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62B1 -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 Google Patents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62B1
KR101120462B1 KR1020110034219A KR20110034219A KR101120462B1 KR 101120462 B1 KR101120462 B1 KR 101120462B1 KR 1020110034219 A KR1020110034219 A KR 1020110034219A KR 20110034219 A KR20110034219 A KR 20110034219A KR 101120462 B1 KR101120462 B1 KR 10112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il spring
pipe
track assembl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도영
김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to KR102011003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세워진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들과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상부 및 하부 가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시트 조립체 및 상기 주프레임의 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트랙 조립체를 포함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는 다양한 계단의 높이, 즉 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프레임에 대한 트랙 조립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Stair-Transport Chair for Emergency Rescue and Evacuation}
본 발명은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계단의 높이, 즉 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프레임에 대한 트랙 조립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건물, 특히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계단을 통하여 안전지역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런데 재해 취약 계층인 장애인 및 노약자는 계단을 통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장애인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가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2849호(2008. 05. 15. 공개)는 조정 가능한 활강 트랙 저항 및 제동 장치를 구비한 계단식의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계단식의자는 크게 주프레임, 시트 조립체 및 트랙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주프레임에 대하여 시트조립체 및 트랙 조립체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트랙 조립체는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고 있어 계단에서 아래로 이동 중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관리가능한 적절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계단식 의자는 건물에서 화재 등 재해 발생시에 장애인을 계단으로 대피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여전히 개선의 여지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계단의 높이, 즉 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프레임에 대한 트랙 조립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는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세워진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들과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상부 및 하부 가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시트 조립체; 및 상기 주프레임의 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트랙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트랙 조립체는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트랙 조립체이고, 각 트랙 조립체는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롤러들을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 및 상기 롤러들과 상기 롤러 프레임을 둘러싸서 무한궤도를 형성하고 지면과 맞닿는 벨트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트랙 조립체는 제1 트랙 조립체의 롤러 프레임과 제2 트랙 조립체의 롤러 프레임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축; 및 상기 축과 상기 주프레임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축과 상기 주프레임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세로지지부재와 상기 트랙 조립체 간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상기 축에 결합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고, 제1 말단이 상부로 돌출된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 돌출부가 끼워지는 슬릿 또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 돌출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말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원주와 일치하는 원주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말단에 전달하여 그 말단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회동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회동편; 상기 코일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고, 또한 상기 회동편의 트리거부는 노출되고 상기 회동편의 파이프부는 내부에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가지며, 상기 회동편의 회동에 의하여 함께 회동하는 회동파이프; 및 상기 회동파이프 및 상기 고정편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회동편의 상기 트리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편과는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외각 고정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파이프와 상기 고정편의 내경 및 두께는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하나의 상기 회동편, 상기 회동편의 양 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코일스프링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상기 회동편의 트리거부에 연결되는 라인 및 상기 라인의 다른 쪽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라인을 잡아당김에 의하여 상기 회동편을 회동시키는 라인 당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프레임은 상기 상부 가로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가로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중간 가로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각 고정파이프는 상기 중간 가로지지부재에 결합하며,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각 조절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는 다양한 계단의 높이, 즉 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프레임에 대한 트랙 조립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계단이송의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계단이송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계단이송의자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계단이송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를 접혀진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펼치는 과정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를 사용하여 장애인을 계단을 통하여 아래로 이송하는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에 구현된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에서 회동편의 걸림턱에 코일스프링의 제2말단이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계단이송의자에서 주프레임과 트랙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각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사각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10)는 크게 주프레임(100), 시트조립체(200) 및 트랙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주프레임(100)은 다른 부품을 위한 기초 또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세워진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세로지지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상부 및 하부 가로지지부재(130 및 140)를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은 통상적으로 속이 빈 사각형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본 명세서는 세로지지부재들이 사각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때 세로지지부재들의 면들은 계단이송의자(10)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면(112 및 122), 후방면(114 및 124), 측면들로서 안쪽면(116 및 126) 그리고 바깥쪽면(118 및 128)으로 명명한다. 안쪽면(116 및 126)은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에 위치하는 측면을 말하는 것이고, 바깥쪽면(118 및 128)은 안쪽면(116 및 126)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바깥쪽으로 향해 있는 측면을 말하는 것이다.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는 핸들(170)이 결합되어 있다. 핸들(170)은 뒤집어진 U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것은 연장부들(172)에 의하여 연장되고 연장부들(172)은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이 결합을 위하여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후방면(114 및 124) 상단부에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통상적인 것이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그것을 해제한 후 핸들(170)이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결합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110 및 120)의 바깥쪽면(118 및 128) 하부에는 그것과 결합하는 한 쌍의 주프레임 바퀴(150)가 설치된다. 주프레임 바퀴(150)는 적절한 형태의 브라켓에 의하여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에 설치될 수 있다.
