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823B1 -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823B1
KR101120823B1 KR1020087008592A KR20087008592A KR101120823B1 KR 101120823 B1 KR101120823 B1 KR 101120823B1 KR 1020087008592 A KR1020087008592 A KR 1020087008592A KR 20087008592 A KR20087008592 A KR 20087008592A KR 101120823 B1 KR101120823 B1 KR 10112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liquid
sample
port
substrate
osmol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529A (ko
Inventor
제임스 휴메닉
고빈다라잔 나타라잔
스코트 파팅톤
스리니바자 레디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4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4Investigating osmot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1Automated chemical ana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체액의 오스몰농도의 즉석진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었다. 샘플액 을 수용하여 검사하기 위하여 장치를 관통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샘플 수용 칩(2)을 구비하는 장치(26)가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대략 30 nL 미만의 부피를 갖는 샘플액의 오스몰농도 검사를 가능하게 하고, 유체의 증발을 감소시키면서도, 임상 세팅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체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Description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OF CARE OSMOLARITY TEST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유체 부피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내에서, 인간의 눈물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눈물막으로부터 수분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인, 안구건조증(DES)은 검안사들이 가장 흔히 보는 질환 중의 하나이다. 연구에 따르면 DES는 50세 이상의 환자들의 약 15%에 흔히 있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병률이 증가한다고 한다. 건조한 안구는 일반적으로 눈물막의 증발이 증가하는 어떤 조건에 의해, 또는 눈물 생산을 감소시키는 어떤 조건에 의해 야기된다. 어떤 환자들에게는, 보다 큰 눈을 가진 결과로 증발이 증가한다. 더 큰 표면적과 수분손실 때문에 보다 큰 눈은 더 큰 증발을 일으킨다. 각막 감각을 감소시키는 어떠한 조건으로부터 눈물 생산은 감소될 수도 있다. 오랜 기간의 콘텍트 렌즈의 착용, 라식(LASIK)수술, 제5 신경의 외상, 및 어떠한 바이러스의 감염은 각막의 감각을 감소시킨다. DES의 치료는 상태의 가혹함에 달려있다. 어떤 환자들은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DES를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어떠한 환자들은 보충제를 함 유하는 오메가-3를 처방받는다. 눈물의 배액을 방지하기 위하여 "눈물점 마개"의 삽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오스몰농도는 용액내에 삼투하여 활동하는 입자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용액의 리터당 용질의 오스몰로 정성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눈물막이 수분을 손실하면, 염 및 단백질의 농도는 물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염과 단백질의 농도가 물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할 때, 오스몰농도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DES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의사가 샘플 눈물액의 오스몰농도를 정량화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현재 가용한 오스몰농도 측정방법들 및 장치들은 삼투압 측정, 어는점 측정, 증기압 측정을 포함한다.
한 접근방법에서는, 반투과막 맞은편의 용액에 의해 가해지는 삼투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투압계가 사용된다. 이 접근방법에서는, 용매 및 용액은 단지 용매 분자들만을 통과시키는 반투막에 의해 분리된다. 용액의 삼투압은 용매가 용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액에 작용 되어야 하는 과잉압력을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방법에서, 샘플액(예컨대, 눈물)의 오스몰농도는 "어는점 내림"이라 불리는 생체외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기술에서는, 용매(즉, 물) 내의 용질들 또는 이온들은 이온들이 없을 때보다 용액의 어는점을 낮추게 된다. 어는점 내림 분석에서, 이온화된 샘플액의 어는점은 다량의 샘플(일반적으로 대략 수 밀리리터의 단위)이 용기(예를 들어, 튜브)내에서 첫 번째로 얼기 시작할 때의 온도를 측정하여 구한다. 어는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량의 샘플액을 튜브와 같 은 용기 내에 모은다. 다음으로, 샘플액에 온도계를 넣고, 용기를 냉동조(freezing bath) 또는 펠티어 냉각기에 접촉시킨다. 샘플을 계속적으로 휘저어서 어는점 이하의 과냉각 액체 상태가 되게 한다. 기계적 유도에 의해, 샘플은 응고하고, 열역학적 융해열 때문에 어는점까지 상승한다. 샘플의 어는점의 편차는 0℃부터 샘플액 내의 용질 레벨(즉, 오스몰농도치)에 비례한다.
