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627B1 -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627B1
KR101120627B1 KR1020110102751A KR20110102751A KR101120627B1 KR 101120627 B1 KR101120627 B1 KR 101120627B1 KR 1020110102751 A KR1020110102751 A KR 1020110102751A KR 20110102751 A KR20110102751 A KR 20110102751A KR 101120627 B1 KR101120627 B1 KR 10112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filter
cartridge type
type dus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혁수
오원철
이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Priority to KR102011010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깔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 하체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고깔 하체 모두에 둘러진 상기 집진체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의하면, 고깔 하체가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프레임 본체와 고깔 하체 모두에 집진체가 밀착되도록 둘러지고, 상기와 같이 둘러진 집진체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몸체인 프레임 본체에서는 물론,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하부인 고깔 하체를 통해서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캡이 설치되지 않아도 고깔 하체가 고깔 형태로 이루어져서 집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하측 캡의 설치로 인한 집진 면적 감소가 방지되어 집진 면적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Cartridge-type Dust collecting filter frame}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는 공장 등 먼지가 다량 발생되는 산업 시설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에 따라 흡입되는 그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는 일반적으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뼈대를 이루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과, 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외면을 덮는 집진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프리지형 집진 필터의 예로, 본원의 특허출원인인 주식회사 마이크로원이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10-0960986, 발명의 명칭: 집진 필터의 캡 절곡 장치가 제시될 수 있다.
위 특허등록건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상측에는 상측 캡이, 하측에는 하측 캡이 결합된다.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가 산업 시설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가 통과될 때, 통과되는 기류의 압력에 의해 그러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이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하측 캡은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하단을 막으면서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하측 캡에 의해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하단이 막힌 형태가 되어,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저항이 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은 물론, 하측 캡 부분에서는 집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하측 캡의 면적만큼 집진 면적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하측 캡과 상측 캡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연결선이 끊어지는 경우 하측 캡이 낙하되고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가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고, 하측 캡 설치의 경우에 비해 집진 면적이 증대되고 탈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연결선이 배치될 필요가 없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깔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 하체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고깔 하체 모두에 둘러진 상기 집진체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렴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하체의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복수 개의 지점으로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수렴되는 복수 개의 지점은 수렴 하체 유지 부재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와 하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내벽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를 이루는 내측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체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의하면, 고깔 하체가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프레임 본체와 고깔 하체 모두에 집진체가 밀착되도록 둘러지고, 상기와 같이 둘러진 집진체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몸체인 프레임 본체에서는 물론,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하부인 고깔 하체를 통해서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캡이 설치되지 않아도 고깔 하체가 고깔 형태로 이루어져서 집진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하측 캡의 설치로 인한 집진 면적 감소가 방지되어 집진 면적이 증대되고 집진된 분진의 탈리가 용이하여 전체적인 차압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배기 팬의 부하가 감소되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재비산되어 집진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은 프레임 본체(110)와, 고깔 하체(120)를 포함하고, 집진체(filter media)(140)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는 공장 등 먼지가 다량 발생되는 산업 시설의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설치부(미도시)에 설치되어, 가스 또는 공기 유동에 따라 흡입되는 상기 산업 시설 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집진체(140)는 상기 집진체(140)를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것으로, 부직포 형태 등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140)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140)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가 격자 구조의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130)이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110)는 물론, 상기 고깔 하체(120)는 철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종방향, 즉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복수 개 배치되는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이고, 도면 번호 112는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횡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111)이 각각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횡방향 살이고, 도면 번호 113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을 이루고 상기 고깔 하체(120)의 연결을 위한 고깔 하체 연결부이다.
상기 상측 캡(13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상단을 덮고, 상기 집진체(140)의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설치부에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가 설치되도록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설치부에 걸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측 캡(13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집진체(140)가 함께 하단에 연결되는 상측 캡 몸체(131)와, 상기 상측 캡 몸체(131) 중앙부가 천공되어 형성된 공기 유동 홀(132)과, 상기 상측 캡 몸체(1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설치부 외측에 걸리는 상측 캡 플랜지(133)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캡 몸체(131)의 외측과 상기 상측 캡 플랜지(133)는 대략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설치부에 직접 닿게 된다.
