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042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042B1
KR101120042B1 KR1020100051209A KR20100051209A KR101120042B1 KR 101120042 B1 KR101120042 B1 KR 101120042B1 KR 1020100051209 A KR1020100051209 A KR 1020100051209A KR 20100051209 A KR20100051209 A KR 20100051209A KR 101120042 B1 KR101120042 B1 KR 10112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ev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127A (ko
Inventor
최정단
손승원
박종현
김주완
조성익
장병태
김도현
안경환
김정숙
성경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09,391 priority Critical patent/US8779936B2/en
Publication of KR2011004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4Hardware aspects; Signal processing or signal properties, e.g. frequency b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주변에 설치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통해 수집되는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에게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적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할 때,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이를 통해 상호 교신하며,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한 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 줌으로써, 정의된 순서에 따라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교환하고 정의된 방법으로 메시지의 구성요소를 인식하기 때문에 노매딕 장치에서는 다양한 사용사례를 해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보유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GUIDING PERIPHERAL STATE BY USING NETWORK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에서의 주행 또는 보행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주변에 설치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통해 수집되는 주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에게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적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한민국의 도로 형태별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2008년도 전체사고 중 교차로에서 발생한 사고가 41.6%를 차지하는데, 이러한 교차로 내에서의 차량간 충돌 사고는 운전자의 시야가 미치기 어려운 차량이나 교차로의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 과속으로 교차로 진입 전에 정차를 할 수 없는 경우, 예측 출발이나 교차로 내가 정체 시 진입하여 도로 통행 상태를 더욱 악화시켜 사고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최근에는 이러한 교차로 내에 센서 네트워크를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 유무를 판별하거나 신호를 위반하는 차량을 적발하는 시스템이 활용되고는 있으나, 사고 전 운전자에게 상황 정보를 미리 전달하는 서비스는 아직 활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비스 프로토콜로 국내의 KLP(korea Location Protocol), 해외의 MLP(Mobile Location Protocol) 등이 제안되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 아키텍쳐인 OpenLS 등이 제안되었다. 국내에서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시스템의 일환으로 차량과 노변 인프라의 통신을 이용하는 "하이패스"가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서비스가 미리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거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자 휴대 장치의 리소스 한계점이 있어 보다 무거워지고 실행하는 데 소요되는 오랜 시간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간 통신 기술 및 차량-노변 기지국 간 통신 기술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차량과 노변의 통신을 통한 차량 주행 방향 및 주차 유도에 관한 응용 단계의 프로토콜과 주행 및 정지 안내를 위한 응용에 대한 고려는 전무한 상태이다.
유럽의 ERTICO에 의해 제안된 텔레매틱스 프로토콜인 GTP1.0은 응용 레이어의 상세 메시지 규격을 정의하며, 헤더에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고 상세 메시지들의 세부 규격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서비스에 따른 사용사례(use case)의 제공과 해당 사용사례에서 메시지 전송의 시퀀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도로상황에서 위험한 상황에 대해 서버의 서비스 영역(통신 영역)내에 진입해 있는 모든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로 공지함으로써 노매딕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안전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은 차량 탑재 단말이거나 혹은 보행자 휴대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로 사용되는 노매딕 장치는 단말의 자원이 제한적인 가벼운 장치로 구현되며, 이를 위해 유도 프로토콜은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도 구현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안전 경고 및 주차 안내 등과 관련된 사용사례는 매우 다양하게 나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와 노매딕 장치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구성하기 수단이 되게 하고 지속적으로 변경 가능한 사용사례를 다루기 위하여 메시지 시퀀스를 전송받아 시퀀스대로 메시지를 교환하므로 동적으로 변화되는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 이를 위하여 기본 데이터 요소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노매딕 장치(사용자 단말)를 이용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면 그 지역의 서버로부터 서비스가 노매딕 장치로 전달되는 방법이다. 그리고, 노매딕 장치가 서버를 중심으로 서비스 영역(무선통신 영역)을 벗어나게 될 경우에 제공받은 서비스를 노매딕 장치의 리소스에 따라 즉시 지울 수 도 있고, 재사용을 위하여 요청에 따라 활용 가능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노매딕 장치의 리소스가 부족하여 긴급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없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영역은 차량의 안전한 운행이 요구되는 교차로, 신호등 및 주차장 등이 포함된 지역이 될 수 있으며, 서비스 대상은 주행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노매딕 장치의 이용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 내에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여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 수단과, 수집되는 상기 주변 상황 정보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 및 그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DB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황 판단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정보 수집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상환 판단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안전사고 관련의 도로 상황에 진입하는 시작단계에서 노매딕 장치(사용자 단말)가 자신의 ID 및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여 진입을 통보하고, 서버가 사용사례에 기반하여 프로토콜의 시퀀스와 메시지 자체(메타 데이터)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노매딕 장치로 교환, 즉 동적으로 변화 가능한 메시지 시퀀스 및 포맷이 정의된 시퀸스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노매딕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이 시퀀스 메시지에 따라 향후 로컬 서버와 상호 교환되는 메시지를 해석하도록 함으로써, 정의된 순서에 따라 정의된 포맷의 메시지를 교환하고 정의된 방법으로 메시지의 구성요소를 인식하기 때문에 노매딕 장치에서는 다양한 사용사례를 해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사례가 