오스몰농도 검사를 위한 또 다른 생체외 기술은 증기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작고, 원형인 필터지 조각을 충분한 액이 흡수될 때까지 환자의 눈꺼풀 아래에 끼운다. 필터지 디스크를 밀봉된 챔버에 놓고, 냉각된 온도 센서로 필터지 디스크의 표면에서 증기의 응축을 측정한다. 결국 온도센서는 샘플의 이슬점까지 상승한다. 수분에 비례하는 이슬점 감소는 오스몰농도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도 반사작용의 눈물 때문에, 오스몰농도 기록은 정확하지 않다. 유사하게, 생체 내적 기술로, 환자의 눈꺼풀 아래에 직접적으로 전극을 설치하여 오스몰농도를 측정하는 시도 역시 반사작용의 눈물을 유도하기 쉽다. 그 결과 상기 접근방법은 임상환경에서 수술하는 안과의사에게 편리하지도 않을뿐더러 정확하지도 않다.
임상가능성이 있고, 증발을 감소시킬 수 있어, 관련 기술의 문제들을 극복한 나노리터 스케일의 오스몰농도 측정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체액의 오스몰농도의 즉석진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었다. 샘플액 을 수용하여 검사하기 위하여 장치를 관통하는 유체 통로를 구비한 장치가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대략 1 mL 미만의 부피를, 바람직하게는 30 nL 미만의 부피를 갖는 샘플액의 오스몰농도 검사를 가능하게 하고, 유체의 증발을 감소시키면서도, 임상 세팅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체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샘플 수용 칩으로서, 이는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기판을 관통하는 유체 통로를 구비하는 기판과; 샘플액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리세스 채널 내의 샘플액과 접촉할 수 있고 기판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통로는 제1 포트,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및 기판 내에 밀폐된 리세스 채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오스몰농도 검사용 장치로서, 이는 베이스 부재;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샘플 수용 칩; 및 샘플 수용 칩 상에 샘플액을 증착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도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는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도관을 통하여 샘플액을 샘플 수용 칩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동일 요소에 대해 동일 표시를 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 수용 칩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샘플 수용 칩 제1 기판층의 2개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샘플 수용 칩의 제2 기판층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샘플 수용 칩의 제3 기판층의 평면도.
도 5는 오스몰농도 검사용 전극들에 출입구를 제공하는 전극창들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샘플 수용 칩의 상이한 표면상에 위치하는 전극접점들의 단면도.
도 7은 샘플액을 수집하고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검사하기 위한 오스몰농도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샘플액을 수집하고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검사하기 위한 오스몰농도 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샘플액을 수집하고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검사하기 위한 오스몰농도 검사장치의 평면도.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표 실시예에 대해 이하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 검사용 샘플 수용 칩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기판층이 도시되었으나, 어떠한 개수의 기판층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처음에는 샘플 수용 칩(2)을 격리된 채로 설명하는 반면에,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중에는 샘플 수용 칩(2)은 베이스 부재,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샘플 수용 칩(2), 및 샘플 수용 칩(2)에 샘플액을 증착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도관을 포함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샘플 수용 칩(2)을 장치에 연결하는 것은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즉석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여러 기판층들이 결합할 때, 샘플 수용 칩(2)은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기판(4)을 관통하는 유체 통로(6)를 구비한 기판(4)을 포함한다. 유체 통로(6)는 제1 포트(8),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10)(이후에서는 간단히 "제2 포트(10)"로 표기), 및 리세스 채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 채널(12)은 기판(4) 내에 밀폐되어 있다. 샘플 수용 칩(2)은 또한 리세스 채널(12) 내의 샘플액과 접촉하여 샘플액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판(4)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들(14)을 포함한다. 도 2a,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극창들(18)은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판(4)은 전극창(8)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제1 기판층(16)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층(16)은 칩(2)의 상단층을 형성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8), 제2 포트(10), 및 전극창들(18)은, 예를 들어, 제1 기판층(16)의 기계적으로 천공한 부분에 의해, 제1 기판층(16) 내에 형성된 개구들이다. 그러나, 기판층 내에 개구를 만들기 위해 다른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전극창들(18)은 적어도 2개의 전극들(14)로의 출입구를 제공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의 실시예에서, 제1 기판층(16)은 제1 포트(8), 및 제2 포트(10)를 포함하나 전극창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판(4)이 전극창들(18)을 포함하지 않을 때, 기판(4)은 기판(4)의 외부표면에 위치하는 접점들(20)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2b에서는 접점들(20)이 원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접점들(20)은 어떤 적합한 기하학적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도 3은 제2 기판층(22)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층(22)은 칩(2)의 중간층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기판층(22)은 제1 포트(8), 제2 포트(10), 및 리세스 채널(12)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2 기판층(22)은 전극창(18)용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8), 제2 포트(10), 및 리세스 채널(12)은, 예를 들어, 제2 기판층(22)의 원하는 부위를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기판층(22)이 제1 기판층(16) 아래에 위치한다.