상기 고깔 하체(12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 예를 들어 격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140)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140)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21은 상기 고깔 하체(12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이다.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은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수렴된다. 도면 번호 122는 상기 고깔 하체(120)의 횡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이 각각 연결되는 고깔 하체 횡방향 살이다. 복수 개의 상기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과 상기 고깔 하체 횡방향 살(122)이 서로 연결되면, 상단은 원형, 하단은 첨두 형태의 고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면 번호 123은 상기 고깔 하체(120)의 상단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 본체 연결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깔 하체(120)가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상기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고깔 하체(120) 모두에 상기 집진체(140)가 밀착되도록 둘러지고, 상기와 같이 둘러진 집진체(140)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의 몸체인 상기 프레임 본체(110)에서는 물론,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의 하부인 상기 고깔 하체(120)를 통해서도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캡이 설치되지 않아도 상기 고깔 하체(120)가 고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집진체(1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하측 캡의 설치로 인한 집진 면적 감소가 방지되어 집진 면적이 증대되고 집진된 분진의 탈리가 용이하여 전체적인 차압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배기 팬의 부하가 감소되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재비산되어 집진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50은 고깔 유지 부재로서, 상기 고깔 유지 부재(150)는 상기 고깔 하체(120)의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 말단이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고깔 하체(120)의 하단에 씌워지는 것이다. 상기 고깔 유지 부재(150)는 내부가 빈 고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이 서로 수렴된 상기 고깔 하체(120)의 하단에 상기 고깔 유지 부재(150)가 씌워짐으로써, 상기 고깔 하체(120)가 풀어지지 아니하여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고깔 하체 종방향 살(121)의 일부가 풀어져 상기 집진체(140)가 찢어지는 등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은 상기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고깔 하체(120)가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프레임 본체(110)와 상기 고깔 하체(120)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111)이 연장되어 그 말단이 서로 수렴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110)의 하단이 상기 고깔 하체(120)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 방식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 내부가 비어 있고 그물망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집진체(140)를 경유하는 가스 또는 공기 중의 먼지가 상기 집진체(140)에 의해 제거되고, 그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집진체(140)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상측 캡(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캡(130) 측에 배기 팬(미도시)과 연통되는 연결 관이 연결되고, 그에 따라 배기 팬에서 걸리는 부압이 전달되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외측의 먼지를 함유한 가스 또는 공기가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상측 캡(130)을 통해 유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집진체(140)에 먼지가 걸러지면서 걸러진 먼지는 탈진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떨어져 집진설비 내부로 모여지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깔 하체(120)가 견고한 고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하측 캡이 설치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하측 캡 지지를 위해 상측 캡과 연결되던 연결선도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고깔 하체(220)의 하단에 고깔 하체 지지 부재(224)가 설치된다.
상기 고깔 하체 지지 부재(224)는 상기 고깔 하체(220)의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221) 말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이 전체적으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집진체(340)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340)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이 전체적으로 고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 전체적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연결 등의 작업이 최소화되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350은 고깔 유지 부재로서, 상기 고깔 유지 부재(350)는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의 복수 개의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311) 말단이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의 하단에 씌워지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311)이 서로 수렴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의 하단에 상기 고깔 유지 부재(350)가 씌워짐으로써,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이 풀어지지 아니하여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311)의 일부가 풀어져 상기 집진체(340)가 찢어지는 등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400)이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430)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410)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렴 하체(420)를 포함한다.
상기 수렴 하체(420)에는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421)이 복수 개의 지점으로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421)이 수렴되는 복수 개의 지점은 수렴 하체 유지 부재(424)에 의해 감싸진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421) 중 서로 대응되는 수렴 하체 종방향 살(421)의 각 쌍이 서로 각각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421)의 각 쌍이 서로 각각 수렴된 지점은 소정 면적의 넓은 플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상기 수렴 하체 유지 부재(42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500)이 외측 프레임 부재(560)와,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53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와 하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의 내벽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는 내측 프레임 몸체(510)와,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510)의 말단에 형성되는 내측 고깔 하체(5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고깔 하체(520)는 상기 내측 고깔 하체(520)의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룬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는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510)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고깔 하체(520)는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51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번호 511은 내측 프레임 종방향 살이고, 도면 번호 512는 내측 프레임 횡방향 살이며, 도면 번호 521은 내측 고깔 하체 종방향 살이고, 도면 번호 522는 내측 고깔 하체 횡방향 살이며, 도면 번호 561은 외측 프레임 종방향 살이고, 도면 번호 562는 외측 프레임 횡방향 살이며, 도면 번호 563은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510)와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500)에는, 집진체(540)가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의 외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체(540)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의 외면, 상기 연결 부재(563)의 저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의 내면에 걸쳐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의 하단에 입구(541)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의 내부에 중공(542)을 가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100)를 