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923B1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923B1
KR101120923B1 KR1020100035837A KR20100035837A KR101120923B1 KR 101120923 B1 KR101120923 B1 KR 101120923B1 KR 1020100035837 A KR1020100035837 A KR 1020100035837A KR 20100035837 A KR20100035837 A KR 20100035837A KR 101120923 B1 KR101120923 B1 KR 10112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metal plate
secondary metal
suppor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30A (ko
Inventor
원재선
이영민
김돈식
오동성
우수한
김진욱
김종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923B1/ko
Priority to US12/986,653 priority patent/US8299886B2/en
Publication of KR2011011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5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coaxial arrangement of two or more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고 이차측 권선을 외부에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방열 특성이 개선되며, 절연 특성이 향상된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차 권선을 외곽에 형성하여 일차 권선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고, 이차 금속판이 내부에 형성되지만 연장부를 구비하여 이차 금속판의 방열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보빈과 내부 보빈의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여 일차 권선과 이차 금속판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절연 기능을 향상시켰으며, 이차측을 미리 제조된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TRANSFORME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고 이차측 권선을 외부에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방열 특성이 개선되며, 절연 특성이 향상된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 전원이 필요하고, 이러한 구동 전원을 전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가 필수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을 정류한 직류 전원을 스위칭한 후 스위칭된 전원을 권선비에 따라 구동 전원에 필요한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데, 전압 레벨 변환을 위해 트랜스포머를 사용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보빈을 사용하여 보빈의 관통공을 통해 코어를 결합하고, 보빈의 권선 영역에 코일로 구성된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을 권선하여 전압 레벨 변환을 위한 권선비를 형성한다.
이때, 보빈의 권선 영역에 일차 권선이 권선된 후 이차 권선을 적층하여 권선하게 되는데, 일차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용이하지 않고,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 간의 절연 거리 확보가 용이하지 않으며, 코일을 권선하여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을 형성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고 이차측 권선을 외부에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방열 특성이 개선되며, 절연 특성이 향상된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일정 길이의 제1 보빈 몸체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권선 영역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과, 일정 길이의 제2 보빈 몸체와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권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보빈을 갖는 보빈부와,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일부는 상기 내부 보빈부의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부와, 상기 외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권선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영역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갖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갖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보빈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보빈은 하부에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간에는 상기 내부 보빈이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시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과 제2 이차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에 적층되어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와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각각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보빈의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보빈의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 보빈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고정용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은 각각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고정용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일정 길이의 제1 보빈 몸체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권선 영역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과, 일정 길이의 제2 보빈 몸체와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권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보빈을 갖는 보빈부와,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일부는 상기 내부 보빈부의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부와, 상기 외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권선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영역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갖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갖는 권선부를 갖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를 실장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와 연결되어 금속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의 실장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고 이차측 권선을 외부에 연장되는 금속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방열 특성이 개선되며, 절연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에 채용된 보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가 채용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는 코어부(110), 보빈부(120) 및 권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10)는 서로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코어(111,112)로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코어(111,112)는 서로 전자기 결합되는 레그(leg)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코어(111,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EE코어일 수 있으나, EI코어, UU코어, UI코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코어(111,112)는 각각 제1 내지 제3 레그(111a,112a,111b,112b,111c,112c)를 구비하여 제1 내지 제3 레그(111a,112a,111b,112b,111c,112c)의 결합을 통해 서로 전자기 결합될 수 있다.
한쌍의 코어(111,112) 사이에는 보빈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빈부(120)는 외부 보빈(121)과 내부 보빈(122)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보빈(12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보빈 몸체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관통공(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보빈(122)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보빈 몸체와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관통공(h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는 권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보빈(122)는 외부 보빈(121)의 제1 관통공(h1)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내부 보빈(122)의 제2 관통공(h2)을 통해 한쌍의 코어(111,112)가 전자기 결합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코어(111,112)가 EE코어일 경우 제1 코어(111)의 제2 레그(111b)와 제2 코어(112)의 제2 레그(112b)가 내부 보빈(122)의 제2 관통공(h2)을 통해 전자기 결합될 수 있다.