다른 영역(지역)에서는 프로토콜을 확장하거나 축소가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된 방식대로 메시지 교환 시퀀스를 준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송신측(로컬 서버)과 수신측(노매딕 장치)간에 원활한 메시지 교환을 실현할 수 있으며, 사용사례가 변경되어 시퀀스가 변동되더라도 그때마다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본 데이터 요소를 정의함으로써 프로토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 한계 상황에서 사고에 대한 안전지원(안전지원 서비스)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상황 아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노매딕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로컬 서버가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는 노매딕 장치에게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의 구조와 프로토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프로토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명령(Control Command)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 프레임(Request Frame)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로컬 서버로부터 노매딕 장치로 전송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의 예시 리스트.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할 때,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이를 통해 상호 교신하며,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한 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해 준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방식에서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통신 인프라는, 서비스 영역 내에 설치되어 로컬 서버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며, 예컨대 도로 및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 등의 촬영 수단과 초음파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하는 인프라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정보는, 예컨대 해당 단말의 ID, 현재 위치, 속도, 진행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서버가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예컨대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주차 공간 관련 안내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XML 메시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할 때 해당 사용자 단말로 사용사례(use case)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먼저 전송하는데, 이러한 사용사례는 XML과 DID를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으로서 기본 정보들의 종류와 개수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개념도로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자신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104)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들에게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서버(102)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6/1 - 106/3)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6/1)은 서비스 영역(104)에 막 진입하는 단말을 의미하고, 사용자 단말2(106/2)는 서비스 영역(104) 내에 진입해 있는 단말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3(106/3)은 서비스 영역(104)으로부터 이탈한(벗어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은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사용자 단말이 차량 탑재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을 자동차 형태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것은 사용자 단말이 차량 탑재 단말임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일 뿐 실제로는 차량에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인 노매딕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도 1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서비스 영역(104) 내에는, 예컨대 도로 및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 등의 촬영 수단과 초음파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서비스 영역(104) 내의 주변 상황 정보(예컨대, 도로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데이터 등)를 수집한 후 이를 로컬 서버(102)로 전송하는 인프라 센서가 정보통신 인프라로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컬 서버(102)는 서비스 영역(104) 내에 소정 위치(도로변 등)에 설치된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의 정보 DB에 저장하고, 서비스 영역(104)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의 ID, 현재 위치, 차량 속도, 진행 방향 등)와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예컨대,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주차 공간 관련 안내 메시지 등)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기능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은 로컬 서버(102)의 서비스 영역(104) 내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로컬 서버(102)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로컬 서버(102)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구체적인 기능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예컨대, 106/1)은 서비스 영역(104)에 진입하면 단말 ID와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진입 통보 메시지(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로컬 서버(102)로 전송하고, 로컬 서버(102)에서는 이를 인증, 즉 단말 ID가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인지를 인증(체크)한 후 유효 단말 ID인 것으로 판단될 때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한 후 확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이어서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여 로컬 서버와의 연결(물리적인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 로컬 서버(102)와 서비스 영역(104)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은 요청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의 교환, 즉 로컬 서버(102)가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여 로컬 서버(102)로 전송하는 프레임 교환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은 로컬 서버(102)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통해 로컬 서버(102)로부터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로 전송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로서는, 예컨대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주차 공간 관련 안내 메시지 등이 있는데, 그 이벤트 상황 및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으로서는, 일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로컬 서버(102)는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된 각 단말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로부터 특정 시간 동안 메시지(단말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영역(104)을 벗어난(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자신의 정보 DB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서의 등록을 삭제(서비스 대상에서의 삭제)한다.
