unit breaks down, and also prevent a large difference in the riding comfort at the time of emergency stop by the car position.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권상기(卷上機);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懸架) 수단; 현가 수단에 의해 매달아져,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는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와, 제1 브레이크 제어부의 비상 제동 동작시에 엘리베이터칸의 감속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되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를 갖고, 제2 브레이크 제어부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를 갖고, 제1 연산부에는 문턱값이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2 연산부에는 제1 연산부와 마찬가지로 문턱값이 설정되어 있다.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ing machine having a drive sheave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Suspension means wound around a drive sheave; A car suspended by suspension means and lifted by a hoist; A brake device for braking the car; And a brak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rake device, wherein the brake control device operates the brake device at the time of detecting an abnormality to emergency stop the car, and the car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control device. When the deceleration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brake device has a second brake control unit for reduc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device, and the second brake control unit performs the operation of reducing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devic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arithmetic processing. And a second calculating section, the first calculating section is set so that the threshold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ar position, and the second calculating section is set like the first calculating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brake control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감속도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celera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lculators of FIG. 2.
도 4는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이 감속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브레이크 코일의 전류, 전자 계전기(電磁 繼電器)의 상태, 및 감속도 제어 스위치 상태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time change of the car speed, the car deceleration rate, the current of the brake coil, the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relay, and the deceleration control switch state when the car decelerates immediately after an emergency stop command is generated. FIG. It is also.
도 5는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bnormal diagnosis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lculators of FIG. 2.
도 6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에 설정된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first and second thresholds and a car position of a car deceleration set in the first and second calculation units of FIG. 2.
도 7은 도 2의 제3 및 제4 연산부에 설정된 과속도 감시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n overspeed monitoring pattern set in the third and fourth calculation units of FIG.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8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brake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연산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lculators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It is a circuit diagram which shows the brak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는 현가 수단으로서의 메인 로프(3)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아져 있고, 권상기(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권상기(4)는 메인 로프(3)가 감겨진 구동 쉬브(5), 구동 쉬브(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6), 및 구동 쉬브(5)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7)를 갖고 있다. 브레이크 장치(7)는 구동 쉬브(5)와 동축(同軸)에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 브레이크 바퀴; 8)과, 브레이크 드럼에 접리(接離)되는 브레이크 슈(brake shoe; 9)와,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에 프레스(press)하여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9)를 브레이크 드럼(8)으로부터 개리(開離)시켜 제동력을 해방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갖고 있다. The
권상기 모터(6)에는 그 회전축의 회전 속도, 즉 구동 쉬브(5)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권상기 인코더부(10)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 인코더 부(10)는 각각 독립된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 도 2)를 갖고 있다. The hoisting
승강로의 상부 종단층 근방에는 상부 승강로 스위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 종단층 근방에는 하부 승강로 스위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스위치(11, 12)는 엘리베이터칸(1)의 절대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위치 보정 스위치로서 이용된다. 엘리베이터칸(1)에는 승강로 스위치(11, 12)를 조작하는 조작 캠(13)이 장착되어 있다. An
승강로의 저부(底部; 피트(pit))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는 엘리베이터칸(1)의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완충기(15)는 균형추(2)의 바로 밑에 배치되어 있다. The car shock absorber 14 and the counterweight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governor sheave; 16)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쉬브(tension sheave; 17)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6) 및 텐션 쉬브(17)에는 조속기 로프(governor rope; 과속도 검출 로프; 18)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18)의 양단부는 엘리베이터칸(1)에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8)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된다. 이로 인해, 조속기 쉬브(16) 및 텐션 쉬브(17)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s provided with a governor sheave 16.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there is a
