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228A -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228A
KR20120070228A KR1020100131698A KR20100131698A KR20120070228A KR 20120070228 A KR20120070228 A KR 20120070228A KR 1020100131698 A KR1020100131698 A KR 1020100131698A KR 20100131698 A KR20100131698 A KR 20100131698A KR 20120070228 A KR20120070228 A KR 2012007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ower
bobbi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164B1 (ko
Inventor
한상규
홍성수
백미란
노정욱
김희승
원재선
김구용
주재철
김돈식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164B1/ko
Priority to US13/094,335 priority patent/US8508144B2/en
Publication of KR2012007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한 회로로 구성된 전자기 간섭 필터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과, 상기 제1 및 제2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갖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된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와,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와, 역률 보정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POWER SUPP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EHEROF}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소한 회로로 구성된 전자기 간섭 필터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전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전자 장치에 필수적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동작 중에 전자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역률 보정을 위한 스위칭 동작시 저주파 대역에서 전자기 간섭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에 전자기 간섭 필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 간섭은 크게 전도성 전파(Conducted Emission)와 전파성 전파(Radiated Emission)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은 다시 차동모드의 전자기 간섭과 공통모드의 전자기 간섭으로 분류된다.
상술한 공통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전원 입력 라인 중 라이브(Live) 라인과 뉴트럴(Neutral) 라인에 각각 공통모드 초크 코일(Choke Coil)을 채용하고, 차동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동모드 초크 코일을 별도로 채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초크 코일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여, 경박 단소화를 지향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기 간섭 필터는 도넛 형상의 코어에 절연 보빈을 조립하고, 보빈 상에 두 개의 코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하기 때문에 자동 생산이 불가능하여 생산 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제품 외관의 전체 크기를 슬림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가 슬림화됨에 따라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와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원 공급 장치에 실장되는 전자기 간섭 필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back cover)가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도넛 형태의 전자기 간섭 필터가 주로 이용되며, 이 경우 전자기 간섭 필터에서 발생하는 자속(Magnetic Flux)은 백 커버와 간섭을 일으켜 백 커버를 진동시키게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초크 코일을 채용하지 않은 간소한 회로로 구성되고, 자동 생산이 가능한 전자기 간섭 필터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진동이 감소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과, 상기 제1 및 제2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갖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된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와,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와, 역률 보정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은 각각 서로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끼움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 및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뉴트럴(Neutral)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1 X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3 보빈 및 제4 보빈과, 상기 제3 및 제4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3 코일 및 제4 코일을 갖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상기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2 X 캐패시터를 갖는 제2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코어는 UU코어, UI코어 또는 CI코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역률 보정부에 전달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에는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각각 분할 권선하여 자속을 누설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니트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후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 및 트랜스포머를 커버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과 상기 제1 및 제2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갖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된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와,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와, 역률 보정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2개의 코일을 하나의 코어 구조에 집적화하고,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되는 누설 인덕턴스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여,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코일을 보빈에 권선함으로써 자동 권선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자속의 방향을 수평 방향이 주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할 경우의 저주파 소음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제1 필터의 사시도, 보빈의 분해 사시도 및 보빈의 분해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제1 필터의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 전류 도통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제1 필터의 누설 자속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개도 및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의 공통 모드 전자기 간섭과 차동 모드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도 9a는 일반적인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도 9b는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이 제거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자기 간섭 필터(110), 정류부(120), 역률 보정부(130) 및 전원 변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과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정류부(120)는 전자기 간섭 필터(110)에 의해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할 수 있다.
역률 보정부(130)는 정류부(120)에 의해 정류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전원의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차를 조정하여 역률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역률 보정부(130)의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 도 8b와 같이 저주파 대역에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공통 모드와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 변환부(140)는 역률 보정부(130)에 의해 역률 보정된 전원의 전압 레벨을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제1 캐패시터 그룹(CG1)과 제1 필터(T1)를 포함할 수 있고, 더하여, 제2 캐패시터 그룹(CG2)와 제2 필터(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 그룹(CG1)은 제1 및 제2 Y 캐패시터(Cy1,Cy2)와 제1 X 캐패시터(Cx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Y 캐패시터(Cy1,Cy2)는 전원 라인의 라이브 라인(L)과 뉴트럴 라인(N)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1 Y 캐패시터(Cy1)와 제2 Y 캐패시터(Cy2)의 연결점은 접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Y 캐패시터(Cy1,Cy2)는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X 캐패시터(Cx1)는 전원 라인의 라이브 라인(L)과 뉴트럴 라인(N) 사이에 제1 및 제2 Y 캐패시터(Cy1,Cy2)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필터(T1)는 제1 코일(L1)과 제2 코일(L2)을 포함할 수 있고,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되는 누설 인덕턴스(Llkg)에 의해서 누설 인덕터 소자를 대체할 수 있다.
