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117B1 -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117B1
KR101120117B1 KR1020040112329A KR20040112329A KR101120117B1 KR 101120117 B1 KR101120117 B1 KR 101120117B1 KR 1020040112329 A KR1020040112329 A KR 1020040112329A KR 20040112329 A KR20040112329 A KR 20040112329A KR 101120117 B1 KR101120117 B1 KR 10112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discharge duct
sintering machine
damper
defo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883A (ko
Inventor
송주섭
송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합원료 이송기구로부터 배합원료를 공급받고 제1배출덕트와 제2배출덕트가 분기되어 형성된 배합원료 공급조와, 상기 제1배출덕트와 제2배출덕트로 배합원료를 분배하는 댐퍼와, 상기 제1배출덕트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원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 및, 피더 구동모터에 의해 축회전하여 상기 원료저장호퍼 내의 배합원료를 배출시키는 절출피더, 상기 원료저장호퍼의 외부로 배출된 배합원료를 평탄화하는 커팅플레이트, 상기 소결기대차에 적재되는 배합원료상에 함입된 빈 공간을 감지하는 원료홈 검출기, 복포제를 저장하는 복포제 저장통, 상기 복포제 저장통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복포제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결기에서 배합원료가 균일하게 소성되게 하여 재사용되는 반광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으며, 안정된 조업을 바탕으로 품질향상을 이루어 후공정인 고로조업에 기여할 수 있고, 먼지발생을 줄여 공정집진기의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배출농도 상승요인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소결기, 코크스, 호퍼, 댐퍼, 복포

Description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Device for repairing bad loaded cokes in a sintering facilities }
도 1은 소결공정도,
도 2는 종래의 불량장입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원료충진기구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원료저장호퍼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원료저장호퍼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원료저장호퍼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누풍방지기구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누풍방지기구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의 누풍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결기대차 2 : 서지호퍼
4 : 점화로 6 : 윈드박스
10 : 주 배풍기 13 : 드럼피더
16 : 층후검출봉 17 : 배합원료 공급조
17a : 제1배출덕트 17b : 제2배출덕트
18 : 배합원료 이송기구 19 : 댐퍼
22 : 원료저장호퍼 24 : 절출피더
25 : 커팅 플레이트 25a: 실린더기구
25b : 구동모터 26 : 원료홈 검출기
27 : 복포제 저장통 28 : 복포제
29 : 복포제 지지플레이트 31 : 유압모터
32 : 댐퍼작동실린더 33 : 피더 구동모터
36 : 그레이트바 37 : 인슐레이션 피스
본 발명은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결공정에서 소결기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 중 일부가 빈 상태로 운반되는 것을 보완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주 장입원료로 사용되는 소결광은 통상 주/부원료(철광석, 석회석등)와 열원인 코크스, 무연탄을 혼합한 배합원료(M)를 소결기 대차(1)에 장입하고, 점화로(4)에서 표면착화시켜 진행하는 동안 주 배풍기(10)의 강제 흡입과정을 거쳐 소결광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소결기 대차(1)에 적재되는 배합원료(M)는 소결기의 진행속도와 층후검출봉(16)의 신호에 의해 드럼피더(13)가 제어된다.
상기 드럼피더(13)는 서지호퍼(2)와 메인게이트(2a)로 구성되어 있는 장입설비에서 배합원료를 균일하게 절출시키는데 배합원료(M)중에 괴광, 괴부착광등 이물이 혼입되어 드럼피더(13)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다가 상기 메인게이트(2a)에 걸리게 되고, 층후검출봉(16)은 소결기 대차(1)에 적재되는 양을 감지하여 드럼피더(13)의 회전속도를 제어시키는 장치인데, 상기 층후검출봉(16) 끝단 부분에는 부착광과 이물걸림으로 인하여 검지 오동작을 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소결기 대차(1)에 장입적재되는 배합원료(M)의 적정량에 미치지 못하게 되어 소결기대차(1)상의 배합원료(M)가 비어나가는 현상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결 조업중 소결기 대차(1)에 장입되는 배합원료 중 일부는 장입기구의 드럼피더(13)의 제어 불량이나 소결기 대차(1)의 진행속도에 정량장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장입면 일부(M1)가 비어나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결기대차(1)상에 정상적인 배합원료(M)가 적재되어 점화로(4)에서 표면 착화된 배합원료(M)는 주배풍기(10)의 강제흡입 공기에 의해 소결기 진행속도에 따라 소결광 제조 공정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때, 소결기 대차(1)의 그레이트바(36)와 인슐레이션 피스(37)의 결함(마모,탈락등)으로 인하여 소성중이던 미소결광(배합원료)이 윈드박스(6;WIND BOX)내부로 유실되면서 홀(HOLE)이 발생된다. 