도 4는 제3 기판층(24)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판층(24)은 칩(2)의 하부 기판층을 구성한다. 제3 기판층(24)은 리세스 채널 내에 샘플액과 접촉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전극들(14)을 포함하고 샘플액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진단회로(50)에 연결되는 접점들(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3 기판층(24)은 제1 기판층(16) 및 제2 기판층(22)의 각각 아래에 위 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들(14)은 샘플액과 접촉하기 위하여 리세스 채널(12) 아래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다층의 세라믹과 함께 소결된다.
세라믹 기판들에 대한 전통적인 제조방법 때문에, 전통적인 금속 전극들은 기판을 결속하고 큐어(cure)하는데 필요한 고온하에서 열화되기 시작한다. 세라믹 입자들 및 금속 입자들은 소결중에 상이한 온도 영역 및 비율로 응집된다. 그러므로, 금속과 세라믹을 유사한 농도로 알맞게 조화하는 것은 통제된 부품 치수들(외부 및 특정 치수들)을 얻는데 도움을 주고, 결점(균열 또는 파손 등)이 없는 장치를 얻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근청석(cordierite)계 유리 세라믹이 베이스 장치 재료로 선호되고 구리 + 니켈 + 유리 세라믹이 도체 재료로서 선호된다. 부식과 같은 화학반응은 측정을 방해하기 때문에, 니켈 및 구리의 조합은 칩의 사용과 보관중에 부식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부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대 소결 온도는 대략 1000℃ 미만이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재참조하여, 샘플 수용 칩(2)의 작동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중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샘플액이 제1 포트(8)에 증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략 30nL 미만의 유체 샘플 부피로 신뢰할 수 있는 오스몰농도 측정을 할 수 있다. 샘플액은 기판(16) 내에 형성된 제1 포트(8) 및 기판(22) 내에 각각 형성된 리세스 채널(12)을 통과한다. 제1 포트(8)는 샘플액이 제1 기판층(16), 및 제2 기판층(22)을 통과할 만큼 좁다. 제2 포트(10)를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체는 제1 포트(8) 및 리세스 채널(12)을 통해 끌려온다. 샘플 수용 칩(2)의 제1 포트(8) 및 제2 포트(10)는, 제1 포트(8)가 샘플액을 리세스 채널(12)로 흐르게 하고 제2 포트(10)가 리세스 채널(12)의 배출구로 되는 한,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포트(8), 리세스 채널(12), 및 제2 포트(10)의 형상들은 유체의 유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2 포트(10)는 샘플액이 리세스 채널(12)을 통과하여 흐르는 비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제2 포트(10)(또는 어떤 갯수의 추가적인 제2 포트들)는 리세스 채널(12)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에 더 영향을 주기 위해 부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샘플 유체가 리세스 채널(12)을 통해 끌려오게 되면, 제2 포트(10)는 부분적으로 샘플액으로 채워지고, 표면장력에 의해 샘플액은 유지된다. 더욱이, 리세스 채널(12)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의 기판 표면이 사용된다. 표면의 화학적 성질, 채널의 형상, 및 배출구 형상의 이러한 조합은 유동의 균일성, 속도, 및 체류시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전극창(18)을 포함하는 기판(4)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샘플액을 포함하는 리세스 채널(12)은 전극(14)에 수직한 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나, 샘플액이 전극들과 접촉하는 한 상이한 전극 구성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전극창(18)은 적어도 2개의 전극들(14)에 대한 출입구를 제공한다. 외부 측정장치(미도시)는 전극창들(18)에 의해 형성된 개구로 삽입되어 접점(20)을 통하여 전극들(14)과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샘플액의 전도율은 결정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전극(14)은 기판(4)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 어 위치하는 접점들(20)에 연결된다. 도 6a 및 도 6b를 비교하면, 전극(14)이 리세스 채널(12)을 통해 유동하는 샘플액과 접촉하는 한, 접점들(20)은 기판(4)의 여러 외부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장치(26)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오스몰농도 검사용 장치(26)는 베이스 부재(28),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28)에 고정되는 샘플 수용 칩(2), 및 샘플 수용 칩(2)에 샘플액을 증착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28)에 고정되는 도관(30)을 포함한다. 도관(30)은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33)를 포함한다. 