제1 코일(L1)의 일단은 라이브 라인(L)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필터(T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코일(L2)의 일단은 뉴트럴 라인(N)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필터(T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L1)과 제2 코일(L2)은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누설 인덕턴스(Llkg)는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 그룹(CG2)은 제3 및 제4 Y 캐패시터(Cy3,Cy4)와 제2 X 캐패시터(C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Y 캐패시터(Cy3,Cy4)는 제1 필터(T1)와 제2 필터(T2)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 라인의 라이브 라인(L)과 뉴트럴 라인(N)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3 Y 캐패시터(Cy3)와 제4 Y 캐패시터(Cy4)의 연결점은 접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및 제4 Y 캐패시터(Cy3,Cy4)는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X 캐패시터(Cx2)는 제1 필터(T1)와 제2 필터(T2) 사이에 형성되어, 전원 라인의 라이브 라인(L)과 뉴트럴 라인(N) 사이에 제3 및 제4 Y 캐패시터(Cy3,Cy4)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필터(T2)는 제3 코일(L3)과 제4 코일(L4)을 포함할 수 있고,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되는 누설 인덕턴스(Llkg)에 의해서 누설 인덕터 소자를 대체할 수 있다.
제3 코일(L3)의 일단은 제1 코일(L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정류부(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코일(L3)의 일단은 제2 코일(L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정류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코일(L3)과 제4 코일(L4)은 전원 라인에 흐르는 전원의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누설 인덕턴스(Llkg)는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의 사시도, 보빈의 분해 사시도 및 보빈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00)의 제1 필터(T1)는 보빈부(10), 코일부(70), 및 코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부(10)는 제1 보빈(20) 제2 보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보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와, 몸체부(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으로 수직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3),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60), 및 끼움 결합부(40)를 구비한다.
몸체부(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후술되는 코어(8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8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빈(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2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3)는 형성 위치에 따라 제1 플랜지부(23a)와 제2 플랜지부(23b)로 구분된다. 또한 몸체부(22)의 외주면, 제1 플랜지부(23a), 및 제2 플랜지부(2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70)이 권선되는 권선부(20a)로 이용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3)는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7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7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7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보빈(20)의 제2 플랜지부(23b) 일 측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60)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4)는 제2 플랜지부(23b)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외부 접속 단자(60)는 단자 체결부(24)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24)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60)는 제2 플랜지부(23b)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연장부(60a)와, 연장부(60a)에서 외부측(예컨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체결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60b)는 기판(예컨대 SMPS의 기판) 등에 체결되어 기판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빈(20)은 2개의 외부 접속 단자(60)가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제1 코일(70a)은 양단이 2개의 외부 접속 단자(60)에 각각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00)의 제1 필터(T1)는 플랜지부(23)의 외부면에 리브(27)가 구비된다. 리브(27)는 플랜지부(23)의 외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플랜지부(23)의 강성을 보강하여 플랜지부(23)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브(27)는 후술되는 코어(80)가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에 삽입될 때, 코어(8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리브(27)는 코어(8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보빈들(20, 30)과 코어(80)가 밀접하게 결합되므로, 상호간에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빈(20)에 구비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 외부면에 모두 리브(27)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빈(20)은 후술되는 제2 보빈(30)과 결합되며,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플랜지부(2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40)를 구비한다.
끼움 결합부(40)는 끼움 돌기(28a)와 끼움 홈(2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 돌기(28a)와 끼움 홈(28b)은 플랜지부(23)의 외주연 중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서로 접하는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 결합부(40)는 제1 보빈(20)뿐만 아니라 제2 보빈(30)에도 구비된다.