즉, 소결기 대차 부품인 그레이트바(36)의 마모와 탈락 등의 이유로 소결기 대차(1)상의 장입원료(M)는 주배풍기의 강제흡입 공기에 의해 윈드박스(6)로 유실되어 홀(M2)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결조업중 소결기 대차(1)상에 구멍(HOLE)(M2)이 생길경우 집중적으로 누풍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소결광의 품질과 생산성 저하는 물론 배출농도의 상승 요인이 되고, 배출농도 상승으로 환경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결광 제조 공정중에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는 배합원료의 빈 공간에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배합원료를 충진시키고, 소결층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소결기 대차의 장입원료의 구멍발생을 억제시킴으로써 정상조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는, 소결광 제조 공정중에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는 배합원료의 빈 공간에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배합원료를 충진시키는 원료충진기구와, 소결기 대차의 장입원료의 구멍발생을 억제시키는 누풍방지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충진기구는, 배합원료 이송기구(18)로부터 배합원료를 공급받고 제1배출덕트(17a)와 제2배출덕트(17b)가 분기되어 형성된 배합원료 공급조(17)와, 상기 제1배출덕트(17a)와 제2배출덕트(17b)로 배합원료를 분배하는 댐퍼(19)와, 상기 댐퍼(19)를 선회시키는 댐퍼선회기구 및, 상기 제1배출덕트(17a)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원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22), 피더 구동모터(33)에 의해 축회전하여 상기 원료저장호퍼(22) 내의 배합원료를 배출시키는 절출피더(24), 상기 원료저장호퍼(22)의 외부로 배출된 배합원료를 평탄화하는 커팅플레이트(25), 상기 소결기대차(1)에 적재되는 배합원료상에 함입된 빈 공간을 감지하는 원료홈 검출기(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합원료 공급조(17)는 배합원료 이송기구(18)로부터 배합원료를 공급받고, 일측에 제1배출덕트(17a)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서지호퍼(2)로 배합원료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덕트(1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19)는 상기 배합원료 공급조(17)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덕트(17a)와 제2배출덕트(17b)로 배합원료를 분배한다.
상기 댐퍼선회기구는 상기 댐퍼(19)의 일측에 링크결합되는 댐퍼작동실린더 (32)와, 상기 댐퍼작동실린더(32)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저장호퍼(22)는 상기 제1배출덕트(17a)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원료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절출피더(24)에 의해 원료저장호퍼(22) 내의 배합원료가 배출된다.
상기 절출피더(24)는 피더 구동모터(33)에 의해 축회전하여 원료저장호퍼(22) 내의 배합원료를 배출시킨다.
상기 커팅플레이트(25)는 상기 원료저장호퍼(22)의 일측에 플레이트 작동기구에 의해 아래쪽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료저장호퍼(22)의 외부로 배출된 배합원료를 평탄화한다.
상기 플레이트 작동기구는 로드 선단이 상기 커팅플레이트(25)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실린더기구(25a)와, 상기 실린더기구(25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작동기구는 선단이 상기 커팅플레이트(25)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웜(도면미도시)과, 상기 웜을 구동시키는 웜기어(도면미도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누풍방지기구는, 복포제(28)를 저장하고 하부에 복포제 배출구가 형성된 복포제 저장통(27)과, 상기 복포제 저장통(27)의 복포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복포제 지지플레이트(29)로 구성되어 있다.
소결기 대차(1)의 배합원료(M)가 비어나가는 것을 보충하기 위한 장치로서 충진호퍼(22) 재고를 운전자가 설정한 값에 따라 배합원료(M)를 회수하기위한 분급 댐퍼(19)가 작동하여 충진호퍼(22)에 배합원료(M)를 입조하고, 상기 소결기대차(1)상의 배합원료(M)가 각 부위별로 비어나감 현상을 검지장치(26)에서 이를 감지하여 충진호퍼(22) 하부에 설치된 절출 피더(24,24a,24b...)를 구동시키며, 상기 절출 피더(24,24a,24b...)에서 배합원료(M)가 절출되면 커팅플레이트(CUTTING PLATE : 25)에서 장입면을 고르게 한다. 배합원료(M)의 정상적인 절출이 시작되면 원료홈 검출기(26)의 동작으로 절출피더(24)는 다시 정지된다.