보빈부(130)는 사전에 설정된 권선수를 갖는 코일로 구성된 일차 권선(131)과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권선(131)은 사전에 설정된 권선수를 갖는 코일로 구성되어 외부 보빈(121)의 권선 영역에 권선될 수 있다. 일차 권선(131)은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에 전원을 유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는 일차 권선(131)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일차 권선(131)에 입력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는 내부 보빈(122)의 권선 영역에 권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는 제1 이차 금속판(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이차 금속판(132)는 1회 권선수를 갖도록 내부 보빈(122)의 권선 영역에 권선될 수 있다.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132,133)는 제2 이차 금속판(1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차 금속판(133) 또한 1회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차 금속판(133)은 제1 이차 금속판(132)에 적층되어 권선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이차 금속판(133)과 제1 이차 금속판(132) 간에는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절연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차 금속판(132,133)에 대비하여 일차 권선(131)이 외곽에 형성되어 일차 권선(131)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차 금속판(132,133)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차 금속판(132,133)은 각각 연장부(132a,132b,133a,13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132,133)의 연장부(132a,132b,133a,133b)는 외부 보빈(121)과 내부 보빈(122)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32a,132b,133a,133b)는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132,133)의 방열을 위해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방열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132,133)는 연장부(132a,132b,133a,133b)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방열체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132,133)를 지지하는 지지부(132c,132d,133c,133d)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2c,132d,133c,133d)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그 형상으로는 트랜스포머(100)를 향해 절곡되거나, 트랜스포머(100)를 반대 방향으로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더하여 지지부(132c,132d,133c,133d) 각각은 상기 방열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 홀(h)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에 채용된 보빈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각각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에 채용된 보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와 함께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에 채용된 보빈부(120)는 외부 보빈(121)과 내부 보빈(122)을 구비하며, 외부 보빈(121)은 상기 제1 보빈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21a)를 갖고, 내부 보빈(122)은 상기 제2 보빈 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2a)를 가질 수 있다. 외부 보빈(121)의 제1 관통공(h1)에 내부 보빈(122)이 삽입시 제1 지지부(121a)와 제2 지지부(122a)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이격 공간(a)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132,133)의 연장부(132a,132b,133a,133b)이 이격 공간(a)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보빈(121)과 내부 보빈(122)의 결합 및 상술한 이격 공간(a)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보빈(121)의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돌출부(121b)가 형성되고, 내부 보빈(122)의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홈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보빈(122)의 홈부(122b)에 외부 보빈(121)의 돌출부(121b)가 결합되어 외부 보빈(121)과 내부 보빈(122)의 결합 및 상술한 이격 공간(a)을 유지할 수 있다.
더하여,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차 금속판(132)은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금속판의 시작과 끝이 서로 마주보게 제조되어 내부 보빈(122)이 제1 이차 금속판(132)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제2 이차 금속판(133) 또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금속판의 시작과 끝이 서로 마주보게 제조되어 내부 보빈(122) 및 제1 이차 금속판(132)이 함께 제2 이차 금속판(133)의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더하여 연장부(132a,132b,133a,133b)는 금속판의 시작단과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가 채용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00)는 스위칭부(200)로부터의 스위칭된 전원을 트랜스포머(100)를 통해 전압 레벨을 변환한 후 정류부(300)를 통해 정류한 후 출력 단자(301)을 통해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0)는 기판(400)상의 실장 영역에 트랜스포머(100)와 정류부(300)를 실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실장 영역에는 이차 금속판에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방열체(501,5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100)는 지지부(132c,132d,133c,133d)의 고정용 홀(h)에 의해 방열체(501,502)에 지지될 수 있다.
기판(400)의 실장 영역에는 정류부(300)의 출력 단자(301), 캐패시터(302) 및 인덕터(3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일차 권선을 외곽에 형성하여 일차 권선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고, 이차 금속판이 내부에 형성되지만 연장부를 구비하여 이차 금속판의 방열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보빈과 내부 보빈의 이중 보빈 구조를 채택하여 일차 권선과 이차 금속판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절연 기능을 향상시켰으며, 이차측을 미리 제조된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트랜스포머 110...코어부
111...제1 코어 112...제2 코어
120...보빈부 121...외부 보빈
122...내부 보빈 130...권선부
131...일차 권선 132...제1 이차 금속판
133...제2 이차 금속판

Claims (19)

  1. 일정 길이의 제1 보빈 몸체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권선 영역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과, 일정 길이의 제2 보빈 몸체와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권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보빈을 갖는 보빈부;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일부는 상기 내부 보빈부의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부; 및
    상기 외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권선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영역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갖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갖는 권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보빈은 하부에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간에는 상기 내부 보빈이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시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하는 트랜스포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과 제2 이차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에 적층되어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와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각각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의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보빈의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 보빈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고정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은 각각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고정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0. 