샘플 수용 칩(2)은 어떠한 필수 장착구조물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스몰농도 검사장치(26)는 베이스 유닛(34), 베이스 유닛에 도관(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6), 및 도관(30)의 제1 단부(31)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38)를 구비하는 모세관 용기(32)를 추가로 포함한다. 샘플액을 포함하는 도관(30)은 모세관 용기(32)에 고정될 수 있다. 챔버(38)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파티션(40)을 포함한다. 장치(26)는 또한 챔버의 압력을 변화시켜 도관(30)의 제2 단부(33)로부터 샘플액을 배출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유연한 파티션(40)에 외압을 가하기 위한 외압 적용 메카니즘(42)을 포함한다. 메카니즘(42)은 예를 들어, 공기를 펌프하고, 압전변화를 일으켜 유연한 파티션(40)이 제어된 방식으로 팽창하고 수축하게 하는 구조물이나, 실질적으로 유연한 파티션(40)에 힘을 가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공지의 구조물이나 차후 개발되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재참조하여,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베이스 부재(28)에 고정되는 도관(30)을 통하여 샘플액을 전달하는 단계와,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관(30)을 통하여 샘플액을 전달하는 단계는 사람 안구의 체내의 체액 샘플과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모세관힘에 의해 샘플액은 도관(30)으로 끌려온다. 일반적으로, 치료의사는 환자의 아래 눈꺼풀을 열어 도관(30)을 가지고서 눈물샘(tear cavity) 내의 눈물과 접촉한다. 모세관힘에 의해 눈물은 도관(30)으로 끌려오고 표면 장력에 의해 유지된다. 샘플액이 도관(30)에 의해 수집된 후, 도관(30)은 모세관 용기(32)에 놓인다. 용기는 챔버(38)로 연장되는 도관(30)의 제1 단부(31)를 격리시키기 위해 고정구(3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달 단계는 또한 베이스 유닛(34)에 외압(42)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34)은 도관(30)의 제1 단부(31)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38)를 포함하며, 챔버(38)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파티션(40)을 포함한다. 저압 공기와 같은, 양의 외압(42)이 실질적으로 유연한 파티션(40)에 가해진다. 파티션(40)은 챔버(38)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샘플액이 도관(30)의 제2 단부(33)로부터 방울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단계로, 검사회로(50)에 의해 샘플액의 오스몰농도가 결정된다. 샘플액의 에너지 전달 특성을 감지하여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에너지 전달 특성은,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샘플액으로 전달되는 특정전류를 인가하여 샘플액의 임피던스가 측정된다. 검사회로(50)는 샘플 수용 칩(2)의 전극들에 전류원을 인가한다.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는 전도율 측정장 치(52)를 사용하여 샘플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여 전도치를 구하고, 변환 시스템(54)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지식기반 교정(calibration knowledge base)에 의해) 전도치를 상응하는 오스몰농도치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에, 검사회로(50)는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전기전도율 측정회로(5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회로(56)는 특정한 파형[펑션제너레이터등(function generator)을 사용]으로 전기에너지를 샘플액에 의해 브릿지되는 적어도 2개의 전극에 제공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8)는 사용자에게 결과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오스몰농도치를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42)). 대안으로, 오스몰농도 결과치는 어떠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원거리 지역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치료의사는 오스몰농도 검사장치(126)의 베이스 부재(128)에 도관(130)을 사전 배치할 수 있다. 장치(126)는 샘플 수용 칩(102)에 샘플액을 증착시키기 위하여 도관(130)이 베이스 부재(128)에 고정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장치(26)(도 7)와 유사하다. 환자로부터 수집된 눈물은 모세관힘에 의해 도관(130)으로 끌려오게 된다. 도관(130)의 제1 단부(131)는 샘플액을 추출하고, 도관(130)의 제2 단부(133)는 샘플액을 샘플 수용 칩(102)에 증착시킨다. 그러므로,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베이스 부재(128)에 고정된 도관(130)을 통하여 샘플액을 샘플 수용 칩(102)에 직접 전달하는 단계와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오스몰농도 검사장 치(133)는 도관(130)을 보호하고 장치(126)를 더 편리하게 다루기 위하여 힌지가 구비된 커버(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관(130)은 힌지가 구비된 커버(144)에 고정될 수 있다. 오스몰농도 검사장치(126)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즉석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장치로도 될 수 있다.