이러한 끼움 결합부(40)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제2 보빈(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보빈(30)은 실질적으로 제1 보빈(2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60)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보빈(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1 보빈(20)과 구별되는 외부 접속 단자(60)의 구성들에 있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보빈(30)은 적어도 3개의 외부 접속 단자(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외부 접속 단자(60)는 제1 보빈(20)과 마찬가지로, 연장부(60a)와, 체결부(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보빈(30)의 외부 접속 단자(60)는 3개 중 2개 만이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제2 코일(70b)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한 2개의 외부 접속 단자(60)는 제1 보빈(20)과 마찬가지로 각각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70b)은 양단이 2개의 외부 접속 단자(60)에 각각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나머지 1개의 외부 접속 단자(62, 이하 보조 단자)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을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은 전체적으로 매우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보빈(30)에 보조 단자(62)가 없는 경우, 실질적으로 제1 보빈(20)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육안으로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을 용이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00)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을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해, 제2 보빈(30)에 별도의 보조 단자(62)를 형성하여 이용한다.
이처럼 제2 보빈(30)이 보조 단자(62)를 구비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은 서로 명확하게 구별된다. 따라서, 제조시 제1 보빈(20)을 제2 보빈(30)으로 착각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코일(70)을 권선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되면, 보조 단자(62)에 의해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양 단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단자(60)의 개수가 다르다. 즉 어느 한쪽에 2개의 외부 접속 단자(60)가 배치되면 다른 한쪽에는 3개의 외부 접속 단자(60, 62)가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는 기판(예컨대 SMPS의 기판) 상에 실장되는 과정에서도 외부 접속 단자(60)가 배치된 형태를 토대로 하여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실장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실장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단자(62)가 다른 어느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60)와 동일한 일측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외부 접속 단자(60)가 배치되지 않은 측면에 보조 단자(62)를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보빈(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보빈(20)과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플랜지부(3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40)를 구비한다.
끼움 결합부(40)는 끼움 돌기(28a, 38a)와 끼움 홈(28b, 38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끼움 돌기(28a, 38a)와 끼움 홈(28b, 38b)은 플랜지부(23, 33)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서로 접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끼움 돌기(28a, 38a)는 플랜지부(23, 33)의 외주연 상에 플랜지부(23, 33)를 연장하는 형태로 플랜지부(23, 33)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 돌기(28a, 38a)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 시 서로 접하는 플랜지부(23, 33)의 측면 중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끼움 홈(28b, 38b)은 플랜지부(23, 23)의 외주연 상에서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될 때, 끼움 돌기(28a, 38a)가 끼워지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되면, 제1 보빈(20)의 끼움 돌기(28a)는 제2 보빈(30)의 끼움 홈(38b)에 끼워지고, 제2 보빈(30)의 끼움 돌기(38a)는 제1 보빈(20)의 끼움 홈(28b)에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끼움 돌기(28a, 38a)와 끼움 홈(28b, 38b)이 모두 플랜지부(23, 33)의 리브(27, 37)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경우, 끼움 돌기(28a, 38a)와 끼움 홈(28b, 38b)의 크기를 리브(27, 37)의 두께만큼 더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브(27, 37)가 아닌 플랜지부(23, 33)의 측면에 직접 끼움 결합부(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플랜지부(23) 상에 별도의 돌출 블록을 형성하고 이러한 돌출 블록에 끼움 돌기와 끼움 홈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끼움 돌기(28a, 38a)가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끼움 돌기(28a, 38a)의 끝단을 고리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끼움 홈(28b, 38b)은 상기한 끼움 돌기(28a, 38a)의 고리 부분이 걸리며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플랜지부(23, 33)에 각각 하나의 끼움 돌기(28a, 38a)와 하나의 끼움 홈(28b, 38b)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많은 수의 끼움 홈(28b, 38b)과 끼움 돌기(28a, 38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끼움 결합부(40)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은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며, 결합 후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될 때, 제1 보빈(20)의 플랜지부(23)와 제2 보빈(30)의 플랜지부(33)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즉,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결합된 보빈부(10)는 리브(27, 37)나 단자 체결부(24, 34)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일부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할 뿐,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보빈들(20, 3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부(70)는 제1 코일(70a)과 제2 코일(70b)을 포함한다.