조속기 쉬브(16)에는 조속기 쉬브(16)의 회전 속도, 즉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거버너 인코더부(governor encoder portion; 19)가 마련되어 있다. 거버너 인코더부(19)는 각각 독립된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거버너 인코터(19a, 19b; 도 10)를 갖고 있다. The governor sheave 16 is provided with a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는 권상기 인코더부(10), 승강로 스위치(11, 12) 및 거버너 인코더부(1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20)에는 브레이크 장치(7)의 전자 마그넷의 전류에 따른 신호가 입력된다. The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권상기 인코더부(10)로부터의 신호와, 전자 마그넷의 전류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또,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때,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한다. The
다음으로,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각각 독립적으로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21, 22)와 과속도 감시부(23)를 갖고 있다. Next,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브레이크 장치(7)의 전자 마그넷에는 브레이크 코일(전자 코일; 2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코일(24)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이 여자(勵磁)되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력이 발생하여, 브레이크 슈(9)가 브레이크 드럼(8)으로부터 개리된다. 또, 브레이크 코일(24)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에 의해 전자 마그넷의 여자가 해제되어, 브레이크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9)가 브레이크 드럼(8)에 프레스된다.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A brake coil (electronic coil) 24 is provided in the electromagnetic magnet of the
브레이크 코일(24)에는 방전 저항(25)과 제1 방전 다이오드(26)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코일(24)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전자 계전기(27a, 27b)와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를 통하여 제2 방전 다이오드(31)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는 상시 폐(閉, closed)의 계전기이다. A circuit in which the
제3 전자 계전기(29e1)는 제1 전자 계전기(27a)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전자 계전기(29e2)는 제2 전자 계전기(27b)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의 제1 및 제3 전자 계전기(27a, 29e1)측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의 제2 및 제4 전자 계전기(27b, 29e2)측은 브레이크 스위치(32)를 통하여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2)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The third electromagnetic relay 29e1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브레이크 스위치(32)의 온/오프(ON/OFF)는 브레이크 판정부(33)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칸(1)의 승강시에,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온으로 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도전(energize)시켜,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또,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시에,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오프로 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비도전(deenergize)시켜, 브레이크 장치(7)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정지(靜止) 유지). The ON / OFF of the
또한, 브레이크 판정부(33)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브레이크 스위치(32)를 오프로 함과 아울러 전자 계전기(27a, 27b)를 개방하여 브레이크 코일(24)을 비도전시켜, 브레이크 장치(7)를 제동 동작시킨다. 이로 인 해,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된다. 방전 저항(25) 및 제1 방전 다이오드(26)는 전자 계전기(27a, 27b)가 개방된 후에,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신속하게 감소시켜 제동력의 발생을 앞당긴다. In addition, when any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브레이크 판정부(33)의 기능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마련된 제1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제1 마이크로컴퓨터에는 브레이크 판정부(33)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The function of the
제1 브레이크 제어부(주제어부; 21)는 전자 계전기(27a, 27b, 29e1, 29e2), 제2 방전 다이오드(31), 브레이크 스위치(32) 및 브레이크 판정부(33)를 갖고 있다. The first brake control unit (main control unit) 21 has
브레이크 코일(24)에 흐르는 전류는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의해 검출된다.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는 제1 거버너 인코더(19a)와 승강로 스위치(11, 1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는 제2 거버너 인코더(19b)와 승강로 스위치(11, 12)를 포함하고 있다.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브레이크 코일(24)과 제1 전자 계전기(27a) 사이의 단점(端点)은 제5 및 제6 전자 계전기(29a1, 29b1)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통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코일(24)과 제2 전자 계전기(27b) 사이의 단점은 제7 및 제8 전자 계전기(29a2, 29b2)와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The disadvantage between the
제5 및 제6 전자 계전기(29a1, 29b1)와, 브레이크 코일(24)과, 제7 및 제8 전자 계전기(29a2, 29b2)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에는 제3 방전 다이오드(4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In a circuit in which the fifth and sixth electromagnetic relays 29a1 and 29b1, the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제동시에 엘리베이터칸(1)의 감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에 의한 감속도 제어는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가 닫혀 있을 때에 유효하게 되고,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으면 무효가 된다. The first and second deceleration control switches 42 and 43 are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deceleration of the
제1 감속도 제어 스위치(42)의 온/오프는 제1 연산부(45)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연산부(45)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y[m],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m/s2]를 연산한다. 또, 제1 연산부(45)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및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제1 감속도 제어 스위치(42)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1 연산부(45)는 제2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on / off of the first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3)의 온/오프는 제2 연산부(46)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연산부(46)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연산부(45)로부터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위치 y[m],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m/s2]를 연산한다. 또, 제2 연산부(46)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및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2 연산부(46)는 제3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on / off of the second
제1 연산부(45)와 제2 연산부(46) 사이에는 2 포트 RAM(47)이 접속되어 있다. 감속도 제어 판정부(48)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와 2 포트 RAM(47)을 갖고 있다. A two-