실장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실장영역에 실장되며, 일정 길이의 제1 보빈 몸체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권선 영역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과, 일정 길이의 제2 보빈 몸체와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권선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보빈을 갖는 보빈부와,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일부는 상기 내부 보빈부의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부와, 상기 외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권선되는 일차 권선과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영역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갖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갖는 권선부를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와 연결되어 금속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은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보빈은 하부에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하부에 몸체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간에는 상기 내부 보빈이 상기 외부 보빈의 제1 관통공에 삽입시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과 제2 이차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은 상기 내부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고,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은 제1 이차 금속판에 적층되어 적어도 1회의 권선수를 갖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와 상기 제2 이차 금속판의 연장부는 각각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의 상기 제1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보빈의 상기 제2 보빈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외부 보빈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차 금속판은 각각 상기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 금속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방열체에 고정되는 고정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실장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의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00035837A 2010-04-19 2010-04-19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112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37A KR101120923B1 (ko) 2010-04-19 2010-04-19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12/986,653 US8299886B2 (en) 2010-04-19 2011-01-07 Transform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37A KR101120923B1 (ko) 2010-04-19 2010-04-19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30A KR20110116430A (ko) 2011-10-26
KR101120923B1 true KR101120923B1 (ko) 2012-02-27

Family

ID=4478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837A KR101120923B1 (ko) 2010-04-19 2010-04-19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99886B2 (ko)
KR (1) KR101120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1237B1 (en) * 2012-04-23 2016-07-26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Core passage step apparatus and methods
JP6029896B2 (ja) * 2012-08-31 2016-11-24 日清工業有限公司 変圧器およびストロボ装置
US20140266535A1 (en) * 2013-03-14 2014-09-18 Hiq Solar, Inc. Low loss inductor with offset gap and windings
GB2511844B (en) * 2013-03-15 2015-12-23 Eisergy Ltd A magnetic component for a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component
CN104282418A (zh) * 2013-07-09 2015-01-14 善元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变压装置的绕组组件及变压装置
US9818529B2 (en) * 2014-11-07 2017-11-14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ype power supply with weld transformer
CN105355362A (zh) * 2015-10-20 2016-02-24 天津三源华能电力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变压器箱体内部结构
US11004592B2 (en) * 2016-12-01 2021-05-11 Cummins Power Generation Ip, Inc. High-current half-turn windings
US20180301276A1 (en) * 2017-04-18 2018-10-18 MAG.LAYERS Scientific-Technics Co., Ltd. Multiple winding inductor assembly
WO2023218510A1 (ja) * 2022-05-09 2023-11-16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低背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933A (ja) 1999-11-30 2001-06-08 Fujitsu Denso Ltd 金属板巻線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130A (en) * 1983-07-12 1985-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leakage transformers for efficient line isolation in VHF switching power supplies
AU4617696A (en) * 1995-02-15 1996-09-04 Electronic Craftsmen Limited Transformer and method of assembly
JP3875543B2 (ja) 2001-11-15 2007-01-31 コーセル株式会社 トランスの巻線構造
US7248139B1 (en) * 2006-01-30 2007-07-24 Nemic-Lambda Ltd. High-current electrical coil construction
US7492246B2 (en) * 2007-05-01 2009-02-17 Zippy Technology Corp. Winding structure of transformer
TWI324351B (en) * 2008-06-13 2010-05-0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and rectifier circuit using the same
KR101184490B1 (ko) * 2010-11-03 2012-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방열기능이 구비된 트랜스포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933A (ja) 1999-11-30 2001-06-08 Fujitsu Denso Ltd 金属板巻線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4651A1 (en) 2011-10-20
KR20110116430A (ko) 2011-10-26
US8299886B2 (en)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92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JP5333504B2 (ja) コイル用ボビン、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978647B2 (ja) コイル部品、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359749B2 (ja) 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273192B2 (ja) コイル用ボビン、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90237195A1 (en) Center-tapped transformer
JP4821870B2 (ja) コイル部品、トランス、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9424979B2 (en) Magnetic element with multiple air gaps
JP5939274B2 (ja) 電源装置
KR20120070228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19353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8101749A (ja) コイル装置
JP2007128984A (ja) 磁性部品
JP5414824B2 (ja) 絶縁型dc−dcコンバータ
JP6874284B2 (ja) 高周波トランス
KR101781981B1 (ko) 하이브리드 트랜스포머
JP2010251364A (ja) コイル用ボビン、巻線部品、コイル部品、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101360532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KR101511681B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보빈 케이스
JP647843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443635B2 (ja) 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の製造方法
JP6638338B2 (ja) 支持部材および電源装置
JP2012209446A (ja) 電力変換トランス
JP5528513B2 (ja) Dc/dcコンバータ
JP2015179708A (ja) トランス及び共振型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