제1 코일(70a)은 제1 보빈(20)에 형성된 권선부(20a)에 권선된다.
제1 코일(70a)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 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코일(70a)은 리드선이 제1 보빈(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60)에 연결된다.
제2 코일(70b)은 제2 보빈(30)에 형성된 권선부(30a)에 권선되며, 제2 코일(70b)의 리드선은 제2 보빈(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60)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70a)과 제2 코일(70b)은 권선되는 보빈(20, 30)의 구조에 의해 모두 전자기 간섭 필터(100)의 제1 필터(T1)가 실장되는 기판(도 7의 200)과 평행한 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제1 코일(70a)과 제2 코일(70b)이 서로 다른 방향(즉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코일이 제1 보빈(20)에 시계 방향(도 3a의 A)으로 권선되는 경우, 제2 코일은 제2 보빈(30)에 반시계 방향(도 3a의 B)으로 권선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코어(80, core)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 3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8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의 관통공(21, 3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80)로는 'UU', 'UI', 또는 'CI' 형태의 코어(8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8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8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는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에 코일(70)이 각각 따로 권선되고, 권선이 완료되면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을 결합한 후, 코어(80)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일(70a)과 제2 코일(70b)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이 분리된 상태에서 코일(70)을 권선할 수 있다. 이때,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권선이 완료된 제1 보빈(20)과 제2 보빈(30)는 끼움 결합부(40)를 통해 용이하게 상호 결합된다. 이 과정도 별도의 설비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100)의 제1 필터(T1)의 제조 과정의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2 필터(T2)는 제1 필터(T1)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제1 필터의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 전류 도통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110)의 제1 필터(T1)는 자화 인덕턴스(LM)과 누설 인덕턴스(Llkg)로 모델링할 수 있다.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은 제1 및 제2 코일(L1,L2)에 의해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되는 누설 인덕턴스(Llkg)와 이상적인 트랜스포머로만 도통된다. 이에 따라, 누설 인덕턴스(Llkg)가 차동 모드의 임피던스로 작용하므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 제거에 필요한 인덕턴스 크기를 갖도록 누설 인덕턴스(Llkg)를 형성하면, 부가적인 차동 모드 코일 초크를 사용하지 않고,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 코일(L1,L2)를 갖는 제1 필터(T1)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제1 필터의 누설 자속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 코일(L1,L2)를 갖는 제1 필터(T1)의 누설 인덕턴스는 누설 자속에 의해 유도되므로, 누설 인덕턴스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누설 자속의 경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때, 제1 필터(T1)의 코어는 공극(에어갭,Air gap)을 가져서 누설 자속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보빈의 권선 영역에 제1 코일 또는 제2 코일을 분할 권선하도록 섹션을 분리할 수 있는 돌출부(a)가 형성되어 누설 자속 경로를 보다 더 확보함으로써 누설 인덕턴스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300), 패널(300)을 지지하고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400), 백라이트 유니트(400)에 포함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기판(200), 회로기판(200)에 서 이동되는 전원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110) 및 이를 포함하여 백라이트 유니트(4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100)와, 백라이트 유니트(400)에 결합되는 백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300)은 LCD의 패널이 될 수 있고, LCD의 패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상기 패널(300)이 LCD의 패널일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400)는 상기 광원인 램프를 비롯하여, 도광판 (Light Guide Panel), 복수의 시트, 램프 리플렉터(Lamp Reflector) 및 몰드 프레임(Mold Frame, 또는 Support Mai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시트는 반사시트(Reflection Sheet), 확산시트 (Diffusion Sheet), 프리즘시트(Prism Sheet) 및 보호시트 (Protect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니트(400)의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될 수 있고, 회로기판(200)에는 전자기 간섭 필터(110)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공급을 위해 필요한 파워 소자, 파워부품 및 파워 관련 회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200)에는 전자기 간섭 필터(11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110)는 한쌍의 코어가 수직으로 결합하고, 코어 사이의 보빈에 권선이 수평으로 권선됨으로써 식별 부호 A와 같이 자속의 주된 방향이 수평 방향이며, 식별 부호 B의 방향과 같은 자속은 상하의 코어에 의해서 자계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110)와 백 커버(500) 간의 전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차폐 장치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110)와 백 커버(500) 간의 전자기 간섭에 의한 저주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의 공통 모드 전자기 간섭과 차동 모드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사용하는 전원 공급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라인에 전자기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a에 도시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과 도 8b에 도시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이 있을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률 보정부의 역률 보정을 위한 전원 스위칭에 의해 150KHz 내지 500KHz 대역의 저주파 대역에서 전자기 간섭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a는 일반적인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도 9b는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이 제거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전자기 간섭 실측 파형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을 채용하여 저주파 대역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 간섭 규격을 만족할 수 있으며(식별부호 A 참조),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을 제거하면, 도 9b와 같이 저주파 대역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 간섭 규격을 상당히 초과하는 것을 볼 수 있다(식별부호 B 참조).