제5 및 제7 전자 계전기(29a1, 29a2)는 제1 구동 코일(49a)에 의해 개폐된다. 제1 구동 코일(49a)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1 구동 코일(49a)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가 접속되어 있다.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의 온/오프는 제1 연산부(45)에 의해 제어된다. The fifth and seventh electromagnetic relays 29a1 and 29a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제6 및 제8 전자 계전기(29b1, 29b2)는 제2 구동 코일(49b)에 의해 개폐된다. 제2 구동 코일(49b)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2 구동 코일(49b)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가 접속되어 있다.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1)의 온/오프는 제2 연산부(46)에 의해 제어된다. The sixth and eighth electromagnetic relays 29b1 and 29b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제5 전자 계전기(29a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9 전자 계전기(29a3)와, 제7 전자 계전기(29a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0 전자 계전기(29a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52)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연산부(45)는 저항기(52)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1 연산부(45)는 제5 및 제7 전자 계전기(29a1, 29a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The ninth electromagnetic relay 29a3,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fth electromagnetic relay 29a1, and the tenth electromagnetic relay 29a4,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venth electromagnetic relay 29a2,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ground. It is connected in series via the
제6 전자 계전기(29b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1 전자 계전기(29b3)와, 제8 전자 계전기(29b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2 전자 계전기(29b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53)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연산부(46)는 저항기(53)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2 연산부(46)는 제6 및 제8 전자 계전기(29b1, 29b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The eleventh electromagnetic relay 29b3,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xth electromagnetic relay 29b1, and the twelfth electromagnetic relay 29b4,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ighth electromagnetic relay 29b2,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ground. It is connected in series via the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에 대한 지령과,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개폐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에 접점 용착(接點 溶着) 등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first and
제1 연산부(45)는 제1 전류 검출기(34)로부터의 신호와 제2 전류 검출기(35)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제1 연산부(45)는 제1 권상기 인코더(10a)로부터의 신호와 제2 권상기 인코더(10b)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또한, 제1 연산부(45)는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로부터의 신호와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Moreover, the
또한, 제1 연산부(45)는 제2 연산부(46)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47)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1 연산부(45)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n addition, the
제2 연산부(46)는 제1 전류 검출기(34)로부터의 신호와 제2 전류 검출기(35)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제2 연산부(46)는 제1 권상기 인코더(10a)로부터의 신호와 제2 권상기 인코더(10b)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또한, 제2 연산부(46)는 제1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로부터의 신호와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9)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Moreover, the 2nd calculating
또한, 제2 연산부(46)는 제1 연산부(45)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47)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2 연산부(46)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In addition, the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개방하는 지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고장 검출 신호를 제1 고장 알림부(54)에 출력한다. 제1 고장 알림부(54)는 고장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했음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 치에 전달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고장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휴지시킴과 아울러, 외부에 고장을 발보하도록 동작시킨다. The first and
제2 브레이크 제어부(감속도 제어부; 22)는 전자 계전기(29a1, 29a2, 29a3, 29a4, 29b1, 29b2, 29b3, 29b4),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방전 다이오드(44), 감속도 제어 판정부(48), 구동 코일(49a, 49b),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 저항기(52, 53) 및 제1 고장 알림부(54)를 갖고 있다. The second brake control unit (deceleration control unit) 22 includes the electromagnetic relays 29a1, 29a2, 29a3, 29a4, 29b1, 29b2, 29b3, 29b4, deceleration control switches 42, 43,
제3 및 제4 전자 계전기(29e1, 29e2)는 제5 구동 코일(49e)에 의해 구동된다. 제5 구동 코일(49e)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13 ~ 제16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The third and fourth electromagnetic relays 29e1 and 29e2 are driven by the
제13 및 제14 전자 계전기(29c1, 29c2)는 제3 구동 코일(49c)에 의해 개폐된다. 제3 구동 코일(49c)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3 구동 코일(49c)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가 접속되어 있다.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electromagnetic relays 29c1 and 29c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의 온/오프는 제3 연산부(56)에 의해 제어된다. 제3 연산부(56)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연산한다. 또, 제3 연산부(56)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기초하여, 제3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제3 연산부(56)는 제4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on / off of the third drive
제15 및 제16 전자 계전기(29d1, 29d2)는 제4 구동 코일(49d)에 의해 개폐 된다. 제4 구동 코일(49d)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제4 구동 코일(49d)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가 접속되어 있다.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로는 반도체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The fifteenth and sixteenth electromagnetic relays 29d1 and 29d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의 온/오프는 제4 연산부(58)에 의해 제어된다. 제4 연산부(58)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연산한다. 또, 제4 연산부(58)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기초하여,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제4 연산부(58)는 제5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The on / off of the fourth drive