이 발명을 상기 개설한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많은 대안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증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샘플 수용 칩을 포함하고, 상기 샘플 수용 칩은,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기판을 통과하는 유체 통로를 구비한 기판으로서, 상기 유체 통로는 제1 포트,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및 상기 기판 내에 밀폐되어 상기 제1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를 연결하는 리세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제1 포트가 샘플액을 상기 리세스 채널로 흐르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가 상기 리세스 채널의 배출구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판;
    상기 리세스 채널 내의 샘플액과 접촉하여 샘플액의 전도율을 측정하여 샘플액의 전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 채널 내에 위치하고 다층의 세라믹과 소결된 2개 이상의 전극; 및
    상기 2개 이상의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전도치를 그에 상응하는 오스몰농도치로 변환하는 전기전도율 측정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2개 이상의 전극에 출입구를 제공하는 2개 이상의 전극창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다층인 것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근청석계 유리세라믹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전극들은 구리, 니켈, 및 유리세라믹과 함께 소결되는 것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는 30 nL 미만의 부피를 갖는 샘플액만을 수용하기 위한 부피를 지니는 것인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오스몰농도 검사용 장치로서,
    샘플액의 오스몰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기전도율 측정회로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
    샘플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샘플 수용 칩;
    상기 샘플액을 상기 샘플 수용 칩에 증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도관; 및
    모세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 용기는,
    상기 도관을 베이스 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및 유연한 파티션을 지니고 상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베이스 유닛과;
    챔버 압력을 변경하여 상기 도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샘플액을 배출하기 위해 유연한 파티션에 외압을 가하는 메카니즘
    을 구비하는 것인 오스몰농도 검사용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87008592A 2005-10-14 2006-10-12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 KR101120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63,327 2005-10-14
US11/163,327 US7344679B2 (en) 2005-10-14 2005-10-14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of care osmolarity testing
PCT/EP2006/067341 WO2007042555A1 (en) 2005-10-14 2006-10-12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of care osmolarity te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529A KR20080048529A (ko) 2008-06-02
KR101120823B1 true KR101120823B1 (ko) 2012-03-23

Family

ID=3742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592A KR101120823B1 (ko) 2005-10-14 2006-10-12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344679B2 (ko)
EP (1) EP1946071A1 (ko)
JP (1) JP5046164B2 (ko)
KR (1) KR101120823B1 (ko)
CN (1) CN101287979A (ko)
TW (1) TWI377933B (ko)
WO (1) WO20070425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41A (ko) * 2020-05-15 2021-11-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스몰 농도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9255A3 (en) * 2002-08-06 2014-05-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ear film osmometry
US7905134B2 (en) * 2002-08-06 2011-03-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marker normalization
US7810380B2 (en) * 2003-03-25 2010-10-12 Tearlab Resear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tear film and measuring tear film osmolarity
US8020433B2 (en) * 2003-03-25 2011-09-20 Tearlab Resear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ample fluid collection device
US8349276B2 (en) 2002-09-24 2013-01-08 Duke Universit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drople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AU2006247752B2 (en) 2005-05-11 2012-04-12 Advanced Liquid Logic,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biochemical or chemical reactions at multiple temperatures