주프레임(100)은 통상적으로 상부 및 하부 가로지지부재(130 및 140) 이외에 중간 가로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시트조립체(200)는 주프레임(100)의 전방에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게 주프레임(100)에 결합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프레임(210)을 포함한다. 시트프레임(210)은 사람이 앉는 시트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계단이송의자(10)를 펼쳤을 때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시트프레임(210)은 대체로 사각형 테두리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시트천이 시트프레임(210) 상에 팽팽하게 덮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주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 사이에는 등받이천(180)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등받이천(180)에 사용자는 등을 기댈 수 있다.
시트프레임(210)은 주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힐 수 있게 그것들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즉 시트프레임(210)의 양 측면과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을 연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시트프레임 연결편들(220)이 설치된다. 시트프레임 연결편들(220)은 한쪽 부분에서 시트프레임(210)의 양 측면과 결합하고 또한 다른쪽 부분에서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안쪽면들(116 및 126)에 결합한다. 시트프레임(210)이 상방향으로 수직한 위치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프레임 연결편들(220)은 전체적으로는 평평한 판 형상을 하되, 한쪽 부분의 판과 다른쪽 부분의 판은 둔각, 예를 들어 130도~160도 범위의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시트 조립체(200)는 또한 시트프레임 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시트프레임 지지부재(230)는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결합하고 그것들에 대하여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시트프레임(210)의 양 측면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하는 한 쌍의 경사지지부들(232)을 포함한다. 경사지지부들(232)은 계단이송의자(1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이고, 즉 서로 평형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고 시트프레임(210)과 결합하여 그것을 지지하지만 시트프레임(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시트프레임(210)도 마찬가지로 경사지지부들(2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경사지지부들(232)과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을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경사지지부 연결편들(236)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사지지부 연결편들(236)은 고정적으로 그것들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지부들(232)이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평행하게 접히도록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그것들을 결합하는 것이다. 경사지지부 연결편들(236)은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바깥쪽면들(118 및 128) 또는 안쪽면들(116 및 126)에 결합할 수 있고, 경사지지부들(232) 및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들로 구성된다. 만약 경사지지부들(232)의 굵기 또는 두께와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두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사지지부 연결편들(236)은 그 중간부분에, 경사지지부들(232) 및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들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계단이송의자(10)를 접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지지부재(110 또는 12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고, 시트프레임(210)은 세로지지부재(110 또는 120)의 전방에 그것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경사지지부(232)는 시트프레임(210)의 전방에 그것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특히, 그것들은 그것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틈이 없게 콤팩트하게 배치된다.
시트조립체(200)는 또한 한 쌍의 팔걸이(240)를 포함한다. 팔걸이(240)는 시트프레임 지지부재(230)의 경사지지부들(232) 상부에 위치하여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접힐 수 있도록 세로지지부재(110 및 120)의 안쪽면(116 및 126) 및 바깥쪽면(118 및 128)에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계단이송의자(10)를 접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트프레임(210)의 상부 수직연장선에 일치하게 팔걸이(240)가 배치된다. 이러한 팔걸이(240)는 팔걸이 연결부(242)에 의하여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의 안쪽면(116 및 126) 및 바깥쪽면(118 및 128)에 결합한다. 이러한 팔걸이 연결부(242)에서 세로지지부재들과의 결합부분은 그것의 안쪽 측면에서 보았을 때 등받이천(180)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지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이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시트프레임 지지부재(230)는 경사지지부들(232)을 아래쪽에서 서로 연결하는 U자 형태의 하부지지부(232)를 포함한다. 하부지지부(232) 아래에는 한 쌍의 시트프레임 바퀴(250)가 설치된다. 그리고 계단이송의자(10)를 접었을 때 시트프레임 바퀴들(250)은 주프레임(100)의 하부 가로지지부재(140) 상부에 위치한다.