제3 연산부(56)와 제4 연산부(58) 사이에는 2 포트 RAM(59)이 접속되어 있다. A two-
제13 전자 계전기(29c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7 전자 계전기(29c3)와, 제14 전자 계전기(29c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8 전자 계전기(29c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60)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연산부(56)는 저항기(60)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3 연산부(56)는 제13 및 제14 전자 계전기(29c1, 29c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The seven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c3,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c1, and the eigh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c4,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ur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c2,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ground. It is connected in series via the
제15 전자 계전기(29d1)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9 전자 계전기(29d3)와, 제16 전자 계전기(29d2)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20 전자 계전기(29d4)는 전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저항기(61)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연산부(58)는 저항기(61)의 전원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4 연산부(58)는 제15 및 제16 전자 계전기(29d1, 29d2)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The nine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d3,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f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d1, and the twentieth electromagnetic relay 29d4, which is opened and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ixteenth electromagnetic relay 29d2,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ground. It is connected in series via the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에 대한 지령과,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의 개폐 상태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에 접점 용착 등의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third and
제3 연산부(56)는 제4 연산부(58)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59)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3 연산부(56)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제4 연산부(58)는 제3 연산부(56)에 의한 연산 결과를, 2 포트 RAM(59)을 통하여 수취하여, 제4 연산부(58)에 의한 연산 결과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he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검출 신호를 제2 고장 알림부(62)에 출력한다. 제2 고장 알림부(62)는 고장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과속도 감시부(23)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했음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전달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과속도 감시부(23)에 고장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층에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휴지시킴과 아울러, 외부에 고장을 발보하도록 동작시킨다. When the above failure occurs, the third and
과속도 감시부(23)는 전자 계전기(29c1, 29c2, 29c3, 29c4, 29d1, 29d2, 29d3, 29d4), 구동 코일(49c, 49d, 49e),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 제3 및 제4 연산부(56, 58), 2 포트 RAM(59), 저항기(60, 61) 및 제2 고장 알림부(62)를 갖고 있다. The
과속도 감시부(23)는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 주행을 검출하면,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와는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또, 과속도 감시부(23)는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칸(1)의 속도를 독립적으로 감시하여, 엘리베이터칸(1)의 과속도를 독립적으로 검출한다. When the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감속도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를 동시에 병행하여 실행한다. 도 3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우선 처리에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를 초기 설정한다(단계 S1). 본 예에서는 파라미터로서, 엘리베이터칸 정지 판정에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구동 쉬브 속도) V0[m/s], 감속도 제어를 중지하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V1[m/s],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문턱값 IO[A], 및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 1[m/s2], 2[m/s2](1<2)를 설정한다. 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celera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and
초기 설정 후의 처리는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로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즉,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전류 검출기(34, 35)로부터의 신호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8, 39)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취입한다(단계 S2). 다음으 로, 제1 및 제2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V[m/s],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m/s2]를 연산한다(단계 S3). The processing after the initial setting is repeatedly executed periodically at a preset sampling period.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이 후,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엘리베이터칸 속도(모터 회전 속도)가 정지 판정 속도 V0보다 크고,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이 정지 판정 전류값 IO보다 작을 때에,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 동작 중이라고 판정한다. 비상 정지 동작 중이 아니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한다(단계 S10).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비상 정지 동작 중이면,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이 제1 문턱값 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그리고, 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한다(단계 S10). 또, >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닫는다(단계 S6). When the emergency stop is in progress, the car deceleration This first threshol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larger than 1 (step S5). And, If 1, all of the electromagnetic relays 29a1, 29b1, 29a2, and 29b2 are in the open state (step S10). In addition, > If 1, all of the electromagnetic relays 29a1, 29b1, 29a2, and 29b2 are closed (step S6).