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모드 초크 코일을 채용하지 않고 전자기 간섭 필터의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 만으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기 간섭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식별부호 C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2개의 코일을 하나의 코어 구조에 집적화하고,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되는 누설 인덕턴스로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여,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 간섭 필터의 코일을 보빈에 권선함으로써 자동 권선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자속의 방향을 수평 방향이 주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할 경우 금속 재질의 백커버와 전자기 간섭 필터에서 발생되는 자계 간의 간섭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저주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전원 공급 장치
110...전자기 간섭 필터
120...정류부
130...역률 보정부
140...전원 변환부
10.....보빈부
20.....제1 보빈
30.....제2 보빈
20a, 30a.....권선부
21, 31.....관통공
22, 32.....몸체부
23, 33.....플랜지부
23a, 33a.....제1 플랜지부
23b, 33b.....제2 플랜지부
24, 34.....단자 체결부
27, 37.....리브
28a, 38a.....끼움 돌기
28b, 38b.....끼움 홈
40.....끼움 결합부
60.....외부 접속 단자
60a.....연장부
60b.....체결부
62.....보조 단자
70.....코일
70a.....1차 코일
70b.....2차 코일
80.....코어
200...회로 기판
300...패널
400...백라이트 유니트
500...백커버
CG1...제 1캐패시터 그룹
CG2...제 2캐패시터 그룹
T1... 제1필터
T2... 제2필터

Claims (25)

  1.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과, 상기 제1 및 제2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갖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된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 및
    역률 보정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은 각각 서로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 및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뉴트럴(Neutral)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1 X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3 보빈 및 제4 보빈과, 상기 제3 및 제4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3 코일 및 제4 코일을 갖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상기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2 X 캐패시터를 갖는 제2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코어는 UU코어, UI코어 또는 CI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역률 보정부에 전달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에는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각각 분할 권선하여 자속을 누설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패널;
    상기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 후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 및 트랜스포머를 커버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과 상기 제1 및 제2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갖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에 흐르는 자속이 누설되어 형성된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차동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와,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와, 역률 보정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은 각각 서로 결합되는 끼움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 및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전원 라인의 뉴트럴(Neutral)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상기 전원 라인의 라이브(Live) 단과 뉴트럴(Neutral)단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1 X 캐패시터를 갖는 제1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기 결합하는 한쌍의 코어와, 상기 한쌍의 코어는 적어도 둘의 레그를 갖고, 상기 코어의 레그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관형상의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권선 영역을 갖는 제3 보빈 및 제4 보빈과 상기 제3 및 제4 보빈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포함된 공통 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는 제3 코일 및 제4 코일을 갖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는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상기 제1 필터의 제1 코일의 타단과 제2 코일의 타단 사이에 상기 제3 및 제4 Y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2 X 캐패시터를 갖는 제2 캐패시터 그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코어는 UU코어, UI코어 또는 CI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이 제거된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역률 보정부에 전달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에는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각각 분할 권선하여 자속을 누설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31698A 2010-12-21 2010-12-21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98A KR101320164B1 (ko) 2010-12-21 2010-12-21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3/094,335 US8508144B2 (en) 2010-12-21 2011-04-26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98A KR101320164B1 (ko) 2010-12-21 2010-12-21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28A true KR20120070228A (ko) 2012-06-29
KR101320164B1 KR101320164B1 (ko) 2013-10-23

Family

ID=4623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98A KR101320164B1 (ko) 2010-12-21 2010-12-21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8144B2 (ko)