뒤집은 형태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500)의 내부에도 집진체의 지지 구조가 형성되어 집진시 외부에 배치된 집진체와 내부에 배치된 집진체가 서로 들러붙지 않게 될 수 있으면서 집진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고깔 하체(520)의 설치에 따라, 집진 시 집진체의 강도 저하, 늘어남 등에 따른 공극 크기(pore size)의 증대 및 누설(leak)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집진 효율이 증대되고, 생산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탈진 시, 탈진 압력으로 인한 집진체의 강도 약화, 집진체 고정에 따른 편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가 상기 연결 부재(563)에 의해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560)과 그 하단에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510, 520)의 상부에 연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러한 연결선이 끊어짐에 따른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의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된 제 5 실시예에서 제시된 설명과 다른 설명만 기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프레임 부재가 내측 프레임 부재의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300)를 뒤집은 형태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집진체가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프레임 부재가 내측 프레임 몸체와,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는 내측 수렴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수렴 하체의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복수 개의 지점으로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수렴되는 복수 개의 지점은 수렴 하체 유지 부재(724)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도 6에 도시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400)를 뒤집은 형태와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의하면,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해지고, 하측 캡 설치의 경우에 비해 집진 면적이 증대되고 집진된 분진의 탈리가 용이하여 전체적인 차압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배기 팬의 부하가 감소되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크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10)

  1.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깔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깔 하체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어,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고깔 하체 모두에 둘러진 상기 집진체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깔 하체의 하단에는 상기 고깔 하체의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 말단이 연결되어 지지되는 고깔 하체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상기 고깔 하체의 복수 개의 고깔 하체 종방향 살 말단이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고깔 하체의 하단에 씌워지는 고깔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4.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그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복수 개의 프레임 본체 종방향 살 말단이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의 하단에 씌워지는 고깔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6.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진체가 외부에 둘러져서 상기 집진체를 내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렴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 하체의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복수 개의 지점으로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수렴되는 복수 개의 지점은 수렴 하체 유지 부재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7. 통과되는 공기 중의 먼지가 걸러져서 집진되는 집진체(filter media)가 외부에 둘러져서,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를 구성하는 상측 캡과 연결되는 외측 프레임 부재; 및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그물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와 하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내벽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를 이루는 내측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체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외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내측 프레임 몸체와,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는 내측 고깔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깔 하체는 상기 내측 고깔 하체의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말단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고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내측 프레임 몸체와,
    상기 내측 프레임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는 내측 수렴 하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수렴 하체의 복수 개의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복수 개의 지점으로 수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렴 하체 종방향 살이 수렴되는 복수 개의 지점은 수렴 하체 유지 부재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KR1020110102751A 2011-10-07 2011-10-07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KR10112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751A KR101120627B1 (ko) 2011-10-07 2011-10-07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751A KR101120627B1 (ko) 2011-10-07 2011-10-07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627B1 true KR101120627B1 (ko) 2012-03-16

Family

ID=461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751A KR101120627B1 (ko) 2011-10-07 2011-10-07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1320A (zh) * 2016-12-16 2017-05-31 芜湖万向新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滤筒式除尘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341A (ko) * 2002-01-31 2002-04-18 신경수 집진기용 필터
WO2004106157A1 (en) 2003-05-28 2004-12-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now 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341A (ko) * 2002-01-31 2002-04-18 신경수 집진기용 필터
WO2004106157A1 (en) 2003-05-28 2004-12-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now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1320A (zh) * 2016-12-16 2017-05-31 芜湖万向新元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滤筒式除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8976A1 (en) Filter element for cleaning an air stream that is charged with particles and filter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said element
CN103961029B (zh) 用于真空吸尘器的脏物分离器
EP3225295B1 (en) Oil catcher
US20210354069A1 (en) Air filter assembly with a permeable baffle
KR101120627B1 (ko) 카트리지형 집진 필터 프레임
JP2010269210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1643574B1 (ko) 백필터 탈진용 분사노즐
JP3162672U (ja) 集塵機用フィルタケージおよびこれを含むフィルタバッグアセンブリ
KR101325421B1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구조
KR101078024B1 (ko) 집진기용 필터의 설치구조
JP3122496U (ja) 濾過機
CN207546784U (zh) 一种高效除尘的旋风分离装置
JP2011050424A (ja) 電気掃除機
KR20170071035A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KR20120038229A (ko) 집진기용 필터백의 백 케이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021567U (zh) 一种除尘装置
JP2015150524A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集塵機
CN206355756U (zh) 一种空气过滤器
CN209392951U (zh) 一种快速除尘器滤芯
JP2009089764A (ja) 電気掃除機
AU2016203541B2 (en) A vacuum cleaner
KR101465038B1 (ko) 집진기용 필터백
JP6407130B2 (ja) 圧縮気体用気液分離エレメント及び気液分離装置
JP3199693U (ja) ろ過装置
KR200486694Y1 (ko)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