여기서, 엘리베이터칸(1)의 비상 정지시에는 권상기 모터(6)로의 통전도 차단되기 때문에, 비상 정지 지령이 발생하고 나서 실제로 제동력이 작용하기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칸(1)측의 하중과 균형추(2)의 하중과의 언밸런스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이 가속되는 경우와,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되는 경우가 있다. Here, since the energization of the hoisting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서는 1이면,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1)이 가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조속히 제동력을 작용 시키도록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열림 상태로 한다. 또,>1이면, 엘리베 이터칸(1)이 감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닫고 감속도 제어를 실시한다. In the first and
감속도 제어에서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이 제2 문턱값 2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 그리고, >2이면,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를 억제하기 위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를 미리 설정된 스위칭 듀티(예를 들어 50%)로 온/오프한다(단계 S8). 이로 인해, 브레이크 코일(24)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이 제어된다. 이 때,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서로 동기하도록 온/오프된다. In the deceleration control, the first and
또, 2이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는 열림 상태인 채로 한다. 이 후,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제어 정지 판정을 실시한다(단계 S9). 제어 정지 판정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V가 문턱값 V1 미만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VV1이면, 그대로 입력 처리(단계 S2)로 되돌아온다. 또, V<V1이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모두를 열림 상태로 하고 나서(단계 S10), 입력 처리(단계 S2)로 되돌아온다. In addition, If it is 2, the deceleration control switches 42 and 43 remain open. After that, the first and
여기서, 도 4는 비상 정지 지령 발생 직후에 엘리베이터칸(1)이 감속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엘리베이터칸 감속도,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의 상태, 및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상태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Here, FIG. 4 shows the state of the car speed, the car deceleration rate, the current of the
비상 정지가 발생했다고 하면, 엘리베이터칸(1)은 즉석에서 감속을 개시한 다. 그리고, 시각 T2에 감속도가 1에 도달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가 닫히고, 시각 T3에서 감속도가 2에 도달하면,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가 온/오프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V1 미만으로 되면,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가 열리고,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에 의한 감속도 제어가 정지된다. If an emergency stop has occurred, the
도 5는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도 3에 있어서 입력 처리(단계 S2) 이후의 각 처리가 완료한 시점에서 도 5에 나타내는 진단 처리를 호출한다.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n abnormal diagnosis operation of the first and
이상 진단 동작에서는 센서로부터의 입력값이나 연산부(45, 46)에 의한 연산값의 정합성(整合性)을 판정한다(단계 S11). 구체적으로, 입력값이나 연산값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이상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도 3에 있어서 다음의 처리로 되돌아온다. 또, 입력값이나 연산값의 차가 소정의 범위를 넘은 경우, 이상 있음으로 판단하고, 전자 계전기(29a1, 29b1, 29a2, 29b2)를 열림 상태로 하고(단계 S12), 고장 검출 신호를 제1 고장 알림부(54)에 출력한다(단계 S13). In the abnormality diagnosis operation, the match between the input value from the sensor and the calculation value by the
도 6은 도 2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설정된 엘리베이터칸 감속도의 제1 및 제2 문턱값과 엘리베이터칸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연산부(45)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턱값 1, 2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2 연산부(46)에는 제1 연산부(45)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문턱값 1, 2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제1 및 제2 문턱값 1, 2는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values of the car deceleration set in the first and
도 7은 도 2의 제3 및 제4 연산부(56, 58)에 설정된 과속도 감시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과속도 감시 패턴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과속도 감시 패턴은 한쪽의 종단층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종단층으로 엘리베이터칸(1)이 통상 주행한 경우 통상 주행 패턴에 대해 소정의 마진을 확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과속도 감시 패턴은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n overspeed monitoring pattern set in the third and