즉, 본 발명의 주변 상황 안내 시스템은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도로 현장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때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내의 있는 모든 노매딕 장치(사용자 단말)로 공지(위험 요소 경고 서비스)해 줌으로써, 노매딕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안전 지원 서비스(주차 공간 관련 안내 서비스 포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노매딕 단말(사용자 단말)과 로컬 서버의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데, 노매딕 단말은 시스템 자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가벼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요구된다. 즉, 사용자 단말은 모든 사용사례에 대한 SGP Meta를 가지고 있지 않고 각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해당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 인스턴스(Instance)를 전송받아 사용하게 된다.
즉, 차량의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에 진입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로컬 서버에서는 진입 통보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ID를 확인하여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일 때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시킨다. 이 등록 과정이 끝나면, 로컬 서버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타 데이터를 보낸다.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에는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되어 있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이 메타 데이터를 해석하고 메타 데이터에 기술된 시퀀스대로 데이터 프레임을 주고받으면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에 보내어진 데이터를 토대로 판별된 내용으로 사용자 단말에 위험 요소 경고 메시지 또는 주의사항 등과 같은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위험 요소 경고 메시지나 주의사항 등은 메타 데이터에 정의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사례를 로컬 서버와 사용자 단말이 해석할 수 있는 형태(machine readable format)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사례를 기술하기 위한 제약사항을 포함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사용사례를 표현하고 사용사례를 기술하기 위한 수단으로 DTD를 사용한다. DTD는 XML 문서의 구조와 문서 내에 나타나야 하는 엘리먼트의 이름을 제한하므로 XML과 DTD를 이용하여 사용사례를 기술한다.
이때, 프로토콜 관점에서의 사용사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는 사용사례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의 집합이며 두 번째는 사용자 단말과 로컬 서버간의 메시지 전송 순서(sequence)이다. 하나의 메시지는, 예컨대 안전 경고(또는 위험요소 경고) 및 주차 안내 서비스를 위한 기본 데이터들의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컨대, 노매딕 장치가 탑재된 차량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boundary)에 진입하는 경우 차량 진입 메시지를 로컬 서버에 전송한다고 가정할 때, 차량 진입 메시지는 단말 ID, 차량 위치, 차량 속도와 같은 기본 데이터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XML을 이용하여 메시지 집합과 메시지 전송 순서를 표현할 수 있는 방안과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요소 (primitive data elements)를 정의한다. XML 형태로 표현된 사용사례는 사용자 단말과 로컬 서버에서 분석(parsing)되어, 사용사례 내의 메시지 전송 순서는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의 전달이 유효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사용사례 내의 메시지 집합은 메시지를 구성하는 템플릿(template)으로 사용된다. 즉, 사용사례 내의 메시지는 해당 메시지가 포함해야 하는 기본 정보들의 종류와 개수 등을 표현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로컬 서버가 실제 전송할 메시지를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구성하게 된다. 이때, 실제 전달되는 메시지는 통신비용을 고려하여 XML 메시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이진 형태(binary format)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의 구조와 프로토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보여주는 프로토콜 구조도로서, 그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secase Description Format( UDF )
이는 사용사례를 기술하기 위한 제약사항을 포함하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XML DTD(Data Type Definition)를 통해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UDF는 사용사례의 이름을 정의하는 방법, 사용사례의 메시지 전송 순서를 정의하는 방법 및 사용사례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들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Usecase Instance
이는 XML 문서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반드시 UDF를 만족시켜야 하며, 유효한 사용사례의 경우 로컬 서버와 사용자 단말에서 XML 파서를 통해 해석되고 이를 이용해 해당 사용사례의 메시지들을 사용자 단말과 로컬 서버가 교환한다.