하부지지부(232)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편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26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는 그것을 접었을 때 주프레임(100), 시트 조립체(200) 및 트랙 조립체(300) 전체의 두께가 매우 콤팩트하게, 특히 200 mm 이하로 매우 콤팩트하게 접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체 두께가 176.8 mm 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이송의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휴대가 간편하므로 긴급 대응에 유리하다. 이러한 신속한 대응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는 화재 등 재해 발생시에 장애인을 계단을 통하여 아래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해준다. 도 7에는 장애인을 이송하는 담당자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계단이송의자(10)는 주프레임(100)의 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주프레임(100)에 결합하는 최소한 하나의 트랙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트랙 조립체(300)는 주프레임(100)에 결합하는 한 쌍의 트랙 조립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트랙 조립체(310 및 320)는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312 및 314 그리고 322 및 324), 상기 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롤러들을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316 및 326) 및 상기 롤러들과 상기 롤러 프레임을 둘러싸서 무한궤도를 형성하고 지면과 맞닿는 벨트(318 및 328)를 포함한다. 그리고 트랙 조립체(300)는 제1 트랙 조립체(310)의 전방 롤러(312)와 제2 트랙 조립체(320)의 전방 롤러(322)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330) 및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400)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장치(400)는 도 9 내지 12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400)는 회전축(330)이 관통하는 코일스프링(410)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410)을 포함한다. 코일스프링(410)의 제1 말단(412)은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제2 말단(414)은 돌출되어 있지 않다.
브레이크 장치(400)는 또한 고정편(420)을 가진다. 고정편(420)은 회전축(330)이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슬릿(422) 또는 구멍을 가지며, 코일스프링(41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한다. 코일스프링(410)의 제1 말단 돌출부(412)는 고정편(420)의 슬릿(422)에 끼워진다. 고정편(420)은 브레이크 장치(400)의 작동에 있어서, 코일스프링(410)의 말단 돌출부(412)에서 코일스프링(4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코일스프링(410)의 제2 말단(414)은 회동편(430)과 접촉한다. 회동편(430)은 파이프부(432)와 트리거부(436)로 구분된다. 파이프부(432)는 코일스프링(410)의 원주와 일치하는 원주를 가지고, 또한 코일스프링(410)의 제2 말단(414)이 걸리는 걸림턱(437)을 가진다. 파이프부(432)에는 회전축(330)이 관통한다. 파이프부(432)에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슬릿(434)이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부(436)는 파이프부(432)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코일스프링(410)의 제2 말단(414)에 전달하여 그 말단에서 코일스프링(410)을 회동시키는 것이다. 트리거부(436)에는 외부에서 힘을 용이하게 작용시키기 위하여 슬릿(438)이 설치되고 그 슬릿(438)에는 기계적 힘을 전달하는 케이블(라인)이 결합된다. 케이블(라인)의 다른쪽 말단은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수단, 예를 들어 레버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레버에 의하여 외부에서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그 힘은 트리거부(436)로 전달되어 트리거부(436)가 회동하게 되고 이어서 코일스프링(410)은 제2말단(414)에서 회동하게 된다.
브레이크 장치(400)는 또한 회동파이프(440)를 포함한다. 회동파이프(440)는 코일스프링(410)을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회동파이프(440)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슬릿(442)을 가지고 있어, 이것을 통하여 회동편(430)의 트리거부(436)는 노출되고 회동편(430)의 파이프부(432)는 내부에 수용하며, 회동편(430)의 회동에 의하여 함께 회동한다.
브레이크 장치(400)는 또한 외각 고정파이프(450)를 포함한다. 외각 고정파이프(450)는 회동파이프(440) 및 고정편(420)을 내부에 수용한다. 이때, 고정편(420)은 외각 고정파이프(450)와 일체로 결합된다. 외각 고정파이프(450)는 개구부(452)를 가지고 있어 그것을 통하여 회동편(430)의 트리거부(436)가 외부에 노출된다. 외각 고정파이프(450)는 고정수단(460)에 의하여 롤러 프레임(316 또는 326)에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브레이크 장치(400)에 있어서, 고정편(420)은 코일스프링(410)을 제1말단(412)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회동파이프(440)는 코일스프링(410)을 제2말단(414) 및 그 전체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동파이프(440)와 고정편(420)의 내경 및 두께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400)는 하나의 회동편(430), 회동편(430)의 양 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410) 및 한 쌍의 고정편(420)의 배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브레이크 장치(4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20)은 외각 고정파이프(450)에 일체로 결합하고 그것은 고정수단(460)에 의하여 롤러 프레임(316 또는 326)에 결합하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에 회동편(430) 및 회동파이프(440)는 제한된 구간 내에서 회전, 즉 회동할 수 있다. 제1 트랙 조립체(310)의 전방롤러(314)와 제2 트랙 조립체(320)의 전방롤러(324)를 연결하여 그것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30)은 고정편(420), 코일스프링(410) 및 회동편(430)을 차례로 관통한다.