제3 및 제4 연산부(56, 58)는 각각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감시하고,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 감시 패턴을 넘으면, 대응되는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를 오프로 한다. 이로 인해, 구동 코일(49c, 49d)이 비도전되고, 전자 계전기(29c1, 29c2, 29d1, 29d2)가 열려, 구동 코일(49e)이 비도전된다. 구동 코일(49e)이 비도전되면, 전자 계전기(29e1, 29e2)가 열려, 엘리베이터칸(1)이 비상 정지된다. 이 때의 감속도 제어는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의해 행해진다. The third an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속도 제어부인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가 주제어부인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연산 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는 도 6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제2 문턱값 2가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2nd
또, 종단층 부근에 있어서 제2 문턱값 2는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단층 부근에서는 비상 정지 지령의 발생으로부터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할 때까지의 정지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및 균형추 완충기(15)에 충돌하는 속도를 저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의 용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Moreover,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the vicinity of the terminal layer Since 2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large gradually toward the terminal floor, the stop distance from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top command to the stop of the
또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서로의 연산 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했음을 검출하므로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and
또한,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에 의한 감속도 제어를 무효로 하므로, 연산부(45, 46)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또, 제2 브레이크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소정의 속도 V0보다 크고,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가 소정의 값 IO보다 작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7)가 비상 정지 동작 중이라고 판정하므로, 제1 브레이크 제어부(21)로부터 독립적으로 비상 제동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The second
또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면 엘리베이터칸(1)을 비상 정지시키는 과속도 감시부(23)를 추가로 갖고 있고, 과속도 감시부(23)에는 종단층 부근에서 종단층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과속도 감시 패턴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 및 균형추(2)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에 충돌하는 속도를 더욱 저감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14) 및 균형추 완충기(15)의 용량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승강로의 피트 깊이 치수 및 오버헤드(overhead)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예는 실시 형태 1의 제3 연산부(56)의 기능이 제1 연산부(45)에 통합되고, 실시 형태 1의 제4 연산부(58)의 기능이 제2 연산부(46)에 통합되어 있다. Next, FIG. 8 is a circuit diagram which shows the brak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또, 도 9는 도 8의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고장 검지 처리(단계 S14), 과속도 검지 처리(단계 S15) 및 브레이크 제어 처리(단계 S16)를 소정의 주기로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는 상기의 처리를 싱글 태스크로 1 처리씩 차례차례 실행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2중계(重系)에 의한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brake control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by double relay.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예는 실시 형태 2와 같은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의 입출력 신호를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합한 것이다. Next, FIG. 10 is a circuit diagram which shows the brak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면에 있어서, 다중화 연산부(71)에는 제1 및 제2 연산부(45, 46), 2 포트 RAM(47), 고장 알림부(54), 입력 인터페이스(72), 출력 인터페이스(73), 제1 입력 커넥터(74), 제2 입력 커넥터(75), 제1 출력 커넥터(76), 제2 출력 커넥터(77), 및 제1 ~ 제4 데이터 버스(78 ~ 81)가 마련되어 있다. In the drawing, the
다중화 연산부(71)의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제1 및 제2 입력 커넥터(74, 75)를 통하여 입력 인터페이스(72)에 입력되고, 입력 인터페이스(72)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버스(78, 79)로 배분되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입력된다. Input signals from the outside of the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3 및 제4 데이터 버스(8O, 81)를 통하여 출력 인터페이스(73)에 입력되고, 출력 인터페이스(73)로부터 제1 및 제2 출력 커넥터(76, 77)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The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and
즉,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의 입력 신호는 공통의 입력 인터페이스(72)를 통하여 제1 및 제2 연산부(45, 46)에 입력되어, 제1 및 제2 연산부(45, 4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공통의 출력 인터페이스(73)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입력 인터페이스(72) 및 출력 인터페이스(73)는 각 신호의 안정성을 높이는 버퍼 기능을 갖고 있다. That is, the input signals to the first and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인터페이스부(82)에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 터(83),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 제1 ~ 제6 버퍼(85a ~ 85f), 제1 거버너 인터페이스(86a) 및 제2 거버너 인터페이스(86b)가 마련되어 있다. The car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는 제1 입력 커넥터(74)에 접속된다.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는 제1 출력 커넥터(76)에 접속된다. 버퍼(85a ~ 85f)는 각 신호의 안정성이나 내노이즈 특성을 높인다. 버퍼(85a ~ 85f)로는, 예를 들어 광 커플러(optical coupler)가 이용되고 있다. The car