Sequence
이는 메시지의 전송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사례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메시지 Set
이는 해당 사용사례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메시지 집합 내의 각 메시지는 실제 사용자 단말 또는 로컬 서버가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가 어떤 기본 요소들(core elements)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템플릿의 역할을 한다.
메시지 Instance
이는 사용자 단말 또는 로컬 서버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메시지 템플릿을 통해 필요한 기본 정보들을 파악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템플릿에 일치하는 메시지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이때, 통신의 효율성을 위해 이진 형태의 메시지로 구성된다.
다음에, 로컬 서버와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간에 교환되는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들의 타입에 대한 실제 예시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Terminal ID
이는 각각의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이름과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메시지 ID
이는 메시지 엔코딩(Encoding)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 전송되는 현재 전송되고 있는 메시지가 어떠한 데이터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Timestamp
이는 교환되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시간은 1970년 1월 1일 자정 이후로부터 경과된 초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UNIX epoch time)
Location
이는 특정시간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지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Speed
이는 특정시간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가지고 있는 차량(또는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나타낸다.
Direction
이는 특정시간에서의 사용자 단말이 진행하고 있는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메시지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Elemen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MSG 길이는 한번 전송되는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 길이는 MSG 길이를 제외한 Control Command와 Terminal ID 길이의 합이다. Control Command는 프로토콜 진행사항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에 대해 기술하는데, 이러한 Control Command(제어 명령)는 각각의 상황에 대해 대응된 숫자로 나타내어진다. 그리고, Parameter Size는 파라미터의 길이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파라미터는 Control Command에 따라 달라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명령(Control Command)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진입 통보는 차량 탑재 단말(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단말이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즉, 차량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은 로컬 서버로 진입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며, 진입 통보 메시지를 받은 로컬 서버는 진입 통보 메시지를 보낸 사용자 단말에게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 프레임과 요청 프레임의 교환에 필요한 정보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메타 데이터는 XML로 기술되는데, XML 문서의 DTD는 아래와 같다.
[표 1]
Figure 112010034992248-pat00001
상기한 표 1에서 각 엘리먼트(Element)와 어트리뷰트(Attribute)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Protocol
이는 메타 데이터 전체 내용의 시작을 나타낸다.
Usecase
이는 로컬 서버 각각의 상황에 대응되는 사용사례(Use case)에 대한 ID를 나타낸다.
Sequence
이는 데이터 프레임 순서에 대한 과정을 나타낸다.
Name
이는 사용사례의 데이터 프레임 이름을 지정한다.
ServerSend
이는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데이터나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시지 시퀀스의 ID와 연속성(Continuous)을 어트리뷰트(attribute)로 갖는다.
ClientSend
이는 로컬 서버가 요청한 데이터나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되는 태그 이름이다. ServerSend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시퀀스 ID와 연속성(Continuous)을 어트리뷰트(attribute)로 갖는다.
DataFrameSet
이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집합이다.
DataFrame
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정의의 시작이다.
Type
이는 데이터 엘리먼트의 타입을 지정한다.
Usecase id
이는 사용사례 ID를 지정한다.
ServerSend Framd _ id
이는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ID을 지정한다.
ServerSend Continuous
이는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요청하는 데이터의 연속성을 지정하는 것으로, 그 값이 false이면 사용자 단말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한번만 전송하고, 그 값이 true이면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 안에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ClientSend Frame _ id
이는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 프레임의 ID을 지정한다.
DataFrame Frame _ id
이는 정의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ID을 지정한다.