회동편(430)에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전축(330)은 한 쌍의 코일스프링(410)과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회전축(330)은 앞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즉, 전방롤러들(314 및 324)은 전방으로 굴러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전방 방향에 대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회동편(430)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면, 회동편(430)은 외부 힘에 대응하는 만큼의 원주 거리만큼 회동하게 되고, 그것은 걸림턱(437)에 의하여 코일스프링(410)의 제2말단(414)을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코일스프링(410)의 제1말단(412)은 고정편(420)의 슬릿(422)에 갖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10)은 제2말단(414)에서 전방 방향으로 비틀어지면서 그것의 내경이 커지게 되고, 이것은 코일스프링(410)과 회전축(33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단이송의자(10)를 계단에서 아래로 밀게 되면 계단이송의자(10)는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외부에서 작용시키는 힘이 클수록 더욱 수월하게 계단이송의자(10)가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레버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회동편(430)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축(330)이 전방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코일스프링(41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저지당한다. 그러나 회전축(330)이 후방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코일스프링(410)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거의 저지당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훨씬 적게 저지당한다. 따라서, 회전축(330)은 후방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있다. 즉 계단이송의자(10)는 후방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것에 대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코일스프링은 나사와 같이 회전방향 또는 꼬임방향이 있다. 이러한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330)과의 마찰력이 달라진다. 코일스프링(410)을 관통하는 회전축(330)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할 때 회전축(330)의 그 회전방향이 코일스프링(410)의 회전방향 내지 꼬임방향과 일치하면 마찰력이 별로 작용하지 않아 회전할 수 있는데 이것은 회전축(330)의 회전력이 코일스프링(410)의 내경을 크게 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회전축(330)의 그 회전방향이 코일스프링(410)의 회전방향 내지 꼬임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면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되는데, 이것은 회전축(330)의 회전력이 코일스프링(410)의 내경을 작게 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앞으로 구르는 작동, 즉 전진하는 작동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좌회선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반면에 후진방향의 진행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계단이송의자는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계단에서 아래로 이동 중에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안전한 하강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트랙 조립체(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트랙 조립체(300) 간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장치(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제1 트랙 조립체(310)의 롤러 프레임(316)과 제2 트랙 조립체(320)의 롤러 프레임(326)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과 주프레임(100)의 중간 가로지지부재(160) 간을 연결하는 것이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과 주프레임(100)의 중간 가로지지부재(160)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트랙 조립체(300) 간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에 더하여 트랙 조립체들(310 및 320) 간의 연결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과 회전축(330) 사이에 트랙 조립체 제2 연결축(35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위에서 설명한 브레이크 장치(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차이나는 것은 브레이크 장치(400)는 트랙 조립체(300)의 전방롤러들(312 및 322)를 연결하여 그것들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30)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인 반면에,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에 결합하는 샤프트(570)를 붙잡거나 해방시킴으로써 노출되는 샤프트(57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경사각을 조절한다는 측면에서 브레이크 장치(400)와 다른 것이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동일한 구조의 코일스프링(510), 고정편(520), 회동편(530), 회동파이프(540) 및 외각 고정파이프(550)를 포함한다. 즉,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샤프트(570)가 관통하고, 제1 말단이 상부로 돌출된 코일스프링(510), 코일스프링(510)의 말단 돌출부가 끼워지는 슬릿 또는 구멍을 가지고 코일스프링(51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샤프트(570)가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코일스프링(510)의 말단 돌출부에서 코일스프링(51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520); 코일스프링(510)의 제2 말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가지고 코일스프링(510)의 원주와 일치하는 원주를 가지며 샤프트(570)가 관통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코일스프링(510)의 제2 말단에 전달하여 그 말단에서 코일스프링(510)을 회동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회동편(530); 코일스프링(510)을 내부에 수용하고, 또한 회동편(530)의 트리거부는 노출되고 회동편(530)의 파이프부는 내부에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가지며, 회동편(530)의 회동에 의하여 함께 회동하는 회동파이프(540) 및 회동파이프(540) 및 고정편(520)을 내부에 수용하고, 회동편(530)의 트리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가지며, 고정편(520)과는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하지 않도록 주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외각 고정파이프(550)를 포함한다.