US7525440B2 (en) * 2005-06-01 2009-04-28 Bose Corporation Person monitoring
US7344679B2 (en) * 2005-10-14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of care osmolarity testing
US9476856B2 (en) 2006-04-13 2016-10-25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affinity assays
US20140193807A1 (en) 2006-04-18 2014-07-10 Advanced Liquid Logic, Inc. Bead manipulation techniques
US8980198B2 (en) * 2006-04-18 2015-03-17 Advanced Liquid Logic, Inc. Filler fluids for droplet operations
US7439014B2 (en) 2006-04-18 2008-10-21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surface modification and washing
US8716015B2 (en) * 2006-04-18 2014-05-06 Advanced Liquid Logic, Inc. Manipulation of cells on a droplet actuator
US7901947B2 (en) * 2006-04-18 2011-03-08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particle sorting
US8809068B2 (en) 2006-04-18 2014-08-19 Advanced Liquid Logic, Inc. Manipulation of beads in droplet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droplets
US10078078B2 (en) 2006-04-18 2018-09-18 Advanced Liquid Logic, Inc. Bead incubation and washing on a droplet actuator
US8927296B2 (en) * 2006-04-18 2015-01-06 Advanced Liquid Logic, Inc. Method of reducing liquid volume surrounding beads
US8658111B2 (en) * 2006-04-18 2014-02-25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s, modified fluids and methods
US8637324B2 (en) 2006-04-18 2014-01-28 Advanced Liquid Logic, Inc. Bead incubation and washing on a droplet actuator
US7851184B2 (en) 2006-04-18 2010-12-14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7123908A2 (en) 2006-04-18 2007-11-01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multiwell operations
WO2009111769A2 (en) 2008-03-07 2009-09-11 Advanced Liquid Logic, Inc. Reagent and sample preparation and loading on a fluidic device
US7908906B2 (en) * 2006-08-29 2011-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uidic test apparatus and method
US8173071B2 (en) 2006-08-29 2012-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cro-fluidic test apparatus and method
US8685344B2 (en) * 2007-01-22 2014-04-01 Advanced Liquid Logic, Inc. Surface assisted fluid loading and droplet dispensing
US9046514B2 (en) * 2007-02-09 2015-06-02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magnetic beads
WO2008101194A2 (en) 2007-02-15 2008-08-21 Advanced Liquid Logic, Inc. Capacitance detection in a droplet actuator
EP2126038B1 (en) 2007-03-22 2015-01-07 Advanced Liquid Logic, Inc. Enzymatic assays for a droplet actuator
WO2011084703A2 (en) 2009-12-21 2011-07-14 Advanced Liquid Logic, Inc. Enzyme assays on a droplet actuator
CN101743304B (zh) * 2007-04-10 2013-04-24 先进流体逻辑公司 微滴分配设备和方法
WO2009002920A1 (en) 2007-06-22 2008-12-31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based nucleic acid amplification in a temperature gradient
EP2188059B1 (en) * 2007-08-24 2016-05-04 Advanced Liquid Logic, Inc. Bead manipulations on a droplet actuator
US8702938B2 (en) 2007-09-04 2014-04-22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with improved top substrate
WO2013006312A2 (en) 2011-07-06 2013-01-10 Advanced Liquid Logic Inc Reagent storage on a droplet actuator
WO2009052123A2 (en) * 2007-10-17 2009-04-23 Advanced Liquid Logic, Inc. Multiplexed detection schemes for a droplet actuator
WO2009052321A2 (en) * 2007-10-18 2009-04-23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s, systems and methods
WO2009086403A2 (en) * 2007-12-23 2009-07-09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conducting droplet operations
US8852952B2 (en) 2008-05-03 2014-10-07 Advanced Liquid Logic, Inc. Method of loading a droplet actuator
KR101242472B1 (ko) * 2008-07-16 2013-03-12 노키아 코포레이션 트랙 및 트랙 서브세트의 그룹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877512B2 (en) * 2009-01-23 2014-11-04 Advanced Liquid Logic, Inc. Bubble formation techniques using physical or chemical features to retain a gas bubble within a droplet actuator