Type form
이는 데이터 엘리먼트 타입을 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청 프레임(Request Frame)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요청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요청 프레임은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때 보내는 것으로, MSG 길이는 MSG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의 총 길이 합을 나타낸다. Frame ID는 데이터 프레임과 구별하고, 요청 프레임임을 나타내는 ID이다. 요청된 Frame ID는 사용자 단말에게 어떤 데이터 프레임을 요청하는지를 나타내는 ID이다. Period는 데이터 프레임을 얼마만큼의 주기로 보내는지를 표시하는 정보로서 Period 값이 0이면 사용자 단말이 해당 프레임을 한번만 전송하고, 0이 아니면 ms단위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로컬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요청 프레임을 보내면 해당 사용자 단말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로컬 서버에게 전송하는데,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이 전송은 메타 데이터에 시퀀스(sequence)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MSG 길이는 MSG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의 총 길이 합이다. Data Frame Type(DFT) ID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와 개수를 판단하기 위한 고유 ID을 나타낸다. Terminal ID는 차량 탑재 단말(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의 ID이다. Data element 개수는 데이터 프레임 내에 포함된 데이터 엘리먼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Data element 타입은 차량 탑재 단말(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집된 프리미티브 데이터(primitive data) 타입이다. Data element 값은 데이터 엘리먼트 타입에 해당되는 값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토콜의 구조와 프로토콜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위험 요소 경고 서비스 또는 주차 관련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서버,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의 구조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이러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는 로컬 서버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인터페이스 블록(202), 센서 정보 수집 블록(204), 단말 정보 수집 수단(206), 정보 DB(208), 상황 판단 블록(210), 메시지 엔코더 블록(212) 및 클라이언트 블록(21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정보 수집 수단(206)은 네트워크 선택 블록(2061)과 메시지 디코더 블록(206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블록(202)은 로컬 서버와 도시 생략된 서비스 영역 내의 인프라 센서 및 서비스 영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간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 인프라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영역 내의 주변 상황 정보(예컨대, 도로 차량 상황, 신호등 상황, 주차 공간 상황 등)를 센서 정보 수집 블록(204)으로 전달하고,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진입 통보 메시지(연결 요청 메시지), 데이터 프레임 등을 단말 정보 수집 수단(206) 내의 네트워크 선택 블록(2061)으로 전달하며, 클라이언트 블록(214)으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연결 요청 수락 메시지),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및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 등을 사용자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 내의 사용사례는 XML과 DTD를 이용하여 기술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로컬 서버가 전달한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단말 정보인 것으로, 이러한 단말 정보에는, 예컨대 단말 ID, 현재 위치, 차량 속도, 진행 방향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리고, 요청 프레임, 단말 정보 및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예컨대 XML 메시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센서 정보 수집 블록(204)은 인터페이스 블록(202)을 통해 수신되는 서비스 영역 내의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 DB(208)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 정보 수집 수단(206) 내의 네트워크 선택 블록(2061)은 인터페이스 블록(202)으로부터 진입 통보 메시지가 전달될 때 정보 DB(208)를 탐색하여 진입 통보 메시지(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가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인지의 여부를 인증(체크)하고, 유효 단말 ID인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 인식하여 정보 DB(208) 내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한 후 그에 상응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엔코더 블록(212)으로 전달하며,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의 전송을 위해 메시지 엔코더 블록(212)으로 전달하고,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이 보내온 데이터 프레임이 인터페이스 블록(202)을 통해 전달될 때 이의 디코딩을 위해 메시지 디코더 블록(2063)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단말 정보 수집 수단(206) 내의 메시지 디코더 블록(2063)은 네트워크 선택 블록(2061)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후술하는 상황 판단 블록(210)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데이터 타입으로 디코딩(변환)하며, 이와 같이 변환된 단말 정보를 정보 DB(208)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 DB(208)에는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에 설치된 인프라 센서로부터 수집한 주변 상황 정보, 서비스 대상 단말들을 등록하는 클라이언트 리스트, 각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데이터 프레임),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각 이벤트 상황에 대응하는 다수의 안내 메시지 내용 정보 등이 저장된다.