경사각 조절장치(500)에 있어서, 고정편(520)은 코일스프링(510)을 제1말단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회동파이프(540)는 코일스프링(510)을 제2말단 및 그 전체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회동파이프(540)와 고정편(520)의 내경 및 두께는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하나의 회동편(530), 회동편(530)의 양 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510) 및 한 쌍의 고정편(520)의 배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사각 조절장치(500)에서 외각 고정파이프(550)는 주프레임(100)의 중간 가로지지부재(160)에 고정파이프 고정수단(560)에 의하여 고정되고, 샤프트(570)는 샤프트 고정수단(580)에 의하여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에 고정된다. 샤프트 고정수단(580)으로서, 고정구(582)가 두 개의 너트들(584 및 하나는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에 의하여 샤프트(570)의 말단에 마련된 나사부와 결합하고, 또한 고정구(582)는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의 결합부(342)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고정수단(580)의 반대편에 있는 샤프트(570)의 말단에는 대체로 고정편(520)의 내경 및 두께와 일치하는 나사 형상의 샤프트 걸림부(57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 걸림부(572)는 샤프트(570)를 최대한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뽑았을 때 고정편(520)에 샤프트(572)가 걸려서 더 이상 뽑히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각 조절장치(500)에서 회동편(530)의 트리거부는 기계적 케이블(라인)과 결합하고, 그 케이블(라인)(610)은 다른쪽 말단에서 레버(600)에 결합한다. 케이블(610)은 팽팽하게 연결된 상태이며, 사용자가 레버를 잡아당기면 그 힘이 회동편(530)에 전달되어 회동편(530)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경사각 조절장치(5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샤프트(570)는 고정되어 주프레임(100)의 세로지지부재들(110 및 120)과 트랙 조립체들(310 및 320) 간의 경사각은 고정된다. 한편, 다양한 계단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계단이송의자의 경사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레버(600)를 잡아당겨서 회동편(530)을 회동시킴으로써 샤프트(570)를 붙잡는 힘을 해제시킨 후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340)을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잡아당긴 레버(600)를 놓으면 계단이송장치(10)의 경사각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계단이송장치(10)는 경사각 조절장치(500)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주프레임에 대한 트랙 조립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학교, 관공서, 빌딩 등의 높이가 다양한 계단에 대응할 수 있다.
10: 계단이송의자 100: 주프레임
110: 좌측 세로지지부재 120: 우측 세로지지부재
130: 상부 가로지지부재 140: 하부 가로지지부재
150: 주프레임 바퀴 160: 중간 가로지지부재
170: 핸들 172: 핸들 연장부
200: 시트 조립체 210: 시트프레임
220: 시트프레임 연결편 230: 시트프레임 지지부재
232: 경사지지부 234: 하부지지부
236: 경사지지부 연결편 240: 팔걸이
242: 팔걸이 연결부 250 시트프레임 바퀴
260: 발판 300: 트랙 조립체
310, 320: 제1 및 제2 트랙 조립체
312,322: 전방롤러 314,324: 후방롤러
316,326: 롤러 프레임 318,328: 벨트
330: 회전축 340: 트랙 조립체 제1 연결축
350: 트랙 조립체 제2 연결축 400: 브레이크 장치
410: 코일스프링 412: 제1말단 돌출부
414: 제2말단 420: 고정편
422: 슬릿 430: 회동편
432: 파이프부 434: 슬릿
436: 트리거부 437: 걸림턱
438: 슬릿 440: 회동파이프
442: 슬릿 450: 외각 고정파이프
452: 개구부 454: 회동편 보호부
460: 고정수단 500: 경사각 조절장치
550: 외각 고정파이프 560: 고정파이프 고정수단
570: 샤프트 572: 샤프트 걸림부
580: 샤프트 고정수단 582: 고정구
584: 너트 586: 체결구
600: 레버 610: 케이블

Claims (5)

  1.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세워진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들과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상부 및 하부 가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시트 조립체; 및 상기 주프레임의 후방으로 펼쳤다가 접을 수 있게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최소한 하나의 트랙 조립체를 포함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에 있어서,
    상기 트랙 조립체는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쌍의 트랙 조립체이고, 각 트랙 조립체는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롤러들을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 및 상기 롤러들과 상기 롤러 프레임을 둘러싸서 무한궤도를 형성하고 지면과 맞닿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 조립체는 제1 트랙 조립체의 롤러 프레임과 제2 트랙 조립체의 롤러 프레임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축; 및 상기 축과 상기 주프레임 간을 연결하면서 상기 축과 상기 주프레임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세로지지부재와 상기 트랙 조립체 간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상기 축에 결합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고, 제1 말단이 상부로 돌출된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 돌출부가 끼워지는 슬릿 또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말단 돌출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편;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말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원주와 일치하는 원주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2 말단에 전달하여 그 