US8926065B2 (en) 2009-08-14 2015-01-06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devices and methods
US8846414B2 (en) 2009-09-29 2014-09-30 Advanced Liquid Logic, Inc. Detection of cardiac markers on a droplet actuator
FR2950972A1 (fr) 2009-10-02 2011-04-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et cellule de mesure de la concentration globale en ions d'un fluide corporel
US9091649B2 (en) 2009-11-06 2015-07-28 Advanced Liquid Logic, Inc. Integrated droplet actuator for gel; electrophoresis and molecular analysis
US9248450B2 (en) 2010-03-30 2016-02-02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operations platform
US9011662B2 (en) 2010-06-30 2015-04-21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2707131B1 (en) 2011-05-09 2019-04-24 Advanced Liquid Logic, Inc. Microfluidic feedback using impedance detection
CA2833907A1 (en) 2011-05-10 2012-11-15 Advanced Liquid Logic, Inc. Enzyme concentration and assays
US8901043B2 (en) 2011-07-06 2014-12-02 Advanced Liquid Logic,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hybrid pyrosequencing
WO2013009927A2 (en) 2011-07-11 2013-01-17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s and techniques for droplet-based assays
US9446404B2 (en) 2011-07-25 2016-09-20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apparatus and system
US20130079660A1 (en) * 2011-09-23 2013-03-28 O Chang Method utilizing thermograph of a tear film for generating a quantified index
US10731199B2 (en) 2011-11-21 2020-08-04 Advanced Liquid Logic, Inc.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ssays
US20140326056A1 (en) * 2011-11-30 2014-11-06 D.E.S. Diagnostics Ltd Method for Quick Assessment of Osmolarity
GB201202387D0 (en) 2012-02-13 2012-03-28 Nachum Zvi Device for in-vivo determination of eye moisture
US9223317B2 (en) 2012-06-14 2015-12-29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s that include molecular barrier coatings
WO2014004908A1 (en) 2012-06-27 2014-01-03 Advanced Liquid Logic Inc. Techniques and droplet actuator designs for reducing bubble formation
WO2014062551A1 (en) 2012-10-15 2014-04-24 Advanced Liquid Logic, Inc. Digital microfluidics cartridge and system for operating a flow cell
US9517464B2 (en) 2012-12-05 2016-12-13 Ian K. Glasgow Dispensed liquid measurement device
JP2015135241A (ja) * 2014-01-16 2015-07-27 タキオニッシュ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率測定器、海洋観測システム、および導電率測定器の製造方法
US11536707B2 (en) * 2014-09-23 2022-12-27 Tearlab Researc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on of microfluidic tear collection and lateral flow analysis of analytes of interest
JP6762009B2 (ja) * 2016-08-16 2020-09-30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体液粘性測定装置
USD868283S1 (en) 2017-03-30 2019-11-26 Forward Biotech, Inc. Cartridge
USD879315S1 (en) 2017-03-30 2020-03-24 Forward Biotech, Inc. Pivot tab
TWI709993B (zh) * 2019-06-18 2020-11-11 閎康科技股份有限公司 樣本承載裝置及其操作方法
WO2023028871A1 (zh) * 2021-08-31 2023-03-09 深圳华大生命科学研究院 一种检测结构、方法、检测芯片以及传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485A1 (en) * 2002-08-06 2004-02-26 Sullivan Benjamin D. Tear film osmometry
WO2004059316A1 (en) * 2002-12-17 2004-07-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clotting by capacitance or resistance
WO2005026665A2 (en) * 2003-09-15 2005-03-24 Diagnoswiss S.A. Microfluidic flow monit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7820A (en) * 1975-07-25 1977-04-12 Illinois Tool Works Inc. Humidity sensor with multiple electrode layers separated by a porous monolithic ceramic dielectric structure
US4269197A (en) * 1979-04-05 1981-05-26 Gilbard Jeffrey P Method of measuring tear osmolarity and apparatus therefor
US4800051A (en) * 1982-05-03 1989-01-2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fabricating ceramic materials
US4996993A (en) * 1988-12-07 1991-03-05 York Kenneth K In vivo osmometer