다음에, 상황 판단 블록(210)은 정보 DB(208)로부터 저장된 주변 상황 정보와 각 서비스 대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예컨대, 충돌 감지, 위험 요소 등)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 그에 상응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엔코더 블록(21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서비스 대상 단말이 차량 탑재 단말일 때, 예컨대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주차 공간 관련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시각적인 화면 안내 정보와 청각적인 음성 안내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정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황 판단 블록(210)은 정보 DB(208)에 저장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된 각 서비스 대상 단말들의 단말 정보를 탐색하여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 정보의 수신이 없는 서비스 대상 단말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 정보의 수신이 없는 단말이 있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이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클라이언트 리스트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삭제(서비스 대상 단말 해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메시지 엔코더 블록(212)은 네트워크 선택 블록(206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 메타 데이터 및 요청 프레임과 상황 판단 블록(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엔코딩하여 클라이언트 블록(214)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블록(214)은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과 시퀀스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엔코딩된 모든 정보와 메시지들을 인터페이스 블록(20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를 통해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 상황 아낸 서비스 장치를 통해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노매딕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제어 블록(302), 메모리 블록(304), 메시지 발생 블록(306), 엔코더 블록(308), 네트워크 블록(310), 디코더 블록(312) 및 정보 수집 블록(3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블록(302)은, 예컨대 노매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로컬 서버와의 연결 시도를 위해 단말 ID 및 현재 위치 정보 등을 메모리 블록(304)으로부터 인출하여 메시지 발생 블록(306)으로 전달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의 생성을 지령하고, 정보 수집 블록(314)을 통해 수집되는 로컬 서버로부터의 정보, 예컨대 확인 응답 메시지,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이벤트 발생에 따른 화면 안내 및/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메모리 블록(304)에 저장된 위치 정보는, 예컨대 GPS 수신기를 통해 원격지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좌표 값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 블록(302)은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수신될 때 이를 메모리 블록(304)에 저장한 후 로컬 서버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로컬 서버로부터 요청 프레임이 수신될 때 사용사례를 참조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생성을 메시지 발생 블록(306)으로 지령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로컬 서버로부터 요청 프레임의 수신이 없을 때, 즉 노매딕 장치가 해당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될 때, 메모리 블록(304)에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 블록(304)에는 단말 정보, 예컨대 단말 ID, 현재 위치, 차량 속도, 진행 방향 등과 같은 단말 정보와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제어 블록(302)은 정보 수집 블록(314)으로부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가 입력될 때, 운전자로의 안내를 위해, 화면 안내 메시지를 도시 생략된 모니터로 출력하고, 음성 안내 메시지를 도시 생략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메시지 발생 블록(306)은, 어떠한 로컬 서버와도 물리적인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 제어 블록(302)으로부터 단말 ID와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지령(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발생하는 생성 지령)이 입력될 때, 단말 ID와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또는 진입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엔코더 블록(308)으로 전달하고, 제어 블록(302)으로부터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 ID, 현재 위치, 차량 속도, 진행 방향 등)와 함께 데이터 프레임의 생성 지령이 입력될 때,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여 엔코더 블록(308)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엔코더 블록(308)은 메시지 발생 블록(306)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연결 요청 메시지(또는 진입 통지 메시지), 데이터 프레임 등을 로컬 서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엔코딩하여 로컬 서버로의 무선 송출을 위해 네트워크 블록(310)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블록(310)은 로컬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하며, 엔코더 블록(308)으로부터 전달되는 연결 요청 메시지, 데이터 프레임 등을 로컬 서버 측으로 무선 송출하고, 로컬 서버 측으로부터 수신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등을 수신하여 디코더 블록(31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디코더 블록(312)은 네트워크 블록(31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등을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타입(포맷)으로 디코딩(변환)하며, 이와 같이 변환된 단말 정보를 제어 블록(30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정보 수집 블록(314)은 로컬 서버로부터 무선 송출되어 디코더 블록(312)을 통해 변환되는 확인 응답 메시지, 메타 데이터, 요청 프레임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 블록(302)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컬 서버와 노매딕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로컬 서버가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는 노매딕 장치에게 이벤트 상황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컬 서버(102)가 대기 모드(또는 다른 노매딕 장치로의 서비스 모드)를 수행할 때, 서비스 영역(104)으로 접근하는 사용자 단말(노매딕 장치)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단말 ID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또는 진입 통지 메시지)를 송출하는데(단계 402), 이러한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영역(104)으로 진입하게 되면, 로컬 서버(102)에서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진입 통지 메시지로서 수신하게 된다(단계 404).
다음에, 로컬 서버(102)에서는 진입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를 추출한후 자신의 정보 DB를 탐색함으로서(단계 406), 해당 사용자 단말이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인지의 여부를 체크(인증)한다(단계 408).
상기 단계(408)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대상자로 기 등록된 유효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을 자신의 정보 DB내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한 후(단계 410), 확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무선 송출하고(단계 412), 이어서 사용사례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자신의 정보 DB로부터 인출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로 무선 송출한다(단계 414).