또한, 점화로(4)를 통과한 소결기 대차(1)상의 각 부위별 구멍(M2)발생시에는 주배풍기(10)에서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과정에서 부압이 집중되므로써 압력차이에 의한 원리를 이용하여 소결기 대차(1) 상부에 설치된 복포통(27,27a,27b...)에서 복포제 저장통(27)을 지지하는 복포제 지지플레이트(29a)가 흡입공기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열리고 따라서 복포제(28)가 누풍이 집중되는 구멍(M2)을 막아 누풍부분의 압력이 낮아지면 복포제 지지플레이트(29a)는 스프링(29)힘에 의해 상부로 닫히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에 의하면, 소결기에서 배합원료가 균일하게 소성이 되도록 함으로써 재사용되는 반광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정된 조업을 바탕으로 품질향상을 이루어 후공정인 고로조업에 기여할 수 있고, 미소결광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5mm반광량을 최소화하여 소결 생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소성으로 안정된 조업이 유지되면 먼지발생을 줄여 공정집진기의 부하를 감소시 키므로 배출농도 상승요인을 크게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결광 제조 공정중에 비정상적으로 발생되는 배합원료의 빈 공간에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배합원료를 충진시키는 원료충진기구와, 소결기 대차의 장입원료의 구멍발생을 억제시키는 누풍방지기구로 구성된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기구는,
    배합원료 이송기구로부터 배합원료를 공급받고, 일측에 제1배출덕트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 서지호퍼로 배합원료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덕트가 형성된 배합원료 공급조와;
    상기 배합원료 공급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출덕트와 제2배출덕트로 배합원료를 분배하는 댐퍼와;
    상기 댐퍼를 선회시키는 댐퍼선회기구 및;
    상기 제1배출덕트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원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원료저장호퍼;
    피더 구동모터에 의해 축회전하여 상기 원료저장호퍼 내의 배합원료를 배출시키는 절출피더;
    상기 원료저장호퍼의 일측에 플레이트 작동기구에 의해 아래쪽으로 출몰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원료저장호퍼의 외부로 배출된 배합원료를 평탄화하는 커팅플레이트;
    상기 소결기대차에 적재되는 배합원료상에 함입된 빈 공간을 감지하는 원료홈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풍방지기구는, 복포제를 저장하고, 하부에 복포제 배출구가 형성된 복포제 저장통;
    상기 복포제 저장통의 복포제 배출구를 개폐하는 복포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작동기구는, 로드 선단이 상기 커팅플레이트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실린더기구와; 상기 실린더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작동기구는, 선단이 상기 커팅플레이트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웜과; 상기 웜을 구동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선회기구는, 상기 댐퍼의 일측에 링크결합되는 댐퍼작동실린더와; 상기 댐퍼작동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KR1020040112329A 2004-12-24 2004-12-24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KR10112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29A KR101120117B1 (ko) 2004-12-24 2004-12-24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29A KR101120117B1 (ko) 2004-12-24 2004-12-24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883A KR20060073883A (ko) 2006-06-29
KR101120117B1 true KR101120117B1 (ko) 2012-03-23

Family

ID=3716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329A KR101120117B1 (ko) 2004-12-24 2004-12-24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91B1 (ko) * 2022-06-02 2023-02-23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충전재 평탄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3759B (de) * 2004-08-02 2006-05-15 Voest Alpine Ind Anlagen Aufgabevorrichtung für eine bandsinter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899Y1 (ko) 2001-12-22 2002-04-0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합원료 절출용 루버 게이트
JP2002121621A (ja) 2000-10-13 2002-04-26 Sumitomo Metal Ind Ltd 焼結鉱の製造法およびdl式焼結機
KR20020048152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소결광 제조용 더스트 펠렛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30041720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상부광 입도별 공급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621A (ja) 2000-10-13 2002-04-26 Sumitomo Metal Ind Ltd 焼結鉱の製造法およびdl式焼結機
KR20020048152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소결광 제조용 더스트 펠렛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30041720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상부광 입도별 공급 제어장치
KR200270899Y1 (ko) 2001-12-22 2002-04-0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합원료 절출용 루버 게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91B1 (ko) * 2022-06-02 2023-02-23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충전재 평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883A (ko)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1356A (zh) 一种称重给料装置及物料处理系统
RU22490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пыли из сухого пылесборника доменной печи
KR101120117B1 (ko) 소결기 불량장입원료 보수장치
KR100901365B1 (ko) 고형 물질 공급 장치
CN208454007U (zh) 一种面粉输送与计量系统
KR101395595B1 (ko) 연/원료의 고로 장입 시스템
KR101493855B1 (ko) 원료 공급장치
US3542218A (en) Apparatus for closing the coal hopper outlet on a larry car
JP3853251B2 (ja) 定量フィーダ機構とその機構付きシステム装置
CN212314956U (zh) 一种称重给料装置及物料处理系统
KR101167386B1 (ko) 코크스 스크린 아웃렛 슈트의 비상 배출 장치
US3901419A (en) Flow promoting device for batch hoppers
CN213010836U (zh) 一种用于球团的成品球团贮存及临时外运装置
KR101596149B1 (ko) 소결 장치
JP4946120B2 (ja) 高炉原料の乾燥予熱装置の制御方法
CN212870701U (zh) 一种具有进料清洗功能的回转炉进料器
KR101701674B1 (ko) 원료 혼합 장치
JP3707855B2 (ja) 廃棄物供給装置
KR200290856Y1 (ko) 정량공급이가능한몰드플럭스피더의호퍼로더
KR100893269B1 (ko) 소결광 제조 시스템
KR102239242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CN210252164U (zh) 一种带有提升装置的干法造粒机
CN211767772U (zh) 一种高炉料仓
KR200270899Y1 (ko) 소결 배합원료 절출용 루버 게이트
JP6904322B2 (ja) ホッパー設備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