US5143080A (en) * 1988-12-07 1992-09-01 York Kenneth K In vivo osmometer
US5025220A (en) * 1989-09-21 1991-06-18 Ford Motor Company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absolute conductivity of a liquid
JP3001104B2 (ja) * 1989-10-04 2000-01-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ー構造体及びその製造法
US5498392A (en) * 1992-05-01 1996-03-12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soscale polynucleotide ampl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5388449A (en) * 1993-07-06 1995-02-14 Leveen; Harry H. Osmolarity sensor
JPH11142355A (ja) * 1997-11-05 1999-05-28 Yokogawa Electric Corp 導電率測定装置
US6437551B1 (en) * 1999-11-02 2002-08-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fabricated AC impedance sensor
CA2400159A1 (en) * 2000-02-23 2001-08-30 Zyomyx, Inc. Chips having elevated sample surfaces
US6454927B1 (en) * 2000-06-26 2002-09-24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 chemical deposition
US6939451B2 (en) * 2000-09-19 2005-09-06 Aclara Biosciences, Inc. Microfluidic chip having integrated electrodes
JP2003017851A (ja) * 2001-06-29 2003-01-17 Murata Mfg Co Ltd 多層セラミック基板の製造方法
US7047795B2 (en) * 2001-08-01 2006-05-23 Arkray, Inc. Analyzing instrument, analyz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alyzing instrument
DK1460415T3 (da) * 2001-11-19 2011-04-26 Panasonic Corp Måleindretning til måling af et elektrisk signal, der afgives af en biologisk prøve
JP2003166910A (ja) * 2001-11-30 2003-06-13 Asahi Kasei Corp 送液機構及び該送液機構を備える分析装置
US20030180965A1 (en) * 2002-03-25 2003-09-25 Levent Yobas Micro-fluid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CA2388324A1 (en) * 2002-05-31 2003-11-30 Siemens Milltronics Process Instruments Inc. Probe for use in level measurement in time domain reflectometry
US7111502B2 (en) * 2002-08-06 2006-09-26 Ocus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effect of corruptive signals during nanoliter osmometry
GB0300820D0 (en) * 2003-01-14 2003-02-12 Diagnoswiss Sa Membrane-microchannel strip
GB2404739B (en) * 2003-08-05 2006-04-12 E2V Tech Uk Ltd Sensor
US7521224B2 (en) * 2003-09-30 2009-04-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croelectronic cell electroporation array
US20050239046A1 (en) * 2004-03-05 2005-10-27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ges in cell volume
US7344679B2 (en) * 2005-10-14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of care osmolarity tes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485A1 (en) * 2002-08-06 2004-02-26 Sullivan Benjamin D. Tear film osmometry
WO2004059316A1 (en) * 2002-12-17 2004-07-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clotting by capacitance or resistance
WO2005026665A2 (en) * 2003-09-15 2005-03-24 Diagnoswiss S.A. Microfluidic flow monitoring device
WO2005026665A3 (en) * 2003-09-15 2005-06-16 Diagnoswiss Sa Microfluidic flow monitor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41A (ko) * 2020-05-15 2021-11-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스몰 농도 측정 장치
KR102342997B1 (ko) * 2020-05-15 2021-12-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스몰 농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4679B2 (en) 2008-03-18
EP1946071A1 (en) 2008-07-23
US20080050282A1 (en) 2008-02-28
US20070086927A1 (en) 2007-04-19
TWI377933B (en) 2012-12-01
JP2009511886A (ja) 2009-03-19
US20080053206A1 (en) 2008-03-06
WO2007042555A1 (en) 2007-04-19
CN101287979A (zh) 2008-10-15
KR20080048529A (ko) 2008-06-02
TW200730129A (en) 2007-08-16
JP5046164B2 (ja)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823B1 (ko) 즉석진료 오스몰농도 검사용 방법 및 장치
US7574902B2 (en) Tear film osmometry
US9217702B2 (en) Biomarker normalization
JP4782020B2 (ja) 浸透圧測定装置を校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058310A (ja) マイクロ流体試験装置および方法
ES2410058T3 (es) Normalización de biomarcadores
AU2014201103B2 (en) Biomarker norm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