KR (1) KR1013201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40B1 (ko) * 2013-03-26 2014-11-03 김영화 전력절감장치
KR20150096125A (ko) 2014-02-14 2015-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초크 코일
WO2017135734A1 (ko) *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아모텍 차동 및 공통 모드 겸용 필터
WO2023033221A1 (ko) * 2021-09-06 2023-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7598B (zh) * 2009-12-29 2014-02-2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以及設定其驅動電流之方法
KR101350608B1 (ko) * 2011-12-22 201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 모듈 및 이를 갖는 다중 전원 공급 장치
JP2014068423A (ja) 2012-09-24 2014-04-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208240B1 (ko) * 2012-09-26 2012-1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기 간섭 필터,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87812A (ja) * 2013-03-22 2014-10-0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源回路及び照明装置
US9559581B2 (en) 2013-04-17 2017-01-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ingle phase bi-directional AC-DC converter with reduced passive components size and common mod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KR101474150B1 (ko) * 2013-07-01 2014-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서지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원장치
CN105723810A (zh) * 2013-11-26 2016-06-2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高电压发生装置及具备高电压发生装置的x射线拍摄装置
DE102015110142A1 (de) * 2015-06-24 2016-12-29 Epcos Ag Induktives Bauteil für eine Stromschiene
CN106451614A (zh) * 2016-09-26 2017-02-22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电源后盖的无线充电装置、系统及其方法
CN106961256A (zh) * 2017-03-29 2017-07-18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进行滤波的设备及载波台区隔离测试系统
CN110636234B (zh) * 2018-06-22 2021-05-04 冯子祥 影音电源处理器及影音播放系统
CN114915173A (zh) * 2021-02-08 2022-08-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柔切式电源转换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951A (ja) * 1994-11-10 1996-05-31 Tokin Corp トランス・チョークコイル
KR19990055387A (ko) * 1997-12-27 1999-07-15 이종수 콤온 모드 필터와 차동 모드 필터를 일체화한 인덕터
JP3436162B2 (ja) 1998-12-25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
TW467381U (en) * 2000-11-27 2001-12-01 Delta Electronics Inc Universal-type voltage source inductor device
JP2007336339A (ja) 2006-06-16 2007-12-27 Nec Tokin Corp スプリッタ装置
KR100910505B1 (ko) * 2007-11-26 2009-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외부 전극 형광 램프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구동 시스템
US7663322B2 (en) 2007-07-20 2010-02-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Backlight driv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67568A (ko) * 2010-12-16 2012-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화된 전자기 간섭 필터
KR101193269B1 (ko) * 2011-03-04 2012-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크코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240B1 (ko) * 2013-03-26 2014-11-03 김영화 전력절감장치
KR20150096125A (ko) 2014-02-14 2015-08-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초크 코일
US9514873B2 (en) 2014-02-14 2016-12-06 Solum Co., Ltd Choke coil
WO2017135734A1 (ko) *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아모텍 차동 및 공통 모드 겸용 필터
US10566947B2 (en) 2016-02-05 2020-02-18 Amotech Co., Ltd. Filter for both differential mode and common mode
WO2023033221A1 (ko) * 2021-09-06 2023-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8144B2 (en) 2013-08-13
US20120153857A1 (en) 2012-06-21
KR101320164B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16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886046B2 (en)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 and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US10991501B2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53580B1 (ko) 라인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8648687B2 (en) Symmetric planar transformer having adjustable leakage inductance
US8471666B2 (en) Coil bobbin, coil component and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US20090237195A1 (en) Center-tapped transformer
US8536967B2 (en) Coil bobbin, coil component and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KR102098094B1 (ko) 일체형 변압기
KR101208240B1 (ko) 전자기 간섭 필터,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42459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US8299886B2 (en) Transform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50302968A1 (en) Magnetic element with multiple air gaps
CN1319852A (zh) 电磁感应器
JP2011082205A (ja) トランス装置及びこのトランス装置を備えた変換器
US20140176289A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88705B1 (ko) 초크 코일
JP5598400B2 (ja) スペーサ、コイル、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033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2094B1 (ko)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532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EP4373071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ransformer including core having structure related to degree of coupling of inductor
KR20130124852A (ko) 일체형 pfc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