따라서, 이러한 메시지 교환을 통해 로컬 서버(102)의 서비스 영역(104)에 새롭게 진입한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로컬 서버(102)에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로컬 서버(102)와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된 해당 사용자 단말은 로컬 서버(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요청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등을 상호 교환하는 교신을 수행하는데(단계 416), 이러한 상호 교신 중에 로컬 서버(102)에서는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와 해당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데이터 프레임 내 단말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418).
여기에서, 이벤트는, 예컨대 무정차 신호 위반, 신호 위반, 꼬리물기, 신호 없음, 주차장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무정차 신호 위반”이라 함은 교차로의 진입 차량(사용자 단말)이 교차로 진입 과정에서 서지 못하고 통과하는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컬 서버(102)에서는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 중인 차량(또는 차량들)과 진입 차량에게 경고 메시지(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신호 위반”이라 함은 차량의 교차로 진입 속도를 고려할 때 정지선에서 정지가 가능한 속도였으나, 신호를 위반하여 진입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컬 서버(102)에서는 신호 대기 중인 차량(또는 차량들)과 신호 위반 차량에게 경고 메시지(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꼬리물기”리 함은 교차로 진입을 시도 중인 차량이 꼬리물기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우 로컬 서버()에서는 진입 시도 차량에게 관련 경고 메시지(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신호 없음”이라 함은 비신호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또는 차량들)을 체크하여 교차로 진입 우선순위, 즉 주도로인지 부도로인지를 판단하거나 교차로 진입의 시간적인 우선순위를 따지거나 하는 식으로 우선 통과 차량을 결정하여 알려주거나 혹은 노란색 점멸 등일 경우에 교차로 진입 차량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는 등의 안내 서비스를 로컬 서버(102)가 대상 차량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로컬 서버(102)가 자신의 서비스 영역(104)에 설치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통해 수집되는 주변 상황 정보와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한 각 단말 정보에 의거하여 체크 및 판단하는 이벤트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들 또한 될 수가 있다.
상기 단계(418)에서의 체크 결과,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로컬 서버(102)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안내를 위해 자신의 정보 DB로부터 인출한 이벤트 상황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 내용 정보와 단말 ID를 이용하여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예컨대,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메시지, 주차 공간 관련 안내 메시지 등)를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420). 여기에서,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무선 송출)되거나 혹은 이벤트에 관련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동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화면 안내 정보 및/또는 음성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해당 사용자 단말(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서는 로컬 서버(102)로부터 무선 송출되어 수신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모니터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단계 422).
따라서, 해당 사용자 단말(혹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의 이용자(예컨대, 차량 운전자)는 모니터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시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통해 자신에게 발생 가능한(혹은 발생하게 될)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로컬 서버(102)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된 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체크하는데,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메시지(단말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서비스 대상 단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해당 서비스 대상 단말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 대상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자신의 정보 DB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서의 등록을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노매딕 장치가 차량에 탑재된 사용자 단말인 경우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노매딕 장치가 보행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일 경우, 예컨대 스쿨 존 등에서 정규속도 이상의 속도로 진행하는 차량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혹은 횡단 보도 또는 차도 부근의 보행자에게 차량 주행속도에 기반하여 위험이 내재된 차량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위험이 존재하는 차량이 존재할 때 이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2 : 로컬 서버 104 : 서비스 영역
106/1 - 106/3 : 사용자 단말 202 : 인터페이스 블록
204 : 센서 정보 수집 블록 206 : 제어 블록
208 : 정보 DB 210 : 상황 판단 블록
212 : 메시지 엔코더 블록 214 : 클라이언트 블록
2061 : 네트워크 선택 블록 2063 : 메시지 디코더 블록

Claims (20)

  1. 삭제
  2.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사례는,
    상기 로컬 서버와 서비스 대상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기본 정보들의 종류와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사례는,
    XML과 DTD를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5.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진입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ID가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일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6.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의 ID, 현재 위치, 속도, 진행 방향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이 상기 차량 탑재 단말일 때,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는,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주차 공간 관련 안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9.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단말 정보의 수신이 없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리스트에서의 등록을 해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10. 로컬 서버가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 단말로서 클라이언트 리스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XML 메시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이진 형태로 구성된 단말 정보와 상기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될 때, 그에 상응하여 XML 메시지 템플릿을 이용하여 이진 형태로 구성된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 내에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진입 통보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ID가 기 등록된 유효 단말 ID일 때 이를 인증하여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 수단과,
    수집되는 상기 주변 상황 정보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 및 그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DB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황 판단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정보 수집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상황 판단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
  13.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을 인증하여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하고, 상기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에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 정보 수집 수단과,
    수집되는 상기 주변 상황 정보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 및 그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DB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황 판단 수단과,
    상기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정보 수집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상황 판단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판단 수단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이 상기 차량 탑재 단말일 때,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주차 공간 관련 안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
  15.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서비스 커버리지 영역 내에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여 서비스 대상 단말로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로컬 서버의 사용사례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며, 등록된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고, 등록된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단말 정보의 수신이 없을 경우,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의 관련 정보를 정보 DB로부터 삭제하는 단말 정보 수집 수단과,
    수집되는 상기 주변 상황 정보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 및 그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정보 DB와,
    상기 서비스 대상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 정보와 상기 저장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황 판단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정보 수집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상황 판단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장치.