말단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을 회동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회동편; 상기 코일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고, 또한 상기 회동편의 트리거부는 노출되고 상기 회동편의 파이프부는 내부에 수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을 가지며, 상기 회동편의 회동에 의하여 함께 회동하는 회동파이프; 및 상기 회동파이프 및 상기 고정편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회동편의 상기 트리거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편과는 일체로 결합되고,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주프레임에 결합되는 외각 고정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파이프와 상기 고정편의 내경 및 두께는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하나의 상기 회동편, 상기 회동편의 양 쪽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코일스프링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편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상기 회동편의 트리거부에 연결되는 라인 및 상기 라인의 다른 쪽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라인을 잡아당김에 의하여 상기 회동편을 회동시키는 라인 당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은 상기 상부 가로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 가로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세로지지부재들을 연결하는 중간 가로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각 고정파이프는 상기 중간 가로지지부재에 결합하며, 상기 경사각 조절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각 조절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난용 계단이송의자.
KR1020110034219A 2011-04-13 2011-04-13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KR101120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19A KR101120462B1 (ko) 2011-04-13 2011-04-13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219A KR101120462B1 (ko) 2011-04-13 2011-04-13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62B1 true KR101120462B1 (ko) 2012-02-29

Family

ID=458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219A KR101120462B1 (ko) 2011-04-13 2011-04-13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1977A (zh) * 2015-03-16 2015-06-24 北京京金吾高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援救支架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091A (ja) * 1993-08-20 1995-03-03 Zeo Kk パイプ体のスライド支持構造
JP2551862B2 (ja) * 1990-10-18 1996-11-06 株式会社サンワ 車椅子用階段昇降機
US20070095581A1 (en) * 2005-08-11 2007-05-03 Chambliss Charles S Stair chair with an adjustable glide track resistance and braking device
US20090230638A1 (en) * 2008-03-13 2009-09-17 Monster Medic, Inc. Stair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862B2 (ja) * 1990-10-18 1996-11-06 株式会社サンワ 車椅子用階段昇降機
JPH0755091A (ja) * 1993-08-20 1995-03-03 Zeo Kk パイプ体のスライド支持構造
US20070095581A1 (en) * 2005-08-11 2007-05-03 Chambliss Charles S Stair chair with an adjustable glide track resistance and braking device
US20090230638A1 (en) * 2008-03-13 2009-09-17 Monster Medic, Inc. Stair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1977A (zh) * 2015-03-16 2015-06-24 北京京金吾高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功能援救支架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5806B2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US5316104A (en) Automatically adjustable tree climbing stand having a lounging seat
KR101240923B1 (ko)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US20110198897A1 (en) Personal support device
US9597251B2 (en) Sit-to-stand and walking assistive mobility aid
US9775767B1 (en) NAHO deluxe walker
KR101191051B1 (ko)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JP6923982B2 (ja) 起立補助椅子及び車椅子
KR101120462B1 (ko) 긴급구난 및 피난용 계단이송의자
US8177248B2 (en) Wheelchair with manual lift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224414B1 (ko) 좌석 브레이크가 구비된 실버카
JP3138742U (ja) 車椅子用安全器具
JP2004267571A (ja) 車椅子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椅子本体
KR101743876B1 (ko)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
KR101838104B1 (ko) 의자형 기립 보조기
JP4597846B2 (ja) 運動器具
US6035459A (en) Movable bathtub seat assembly
KR101188899B1 (ko) 기립형 휠체어
JPH078521A (ja) 起立補助椅子
JP6950949B2 (ja) 移動補助椅子
GB2544276A (en) Height adjusting wheelchair
WO2022252886A1 (zh) 折叠轮椅及其折叠方法
US20120056404A1 (en) Manual wheelchair lift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32824B1 (ko) 휠체어의 휠퍼
KR102135866B1 (ko) 통로 확보가 용이한 연결식 의자의 좌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