저항기(60, 61)의 전압 신호는 제1 및 제2 버퍼(85a, 85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승강로 스위치(11, 12)로부터의 신호는 제3 및 제4 버퍼(85c, 85d)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제1 및 제2 거버너 인코더(19a, 19b)로부터의 신호는 인코더 인터페이스(86a, 86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신호 커넥터(83)로 보내진다. Voltage signals of the
제3 및 제4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5, 57)와 과속도 검출 신호 커넥터(84) 사이에는 제5 및 제6 버퍼(85e, 85f)가 개재되어 있다. Fifth and
브레이크 제어 인터페이스부(87)에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 제7 ~ 제12 버퍼(85g ~ 85l), 제1 권상기 인코더 인터페이스(90a) 및 제2 권상기 인코더 인터페이스(90b)가 마련되어 있다. The brake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는 제2 입력 커넥터(75)에 접속된다.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는 제2 출력 커넥터(77)에 접속된다. 버퍼(85g ~ 85l)는 각 신호의 안정성이나 내(耐)노이즈 특성을 높인다. 버퍼(85g ~ 85l)로는, 예를 들어 광 커플러가 이용되고 있다. The car
저항기(52, 53)의 전압 신호는 제7 및 제8 버퍼(85g, 85h)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로 보내진다. 제1 및 제2 권상기 인코더(10a, 10b)로부터의 신호는 인코더 인터페이스(90a, 90b)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속도 신호 커넥터(88)로 보내진다. Voltage signals of the
제1 및 제2 감속도 제어 스위치(42, 43) 및 제1 및 제2 구동 코일 제어 스위치(50, 51)와 감속도 제어 신호 커넥터(89) 사이에는 제9 ~ 제12 버퍼(85i ~ 85l)가 개재되어 있다. The ninth through
또, 각 인터페이스부(82, 87)와 다중화 연산부(71) 사이의 신호 수수(授受)는 동일한 규칙(프로토콜)에 의해 행해진다. The signal passing between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중계의 신호 수수를 1개의 입력 인터페이스(72)와 1개의 출력 인터페이스(73)에 의해 통합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signal transfer of the relay is integrated by one
또, 입력 인터페이스(72)로의 입력 신호를 2개의 입력 커넥터(74, 75)에 집약하고, 출력 인터페이스(7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2개의 출력 커넥터(76, 77)에 집약했기 때문에, 구성을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put signal to the
또한, 커넥터(74, 75, 76, 77, 83, 84, 88, 89)에서의 신호 수수의 규칙이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 도어 또는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1)이 주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능을, 다중화 연산부(71)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ules of signal reception at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속도와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으 로부터 비상 정지 판정을 실시하였으나, 이것에 추가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미분값을 고려하여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소정의 속도보다 크고,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가 소정의 값보다 작으며, 또한 브레이크 코일(24)의 전류값의 미분값이 부(負)인 경우에, 비상 정지 중이라고 판정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 정지 중의 엘리베이터칸 내 진동에 의한 오 검출을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emergency stop determination was made from the car speed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체적인 문턱값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V0=0.5[m/s], V1=0.1[m/s], 1=2.0[m/s2], 2=3.0[m/s2], IO=1[A]로 하면, 평균적인 비상 정지 감속도가 3.0[m/s2] 정도로 되어,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 대한 부담이 작으며, 또한 제동 거리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Although the specific threshold is not shown in the above example, for example, V0 = 0.5 [m / s], V1 = 0.1 [m / s], 1 = 2.0 [m / s 2 ], When 2 = 3.0 [m / s 2 ] and IO = 1 [A], the average emergency stop deceleration is about 3.0 [m / s 2 ], so that the burden on the passengers in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브레이크 장치(7)만을 나타내었으나,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브레이크 장치(7)를 이용해도 된다. 이로 인해, 1개의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므로,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only on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장치(7)를 권상기(4)에 마련하였으나, 다른 위치에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된 엘리베이터칸 브레이크나, 메인 로프를 잡아 엘리베이터칸을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 등이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또, 현가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단면 원형의 로프, 또는 편평한 단면 형상 을 갖는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As the suspension means, for example, a ro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a belt having a flat cross sectional shape can be used.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속도 제어부의 고장시에도 보다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위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의 승차감에 큰 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stop the car more reliably even when the deceleration control unit breaks down, and can prevent a large difference in the riding comfort at the time of emergency stop due to the car position. have.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7/060575 WO2008142790A1 (en) | 2007-05-24 | 2007-05-24 | Elevato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4999A KR20100004999A (en) | 2010-01-13 |