  16. 로컬 서버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자신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영역 내의 정보통신 인프라로부터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정보와 수집된 주변 상황 정보에 의거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에 따른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로컬 서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차량 탑재 단말 또는 보행자 휴대 단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일 때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탑재 단말일 때, 교차로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신호 관련 위험 요소 안내, 주차 공간 관련 안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벤트 상황 안내 메시지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상기 단말 정보의 수신이 없을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 대상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20100051209A 2009-10-22 2010-05-31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112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9,391 US8779936B2 (en) 2009-10-22 2010-10-2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guidanc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551 2009-10-22
KR20090100551 2009-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27A KR20110044127A (ko) 2011-04-28
KR101120042B1 true KR101120042B1 (ko) 2012-03-22

Family

ID=4404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209A KR101120042B1 (ko) 2009-10-22 2010-05-31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13A1 (ko) * 2018-01-25 2019-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정보 조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98B1 (ko) * 2017-05-10 2019-05-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량간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10382884B1 (en) * 2018-05-15 2019-08-13 T-Mobile Usa, Inc. Dynamically consuming and publishing smart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mobile ident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584A (ja) 2000-09-0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090172A (ja) 2000-09-20 2002-03-27 Oki Electric Ind Co Ltd 歩行者支援システム
JP2004199283A (ja) * 2002-12-17 2004-07-15 Toshiba Corp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584A (ja) 2000-09-0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090172A (ja) 2000-09-20 2002-03-27 Oki Electric Ind Co Ltd 歩行者支援システム
JP2004199283A (ja) * 2002-12-17 2004-07-15 Toshiba Corp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13A1 (ko) * 2018-01-25 2019-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정보 조회 방법
KR20200103525A (ko) * 2018-01-25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정보 조회 방법
KR102540025B1 (ko) * 2018-01-25 202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정보 조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27A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778B2 (en) Localized traffic data collection
US87799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guidance service
KR10216627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운전 지원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8902080B2 (en) Vehicle-mounted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oadside-to-vehicle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551298A (zh) 一种智能停车通信系统及预约停车方法
KR100835385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사고를 알리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1491020B1 (ko) 지능형 실시간 교통위반단속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77370A (ja) 車両通信装置
CN111615078B (zh) 一种c-v2x协议栈的通信方法及装置
KR101293750B1 (ko) 방송 서비스 정보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12252645A (ja) 歩行者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報知方法
KR101120042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변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CN105407170A (zh) 一种具有链路保护的车联网系统
JP2017207820A (ja) 歩行者端末装置、車載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要請通知方法
JP2002032897A (ja) タクシーの配車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70273118A1 (en) Base st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utomatic driving,mobile commun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utomatic driving,and control,method for mobil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utomatic driving
KR101349209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KR100916315B1 (ko)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JP4715562B2 (ja) 災害情報システム
KR20180034970A (ko)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차량간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3900946B2 (ja) 特定道路情報サーバ、車載通信処理装置及び特定道路情報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JP6142763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器
CN214896944U (zh) 紧急救援系统
JP2006072936A (ja) 車両停止要求システム
CN1061629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第一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9