KR101121343B1 true KR101121343B1 (en) | 2012-03-09 |
Family
ID=400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18449A KR101121343B1 (en) | 2007-05-24 | 2007-05-24 | Elevator apparatu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147883B1 (en) |
JP (1) | JP5111502B2 (en) |
KR (1) | KR101121343B1 (en) |
CN (1) | CN101663218B (en) |
WO (1) | WO200814279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77083B (en) | 2008-12-05 | 2016-03-02 | 三菱电机株式会社 | Lift appliance |
JPWO2010125689A1 (en) * | 2009-05-01 | 2012-10-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WO2012105986A1 (en) | 2011-02-04 | 2012-08-09 | Otis Elevator Company | Stop sequencing for braking device |
US9385637B2 (en) * | 2014-05-21 | 2016-07-05 |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 Brake controller |
CN104044964A (en) * | 2014-07-02 | 2014-09-17 | 吴优良 | Intelligent elevator device |
JP6218969B2 (en) * | 2014-11-27 | 2017-10-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
EP3705440B1 (en) * | 2019-03-04 | 2024-01-17 | KONE Corporation | A method for testing an elevator machinery brake |
US11415191B2 (en) * | 2019-10-04 | 2022-08-16 | Otis Elevator Company | System and method configured to identify conditions indicative of electromagnetic brake tempera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3553A (en) | 2000-02-24 | 2001-08-28 | Toshiba Corp | Control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 |
WO2006106575A1 (en) * | 2005-03-31 | 2006-10-1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7211A (en) | 1993-12-03 | 1995-06-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Brake device for elevator |
JPH07206288A (en) * | 1994-01-14 | 1995-08-08 | Toshiba Corp | Elevator |
JPH0840662A (en) * | 1994-07-28 | 1996-02-13 | Hitachi Ltd | Elevator device |
JP4689337B2 (en) | 2005-04-26 | 2011-05-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US7896136B2 (en) * | 2006-03-02 | 2011-03-0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vator apparatus with brake control device |
KR100973881B1 (en) * | 2006-07-27 | 2010-08-0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vator device |
-
2007
- 2007-05-24 JP JP2009515058A patent/JP51115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5-24 WO PCT/JP2007/060575 patent/WO200814279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5-24 CN CN2007800525879A patent/CN101663218B/en active Active
- 2007-05-24 EP EP07744009.7A patent/EP2147883B1/en active Active
- 2007-05-24 KR KR1020097018449A patent/KR1011213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3553A (en) | 2000-02-24 | 2001-08-28 | Toshiba Corp | Control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 |
WO2006106575A1 (en) * | 2005-03-31 | 2006-10-1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663218B (en) | 2013-03-20 |
EP2147883A4 (en) | 2013-12-18 |
JPWO2008142790A1 (en) | 2010-08-05 |
WO2008142790A1 (en) | 2008-11-27 |
JP5111502B2 (en) | 2013-01-09 |
EP2147883A1 (en) | 2010-01-27 |
KR20100004999A (en) | 2010-01-13 |
EP2147883B1 (en) | 2017-11-29 |
CN101663218A (en) | 2010-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3881B1 (en) | Elevator device | |
KR101218022B1 (en) |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121343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1121793B1 (en) | Elevator device | |
JP5214239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1273752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5114972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101189952B1 (en) | Elevator system | |
JP5089695B2 (en) | Elevator equipment | |
CN114590669B (en) | Elevator and control device | |
KR101246994B1 (en) | Elevator device | |
KR101215132B1 (en) | Elevator device | |
KR20120014003A (en)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